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835B1 - 개량된 체내도관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체내도관 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835B1
KR830002835B1 KR1019800002102A KR800002102A KR830002835B1 KR 830002835 B1 KR830002835 B1 KR 830002835B1 KR 1019800002102 A KR1019800002102 A KR 1019800002102A KR 800002102 A KR800002102 A KR 800002102A KR 830002835 B1 KR830002835 B1 KR 83000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upport
inflated
inflata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504A (ko
Inventor
브룬딘 얀-올로프
Original Assignee
악티에볼라게트 메드라인
브룬딘 피터 베르겐도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티에볼라게트 메드라인, 브룬딘 피터 베르겐도르프 filed Critical 악티에볼라게트 메드라인
Priority to KR1019800002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835B1/ko
Publication of KR83000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량된 체내도관 폐쇄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 1 예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 2 예의 종단면도.
제 4 도는 본 장치의 일부 요소의 일예.
제 5 도는 본 장치의 일부 요소의 다른 예.
체내도관을 폐쇄시키는데 팽창할 수 있는 물체를 이용한다는 것은 이미 제안된 바 있다. 출산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람이나 짐승의 난관이나 정관을 폐쇄시키거나, 병원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체내도관을 폐쇄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문제의 팽창체를 섬유질로 만들었으나, 최근에는 소위 하이드로겔 화합물이라고 하는 흡수성공중합체 플라스틱이 적당하다고 알려졌다. 핑창체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내 도관으로 삽입되는데, 그 크기 및 형태는 체내도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팽창체는 체내도관에 삽입된 후 체내벽세포로써 체액을 빨아들여 팽창됨으로써 체내도관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그곳에 단단히 보지된다. 이 팽창체는 체액에 대해서 불활성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손상되지 않고 체내에 남아있으며 목적이 달성된 다음에는 체내로 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예컨대 난관이나 정관을 폐쇄시켰다가도 그 기능을 다시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팽창체를 체내도관에 삽입하였을 때 팽창체가 체액을 충분히 흡수 팽창하여 그 속에 단단히 고정되기 전에 근육의 움직임이나 씻겨져 내림에 의해서 그 도관으로 부터 빠지는 수가 있다. 어떤 경우에는 그 도관이 팽창되어 팽창체가 더이상 지탱하지 못하고 빠져버리는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팽창체가 체내 도관 속에서 빠지거나 자리를 옮기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팽창체로 하여금 빠지지 못하게끔 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을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팽창된 상태에서 아무런 결점없이 체내 도관의 폐쇄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체액과 접촉하였을 때 그 부피의 선팽창율이 최소한 20% 이상이 되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장치는 체액과 그 주변 세포에 대해서는 사실상 불활성이다. 본 장치가 체액과 접촉하였을 때 그 부피의 선팽창율은 최소한 40% 이상 예컨대 최소한 80%가 바람직하다. 그 선팽창율은 20-300%사이로 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로 폐쇄시킬 수 있는 사람과 짐승의 체내도관은 예컨대, 혈관, 비뇨관, 정관 및 난관 등이다.
도관에 삽입되는 본 장치의 형상은 별로 중요치 않으나 통상 원통형, 구형, 계란형 또는 모래시계형이다. 본 장치의 팽창되기 전의 단면은 체내도관의 단면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체내도관의 벽을 따라 쉽게이동되어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장치는 특히 정관이나 난관에 삽입하여 출산 제한용으로 사용키에 적합하다. 이 경우에는 본 장치에 실을 연결시켜 놓음으로써 수술하지 않고서도 본 장치를 끄집어 낼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실을 방사선 비투과 재료로 만들어서 본 장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달리 본 장치 그 자체를 X-선 대조(X-ray contrasting) 재료로 만들수도 있다. 본 장치의 재료는 체액과 접촉하면 최소한 40% 또는 적당하기로는 최소한 80% 팽창되며 300%까지도 팽창될 수 있다. 그 재료는 체액에 대하여 불활성이어야 함과 동시에 몸체에 해롭거나 흡수되어서도 안된다. 하이드로겔 화합물이 적당한 재료이다. 이 재료는 체액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한다. 적당한 하이드로겔 화합물은 측쇄(lateral chain)에 최소한 한개의 수산기가 있는 메라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와 공중합체들이다. 적당한 단량체로는 에스테르기가 디에틸렌 글리클이나 트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2-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예컨대, 2, 3-디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가 유용하다. 디에스테르나 대응 글리콜같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와 같
친수 단량체와 소수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팽창장치에 적합한 또 다른 재료이다. 친수단량체와 소수 단량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흡수성 즉, 팽창율을 넓은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친수성 성분의 예로서는 N-비닐 피롤리돈 및 비닐 피리딘으로 구성된 군의 단량체가 있으며, 수소 성분의 예로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군의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중합은 출발물질에 자외선-감마 방사 영역의 전자 방사선을 쪼이거나 열을 가하여 적절히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팽창체는 기본적으로는 탄성이고 약간만 소성이어야 한다. 이 팽창체는 비-팽창 상태(수분을 흡수하지 않았을 때)에서는 딱딱하고/또는 단단해야 하나, 팽창시에는 부드러워져야 한다. 팽창체의 방사선 비투과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팽창체에 예컨대, 바륨, 비스머스, 또는 금속분말(은)염과 같은 물질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사용시에는 팽창체를 비팽창 상태에서 체내도관 속으로 삽입하면, 삽입된 팽창체가 체액과 접촉하여 팽창함으로써 체내 도관에 단단히 보지된다. 팽창체는 체내도관의 탄성벽이 팽창됨으로써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압축력을 받는다. 따라서 팽창체는 그 도관의 통로 단면을 완전히 폐쇄 차단시킴과 동시에 그 속에 단단히 보지된다. 예컨대 본 팽창체를 난관에 삽입하면 난자가 자궁으로 가는 길이 막히기 때문에 비수정난이 정자에 의해서 수정되지 못하게 된다. 이 팽창체로 정관을 폐쇄시켜 정자의 통로를 차
이러한 식으로 팽창체는 체내 도관 속에 삽입되어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됨으로써 그 도관 속에 단단히 보지된다. 그러나 어느정도의 시간이 흘러 그렇게 되기 전까지는 팽창체는 주변의 세포벽에 대해서 움직거린다. 팽창체는 비-팽창 상태에서 체내 도관보다 상당히 작기 때문에 그 도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팽창체를 체내도관 속에서 멀리까지 움직여야 할 경우에, 따라서 그 팽창체를 두고자하는 곳보다도 좁은 부분을 통과시켜야 할 경우에는 그 팽창체의 크기를 대단히 축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팽창체에 대한 근본적이 개념은 삽입시에는 팽창체가 작아야 하지만 체내 도관내의 원하는 부위에 위치되었을 때에는 그곳에 단단히 보지되어 그 도관을 효과적으로 폐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었을지라도 팽창체는 팽창되기 전까지는 단단히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체내 도관에 삽입된 바로 직후에는 불안정 상태에 있게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에서 그 도관을 흐르는 체액이나 그 팽창체를 지니고 있는 사람의 움직임에 의해서 이동되는 수가 생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의 불안정성은 본 발명에 의해서 해소시킬 수 있다. 그 해결방법은 경직도가 조절된 재료로 만든 최소한 한개의 지지구를 팽창체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 지지구의 외측단은 팽창체가 비-팽창 상태에 있
따라서, 지지구의 외측단은 팽창체가 팽창되기 전에만 필수적인 고정수단으로서 작용할 뿐이며, 팽창체가 팽창되었을 경우에는 그 팽창체 속으로 거의 다들어감으로써 체내 도관의 벽세포에 심한 압력을 가하지 않게된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성의 난관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본 발명의 폐쇄장치(1)의 종단면이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상술한 팽창성 재료로 만든 길다란 원통형 팽창체(2)로 되어있는데, 안쪽의 둥근 끝부분(3)과 바깥쪽의 구형부분(4)으로 되어 있다. 실(5)은 나일론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한끝은 끝부분(3)에 놓여 있는 한편 다른 한끝은 구형부분(4)을 통해서 팽창체의 밖으로 늘어져서 자유단(6)을 이루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용시에 팽창체(2)의 적당한 칫수로서는 실의 자유단(6)을 제외한 길이가 1lmn, 최대 직경이 1.66㎜이다. 이와달리 팽창체(2)는 비-팽창상태에서 직경이 약 0.8㎜되는 드롭(drop)의 형상으로 만들수도 있다.
실(5)은 최소한 일부가 X-선 비투과성으로 된 폴리아미드 섬유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원통형 팽창체를 지지하기 위한 한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구(7)를 팽창체를 통해 뻗어있으며, 팽창체의 비팽창 상태에서는 외측단(8)이 팽창체의 밖으로 돌출해있다. 지지구(7)의 중간부(9)는 팽창체의 속에 위치하여 지지구(7)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더우기 지지구(7)의 구멍(10)을 통하여 실(5)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구(7)와 실(5)이 팽창체(2)에 더욱 단단히 보지된다. 또한 이와같이 지지구(7)와 실(5)을 연결시켜 놓으면 팽창체(2)의 성형시에 그 성형틀 속에 실을 위치시킬 경우 지지구(7)가 그 성형틀 밖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지지구(7)와 실(5)의 연결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멍(10)으로부터 안쪽으로 돌출부(11)를 돌출시켜 이 돌출부(11)가 실(5) 속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달리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구(7) 양측으로 실의 매듭(12)을 지어놓는 방법도 있다.
제1도, 제2도 및 제4도의 지지구(7)는 구멍(10)의 양쪽으로 예각삼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 두 삼각형부분은 지지구(7)의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져서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그 형상 및 두께는 선택한 재료와 바깥으로 향하는 탄성력의 필요한 정도에 알맞도록 되어있다. 지지구(7)는 삽입되고자 하는 체내 도관의 내부 칫수보다 커서 그 도관벽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동시에 좁은 도관 통과시에는 양측단이 서로 마주보고 휘어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휘어질 수 있는 성질로
지지구(7)의 재료는 인체에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는 것이라야 하며, 아세탈플라스틱이나 아미드같은 반-경직성(Semi-stiff) 탄성 플라스틱 재료가 바람직하다.
제 3 도에는 본 발명의 제 2 예에 의한 폐쇄장치(13)가 종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그 크기 및 형태는 정관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이 폐쇄장치는 팽창성 재료를 가지고 비팽창 상태에서 길이가 6㎜, 직경이 약 0.6㎜되도록 만든 원통형 팽창체(14)이다.
폐쇄장치(13)를 정관에 삽입시에는 외부로 부터 삽입시킬 수는 없고 수술로 하여야 한다. 이 폐쇄장치는 정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비팽창상태에서의 칫수가 정관의 내부 간격보다 작아야 한다. 폐쇄장치가 정관에 삽입된 후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되면 정관이 폐쇄된다. 정관으로 부터 폐쇄장치를 제거시킬 경우에는 수술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 폐쇄장치에는 실을 부착시켜 놓을 필요가 없는 한편, X-선으로 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팽창체(14)의 최소한 일부를 예컨대 금속이나 금속염과 같은 방사선 비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 또한, 폐쇄장치(13)는 비팽창상태에서의 지지구(15)를 갖고 있다. 이 지지구(15)의 외측단(16)은 지지구(7)와 마찬가지로 원통형 팽창체(14)의 끝을 향하여 휘어질 수 있으며 체내 도관벽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팽창체(14) 속에 주조 결합되어 있는 가운데 부분(17)에는 봉형 중심부(18)가 있어서 가운데 부분과 외측단을 팽창체(14)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지지구(15)의 크기도 물론 팽창체(14)와 같이 대단히 작아서 직경이 1㎜ 미만이다.
다른 형태의 지지구를 제 5 도에 도시하였다. 여기에서는 폴리아미드 섬유로 만든 실(19)을 사용하였다. 물론 이 실도 실(5)과 같이 잡아 당겨질 수 있도록 팽창체의 밖으로 튀어나오게끔 할 수 있다. 그러나 중심부(18)와 같이 단지 고정수단으로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실의 길이를 짧게할 수도 있다. 외측단(20)은 도면과 같이 실(19)을 겹쳐놓아 형성시키며, 이 겹쳐진 부분은 가열되어 그 일부가 녹아서 섬유상 조직에서 부정형 조직으로 변함으로써 딱딱해진다. 가는 실을 사용하면 고정수단을 아주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지지구에 의해서 비-팽창상태에서도 본 장치를 보지시킬 수 있다. 폐쇄장치를 삽입시에는 지지구의 외측단이 뒤로 휘어지나, 반대로 끄집어낼려고 할 때는 지지구 외측단이 바깥쪽을 향하게 된다. 제 1 도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팽창체가 팽창 상태에 있을 때는 지지구의 외측단이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그 팽창체 속으로 들어간다. 팽창율이 대단히 커서 체내 세포벽이 제자리에서 밖으로 밀려나면 지지구 외측단은 팽창체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 체내 도관의 내벽과 더이상 접촉치 않는다. 따라서 폐쇄장치가 영구적인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지지구의 끝으로 인해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상처가 도관 내벽에 생길 가능성이 배제된다.
팽창체(2 및 13)는 폴리비닐 괴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단량체와 아크릴레이트나 폴리아미드와 같은 소수성 화합물로 만들어서 공중합방식으로 실 및 지지구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액을 흡수함으로써 일어나는 팽창과 그 힘의 크기는 친수성 및 소수성 단량체 사이의 비율에 따라서 틀려진다. 친수성 단량체(비닐 피롤리돈) 3부와 소수성 단량체(폴리아미드) 1부로 형성한 공중합체의 선팽창율은 66%의 수분함량으로 1.48(물에 의해 48% 팽창)이다. 친수성 단량체 5부와 소수성 단량체 1부로 만든 공중합
본 발명의 폐쇄장치는 출산제한용 이외의 용도, 예컨대 뇌혈관 팽창과 같은 뇌손상이나 확장된 정맥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본 폐쇄장치를 혈관에 삽입하여 그 혈관을 폐쇄시키는데 이용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장치의 모양을 모래 시계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액을 흡수하여 최소한 20% 이상 팽창될 수 있는 동시에 체액과 그 주변세포에 불활성인 재료를 가지고 체내도관에 처음 삽입할 때는 헐겁게 들어가고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되었을 때는 그 도관을 완전히 폐쇄시킴은 물론 그 도관 내벽을 향한 압력에 의해서 그 삽입된 지점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있는 팽창체(2/14)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만든 지지구(7/15)를 그 양측단(8/16)이 비-팽창상태에 있는 팽창체(2/14)의 속에서 밖으로 기정된 방식으로 튀어나와 있도록 팽창체에 결합시켜 그 양측단(8/16)이 휘어진 모양으로 체내 도관벽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그 체내 도관에 삽입된 팽창체가 미쳐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하기 전일지라도 그 삽입된 지점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혹은 짐승의 체내 도관을 일시적으로나 영구적으로 폐쇄시키는 장치.
KR1019800002102A 1980-05-28 1980-05-28 개량된 체내도관 폐쇄장치 KR830002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102A KR830002835B1 (ko) 1980-05-28 1980-05-28 개량된 체내도관 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102A KR830002835B1 (ko) 1980-05-28 1980-05-28 개량된 체내도관 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04A KR830002504A (ko) 1983-05-30
KR830002835B1 true KR830002835B1 (ko) 1983-12-27

Family

ID=1921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102A KR830002835B1 (ko) 1980-05-28 1980-05-28 개량된 체내도관 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8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504A (ko) 198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5018B1 (en) Device for members for closing body passages
JP2925327B2 (ja) 尿道の拡張装置
US4579110A (en) Tubular pessary as a contraceptive means
EP0673629B1 (en)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EP3711750B1 (en) Implantable drug delivery devices for genitourinary sites
US5269321A (en) Retrievable pessary
JP2004537353A5 (ko)
GB1569660A (en) Occlusion of body channels
EP0699060A4 (en) EXPANDABLE URETHRAL PLUG
US3675648A (en)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US20050033448A1 (en) Body implantation tube
US20060085028A1 (en) Vessel occlusion system
KR830002835B1 (ko) 개량된 체내도관 폐쇄장치
US3802425A (en)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WO1983000011A1 (en) Arrangement for sealing of body canals
WO1981001515A1 (en) Administration of medical active substances
US3933152A (en)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CA1122871A (en) Device for at least temporary occlusion of body channels
CA1152828A (en) Device for occlusion of bodychannels
JPS6120304B2 (ko)
WO2022209622A1 (ja) 塞栓物
JPH0576603A (ja) 生体管路拡張具
FI71057C (fi) Tillslutningskropp foer temporaer eller permanent tillslutningav aeggledarnas mynningpartier mot livmodern hos maennisk orch djur
PL115824B1 (en) Device for at least temporarily closing the oviduct of a human or animale female or the spermatic duct of a human or animal male
AU8584782A (en) Arrangement for sealing of body ca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