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447Y1 -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 박취(剝取)장치 - Google Patents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 박취(剝取)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447Y1
KR840000447Y1 KR2019810002665U KR810002665U KR840000447Y1 KR 840000447 Y1 KR840000447 Y1 KR 840000447Y1 KR 2019810002665 U KR2019810002665 U KR 2019810002665U KR 810002665 U KR810002665 U KR 810002665U KR 840000447 Y1 KR840000447 Y1 KR 840000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roller
angle
rescu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2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710U (ko
Inventor
다가시 가도우
수주무 오오다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도요다 요시도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쇽끼 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2019810002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447Y1/ko
Publication of KR8300007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01G15/02Carding machines
    • D01G15/12Details
    • D01G15/46Doffing or like arrangements for removing fibres from carding elements; Web-dividing apparatus; Condensers
    • D01G15/52Web-divi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 박취(剝取)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웨브 박취장치를 구체화시킨 한가지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이며,
제2도는 박취 로울러쪽의 메탈릭와이어의 잇발을 표시한 부분확대 정면도이며.
제3도는 구출(口出)로울러의 돌조를 표시한 부분 확대정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요부의 확대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카아드에 있어서의 웨브박취(剝取)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카아드의 고속화에 따라서 종래의 프라이컴(fry-comb)대신에 로울러에 의한 웨브박취장치가 여러가지 고안되고 있으나, 박취로울러에 매탈릭와이어를 감은 것이 돕퍼로부터 웨브를 박취하는데 가장 안정된 성능을 가진 것이었다.
이것은 메탈릭와이어의 잇발이 한쪽방향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웨브의 층사이에 들어가서 웨브의 섬유끼리의 포락성(包絡性)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확실하게 박취하기 때문이다.
상기 로울러 타입의 박취장치로서 종래 일본 특허출원 공고번호 소 53-11567 또는 일본 공개공보중 특개(特開)소 52-55727 및 특개소 54-134137등의 공보에 표시된 바와같이 톱니상의 메탈릭와이어 또는 침포를 감은 1개 또는 수개의 박취로울러에 웨브를 일단 이행시킨 후 표면이 미끄러운 상하 한쌍의 로울러에 식입(식입)시킨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박취장치에는 박취로울러로부터 웨브를 최초에 구출(口出)시킬때 전기한 상하 한쌍의 로울러에 식입되지 않을 때가 있거나 박취로울러에 말아올일 수 없기 때문에 웨브의 구부판(口付板)이나 특수한 구출장치를 필요로 하는 결함이 있었다.
이 때문에 한쌍의 구출로울러의 한쪽에 예각능선(銳角綾線)을 설치하는 방법(일본 실공소 54-43132)등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능선을 가진 로울러에 웨브가 권상(卷上)되어 돕퍼침포를 파손시키는 염려가 있었다.
이 결함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종래 일본 특공소 49-32731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같이 박취로울러에 메탈릭와이어를 감고 구출로울러에 만권상구(蔓卷狀溝)를 삭설하고 여기에 로울러와 중간공소(空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도입하는 방식도 있으나 장치가 복잡하게 되고 또 공기의 흐름이 웨브진행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진입하기 때문에 웨브의 평행배열을 흐트리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또 종래의 로울러식 박취장치로서 전기한 일본 특개소 54-13413호 공보에 표시된 바와같이 매탈릭와이어의 잇발을 피라밋드 형상으로 선단작용부 즉 잇발의 선각(先角)이 예각이 아니고 또한 선단에 평면부를 가진 것일 때에는 돕퍼일측의 웨브의 박취작용이 불완전하게 되고 원료에 따라서는 돕퍼에 권상되어 돕퍼의 메탈릭와이어를 파손하게 된다는 결함이 생각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결함을 해소시켜서 돕퍼표면의 웨브를 확실하게 박취할수 있음과 동시에 박취로울러 자신에 웨브가 권상됨을 방지하고 웨브시단(始端)의 구출(口出)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웨브의 구부판(口付板), 특수한 구출장치를 불필요한 구조로 간소화시킬 수 있는 카아드에 있어서의 웨브박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구체화한 한 가지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1은 주면에 톱날상의 메탈릭와이어 2를 감아부친 돕퍼, 3은 돕퍼의 근방에 배설된 돕퍼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박취로울러로서 그 주면에는 잇발끝이 그로울러 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톱니상의 메탈릭와이서 4가 감겨져 있다.
이 메탈릭와이어 4의 잇발 4a의 형성각 α (이하 단순히 齒先角이라 함)은 돕퍼 1의 메탈릭와이어 2에 의하여 이송된 웨브에 잘 식입되어 웨브를 쉽게 박취시키기 위하여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약 50도의 예각을 이루고 있다.
또 돕퍼 1로부터 박취된 메탈릭와이어 4위에 이행한 웨브가 이와이어 4로부터 용이하게 박취되어 후기하는 웨브송출로울러 6으로 원활하게 넘겨지도록 로울러 3의 회전방향에 대한 메탈릭와이어 4의 잇발 4a의 작용면 S1의 형성각 β (이하 단순히 작용각이라 함)를 약 135도의 둔각을 이루게 하고 있다.
또 돕퍼위의 웨브에 돌자(突刺)되게 쉽게하고 또한 메탈릭와이어 4로부터 웨브가 용이하게 박취되는 것을 한층 더 촉진하기 위하여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메탈릭와이어 4의 잇발의 배각(背角) θ를 약90도 전후가 되게 하고 있다.
5는 전기한 박취로울러 3에 가급적으로 근접하여 이 로울러 3과 같은 방향에서 거의 동속도로 회전하도록 배설한 구출로울러로서 주면에는 전기한 메탈릭와이어 4의 잇발끝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대형상(臺形狀)을 이루는 돌조 5a를 형성하고 있다.
이돌조 5a의 회전방향에 대한 작용면 S2의 형성각 γ (이하 단순히 작용각이라 함)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예를들면 130도 전후의 둔각으로 설정하고 있다. 6은 전기한 구출로울러 5의 하방에 배설(配設)한 표면이 원활한 송출로울러로서 양로울러 5,6의 간극을 통과한 웨브는 트람펫트 7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8 : 9는 전기한 박취로울러 3의 메탈릭와이어 및 구출로울러 5의 돌조 5a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한 브러쉬로서 메탈릭와이어 4에 부착시켜서 또는 돌조 5a사이에 가라앉은 단섬유등을 부착시켜서 소제하도록 되어 있다.
10, 11은 박취로울러 3 및 구출로울러 5의 위에 전동(轉動)접촉하도록 지지한 클리어로울러로서 전기한 브러쉬 8, 9에 의하여 모아진 단섬유등을 권취하도록 되어있다.
12는 전기한 송출로울러 6에 접촉하도록 배치한 브래이드(blade)로서 로울러 6에 부착한 단섬유등을 제거하도록 되어있다.
13은 전기한 트럼펫드 7에 의하여 슬라이버상으로 접속된 섬유속을 송출하는 칼렌더로울러이다.
다음에 전기한 바와같이 구성한 웨브박취장치에 대하여 그 작용을 설명한다.
제4도 이점쇄선(二點鎖線)(ㄱ)은 돕퍼 1, 박취로울러 3, 구출로울러 5 및 송출로울러 6이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고 박취로울러 3의 메탈릭와이어 4가 돕퍼의 메탈릭와이어 2에 의하여 반송되어온 웨브의 박취를 개시한 곳이다.
이 상태에서 메탈릭와이어 4의 치선각 α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와이어 4의 잇발끝이 웨브에 잘 먹어 들어가고 따라서 돕퍼 1의 웨브는 박취로울러 3쪽으로 확실하게 박취되어 간다.
또한 메탈릭와이어 4의 잇발 4a의 작용각 β가 둔각이므로 박취에 문제가 있는 것같이 보이나 돕퍼 1의 메탈릭와이어 2의 잇발의 작용각 δ가 극히 큰 둔각을 하고 있어 웨브의 박취에 지장을 가져오지는 않는 것이다.
또 박취로울러 3이 회전하여 메탈릭와이어 4위에 박취된 웨브가 제4도 두점쇄선(ㄴ)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구출로울러 5에 접근하면 와이어 4의 잇발의 작용각 β가 둔각이므로 웨브는 그 자중에 의하여 와이어 4로부터 자연히 박리되어 구출로울러 5와 송출로울러 6과의 사이로 유도되어 웨브의 구출이 행하여 진다.
전기한 메탈릭와이어 4의 작용각 β를 크게하여 웨브가 박취되기 쉽게 되어있어도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웨브가 박취로울러 3에 권착되는 일도 있을수 있으나, 이때에는 구출로울러 5의 돌조 5a에 의하여 제4도 p화살방향으로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이 메탈릭와이어 4의 잇발끝을 향하여 취부(吹付)되어 있으므로 이와이어 4의 잇발끝에 의하여 파지되어 있는 웨브는 순차 확실하게 박락(剝落)되고 따라서 박취로울러 3에의 웨브의 권착은 방지된다.
또한 돌조 5a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서도 박취되지 않는 웨브는 돌조 5a의 돌단부 e에 의하여 확실하게 소락(搔落)된다.
이와같이 하여 메탈릭와이어 4로부터 박리된 웨브의 시단(始端)은 제4도 이점쇄선(ㄷ)와 같이 구출로울러 5와 송출로울러 6사이에 자동적으로 이송되고 이 웨브의 시단을 모아서 트럼펫트 7로 통하게 하고 칼렌더로울러 13에 조입(繰입)시키면 구출이 끝나서 그 뒤에는 정상적인 박취작업이 행하여 진다.
박취로울러 3으로부터 칼렌더로울러 13으로 유도된 웨브는 구출로울러 5 및 송출로울러 6이 접족하고 있지 않으므로 박취로울러 3과 칼렌더로울러 13과의 사이에서 드라프트되면서 나오게 된다.
구출로울러 5는 돌조 5a를 가지나 홈(홈)을 형성한 것과 같으므로 작업상 별로 위험하지 않으며 위험한 로울러 3의 앞쪽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잘못하여 로울러 3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데 역할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박취로울러 3의 메탈릭와이어 4는 돕퍼 1로부터 웨브를 확실하게 박취시키기 위하여서는 잇발끝이 웨브에 잘 돌자(突紫)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으며 이때문에 그 치선각 α는 작을수록 바람직하고 또 메탈릭와이어 4에 박취된 웨브의 이(易)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서는 작용각 β가 큰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메탈릭와이어 4의 치선각 α를 작게하여 나가면 작용각 β도 작아지므로 메탈릭와이어 4로부터의 웨브의 이박리성이 저하된다.
반대로 메탈릭와이어 4의 작용각 β를 크게 해나가면 치선각 α가 커지므로 요번에는 돕퍼 1로부터의 웨브의 이박리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메탈릭와이어 4의 치선각 α와 작용각 β의 최적범위는 스스로 결정된다.
이것을 다음과 같은 실험에 의하여 구했다.
먼저 돕퍼 1, 박취로울러 3, 구출로울러 5, 송출로울러 6의 각각 주속(周速)을 거의 동일하게 하고, 구출로울러 5의 돌조 5a의 작용각r를 130도가 되게하고 박취로울러 3의 직경을 78mm, 회전수 40rpm, 메탈릭와이어 4의 배각 θ를 80-100도의 범위내에서 치선각 α, 작용각 β를 여러가지 조합시켜 실험한바 치선각 α가 40-60의 범위내에서는 돕퍼 1쪽의 웨브가 양호하게 박취되었다.
그리고 치선각 α를 약 40-60도로 한 경우 작용각 β는 거의 120-150도의 범위내이면 박취로울러 3으로부터 웨브가 원활하게 박취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와같이 하여 메탈릭와이어 4의 치선각 α와 작용각 β를 각각 40-60도, 120-150도의 유효범위로 설정하면 좋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 메탈릭와이어 4의 작용각 β를 둔각으로 하여 웨브가 이와이어 4로부터 박취되기 쉽게 되어있으므로 약간의 공기의 흐름을 작용시키기만 하여도 웨브는 박취되고 따라서 구출로울러 5의 돌조 5a는 낮아도 충분하다.
또한 이돌조 5a의 작용각 r는 약 130도 부근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120-140도의 둔각이라도 좋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박취로울러 3의 메탈릭와이어 4의 치선각 α를 40-60도에 예각으로 함과 동시에 작용각 β를 120-150도로 하였으므로 돕퍼 1쪽의 웨브를 확실하게 박취할수 있음과 동시에 박취로울러 3으로 이행한 웨브가 박취되기 쉽게 되고 웨브시단의 구출(口出)을 용이하게 행할수가 있다.
또 본고안 실시예에서는 구출로울러 5에 돌조 5a를 설치하였으므로 메탈릭와이어 4의 잇발끝을 향하여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고 또한 돌조 5a의 돌단부 e에 의하여 웨브를 확실하게 박취할 수가 있고 웨브의 시단을 자동적으로 구출하여 로울러 5와 송출로울러 6과의 사이에 이송하여 복잡한 구출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구출을 행할수가 있으며 이때문에 웨브의 박취로울러 3에의 권착에 의하여 관련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주면에 메탈릭와이어를 감은 박취로울러에 의하여 돕퍼로부터 박취한 웨브를 상, 하한쌍의 로울러에 의하여 송출하는 로울러타입의 웨브박취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메탈릭와이어의치선각 α를 약 40-50도가 되게하고 그 작용각 β를 약 120-150도가 되게 설정하며 또한 전기한 상하 한쌍의 로울러중 상측의 로울러를 전기한 박취로울러에 접근시켜서 그 로울러주면에는 작용각 r가 둔각의 돌조를 설치함으로써 돕퍼표면의 웨브를 확실하게 박취할수 있음과 동사에 박취한 웨브를 박취로울러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켜서 구출로울러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구출을 행할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박취로울러에의 웨브의 권착에 의하여 관련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구부판 또는 특수한 구출장치가 필요치 않는 구조로 간소화시킬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어 카아드에 있어서의 웨브박취장치로서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주면에 메타릭와이어를 감은 박취로울러에 의하여 돕퍼로부터 박취한 웨브를 상하 한쌍의 로울러에 의하여 송출하는 로우러타입의 웨브박취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메탈릭와이어의 치선각(齒先角)α를 약 40-50도가 되게하고 그 작용각 β를 약 120-150도가 되게 설정하며, 또한 전기한 상하 한쌍의 로울러중 상측의 로울러를 전기한 박취로울러에 접근시켜 그 로울러주면에는 작용각 r가 둔각의 돌조를 설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박취장치(wed 剝取裝置).
KR2019810002665U 1981-04-14 1981-04-14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 박취(剝取)장치 KR840000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665U KR840000447Y1 (ko) 1981-04-14 1981-04-14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 박취(剝取)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665U KR840000447Y1 (ko) 1981-04-14 1981-04-14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 박취(剝取)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10U KR830000710U (ko) 1983-08-03
KR840000447Y1 true KR840000447Y1 (ko) 1984-03-19

Family

ID=7247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2665U KR840000447Y1 (ko) 1981-04-14 1981-04-14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 박취(剝取)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4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10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0814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Faden-Anstücken in kontinuierlich arbeitenden ringlosen Spinnmaschinen
JPS63503395A (ja) 圧縮空気による撚糸機構により作動する紡績装置の紡績を再開始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840000447Y1 (ko) 카아드에 있어서 웨브 박취(剝取)장치
EP0853149A3 (en) Pie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spinning machine
CA1149725A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trim strip in a web slitter
EP0927694A3 (en) Yarn winding method and take-up winder for yarn
US4612084A (en) Method for treating the edges of a sawtooth wire for the card clothing of textile machines
DE10085489B4 (de) Funkenerosive Drahtschneidemaschine
US5775086A (en) Device for opening fiber material into single fibers
JPS5940449Y2 (ja) カ−ドにおけるウエブ剥取装置
EP1308545A3 (en) Spinning machine traveler
JP2004142948A (ja) 巻成装置用のベルト
DE1710042B2 (de) Spinnturbine
JP2000096358A (ja) 精紡機のための集束装置を備えているドラフト機構
RU2157865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ротора роторной прядильной машин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1147933A (ja) 溶接ワイヤ送給装置
DE3323189A1 (de) Vorrichtung zum oe-friktionspinnen
JP2866459B2 (ja) 金属帯の巻取方法
KR800001240Y1 (ko) 방기에 있어서의 개섬로울러
DE19747239C2 (de) Flyerhülse
DE3586302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ederanspinnen einer offenend-friktionsspinnvorrichtung.
JPH0547332B2 (ko)
KR930002405Y1 (ko) Yk-4 개연기의 테이프권회장치
JP2567086Y2 (ja) 回転ローラ装置
JPH11189928A (ja) 梳綿機の繊維剥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