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0109B1 -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 Google Patents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109B1
KR840000109B1 KR7904192A KR790004192A KR840000109B1 KR 840000109 B1 KR840000109 B1 KR 840000109B1 KR 7904192 A KR7904192 A KR 7904192A KR 790004192 A KR790004192 A KR 790004192A KR 840000109 B1 KR840000109 B1 KR 84000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annular guide
circular loom
guide member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460A (ko
Inventor
소오이찌 도리이
Original Assignee
소오이찌 도리이
가부시끼가이샤 도리이 뎃고오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오이찌 도리이, 가부시끼가이샤 도리이 뎃고오쇼 filed Critical 소오이찌 도리이
Priority to KR790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109B1/ko
Publication of KR83000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제1도는 본 발명의 북을 사용한 원형직기의 한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원형직기 본체의 개략적 단면도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측면부의 개략적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작동되는 북을 지지시키는 장치의 일부에 대한 측면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작동되는 북지지 장치의 다른 일부에 대한 측면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북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를 나타낸 북의 개략적단면도.
제8a도는 제6도에 나타낸 북의 개략적정면도.
제8b도는 제6도에 나타낸 북을 부분 생략한 개략적평면도.
본 발명은 원형직기에 사용되는 개량된 북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원형직기는 소위 자루직물(tubular fabric)을 만드는데 가장 실용적인 제직기중의 하나로 인정되어 왔는데, 이 자루직물은 곡물, 설탕, 비료 및 합성수지 알맹이 등과 같은 과립(顆粒)의 운반용부대 또는 저장용 부대를 만드는 직물재료로써 적합하게 사용된다. 실용적인 원형직기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3,871,413호에 서술되어 있는 원형직기 또는 영국회사(FairbairnLawson Machinery, Ltd)에서 제작, 판매해오고 있는 원형직기가 잘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상기 원형직기에 있어서, 짝수개의 북은 환상북 가이드부재(tubular shuttle guide-member)에 설치되어 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운동하고, 또 대응하는 북과 맞물리도록 하는 맞물림장치(enga-ging means), 즉 프레스로울러는 북 가이드 부재를 따라 각각 운동한다. 각각의 북은 대응하는 맞물림장치에 의해 압착되어 북가이드부재를 따라 추진된다. 각각의 북으로 부터 송출된 위사는 각북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서 종광에 의해 연속적으로 개구되는 경사와 함께 짜여져서 자루직물을 형성한다.
생산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원형직기에 있어서는 소위 라지패키지보빈(large package bobbin)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약 실꾸러미의 크기가 점점 커지게 된다면, 북의 크기도 점점 커지게 될 것이고, 또 작동중에 북의 중력 및 원심력도 점점 커지게 될 것이다는 사실은 분명하기 때문에, 북이 상술한 북가이드 부재주위를 이동하는 동안 환상북가이드부재상의 대형북을 안전하게 지지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의 경험에 의하면, 상기 원형직기에 사용되는 북은 원활한 작동에 필요한 정도의 지지력이 안정되지 않고, 또 손으로 북을 고정하는 작업에 수반된 문제점을 제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근본적인 목적은 원형직기상에 북을 안정하게 지지시키는 장치를 갖춘 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부차적인 목적은 북고정작업에서, 손으로 쉽게 다룰수 있는 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북은 원형직기상에 설치되는데, 여기서 한 개의 북은 환상가이드부재와 내부의 환상가이드 통로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서로 동심원상으로 배열되며, 또 가이드요소는 환상가이드 부재와 내부의 환상 안내통로와 각각 원활하게 접할수 있다.
이러한 북에 있어서, 북의 본체는 보빈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브라킷트(btacket)와 본체의 추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레버를 갖추고 있다. 내부의 환상가이드통로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고 있는 상기가이드요소중의 하나는 레버의 느슨한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코넥팅레버의 한쪽끝은 본체를 주축으로 회전하고, 다른 한쪽끝은 핀에 의해 레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북의 경우, 상기가이드요소는 북이 원형직기상에 설치되어 있을 때, 각본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되고, 또 상부 및 하부로 각각 경사진 회전축을 갖는 하부외측 바퀴를 포함한다. 또한 북이 북추진 기구에 의해 구동될때 상기환상 가이드부재는 북에 작용하는 중력 및 원심력을 견디어 낼 정도로 상기 환상가이드는 외측 바퀴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코넥팅레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구가 장치된다.
본 발명의 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상기북을 장치한 원형직기의 한 실시양태는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북의 구조와 효과를 기술하기 전에 서술하고자 한다.
제1도에 나타낸 원형직기(1)에 있어서, 개구형성장치 및 위입장치를 포함하는 본체(4)는 프레임안쪽에 설치되고, 또 개구형성장치와 위입 장치는 본체(4)의 하부에 위치한 전동기(5)에 의해 제 1동력 전달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구동된다. 본체(4)위의 프레임(9)위에 설치 된 송출장치(8)는 송출장치(8)에 연결된 제2동력 전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제2동력전달장치는 구동전달레버(11)를 통하여 제1동력전달장치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송출장치(8)는 본체(4)와 일체(一體)로 구동된다. 바람직한 자루직물(2)을 짜기위해 필요한 경사(3)수는, 본체(4)에 대해 서로대칭으로 본체(4)의 양측에 배열된 한쌍의 크릴(6, creel) (제1도는 우측에 배열된 한쪽의 크릴만 나타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실꾸러미(6a)로 부터 공급된다. 경사(3)는 경사공급장치(7)를 통하여 본체(4)에 공급된다. 원형직기(1)에서 본체(4)의 제직작업에 의해 형성된 자루직물 (2)은 송출장치(8)에 의해 위쪽으로 보내지고, 또 화살표 방향의 권취장치(도시되지않음)에 안내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직기의 본체(4)는, 수직축(14), 수직축(14)의 구동장치, 수직축(14) 위에 설치된 실린더캠기구(19)에 의해 작동되는 개구형성기구, 북(30)의 양측에 설치된 두쌍의 바퀴(31a, 31b ; 32a, 32b) (제4도,제6도, 제8a도, 제8b도 참조)를 안내하는 한쌍의 환상가이드 부재(25a, 25b)로 이루어진 환상가이드장치(25), 축 (1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수평원판형 가이드부재(27), 자루직물(2)을 안내하도록 수평원판형 가이드부재(27)의 둥근 모서리부의 상단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지지아암(24)에 의해 중간 부재(29b)를 통해서 고정되는 환상 가이드부재(29a)를 포함하는 내부의 환상가이드 부재(29) (제3도 참조), 및 캠기구위에서 축(14)에 부착된 지지부재(22)에 고정되어 있는 북추진기구(2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제1도,제2도,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3)는 크릴(6)에서 프레임(9)의 아암(9a)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공급장치(7)의 가이드로울(7a)과 얀가이드(16)을 통하여 댄싱레버(17)의 상단부에 형성된 얀가이드구멍까지 안내되고, 또 개구(18)는 개구형성기구(20)에 의하여 형성된다. 북추진기구(23)에 의해 추진되는 북(30)은 자루직물(2)을 짜도록 이개구(18)안에 삽입된다. 자루직물(2)은 직물가이드부재(21)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수평가이드부재(27)의 둥근 모서리부와 환상가이드부재(29)사이에 형성된 둥근틈을 통하여 윗쪽으로 송출된다. 이어서 자루직물(2)은 송출장치(8, 제1도)를 통해 권취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로울에 감겨진다.
각각의 북(30)은 동일구조와 기능을 갖도록 장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 하나의 북(30)에 대한 구조와 기능은 다음에 설명되다.
제6도, 제7도, 제8a도, 제8b도에 따른 북(30)은, 본체(35)의 상부에 있는 한쌍의 브라킷트(42a, 42b)를 갖는 본체(35), 본체(35) 양쪽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35)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한쌍의 가이드와이어(43), 피벗핀(39)에 의해 본체(35)의 상단부를 추축으로 회전하는 레버(37), 및 피벗핀(44)에 의해 브래킷트(42a)의 상단부를 추축으로 회전하고 피벗핀(45)에 의해 레버(37)에 연결된 코넥팅레버(38)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빈(47)위에 형성된 실꾸러미(46)를 북(30)으로 지지 시키기 위해서, 한쌍의 물림부재(49)가 각각 브래킷트(42a, 42b)에 설치된다. 물림부재(49)의 한쪽은 브래킷트(42a)로 대치할 수 있지만, 브래 킷트(42a)와 물림부재(49)사이에 위치한 나선형 팽창스프링(도시되지않음)에 의해 항상 브래킷트(42b)쪽으로 힘을 받는다. 상술한 북(30)에 있어서, 다른 하나의 바퀴(33)는 레버(37)의 느슨한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북(30)의 브래킷트(42a)와 (42b)사이에 있는 위사 얀패키지에서 나온 위사(48)를 안내하기 위해서는 바퀴(33)의 원주에 이음매 없는 홈을 형성시킨다. 위사(48)는 북(30)이 운동하는 동안, 코넥팅레버(38)에 설치된 얀가이드(40, 41)를 통해 바퀴(33)의 가이드홈으로 인도된다. 북(30)은 북추진장치(23)의 일부에 항상 접촉할수 있는 로울러(50)를 갖추고 있으며, 또한 위사(48)에 대해서 적당한 실장력을 제공하는 보빈에 대한 절단작용을 항상 막을수 있는 부재(51)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북구조와 관련하여 원형직기의 구조에 특별한 고찰을 해야 한다.
본 발명의 북을 사용하는 원형직기에 있어서, 내부의 환상가이드 통로는 환상가이드부재(29a, 제5도 참조)의 하부표면과 수평원판형가이드부재 (27, 제5도 참조)에 있는 내부의 환상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안내통로는 북(30)의 바퀴(33, 제6도, 제7도, 제8a도 참조)를 인정하게 안내한다. 제3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북(30)이 원형직기에 장치되어 있을때, 북(30)은 레버(37)와 코넥팅레버(38)가 수평위치로 고정되도록 상술한 환상가이드통로와 환상가이드 장치(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되는 조건을 이하에는 수평조건으로 서술한다. 내부의 환상 가이드통로위에 바퀴(33)가 안정하게 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수평원판형 가이드부재(27)의 내부의 환상 표면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경사진 표면(27a)을 갖고 있으며, 그리하여 내부환상가이드통로는 홈이 파인 가이드통로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같이, 북(30)은 환상가이드장치 [즉, 환상가이드 통로와 환상가이드장치(25)]를 따라 이동하므로, 수평조건하에서 본체(35)에 바퀴(31a, 31b, 32a, 32b)를 설치하는 조건과 가이드장치(25)에 있는 가이드부재 (25a), (25b)의 형태는 본 발명의 목적의 일부인 안정한 지지를 달성하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부재(25a, 이하에는 상부가이드부재라 함)와 가이드부재(25b, 이하에는 하부가이드부재라 함)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경사진 환상가이드 표면을 가지고 있는 한편, 회전 상태하에 상부가이드부재(25a)에 접할수 있는 바퀴(31a, 32a)는 본체(3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서 북(30)이 원형직기에 설치될때, 각각의 바퀴(31a, 32a)는 그의 원주가 상부가이드부재(25a)의 경사진 환상표면에 원활하게 접할수 있는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바퀴(31a), (32a)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바퀴의 회전축(Y)에 수직인 평면(X)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부가이드 부재(25a)의 경사진 가이드 표면에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바퀴(31a), (32a)에 관해서도 바퀴(31a), (32a)와 동일한 조건이 존재한다. 따라서, 북(30)이 원형직기에 장치되면,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상부 바퀴(31a), (32a)의 축(Y)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방사방향으로 배열되고, 수평면에 대해서 외부로 일정한 각을 이룸으로써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각각의 하부바퀴(31a), (32b)의 축(Z)은 방사방향으로 배열되고,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면에 대하여 외부로 일정한 각을 이룸으로써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한 조건에 있어서, 북(30)은 북 추진장치(23)의 작용으로 추진될 때에 원심력이 생긴다.
북(30)에 작용하는 중력과 원심력은 북(30)의 외부끝에 있는 하부바귀(31b), (32b)에 의해 주로 지지된다. 각각의 바퀴(31b), (32b)의 축(Z)은 수평면에 대해서 외부다 일정한 각으로 상부로 경사져 있고, 또 가이드부재(25b)의 가이드표면이 축(Z)에 평행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바퀴(31b), (32b)는 가이드부재(25b)의 가이드표면상을 별 어려움 없이 원활히 회전하는 동안 북(30)에 작용하는 중력 및 원심력의 대부분을 지탱할수 있다. 북(30)에 작용하는 중력의 일부는 북(30)의 하부끝에서 바퀴(33)에 의해 지탱되고, 또 북(30)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일부는 북(30)의 외부끝에서 상부바퀴(31a), (32a)에 의해 지탱되는 동안, 가장 큰 하중이 북(30)의 본체(35)의 외부끝에 배치된 하부바퀴(31b), (32b)상에 부가된다.
북(30)의 상, 하 양측으로 개구된 경사(3)는 바퀴(31a), (32a) ; (31b), (32b)와 가이드부재 (25a), (25b)사이 및 바퀴(33)와 내부환상가이드 통로사이의 위치에 각각 도입된다. 그러므로, 경사(3)는 북(30)과 접하여 마찰함으로써 절단을 방지한다.
상기 실시양태에 대한 여러가지 변형도 또한 영향을 미칠수 있다. 북(30)의 중력 및 원심력은 주로 북(30)의 본체(35)위에 배치된 하부바퀴(31b), (32b)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다른 지지바퀴(31a), (32a), (33)는 없어도 좋다. 지지바퀴(31a), (32a), (33)는 단지 작은 하증이 부과되기 때문에, 비록 슬라이더가 지지바퀴(31a), (32a), (33)대신에 사용되고, 또 가이드부재(25a), (25b)와 내부환상가이드통로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할지라도, 제직작업은 어려움 없이 편리하게 행할수 있다.
경사진 축(Z)를 갖는 바퀴(31b), (32b)에 맞물린 환상가이드부재(25b)의 접촉면은 상기 실시양태와 같이 경사져 있을 필요가 없고, 또 그것에 대한 여러가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환상가이드 부재의 상기 안내표면이 L-형 단면을 갖는 경우에, 외부바퀴는 ㄴ-형단면을 갖는 가이드 표면의 양측에 맞물린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에 따른 북에 있어서, 조절가능한 길이를 갖는 코넥팅레버(38)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코넥팅레버(38)는 터언버클(turn buckle)을 포함한다. 즉 코넥팅레버(38)는 나선형 실린더 내부표면에 각각 장치된 한쌍의 슬리이브(55a), (55b)를 구성하며, 여기서 나삿니의 나선방향은 서로 반대이고, 또 두개의 나선형 말단부를 갖는 볼트(56)는 슬리이브(55a, (55b)에 각각 맞물린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이브(55a)는 피벗핀(45)에 의해 레버(37)에 추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코넥팅레버의 길이는 볼트(56)을 회전시킴으로서 늘려지거나 줄여질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북을 사용하는 원형직기에 있어서, 직기에서 북을 끄집어 낼 필요가 있을 경우, 북은 약간의 사고로 파손되거나 또는 작업조건(예, 직물폭)을 바꾸어야 하기때문에 코넥팅레버(38)의 길이를 줄이기위해서 볼트(56)을 회전시킨다. 제6도에서 레버(37)는 코넥팅레버(38)의 길이가 줄어들었을때, 피벗핀(39)에 대해 본체(35)의 앞쪽끝에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래서 원형직기상에 설치된 북(30)의 안쪽끝에 있는 바퀴(33)는 원형직기(1)의 방사방향, 즉 북(30)의 본체(35)에 대해 외측우로 변위(變位)되고 수평원판형가이드부재(27)에 형성된 내부의 환상가이드통로와 환상가이드부재(29)사이에서 끌어내어진다. 북(30)은 환상가이드장치(25)와 상기 환상 가이드통로로 부터 쉽게 분해시킬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북(30)을 제1도내지 제5도에 나타낸 원형직기(1)에 코넥팅레버(38)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로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 북(30)의 본체(35)위에 배설된 바퀴(31a), (32a) ; (31b), (32b)는 우선 환상가이드부재(25a),(25b)와 각각 맞물린다. 제6도에서 레버(37)는, 코넥팅레버(38)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볼트(56)를 회전시킴으로써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북(30)의 바퀴(33)는 원형직기(1)의 방사방향의 안쪽으로 배열되며, 또 수평원판형가이드부재(27)와 환상가이드부재(29)사이에서 형성된 내부환상가이드 통로에 상기부재들과 접할때 까지 넣어진다. 따라서, 안정된 삼각형은 레버(37)와 코넥팅레버(38)사이의 연결점, 북(30)의 피벗핀(39) 및 (44)로 구성된 3점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북(30)은 상기 내부의 환상가이드통로와 환상 가이드부재(25a), (25b)에 의해 안정하게 지지 될수 있다.
말하자면, 만약 원형 직기상의 북(30)을 장치할필요가 있을때 코넥팅레버(38)에 분리할수 있게 연결된다면, 레버(37)는 레버(37)를 코넥팅레버(38)로 부터 분리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코넥팅레버(38)의 길이를 길게하고 짧게 하는 장치가 쓰이지 않는다면, 바퀴(33)의 위치는 북(30)이 지지되는 경우에 정밀하게 조정될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코넥팅레버(38)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레버(37)과 코넥팅레버(38)의 길이를 늘리거나 또는 줄이는 장치는 둘다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넥팅레버(38)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하여, 카메라 삼각대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와 같은 어떤 공지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북에 만족스럽게 적용시킬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쪽의 바퀴(33)가 설치된 레버는 바퀴(33)을 옮기기 위해 늘려지거나 줄여질수 있는 나선형 코넥팅레버에 연결되기 때문에, 북(30)은 그것이 안쪽의 환상 가이드 통로와 바깥쪽 환상 가이드부재사이에 안정하게 지지될수 있도록 원형직기상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이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Claims (1)

  1. 제직작업중 북을 안내하는 장치, 가이드 장치를 따라 북을 추진하는 장치를 구비한 원형직기로 자루직물을 짜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가이드장치는 상기원형직기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환상가이드 표면 및 상기 원형직기의 중심축에 대해서 도일중심으로 형성된 내부의 환상가이드통로를 갖는 외부의 환상가이드부재를 적어도 한개 구성하고, 상기 북은 북의 본체를 구성하며, 한쌍의 부라킷트는 상기북의 안쪽으로 상기북에 배치되고, 가이드요소와 상기브라킷트 사이의 위치에서 보빈을 지지하는 장치는 상기 환상가이드부재와 내부의 환상가이드통로가 원활하게 접할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요소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된 하부외측바퀴를 구성하고, 각각의 상기 외측바퀴는 상기북이 상기 원형직기상에 설치될 때 상부 및 하부로 경사진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외측바퀴는 상기 북이 상기 북추진기구에 의해 구동될때 상기 환상가이드부재가 상기북에 작용하는 중력 및 원심력을 견디어 내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해서 지지되고 여기서 상기 외측바퀴의 상기축은 안쪽로 경사진 상기 환상가이드 부재의 상기 환상가이드 표면에 평행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KR7904192A 1979-11-29 1979-11-29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KR84000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192A KR840000109B1 (ko) 1979-11-29 1979-11-29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4192A KR840000109B1 (ko) 1979-11-29 1979-11-29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60A KR830001460A (ko) 1983-04-30
KR840000109B1 true KR840000109B1 (ko) 1984-02-11

Family

ID=1921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4192A KR840000109B1 (ko) 1979-11-29 1979-11-29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01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60A (ko)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5666A (en) Shuttle propelling mechanism in circular loom
CA1040068A (en) Triaxial fabric forming machine and components thereof
JP6827103B2 (ja) 中空形状織地を製作する円形織機および方法
US5056567A (en) Mechanism for guiding shuttles in a circular loom
US4365651A (en) Shuttle utilized for a circular loom
JPS60259654A (ja) 織機用緯糸給送装置
GB2113725A (en) Circular looms
KR840000109B1 (ko) 원형직기에 사용하는 북
US6079234A (en) Yarn feeder for a jacquard knitting machine
KR910004210B1 (ko) 원형 직기
US4399952A (en) Thread delivery apparatus
JPH0345743A (ja) 異径筒状織物とその製織方法と織機
KR940010633B1 (ko) 원형 직기
US2918092A (en) Device for effecting equal tensile stresses in two threads
TWI698390B (zh) 喂紗裝置及具有喂紗裝置的系統
KR900006279B1 (ko) 관상물 제조용 원형직기
KR20010037753A (ko) 원형직기
KR960012279B1 (ko) 분사식 직기용 위사저류(緯絲貯留) 장치
EP0087481B1 (en) Circular loom for producing double bag
US1495177A (en) Loom for weaving tubular fabrics
RU2088708C1 (ru) Ткацкий станок с волнообразно подвижным вдоль нитей основы зевом
US2002091A (en) Guiding or spacing of yarns in warp form
US1930371A (en) Circular weaving loom
KR200175825Y1 (ko) 원형직기
US2988299A (en) Apparatus for supplying ya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