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983Y1 -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장식체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장식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983Y1
KR830002983Y1 KR2019810000673U KR810000673U KR830002983Y1 KR 830002983 Y1 KR830002983 Y1 KR 830002983Y1 KR 2019810000673 U KR2019810000673 U KR 2019810000673U KR 810000673 U KR810000673 U KR 810000673U KR 830002983 Y1 KR830002983 Y1 KR 830002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pening
groove
decorative body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0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622U (ko
Inventor
히로오 미나미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0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983Y1/ko
Publication of KR830000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262Pull members; Ornamental attachments for slide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장식체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장식체(裝飾體)를 감착한 슬라이더의 사시도.
제2도는 손잡이와 장식체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손잡이에 장식체를 감착(嵌着)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것의 일부 절결 평면도.
제5도 (a) 내지 (c)는 손잡이에 장식체를 감착하는 공성순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6도 (a) 내지 (c)는 제5도 (a) 내지 (c)의 각 공정 순서에 대응하는 장식체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7도는 다른 손잡이에 장식체를 감착할 때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장식체의 변형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9도는 제2실시예에 의함 장식체를 감착한 슬라이더의 사시도.
제10도는 장식체와 손잡이를 분리시킨 이면도(裏面圖).
제11도는 장식체와 손잡이를 조합한 상태의 이면도.
제12도 (a)(b)(c)는 장식체를 손잡이에 삽입할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3도는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은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특히 전단부에 정렬용 돌기가 있는 손잡이에 감착하는 장식체에 관한 것으로, 감착작업이 용이하고, 감착상태가 확실하여 안정되게 할 뿐만 아니라 두께가 다른 손잡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손잡이의 장식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 다른 목적은 장식체를 손잡이에 감착한 다음 강한 인장력을 가해도 계지부가 마모되지 않는 내구성이 뛰어난 손잡이 장식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미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손잡이 장식체는 자웅(雌雄)의 후크(hook) 구조로 손잡이를 상하로부터 끼워넣어서 장착하던가 갈고리 모양의 계지부를 손잡이에 계지하는 것, 또는 장식체 부착구멍내에 손잡이를 넣는 것 등 여러가지 장식체가 제안되었지만 상술한 두가지는 의장(意匠)적 견지로 보아 과히 좋지 않음과 동시에 장착상태가 불안정한 결점이 있기 때문에 마지막 형식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은 사방이 연속 벽면으로 둘러쌓여서 변형 여지가 적은 부착구멍내로 손잡이를 무리하게 감입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감착작업이 번거롭고 비능율적일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두께가 다르면 부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슬라이드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에는 다이캐스트(Die-Cast) 성형된 것과 프레스 가공된 것이 있으며, 다이캐스트 성형된 것은 두께가 프레스 가공한 것에 비하여 두꺼운 반면, 프레스 가공한 것보다 코스트가 낮게 제조된다는 잇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한 것은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다이캐스트 성형한 것보다 얇게 할 수 있으며, 이들 2종의 손잡이가 동일형상의 슬라이더 본체에 대하여 적절하게 선택해서 장착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식체, 특히 부착구멍내에 손잡이를 감입하는 형식의 것은 단일 장식체를 다이캐스트 성형한 손잡이와 프레스 가공한 손잡이에 겸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하는 구성으로 하여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식체의 결점을 없애고, 감착작업이 용이하며 감착상태가 확실하며 안정되어, 두께가 다른 손잡이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식체를 얻을 수가 있다.
이하 도시예에서 그 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서와 갇이 본 고안에 의한 장식체(1)은 전단부에 정렬용 돌기(2)가 있는 손잡이(3)에 감착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체부(1) 단면(4)에 손잡이 삽입용 홈(5)이 파져있으며, 이 홈(5)는 단면(4)에 개구부(6)와 하면부(7)과 좌우 측면부(8)(9)와 좌우 상면판(10)(11)과 저면부(12)가 손잡이 삽입용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술한 하면부(7)은 제2도, 제4도 및 제6도 (a) 내지 (c)에서와 같이 좌우 양쪽에 돌기체(13)(14)가 있고, 이 돌기체(13)(14)는 개구부(6)에서 저면부(12)로 갈수록 서로 서서히 근접하는 형상이며, 그 상면은 후술하는 것처럼 손잡이(3)을 올려놓는 재치면(載置面)(15)(16)이고 이 재치면(15)(16)과 하면부(7)의 연결 접속부분은 테이퍼면(17)(18)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측면부(8)(9)는 제4도에 명시된 것처럼 슨잡이(3)의 측면(19)(20)에 접하는 형상으로 미리 성형되었으며, 그 상연(上緣)에서는 서로 대향하며 홈(5)의 안쪽으로 뻗는 좌·우 상면판(10)(11)이 일련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판(10)(11)은 저면부(12)에 인접한 부분이 일부 절결되어서 창공(21)을 형성한다.
또 좌우 상면판(10)(11) 사이에는 개구부(6)에서 저면부(12)로 향하는 틈새(slit)(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틈새(22)는 상기 창공(21)과 통하고 있다.
또 상면판(10)(11)의 틈새(22)쪽의 측면(23)(24) 내면에는 융기부(25)(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융기부(25)(26)은 제2도 및 제5도 (a) 내지 (c)에서와 같이 공간부 안쪽으로 팽융되고, 개구부(6)쪽에서 저면부(12)쪽으로 감에 따러 서서히 그 팽융높이가 커진다.
도시예에서는, 팽융부(27)과 그보다 높은 팽융부(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융기부(25)(26)은 제6도에 명시한 것처럼 손잡이(3)의 정렬용 돌기(2)에 접하는 부위에 실치되어 있다.
도면중 부호(29)는 장식체(1)의 주체부 이면에 형성된 요소(凹所)인데, 장식효과를 높이고 쉽게 잡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고안에 의한 장식체(1)은 나일론과 같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장식체는 상술한 구성이며, 프레스 가공으로 만든 손잡이(3)에 감착하는 상태를 제5도(a) 내지 (c) 및 제6도 (a) 내지 (c)로 설명하면, 개구부(6)의 높이를 정열용 돌기(2)를 포함한 손잡이(3)의 전체 높이와 거의 같게 해주면 제5도 및 제6도의 각 (a)도에서와 같이 정렴용 돌기(2)는 상면판(10)(11) 내면의 융기부(25)(26) 하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어서 제2도중 화살표 방향으로 장식체(1)을 밀면 손잡이(3)의 선단(3') 양쪽이 돌기체(13)(14)의 테이퍼면(17)(18) 을 따라 재치면(15)(16)으로 인도되고 손잡이(3)이 재치면(15)(16)상으로 올라가면 융기부(25)(26)의 팽융부(27)이 정렬용 돌기(2)에 접하므로 제5도와 제6도의 각(b)도와 같이 상면판(10)(11)은 틈새(22)가 있기 때문에 각각 위로 젖혀지고, 정렬용 돌기(2)의 통과를 허용한다.
더욱 밀면 제2팽융부(28)이 정렬용돌기(2)를 뛰어넘은 위치에서 그 돌기(2)는 창공(21)내로 들어가고, 상면판(10)(11)은 원위치로 복귀하여 제5도와 제6도의 각 (c)도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손잡이(3)은 상면판(10)(11)의 융기부(25)(26)에 의해 하면부(7)의 돌기체(13)(14)의 재치면(15)(16)상으로 압압되고, 또 손잡이(3)의 측면(19)(20)이 측면부(8)(9)에 접하고, 정렬용 돌기(2)가 창공(21)내로 들어가서 상면판(10)(11)의 단면에 계지되면 장식체(1)과 손잡이(3)은 안정되고 확실한 감착상태로 고정된다.
상술한 조작에서 상면판(10)(11)은 틈새(22)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이 매우 용이하여 감착 조작은 매우 쉽게 된다.
제7도와 제8도는 다이캐스트 성형으로 두껍게 형성된 손잡이(30)에, 제1도 내지 제6도에서와 완전히 동일한 구조의 장식체(31)을 감착하는 상태를 도시했으며 정렬용 돌기(32)에 의해 상면판(33)(34)이 위로 젖혀지는 비율이 커지는것 외에는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것과 완전히 동일한 작용으로 양자가 감착 고정된다.
또, 상면판(10)(11) 또는 (33)(34)는 제6도 (a)에 명시하였듯이, 미리 하향굴곡시켜 놓으면 감착, 고정시에 손잡이(3)(30)에 대한 압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두께 차이에 대한 적용범위를 넓게 잡을 수가 있다.
또 상면판(10)(11) 또는 (33)(34) 내면에 형성하는 융기부(25)(26)은 도시된 바와 같은 단차(段差)를 만든 것 뿐만 아니라 일련의 경사면으로 해도 된다.
또 제9도에서 제13도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장식체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의한 장식체 본체(38)의 구조는 제10도와 제12도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38)의 단면에서 내부에 걸쳐 홈(39)가 파져 있으며 그 홈(39)은 손잡이를 올려놓을 재치부(48)를 형성하는 하면판(47)과 손잡이 측면에 접하는 한쌍의 측면부(42)(43)과 그 측면부 상연에서 내측으로 뻗어 상면판(40)과 저면부(44)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저면부에는 그 저면부에 인접한 상면판을 절결한 창공(45)와 개구부(41)에서 창공(45)와 통하는 틈새(46)이 상면판(40)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손잡이 삽입용 홈(39)는 제12도에 도시한 것처럼 홈(39) 높이(H)를 개구부끝에서 홈(39) 중간부까지는 손잡이(36)의 돌기(37)을 포함한 최대 두께(T)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고, 홈(39) 중간부에는 홈(39)의 창공(45)에 대향하는 하면판(47)을 경사지게 하고 홈(39) 속으로 깊이 들어감에 따라 점차로 홈(39)의 높이를 좁히는 캠부(49)를 설치하며, 또 그 캠부(49)에서 종단부(48)까지 캠(49)부에 연속해서 홈(39)의 높이(h)를 손잡이(36)의 돌기(37)를 뺀 두께(t)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 하였다.
제13도에 도시한 예는 본 실시예에 의한 변형예로서, 캠부(49)의 경사각을 상술한 예보다 급(急)하게 하고, 종단부(49)을 크게 하였다.
또 이와 같이 급한 캠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손잡이(36)은 돌기(37)면의 반대쪽에 각부면(角部面)을 가진 부분(50)을 설치한 손잡이(36)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장식체와 손잡이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안정된 계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도시예에서는 장방형이나 원형의 장식체가 도시되어 있지만 외형은 그런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이상 설명한 구성과 작용이며 상면판 틈새쪽의 측연내면에 설치한 융기부가 개구부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서서히 공간부내의 팽융높이를 크게 하여서, 이 융기부와 손잡이의 정렬용 돌기를 접하게 하여, 상면판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손잡이에 감착시키기 때문에, 개구부의 개부면적을 충분히 크게 잡아도 손잡이와의 계합은 확실하게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감착 조작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면판은 틈새에 의해 분리되고, 들보(梁) 모양으로 배설되어 있어서 탄성변형이 용이하고, 상술한 융기부는 상면판의 틈새 측면에만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면판의 탄성변형 자체는 악간이면 되고, 이들이 상승작용하여 감착작업을 경쾌하게 할 수 있다.
또 손잡이는 상면판의 용기부에 의해 하면부의 재치부상으로 눌리고 또 좌·우측면이 측면부에 접하면 정렬용 돌기가 창공이 있는 상면판 단면에 계지되어서 탈출하거나 흔들리지 않고 확실하고 안정하게 장식체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의 두께에 차이가 있어도 상면판의 탄성변형으로 감삽이 허용되고, 상술한 고정효과가 있기 때문에, 단일 장식체로 두께가 똑같지 않은 여러 종류의 손잡이에 감착할 수도 있고 감착 작업도 두께가 얇을 때와 똑같이 경괘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하면부의 재치부에서, 재치부와 하면부 사이를 테이퍼면으로 연속시킬 경우에는 손잡이의 단부가 이테이퍼면의 작용으로 원활하게 재치면상으로 인도되므로 감착작업이 경쾌하게 되고 개구부의 개구면적을 더욱 넓게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장식체 주체부(1)의 일단면(4)에 개구한 개구부(16)과, 손잡이를 올려 놓는 재치부(15)(16)가 있는 하면부(7)과, 손잡이 측면(19)(20)에 접하는 한쌍의 측면부(8)(9)와, 그 측면부 상연에서 서로 마주보고 내측방향으로 뻗은 좌우의 상면판(10)(11)과, 상기 개구부(6)에 대치하는 저면부(12)로 손잡이 삽입용홈(5)를 구성하고 저면부(12)에 인접한 좌우의 상면판(10)(11)의 일부를 절결하여 창공(21)을 형성하는 동시에 좌우의 상면판 사이에는 개구부(6)에서 저면부(12)쪽으로 창공(21)과 통하는 틈새(22)을 형성하고, 또 상면판의 틈새쪽 측연(23)(24) 내면에 개구부(6)에서 저면부(12)쪽으로 서서히 팽융하는 융기부(25)(26)을 형성하는 동시에 홈(5) 하면부(7)의 재치부(15)(16)은 개구부(6)에서 하면부(7)쪽으로 서서히 서로 근접하는 한쌍의 돌기체(13)(14)이며 상기 돌기체(13)(14)는 하면부(7)을 향하여 테이퍼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장식체.
KR2019810000673U 1981-01-30 1981-01-30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장식체 KR830002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673U KR830002983Y1 (ko) 1981-01-30 1981-01-30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장식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673U KR830002983Y1 (ko) 1981-01-30 1981-01-30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장식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22U KR830000622U (ko) 1983-08-03
KR830002983Y1 true KR830002983Y1 (ko) 1983-12-27

Family

ID=1922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0673U KR830002983Y1 (ko) 1981-01-30 1981-01-30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장식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9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949A (ko) * 2002-03-02 2003-09-13 강유석 고압관수용 천공 바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949A (ko) * 2002-03-02 2003-09-13 강유석 고압관수용 천공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22U (ko) 198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8562A (en) Ornamental attachment for slide fastener sliders
US4676706A (en) Clip nut
KR013779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automatic 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US4193172A (en) Ornamental attachment for slide fastener sliders
EP0089689A1 (en) Buckle
EP0724852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CA1151853A (en) Ornamental attachment for slide fastener sliders
KR970009657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US4679576A (en) Vanity case
EP0856264B1 (en) Slider of slide fastener with automatic locking mechanism
CA2176657C (en) Automatic 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US5586370A (en)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for slide fastener
KR830002983Y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장식체
JPH0122505Y2 (ko)
EP0868862A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automatic locking mechanism
JPS5937063Y2 (ja)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の引手装飾体
EP0502472B1 (en) Slider pull tab for slide fastener
KR940003867Y1 (ko) 판상물등의 결착구
JPH0440361Y2 (ko)
JPS598710Y2 (ja) 電気洗濯機の操作箱
JPS6231592Y2 (ko)
JPH03128724A (ja) ハンドルエスカッションの取付構造
JPS5941689Y2 (ja) スライドフアスナ−用スライダ−の引手装飾体
JPS6114737Y2 (ko)
JPS624405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