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943Y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943Y1
KR830002943Y1 KR2019820003738U KR820003738U KR830002943Y1 KR 830002943 Y1 KR830002943 Y1 KR 830002943Y1 KR 2019820003738 U KR2019820003738 U KR 2019820003738U KR 820003738 U KR820003738 U KR 820003738U KR 830002943 Y1 KR830002943 Y1 KR 830002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wheel
elastic
pen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3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승
Original Assignee
김유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승 filed Critical 김유승
Priority to KR2019820003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9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4Nib holders with retractable nib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필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보관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필기시 작동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체 7 : 가이드튜브
8 : 돌륜 9 : 유동륜
10, 11 : 탄성협지편 10', 11' : 선단절곡부
10", 11" : 상단절곡부 13 : 탄지편
15, 16 : 고무재질링
본 고안은 유성이나 수성등의 휘발성 잉크를 사용하는 싸인펜, 매직 또는 마킹펜 등 필기류에 있어 필촉 수납실 전후방에 밀폐장치를 하여서 별도의 캡이 없이도 보관시 잉크튜보 및 필촉으로 부터의 잉크 휘발을 막아 자연소모를 방지하여 주게된 것에 있어서 필촉수납실 전방의 밀폐장치를 개량하여서 사용시 필촉단부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필기에 지장을 주지않게 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싸인펜 등 휘발성잉크를 사용하는 필기구에는 필체의 선단 내부에 필촉수납실 전방을 밀폐하는 탄성 연질튜브와 탄성연질튜브를 압압 폐쇄하는 탄성 협지편의 일측이 고정되여 있어서 사용시 잉크통 선단의 필촉이 노크의 압압으로 폐쇄된 탄성연질 튜브를 뚫고 돌출되며 이때 필촉단부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필촉이 손상되고 필기에 지장을 주게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미비점을 개량하여서 탄성재질의 가이드튜브를 폐쇄하는 탄성협지편이 잉크통에 탄발 연동되게 하여서 사용시 노크의 작동에 의해 탄성협지편의 선단이괘지 상태에서 자동 해방되면서 필촉의 가이드튜브를 원상태로 열어주게 된다. 따라서 필촉선단에는 아무런 접촉이 없어서 손상되거나 마모될 염려가 없이 안전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체(1)내에 탄설된 잉크통(2)의 선단 필촉(4)이 노크(3)의 작동에 의해 필선(5)의 필촉공(6)으로 출목되도록 한 필기구에 있어서, 필촉공(6) 내측으로 탄성재질의 가이드튜브(7) 일측이 고정되고 필체(1)의 선단 내측으로 돌륜(8)이 형성되었으며 그 내측에 삽설된 유동륜(9)에 탄성협지편(10)(11)을 좌, 우측에 삽착 고정하되 탄성협지편(10)(11)의 선단 절곡부(10')(11')가 필체(1) 선단의 돌륜(8)에 내접되게 하고 잉크통(2)의 단턱(12)에 저지되고 탄성협지편(10)(11)의 상단절곡부(10")(11")에 접지된 탄지편(13)과 유동륜(9) 사이에 스프링(14)이 개재되었으며 잉크통(2)에 고착된 고무재질의 링(15)이 필체(1) 내에 고착된 고무재질의 링(16)에 접촉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제2도에서 노크(3)를 압압하면 노크(3)에 연계된 잉크통(2)이 하강되면서 스프링(14)에 접속된 유동륜(9)이 하강되는 데 이때 유동륜(9)에 고착된 탄성 협지편(10)(11)이 동시에 하강되면서 외향으로 벌어지므로 가이드튜브(7)를 해방하게 되고 계속 노크(3)의 압압에 의해 개방된 가이드튜브(7)를 통해 필촉(4)이 필촉공(6)으로 돌출되에서 필기를 하게 된다.
이때 노크(3)의 고정으로 인해 필촉(4)이 후진되지 않고 고정상태로 필기를 하게 되고 필기가 끝난 후 보관시에는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노크(3)의 작동에 의해 잉크통(2) 및 필촉(4)이 상승 내입되고 동시에 탄지편(13)이 상승되면서 탄성협지편(10)(11)의 상단 절곡부(10")(11")를 압승시켜서 선단절곡부(10')(11')가 돌륜(8)에 내접 압입되면서 가이드튜브(7)를 눌러주어 폐쇄시키며 동시에 잉크통(2)의 링(15)이 필체(1) 내의 링(16)에 접지되어서 필촉(4)의 수납실 전후방부를 완전 밀폐시키게 되므로서 필촉(4)으로 부터의 잉크 휘발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노크(3)의 작동만으로 간단히 필촉(4) 수납실을 밀폐 또는 개방되게 함으로 필촉(4)의 출몰시 필촉(4)에는 아무런 손상을 주지않게 함이 본고안의 특징인 것이다.

Claims (1)

  1. 필체(1) 내에 탄설된 잉크통(2)의 선단필촉(4)이 노크(3)의 작동에 의해 필선(5)의 필촉공(6)으로 출몰되도록 하고 필촉공(6) 내측으로 탄성재질의 가이드튜브(7)를 고정시킨 것에 있어서 필체(1)의 선단내측으로 돌륜(8)이 형성 되었으며 그 내측에 삽설된 유동륜(9)에는 탄성협지편(10)(11)을 좌, 우측에 삽착 고정하되 탄성협지편(10)(11)의 선단 절곡부(10')(11')는 돌륜(8)에 탄발 내접되게 하고 상단절곡부(10")(11")는 잉크통(2)의 단턱(12)에 저지된 탄지편(13)에 걸리게 하여서 탄지편(13)과 유동륜(9) 사이에 스프링(14)을 개재시킨 필기구.
KR2019820003738U 1982-05-13 1982-05-13 필기구 KR830002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738U KR830002943Y1 (ko) 1982-05-13 1982-05-13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3738U KR830002943Y1 (ko) 1982-05-13 1982-05-13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943Y1 true KR830002943Y1 (ko) 1983-12-23

Family

ID=1922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3738U KR830002943Y1 (ko) 1982-05-13 1982-05-13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9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41B1 (ko) * 2002-04-22 2004-10-08 김회곤 건조방지용 필기구
EP3730309A4 (en) * 2017-12-20 2021-11-10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AND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941B1 (ko) * 2002-04-22 2004-10-08 김회곤 건조방지용 필기구
EP3730309A4 (en) * 2017-12-20 2021-11-10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AND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US11267278B2 (en) 2017-12-20 2022-03-08 Kabushiki Kaisha Pilot Corporation Projectable and retractable writing tool and multi-tip writing tool
TWI771544B (zh) * 2017-12-20 2022-07-21 日商百樂股份有限公司 出沒式筆記具及多芯筆記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2773A (en) Retractable pen with self sealing writing tip opening
KR880006058A (ko) 건조방지 메카니즘을 가진 필기구
JPS59156798A (ja) ノツク式キヤツプレスマ−キングペン
KR830002943Y1 (ko) 필기구
US5154526A (en) Capillary pen cover
TW200514704A (e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s with volatile inks
IE782111L (en) Fountain pens
KR200290684Y1 (ko) 원터치로 개폐가 가능한 수성 펜
KR200248171Y1 (ko) 녹크식 수성 볼펜용 팁의 심부구조
KR102400822B1 (ko) 글씨 소거용 볼펜
US2120652A (en) Fountain pen
KR102400821B1 (ko) 필기 내용을 지우는 방법
KR970007011Y1 (ko) 잉크밸브가 형성된 펜
JP4549510B2 (ja) ボールペン
KR200324342Y1 (ko) 뚜껑 없는 펜
KR830002398Y1 (ko) 귀이개가 달린 볼펜
CN2185685Y (zh) 消字笔
KR200145024Y1 (ko) 볼펜의 녹크장치
JP2535838Y2 (ja) ボールペン
JP3006613U (ja) ボールペン
KR200356758Y1 (ko) 샤프펜슬의 구조
KR200244634Y1 (ko) 수정액이 구비된 펜
FR2309347A1 (fr) Perfectionnement aux instruments permettant le trace de traits notamment au stylo-bille
KR200214572Y1 (ko) 수정용펜이 부착된 볼펜
KR200232309Y1 (ko) 필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