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618Y1 - 코일 스프링 조정볼트 - Google Patents

코일 스프링 조정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618Y1
KR830002618Y1 KR2019810005961U KR810005961U KR830002618Y1 KR 830002618 Y1 KR830002618 Y1 KR 830002618Y1 KR 2019810005961 U KR2019810005961 U KR 2019810005961U KR 810005961 U KR810005961 U KR 810005961U KR 830002618 Y1 KR830002618 Y1 KR 830002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nuts
adjustment bolt
presen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5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992U (ko
Inventor
김두식
Original Assignee
김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식 filed Critical 김두식
Priority to KR2019810005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618Y1/ko
Publication of KR830000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2Attachments or mountings where coils, e.g. end coils, of the spring are rigidly clamped or similarly fix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01Specific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numerical form or in the form of equations
    • F16F2228/004Force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일 스프링 조정볼트
제1도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 본 고안의 조립구조도.
제3도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제4도 본 고안의 실시부분도.
제5도 공지제품의 분해사시도.
제6도 공지제품의 조립구조도.
제7도 공지제품의 실시부분도.
본 고안은 반타원형으로 된 상하의 밴드를 볼트 및 너트로 조립하여 구성된 조정볼트를 자동차 하체 부분의 코일스프링 사이에 끼움으로서 코일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하고 타이어의 캠버각도를 조정함을 목적으로 한 코일스프링 조정볼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쿳숀 작용과 차체의 균형을 바로 잡아주는 코일스프링의 탄력을 종전에는 임의대로 조정할 수 없었으며 코일스프링의 탄력이 약해지면 차체가 낮아져서 균형이 맞지 않고 캠버각도가 맞지않아 타이어의 편마모 현상이 생기고, 장애물 통과시 강한 충격을 받게되어 쇼크업쇼바의 수명이 단축되며 급회전시 차체에 로링이 생기는 등 많은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정비가 어렵고 또한 현재까지 그 교정방법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와같이 결함을 시정하기 위한 공지제품이 있었으나 구조및 실시면에서 많은 결점이 발견되었고 특히 실시 효과면에서 공지 제품이 내포한 효과를 전연 얻을 수 없으므로 본 고안은 이러한 결함을 시정보완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며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 타원형의 밴드(1a)(1b)에 너트(2a)(2b)를 용접하여 접착시키고 볼트(9)의 상하 부분에 너트(3a)(3b)를 삽입한 다음 볼트(9)의 상하 부분을 밴드(1a)(1b)에 용접되어 고정된 너트(2a)(2b)에 삽입하고 너트(3a)(3b)를 조여 고정시키고 밴드(1a) (1b)에 형성된 구멍(8a)(8b)에 볼트(4a)(5a)(4b)(5b)를 삽입한 다음 너트(6a) (7a)(6b)(7b)를 조여 고정시켜 형성된 것이 코일스프링 조정볼트(10)이다.
공지제품의 구조를 도면 제1도와 제5도를 비교하여 살펴보면 그 형상이 본 고안과 판이하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밴드(1a)(1b)와 공지제품의 시트(14a)(14b)부분이 다르고 본 고안의 볼트(9)와 공지제품의 볼트(17)가 다르며, 또한 볼트(9)(17)에 형성된 나사의 생김새도 다른점을 발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볼트(9)및 너트(2a)(3a)(2b)(3b)에 형성된 나사생김은 전부 우측나사로 통일되어 있어 어느쪽으로나 사용할 수 있는 반면, 공지제품은 15a, 16a, 17a의 나사생김은 우측으로, 그리고 15b, 16b, 17b의 나사 생김은 좌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 및 제품 제작시 불편함이 많다.
단지 두 고안의 볼트 및 너트에 형성된 나사부분의 다른점은 제작 및 실시면에서 다소 불편함이 있으나 기술상으로는 상이점이 없다 하겠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는 다음과 같다.
(11) 코일스프링. (12) 쇼크업쇼바. (13) 코일스프링 간격. (G) 조정볼트 간격. (15a, 15b) 공지제품 접착너트. (16a, 16b) 공지제품 고정너트. (17a) 우 나사부위. (17b) 좌 나사부위.
이상과 같이 성명된 본 고안의 실시 방법을 성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정볼트(10)를 장착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코일스프링간격(13)과 조정볼트 간격(G)을 동일하게 조정하는 것과 조립장착된 조정볼트(10)가 코일스프링(11)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이 기술상의 정점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차체를 작키로 들어 올려 타이어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 다음, 도면 제2도와 같이 조립된 조정볼트(10)의 간격(G)을 코일스프링 간격(13)과 동일하게 조정하고 조정된 조정볼트(10)를 도면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코일스프링(11)의 중간부분에 밖에서 안쪽으로 반타원형의 밴드(1a)(1b)부분을 밀어넣어 장착하고 밴드(1a)(1b)의 구멍(8a)(8b)에 볼트(4a)(5a)(4b)(5b)를 끼우고 너트(6a)(7a)(6b)(7b)를 조여 조정볼트(10)가 코일스프링(11)에서 이탈되거나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다.
실시면에서 공지제품은 도면 제6도 및 제 7도와 같이 조정볼트의 14a시트는 밑에서 위로 14b시트는 위체서 아래로 코일스프링(11)에 부착되어 있으나 시트(14a) (14b)를 코일 스프링(11)에 고정시키는 장치가 없어 자동차가 주행중 장애물 통과시 하체에 심한 충격을 받아 코일스프링 간격(13)이 벌어지면 조정볼트가 스프링(11)에서 이탈되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비교하여 본 고안의 조정볼트(10)는 도면 제4도와 같이 코일스프링에서 이탈되거나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있어 공지제품의 실시면에서 불합리한 현상을 완전히 보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이와같이 자동차의 코일스프링(11)에 본 고안의 조정볼트(10)를 끼워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실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낮아진 차체가 위로 들려 균형이 바로 잡히고 캠버각도를 바로 잡을수 있어 타이어의 편마모 현상이 없어지며 장애물 통과시 강한 충격이 흡수되어 쿳션이 좋아지고, 차체의 지면 마찰이 예방되며 쇼크업쇼바(12)의 수명이 연장되고 급회전시 로링 현상이 감소되는등 많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
특히 타이어의 편마모 현상으로 인한 수요가들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어 획기적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공지제품의 사용시에는 이상과 같은 실시효과를 얻을수 없다는 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미 구조 및 실시면에서 비교 설명된 바와같이 어느 제품이든 실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야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면 제7도와 같이 공지제품을 코일스프링(11)에 장착하게 되면 먼저 코일스프링(11)에 고정시키는 장치가 없이 차체의 심한 충격으로 코일스프링(11)에서 이탈되거나 좌우로 움직이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탈되거나 움직이면 코일스프링(11)의 탄력이 조정되지 않아서 고안 본래의 목적 및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종전에 볼수 없는 완벽한 제품으로 코일스프링 (11)이 부착된 모든 차량에 사용할수 있으며 특히 반타원형의 밴드(1a)(1b)의 결합체가 고안됨으로서 보다 완벽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도면 제2도 및 제4도에 명시된 바와같이 반타원형의 밴드(1a)(1b)에 너트(2 a)(2b)를 용접하여 접착시키고 밴드(1a)(1b)에 형성된 구멍(8a)(8b)에 볼트(4a) (5a)(4b)(5b)를 끼우고 너트(6a)(7a)(6b)(7b)를 조여 형성된 반타원형 밴드(1a)( 1b)의 조임구성.
KR2019810005961U 1981-08-26 1981-08-26 코일 스프링 조정볼트 KR830002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961U KR830002618Y1 (ko) 1981-08-26 1981-08-26 코일 스프링 조정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5961U KR830002618Y1 (ko) 1981-08-26 1981-08-26 코일 스프링 조정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92U KR830000992U (ko) 1983-09-22
KR830002618Y1 true KR830002618Y1 (ko) 1983-12-07

Family

ID=1922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5961U KR830002618Y1 (ko) 1981-08-26 1981-08-26 코일 스프링 조정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6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92U (ko) 198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73084A (en) Coil spring booster
US3572678A (en) Overload spring structure
US4466635A (en) Vehicle suspension mechanism
KR830002618Y1 (ko) 코일 스프링 조정볼트
EP0063016B1 (en) Suspension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8820760B2 (en) Wheel axle suspension
CA1065351A (e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KR102062876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지지대
US2590050A (en) Safety shock absorber for front fork structure of bicycles
KR200334830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US3930547A (en) Snow vehicle suspension system
US2626144A (en) Adjustable spring suspension
US2151633A (en) Trailer or truck chassis and body
KR102253495B1 (ko) 자동차 서스펜션용 코일스프링장치
CN204161036U (zh) 稳定杆安装结构及车辆
US1897538A (en) Vehicle spring controlling means
US2521546A (en) Shock absorbing unit
US2181692A (en) Spring suspension for automobiles
KR102462363B1 (ko) 차량용 전륜 듀얼 쇽업쇼버
JPH09254623A (ja) リ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217590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391418B1 (ko)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0136859Y1 (ko) 차량의 프레임 크랙방지용 범퍼러버
KR20070111045A (ko) 새클 조립체를 이용한 차량의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튜닝구조
JPH10331890A (ja) 懸架機構のバンプストツ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