KR890000373Y1 - 한, 영 겸용타자기 - Google Patents

한, 영 겸용타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373Y1
KR890000373Y1 KR2019850000529U KR850000529U KR890000373Y1 KR 890000373 Y1 KR890000373 Y1 KR 890000373Y1 KR 2019850000529 U KR2019850000529 U KR 2019850000529U KR 850000529 U KR850000529 U KR 850000529U KR 890000373 Y1 KR890000373 Y1 KR 890000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bar
english
typewriter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0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604U (ko
Inventor
이봉수
Original Assignee
이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수 filed Critical 이봉수
Priority to KR2019850000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0373Y1/ko
Publication of KR8600096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6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 B41J7/02Type-lever actuating mechanisms
    • B41J7/04Levers mounted on fixed pivots
    • B41J7/06Levers mounted on fixed pivots and connected to transmission members, e.g. toothed gearing
    • B41J7/10Chain, belt, flexible cable, or like member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영 겸용타자기
제1도는 한,영문을 병설시킨 본 고안의 자판의 평면 예시도.
제2도는 한글타이프시의 사용상태 측면 예시도.
제3도는 영문타이프시의 사용상태 측면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유동장치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한글타이프시의 설치상태 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영문타이프시의 설치상태 예시도.
제7도의 제7(a)도 제7(b)도는 한글타이시의 작용상태 예시측면도.
제8도의 제8(a)도 제8(b)도는 영문타이프 시의 작용상태 예시도.
제9도는 한글 또는 영문타이프시의 프라텐의 변경위치 상태도.
제10도의 제10(a)도 제10(b)도는 종래의 타이프바의 동키 및 부동키의 측면도.
제11도는 종래의 세그멘트 유니버셜바에 의하여 스타휠을 구동시키는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사시도.
제12도의 제12(a)도 제12(b)도는 종래 타이프바의 동키 및 부동키의 작용상태 측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자판키
3 : 링크 4 : 타이프바
5 : 단턱부 6 : 세그멘트후레임
7 : 세그멘트유니버셜바 9 : 홈
10,10-1 : 고정편 11 : 구동편
12 : 유동판체 13,13-1 : 걸림턱
14,14-1 : 축 15 : 유동장치
16 : 전면판대 17,17-1 : 양면판대
18 : 후면판대 19,19-1,19-2,19-3 : 고정
20 : 전환레버 21,21-1 : 돌출부
22,22-1 : 줄 23 : 작동편
24,24-1 : 경사부 25,25-1 : 경사면
26,26-1 : 쐐기 27,27-1 : 경사면
28,28-1 : 받침부 29 : 프라텐캐리지
30,30-1 : 밀림편
본 고안은 한,영 겸용타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글 타이프시 영문을 타이프하기 위하여, 타자기의 하단에 표출된 한,영 전환레버를 전환시켜 유동장치를 작동 시키면 이 유동장치에 의하여 프라텐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타이프바의 상측에 형성된 영문자를 타이프할수 있게 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유동장치에 연설된 작동편이 이동하면서, 세그멘트후레임에 설치된 세그멘트유니버셜바에 같은 형태로 설치된 유동판체를 이동시켜 부동(不動)타이프바의 상태를 동(動)타이프바의 상태로 전환시켜 영문을 병행하여 타이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타자기는 자판키를 누르면 자판키에 연설된 구동링크가 타이프바(50)를 회전시키고 타이프바(50)의 하측부에 형성된 단턱부(51)가 세그멘트 후레임(52)에 설치된 세그멘트유니버셜바(53)를 누르면 이에 연설된 구동봉(54)이 스타휠(55)을 교호로 작동시켜주는 주동스토퍼(56)와 주동스토퍼(57)를 작동시켜 프라텐캐리지를 1크릭씩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부동(不動) 타이프바(58)에는 단턱부가 없기 때문에 타이프바(58)가 회전하여 활자를 타이프 하더라도 세그멘트유니버셜바(53)를 누르지 못하고 따라서 프라텐캐리지를 1크리씩 이동을 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타이프에 한글과 영문을 병행으로 타이프를 할 수 있도록 종래에는 여러가지 방법응 사용하였던 것이다.
즉 3단으로 배치한 활자판을 형성한 타자기를 영문타자를 할 때는 전환레바를 후방으로 제쳐주는 갈고리편이 당겨지면서 앞쪽으로 제쳐져서 받치고 있던 세그멘트 후레임 밑으로 이탈되며, 이때 쉬프트키이레버를 누르면 세그멘트후레임이 3단계까지 하강하여 바닥에 닿게 될때 쉬프트키를 걸어주므로서 세그멘트후레임이 3단계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영문타자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세그멘트후레임 3단계까지 우치변동을 함으로서 기능상에 번거러움이 있으며 활자판을 3단으로 형성함으로서 대문자를 타자할 수 없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활자판을 4단으로 배치한 타자기는 샤트트키판을 눌러 프라텐을 4단으로 승강작동시키므로서 한번의 작동으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또한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한글표준판과 영문자판을 4단으로 배치한 타이프바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를 별도로 절단하지 않는 타자기의 하단에 유동장치를 설치하고 이 유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작동편이 이동하면서 세그멘트후레임에 홈이 형성된 세그멘트유니버셜바에 같은 형태로 설치된 유동판체로 이동시켜 동(動), 부동(不動)타이프바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전환레버를 이동시켜 한글, 영문을 병행하여 타이프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한, 영 겸용타자기의 본체이다.
이 본체(1)에 형성된 자판키(2)에는 링크(3)에 연설된 타이프바(4)을 설치하였고, 이 타이프바(4)의 활자면에는 제1도와 같이 4단으로 활자를 배열하였다. 하측에 단턱부(5)을 절단하지 않은 타이프바(4)를 세그멘트후레임(6)에 설치하였다. 이 세그멘트후레임(6)에 설치된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에는 7개의 단모음 부동키 타이프바(4)가 위치하는 곳에 다수개의 홈(9)을 형성하였고, 양측에는 고정편(10) (10-1)과 일측에는 공지의 구동편(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의 일측에는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와 동일한 형태의 양측에 밀림편(30) (30-1)과 걸림턱(13) (13-1)을 형성한 유동판체(12)를 설치하였다.
본체(1) 하부에는 축(14) (14-1)을 기준점으로 좌, 우로 유동하는 유동장치(15)는 전면판대(16), 양측판대(17) (17-1)와 후면판대(18)로 구성하되, 각부분을 고정구(19) (19-1) (19-2) (19-3) 설치하였다.
이 유동장치(15)의 전면판대(16)의 중앙에는 본체(1)의 외부에 표출되는 전환레버(20)을 형성하고, 앵측판대(17) (17-1)의 일측내측에는 돌출부(21) (21-1)을 줄(22) (22-1)을 연결하였고, 이 사이에는 경사부(24) (24-1)가 형성된 작동편(23)을 연결설치하였으며, 이 작동편(23)은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와 유동판체(12)에 각각 형성된 고정편(10) (10-1)과 밀림편(30) (30-1)사이에 설치하였다.
그리고 후면판대(18)의 양측일단에는 경사면(25) (25-1)이 형성된 쐐기(26) (26-1)를 형성하였고, 이 쐐기(26) (26-1)의 하단에는 경사면(27) (27-1)이 형성된 받침부(28) (28-1)를 설치하여 프라텐캐리지(29)를 상승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40, 스프링 41,42,43,44 화살표 방향 45,45-1, 영타활자면, 46,47, 화살표방향, 48, 쉬프트키 49,49-1. 한타활자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이프 사용자가 한글을 타이프할때에는 본체(1)하부에 축(14) (14-1)을 기점으로 좌우로 유동하는 유동장치(15)의 전면판대(16)의 중앙부에 형성된 전환레버(20)을 제5도와 같이 중앙위치(한글타자시위치)에 위치시키면 세그멘트후레임(6)에 설치된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에 설치된 유동판체(12)가 제5도 및 제7도와 같이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한글의 "한"자를 타이프하면 "ㅎ"은 "ㅎ"의등 타이프바를 누르면프라텐캐리지(29)가 1크릭유동하고 "ㅏ"의 부동타이프바(4)를 누르면 제7(a)도의 상태에서 타이프바(4)가 제7(b)도의 상태로 회전하면서 "ㅏ"를 타이프하는데, 세그멘트후레임(6)에 설치된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에 형성된 홈(9)에 의하여 타이프바(4)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5)가 세그멘트유니버셜바(7)를 구동시키지 못하므로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의 일측에 형성된 공지의 구동편(11)이 스타휠(55)을 구동시키지 못하고, 따라서 스타휠(55)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프라텐캐리지(29)를 1크릭 이동시키지 못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단모음인 "ㅏ"를 타이핑한후 "ㄴ"자의 자판키(2)를 누르면 동타이프바가 회전하면서 "ㄴ"자를 타이핑하여 한글의 "한"자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한글을 타이핑 하던중 영문을 타이프할때에는, 본체(1)의 하부에 표출된 전환레버(20)를 영문타자 위치로 전환시키면 전환레버(20)에 연결 설치된 유동장치(15)의 각부분이 한번의 동작으로 일제히 작동하는데 먼저 제6도와 같이 전환레버(20)를 영문타자 위치로 변위시키면 전면판대(16)가 화살표방향(41)으로 이동하면 양측판대(17) (17-1)의 일측에 축착된 축(14) (14-1)을 기점으로 양측판대(17) (17-1)가 화살표방향(42)으로 회전하고, 양측판대(17) (17-1)가 회전함에 따라 후면판대(18)가 화살표방향(43)으로 이동한다.
후면판대(18)가 이동하면서 후면판대(18)의 양측일단에 경사면(25) (25-1)이 형성된 쐐기(26) (26-1)의 경사면(25) (25-1)이 쐐기(26) (26-1)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부(28) (28-1)의 경사면(27) (27-1)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후면판대(18)가 상승한다.
이 후면판대(18)가 상승하면서 제3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프라텐캐리지(29)가 화살표방향(44)으로 회전상승하여 타이프바(4)의 영타활자면(45) (45-1)에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양측판대(17) (17-1)가 회전하면서 양측판대(17) (17-1)의 일측내측에 형성된 돌출부(21) (21-1)사이에 줄(22) (22-1)에 의하여 설치된 작동편(23)이 화살표방향(46)으로 이동하는데,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와 유동판체(12)에 각각 형성된 고정편(10) (10-1)과 밀림편(30) (30-1) 사이로 이동하는 작동편(23)의 경사부(24) (24-1)가 밀림편(30) (30-1)을 화살표방향(47) 밀어 유통판체(12)를 이동시키므로서 제6도 및 제8도의 제8(a)도 제8(b)도와 같이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의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모든 작동부재는 전환레버(20)의 전환시,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모두 작동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전환레버(20)를 전환하여 영문을 타자하기 위하여 자판키(2)를 누르면 제8도의 제8(a)도의 상태에 있던 한타의 부동위치에 있는 타이프바(4)가 제8도의 (나)의 상태로 회전하면서 타이핑하면, 타이프바(4)의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5)가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의 일측에 같이 설치된 유동판체(12)를 제8도의 제8(b)도와 구성시키므로 유동판체(12)와 같이 설치된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펀(11)이 스타휠(55)을 구동시켜 주므로서 프라텐캐리지(29)을 1크릭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영문소문자 또는 한글의 받침을 타이핑할때에는 기존의 방법과 같이 쉬프트키(48)을 눌려서 타이핑하는 것이다.
영문자를 타이핑한 후 한글위치로 전환시키려면 본체(1)의 하부전면에 표출된 전환레버(20)를 한글위치로 전환시키면 유동장치(15)가 제5도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한편 후면판대(18)에 형성된 쐐기(26) (26-1)에 의해 상승된 후면파대(18)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프라텐캐리지(29)도 하강하여 한글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의 고정편(10) (10-1)과 유동판체(12)의 밀림편(30) (30-1) 사이에 설치된 작동편(23)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 고정편(10) (10-1)과 밀림편(30) (30-1)의 상단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하여 유동판체(12)역시 원래의 한글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타자기의 하단에 설치된 유동장치의 전환레버를 한, 영 위치로 전환함에 따라 유동판체 프라텐캐리지등을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시켜 부동, 동 타이프바의 상태로 전환시키므로서, 간편하고 확실하네 한, 영을 병행하여 타이프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판키에 연설된 링크를 유동시켜 타이프바를 구동시키는 공지의 한, 영타자기에 있어서, 활자판을 4열로 배열하고 하측에 단턱부(5)을 절단하지 않는 타이프바(4)를 세그멘트후레임(6)에 설치하고 세그멘트후레임(6)에 설치된 양축에 고정편(10) (10-1)을 형성한 세그멘트유니버셜바(7)에 부동키타이프바(4)가 위치하는 곳에 다수개의 홈(9)을 형성하고, 양측에 밀림편(30) (30-1)과 걸림턱(13) (13-1)을 형성한 유동판체(12)를 일측에 설치하였으며 본체(1)의 하부에 축(14) (14-1)을 기준으로 좌우로 유동하는 유동장치(15)의 전면판대(16)의 중앙부에는 전환레버(20)을 형성하고 양측판대(17) (17-1)의 일측내측에 형성된 돌출부(21) (21-1)에 연결된줄(22) (22-1) 사이에 경사부(24) (24-1)가 형성된 작동편(23)을 설치하고, 후면판대(18)의 양측 일단에 경사면(25) (25-1)이 형성된 쐐기(26) (26-1)를 일체로 형성하였고, 이의 하단에는 경사면(27) (27-1)이 형성된 받침부(28) (28-1)을 설치하여된 한, 영 겸용타자기.
KR2019850000529U 1985-01-22 1985-01-22 한, 영 겸용타자기 KR890000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529U KR890000373Y1 (ko) 1985-01-22 1985-01-22 한, 영 겸용타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0529U KR890000373Y1 (ko) 1985-01-22 1985-01-22 한, 영 겸용타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604U KR860009604U (ko) 1986-08-11
KR890000373Y1 true KR890000373Y1 (ko) 1989-03-09

Family

ID=1923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0529U KR890000373Y1 (ko) 1985-01-22 1985-01-22 한, 영 겸용타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03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0116A1 (en) * 2000-11-18 2002-05-23 Cha Ki Young Rollerboard for road-ski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0116A1 (en) * 2000-11-18 2002-05-23 Cha Ki Young Rollerboard for road-ski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604U (ko) 198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3724A (en) Electric typewriter key and keyboard arrangement
GB8322579D0 (en) Keyboards
US3698532A (en) Keyboard for a typewriter
KR890000373Y1 (ko) 한, 영 겸용타자기
US3317019A (en) Keyboard overlay to change indicia indicated by key cap
US3254750A (en) Combination typewriter and braillewriter
US3825101A (en) Auxiliary keyboard device for key-operated machine
US3289804A (en) Automatic sequence typing mechanism for printing words upon depression of a single key
EP0039584B1 (en) Serial impact printer
US4141658A (en) Attachment for remote control of a keyboard
US1108661A (en) Shorthand type-writing machine.
KR890008030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장치
US2187592A (en) Keyboard
KR890000881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 장치
KR840000549Y1 (ko)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KR820002182Y1 (ko) 3단 시프트 장치
KR890001263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장치
KR880003514Y1 (ko) 타자기의 동, 부동 키 선별장치
KR900000954Y1 (ko) 윗글자쇠의 자동 해제장치
US3524527A (en) Alternate character selection mechanism for typewriters
US1795854A (en) Slug-casting typesetting-machine operation
KR790001238Y1 (ko) 볼(ball) 타자기의 동, 부동장치
KR850001346B1 (ko) 한, 영 겸용 전동 볼타자기
KR880003515Y1 (ko) 활자 선별 쉬프트 록 장치
KR890007954Y1 (ko) 수동 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 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