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021Y1 -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록(Lock) 및 해정(解錠)장치 - Google Patents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록(Lock) 및 해정(解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021Y1
KR860000021Y1 KR2019840002390U KR840002390U KR860000021Y1 KR 860000021 Y1 KR860000021 Y1 KR 860000021Y1 KR 2019840002390 U KR2019840002390 U KR 2019840002390U KR 840002390 U KR840002390 U KR 840002390U KR 860000021 Y1 KR860000021 Y1 KR 860000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hift
segment
key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2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479U (ko
Inventor
김영삼
Original Assignee
김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삼 filed Critical 김영삼
Priority to KR2019840002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021Y1/ko
Publication of KR850007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룩(Lock) 및 해정(解錠)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분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용설명을 위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시프트 키이(Key)를 눌렀을때 세그먼트 타이프 바 하강변위를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선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록상태에서 해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프트키이 2 : 시프트레버
3 : 아암 4 : 크랭크
6 : 연결간 7 : 프레임
8 : 세그먼트 9 : 세그먼트의 호울더
10 : 피벗축 19 : 유니버셜바
24 : 포올(pawl) 25 : 래치(Latch)
26 : 누름발판 27 : 스프링
28 : 래치키이 29 : 안내레버
29a : 장공 30 : 와이어스프링
31 : 연결간 32 : 접동간
32b : 돌편 33 : 작동편
T : 테이퍼
본 고안은 세그먼트시프트식 타자기에 있어서, 인자를 위해 시프트 키이(Shift key)를 눌렀을때에 록 (Lock)상태로 되고 타자한 후에 자동적으로 해정(解錠)되게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시프트 키이를 눌러 타자할 경우 타자를 완료될때까지 새끼손가락으로 시프트 키이를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어야 하는 관계로 타자의 속도가 느려지고, 8손가락이 홈 키이(home key)의 위치에서 벗어나 재빠른 다음 타자를 위한 손가락의 기본자세 정비에 지장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프트 키이를 보통 활자 자판을 타자하듯이 눌러 세그먼트 하강위치에서 록 상태로 유지시켰다가 타자 완료와 동시에 해정되어 다음 타자를 위해 타이프 바(Bar)를 배설한 세그먼트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코저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 지속적으로 눌러서 오는 손가락의 피로를 덜어주고 지속적이 아닌 순간적으로 시프트 키이를 누르기 때문에 손가락이 홈키이상에 재빠른 동작으로 기본자세정비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타자의 속도가 나게될 뿐 아니라 오타를 줄일수 있는 효과를 낸다. 특히 본 고안은 시프트키를 주로 많이 사용하는 한글 타자기에서는 그 속도와 오타에 대해 대단한 효능을 갖게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프트 키이(1)를 갖고 있는 좌측 시프트 레버(2)는 그 일단을 시프트 축(3)에 각각 고정시키고 있다. 이 시프트축(3)은 프레임 축벽에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4)는 시프트 축(3)에 끼워져 볼트(5)에 의해 시프트레버(2)에 인접하여 고정되어 시프트키이(1)를 누르면 시프트 축(3)을 회전시킨다. 시프트축(3) 우측단부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상기한 좌측 시프트 레버(2)와의 동일한 설치수단으로 우측시프트 레버가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4)에는 연결간(6)이 연결되고 이 연결간은 프레임(7)과 세그먼트(8)의 호울더(9) 사이로 연장하여 피벗축(10)의 양단에 고정한 아암(11),(11')을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도록 좌측 아암(11)에 연결되어 있다. 이 피벗축은 프레임(7)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아암(11),(11')은 하방으로 회동될때 인장 스프링(12),(12')으로 탄인된 세그먼트의 호울더(9)를 경사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하방이동은 세그먼트 호울더(9)의 절곡부(9a),(9b)에 나란히 결착된 안내봉(13),(13')(14),(14')중에 하방안내봉(14),(14')을 상기한 아암(11),(11')의 요입부(11a),(11b)로 수납시켜 아암(11),(11')을 당김으로서 이루어진다.
이 안내봉(13),(13')(14),(14')은 프레임(7)에 뚫린 안내장공(15),(15')(16),(16')에 의해 안내되고 이 프레임에 걸어진 복귀 스프링(12),(12')은 세그먼트 호울더(9)를 걸어 사방으로 끌어당긴다. 그리고 복수개의 타이프바를 배설한 세그먼트 호울더(9)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12),(12')에 의해 당겨질때 상부 스톱퍼(17),(17')에 세트되고시프트 키이(1)를 누를때는 하부 스톱퍼(18)가 세트된다. 그러므로 시프트 키이(1)은 항상 복귀 스프링(12),(12')에 대항하여 세그먼트 호울더(9)를 하강시킨다.
한편 19는 리번 이동장치의 구동을 위한 유니버셜 바로서 인장 스프링(20)으로 탄인되어 있으며 제4도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자판의레버가 유니버셜 바(19)의 하단을 들어올릴때 유니버셜바에 연결된 구동간(21)을 당기게됨으로 리번을 일정한 거리로 이동한다.
23는 프라덴이고 (2)은 타이프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타자기의 세그먼트 시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시프트 레버(2)에는 크랭크(4)와 같이 시프트 레버 포올(pawl)(24)이 보울트(5)로 결착되어있고 이 포올(24)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게 래치(25)가 브래킷(26)에 피벗 설치되는 동시에 스프링(27)에 의해 래치(25)의 헤드 전면이 포올(24)과 맞닿게 된다.
또한 이 래치(25)에는 일단 걸어 고정한 시프트 레버(2)를 해정시키기 위해 후단에 누름발판(25a)이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발판(25a)이 유니버셜 바(19)에 좌우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래치키이(Latch key)(28)에 의해 눌러질때 록 상태로 있던 시프트 레버의 포올(24)을 해제시켜 세그먼트(8)는 순간적으로 복귀스프링(12),(12')에 의해 상승된다. 상기한 유니버셜바(19)는 타자기의 자판(Key Board)을 누를때마다 자판의 레버의 돌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4도의 가상선 위치로 이동하고 인장스프링(20)에 의해 복귀되는데 가상선 위치로 이동하면서 래치 키이(28)를 제5도의 실선위치에서 가상선 위치로 옮겨놓고 즉시 스프링에 의해 하강하면서 래치의 누름발판(25a)을 누르게 되어 시프트 레버(2)의 포올(24)은 래치(25)에서 이탈된다(제5,6도 참조).
이 래치키이(28)는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피벗된 안내레버(29)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도록 이 안내레버에 뚫린 장공(29a)을 통과하여, 누름발판(25a)의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안내레버(29)에 고정된 와이어 스프링(30)은 항상 래치키이(28)를 좌측 시프트 레버(2) 방향으로 밀도록 작용한다. 안내레버(29)는 프레임에 피벗되는 지점(P)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 안내레버(29)의 일단에는 연결단(31)이 자유롭게 굽혀지도록 연결되는 동시에 이 연결간의 일단에는 접동간(32)의 직방운동에 관계없이 굽혀지도록 연결되어있다.
이 접동간(3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32a)을 통해 프레임 저면에 나사 결합되고 2개의 나사에 의해 안내되어 직방이동한다. 이 접동간(32)에는 돌편(32b)이 약간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편(32b)은 세그머트 호울더(9)의 우측절곡부 하단내측면에 고정된 작동편(33)의 테이퍼(T)와 맞닿게되어 시프트 키이(1)를 누르면 세그먼트 호울더(9)의 하강과 동시에 작동편(33)의 테이퍼(T)에 의해 제2도에 도시한 가상선위치로 접동간(32)을 이동시킨다.
이 접동간(32)의 이동완료와 동시에 래치(25)는 포올(24)을 걸어 세그먼트를 하방위치에 세트시킨다.
다시 자판(도시되어 있니 않음)을 눌러 인자(印字)가 완료되고 하강된 자판이 상승을 시작하면서 포올(24)을 걸었던 래치(25)는 래치키이(28)에 의한 누름발판(25a)의 하강으로 포올(24)을 벗어나게 하여 세그먼트 호울더(9)는 상승위치로 복귀한다.
세그먼트 호울더(9)가 상승위치로 복귀할때 접동간(32)은 스프링(34)에 의해 당겨져 안내레버(29)를 회동시키는데 이 안내레버(29)의 회동 동작은, 래치키이(28)에 의한 래치(25)의 록 해제동작이 완료된 직후에 시작된다. 상기한 안내레버의 회동 동작에 의해 록 해제를 완료한 래치키이(28)를 누름발판(25a)에서 끌어내려 제6도의 실선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은 연관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시프트 키이(1)의 위치는 타이프 바(23)의 하부활자(A)를 인자하기 위한 것으로서 똑같은 수준의 활자를 인자하게 된다. 그러나 상부 활자(B)를 인자하기 위해 시프트 키이(1)를 누르면 시프트 레버(2)는 하방으로 회동하여 크랭크(4)를 상방으로 약간 회동시키면서 이에 연결된 연결간(6), 이 연결간에 연결된 아암(11)을 피벗축(10)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작동시킨다.
이때에 세그먼트(8)에 복수개의 타이프바를 배설한 세그먼트 호울더(9)는 안내장공(15),(16)에 끼워진 안내봉(13),(14)에 의해 하강하여 하부 스톱퍼(18)에 세트되는 동시에 래치(25)헤드 전면에 맞닿아 있던 포올(24)은 스프링(27)에 의한 래치(25)의 회동으로 이 래치의 턱에 걸리게되어, 세그먼트 호울더(9)는 제4도에 나타낸 하강위치에서 록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세그먼트 호울더(9)가 상기한 바와 같이 하강할때 작동편(33)의 테이퍼(T)가 접동간(32)을 제3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으로 밀어안내레버(29)의 일단을 당기게됨으로 피벗지점(P)을 중심으로하여 안내레버(29)의 타단은 래치(25)쪽으로 회동한다(제6도의 안내레버(29) 위치에서 제5도의 위치로 회동함.), 이때에 안내레버(29a)의 장공에 끼워진래치키이(28)는 제6도의 실선의 위치에서 제5도의 실선 위치로 이동하여 와이퍼 스프링(30)에 의해 누름발판(25a)의 측단을 누르게된다. 그리하여 세그먼트(8)에 배설된 타이프바는 상부활자(B)를 칠 수 있는 수준으로 이미 세그먼트 호울더(9)와 같이 하강하여 인자준비 자세를 갖추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었을때 치고져하는 활자(B)의 자판을 순간적으로 누르게 되면 제4도와 같이 타이프바(23)는 상부활자(B)를 인자하기 위해 프라텐(22)을 향하여 회동하면서 리번의 이동용 유이버셜 바(19)를 상방으로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가상선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 유니버셜 바(19)가 상부로 이동될때 래치 키이(28)는 래치(25)의 누름발판(25a) 측단을 슬라이드 되어 상승하다가 래치 키이(28)의 단부가 누름발판(25a)의 측상단을 벗어날때부터 와이어 스프링(30)에 의해 래치쪽의 장공(29a)을 따라 안내되어 제5도의 가상선 위치 즉, 누름발판(25a)의 상부에 위치하게된다. 이것은 포올(24)을 걸고 있는 래치(25)를 풀어주기 위한 래치키이의준비자세를 갖추기 위한 것이다. 이 작동상태는 손가락이 자판에서 떨어질 무렵으로서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자판에서 손가락이 떨어지면 제5도의 가상선위치에 있는 래치키이(28)는 유니버셜 바의 스프링(20)에 의해 래치의 누름발판(25a)을 순간적으로 눌러, 포올(24)을 걸고 있는 래치(25)를 회동시켜 포올(24)이 래치(25)의 턱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시프트 레버(2)는 복귀 스프링(12),(12')에 의한 인장력을 지닌 세그먼트 호울더(9)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허용한다. 시프트 레버(2)는 제4도의 위치에서 제3도의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이때에 작동편(33)의 테이퍼(T)에 의해 당겨져 있던 접동간(32)은 작동편(33)의 상승에 따라 스프링(34)에 의해 복귀하면서 래치(25)에 접근해 있던 안내레버(29)를 이격되게 회동시켜(제6도 참조)래치키이(28)를 누름발판(25a)으로 부터 끌어내린다(제6도의 가상선위치에서 실선위치로).
그리하여 래치(25)의 헤드전면이 시프트 레버(2)의 포올에 맞닿게되어 다음의 록 동작을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보통자판을 누르는 동작과 같이 시프트 키이를 눌러 간단히 록시킨후에 자판을 누름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해정되게함으로써 종래 시프트 키이를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에 타자 하므로서 오는 새끼 손가락의 피로, 오타의 발생 및 비능률적인 타속(打速)을 해소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시프트 레버(2)에 의해 타이프 바(23)를 배설한 세그먼트(8)를 승강시키는 타자기에 있어서, 상기한 시프트 레버(2)를 포올(24)과 래치(25)에 의해 걸어 고정시키고 유니버셜 바(19)에 연결된 래치 키이(28)가 자판을 누르는 동작에 따라 상승하여 상기한 유니버셜바의 하강력을 받아 상기한 래치를 눌러 해제시키고 동시에 상기한 래치키이를 래치(25)에 대해 접리(接離)되도록 세그먼트 호울더(9)에 고정된 작동편의 테이퍼(P)로 하여금 회동하는 안내레버(29)를 당기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의 자동 시프트록 및 해정장치.
KR2019840002390U 1984-03-17 1984-03-17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록(Lock) 및 해정(解錠)장치 KR860000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390U KR860000021Y1 (ko) 1984-03-17 1984-03-17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록(Lock) 및 해정(解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2390U KR860000021Y1 (ko) 1984-03-17 1984-03-17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록(Lock) 및 해정(解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479U KR850007479U (ko) 1985-10-10
KR860000021Y1 true KR860000021Y1 (ko) 1986-01-30

Family

ID=1923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2390U KR860000021Y1 (ko) 1984-03-17 1984-03-17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록(Lock) 및 해정(解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0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479U (ko) 1985-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021Y1 (ko) 세그먼트 시프트식 타자기(Segment Shift typewriter)의 자동 시프트록(Lock) 및 해정(解錠)장치
KR860000452Y1 (ko) 플래튼 시프트식 타자기의 자동 시프트 록(lock) 및 해정(解錠) 장치
US3509982A (en) Automatic letter underscoring mechanism
US4132486A (en) Ribbon platform mechanism for extending ribbon life
KR850001346B1 (ko) 한, 영 겸용 전동 볼타자기
US3643775A (en) Apparatus for power-driven typewriters and similar machines
KR890007954Y1 (ko) 수동 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 해제장치
KR840001137Y1 (ko) 타자기의 오자 소거(消去) 장치
KR890003908Y1 (ko) 수동 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 해제 장치
US4204780A (en) Typewriter with improved case shift means
US3767021A (en) Cam actuated shift device with continuously operated intermediate lever for type-bar typewriter
SU2327A1 (ru) Пишуща машина с передвижным литерным колесом
US3732964A (en) Electric typewriter
KR890000881Y1 (ko) 타자기 캐리지의 동 · 부동 변환 장치
KR900000954Y1 (ko) 윗글자쇠의 자동 해제장치
KR890001261Y1 (ko) 수동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해제장치
SU738914A1 (ru) Пишуща машина дл печатани нот
JPS6243805Y2 (ko)
KR840000549Y1 (ko) 한영타자기의 프라텐 4단 변위장치
JPS5925653Y2 (ja) 印字機の印字押圧装置
JPS6245906Y2 (ko)
JP2502085Y2 (ja) ペ―パ―ガイド戻し装置付プリンタ
KR890001262Y1 (ko) 수동타자기의 시프트 라킹 및 자동해제장치
JPS5910915B2 (ja) 和文タイプライタ−におけるパツド装置
EP0044944B1 (en) Shift-sensitive dual-velocity mechanism for a single print element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