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385B1 - 칼라 텔레비전 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칼라 텔레비전 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385B1
KR830002385B1 KR1019800001203A KR800001203A KR830002385B1 KR 830002385 B1 KR830002385 B1 KR 830002385B1 KR 1019800001203 A KR1019800001203 A KR 1019800001203A KR 800001203 A KR800001203 A KR 800001203A KR 830002385 B1 KR830002385 B1 KR 83000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lter
color
signals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2476A (ko
Inventor
신타로오 나까가끼
이쯔오 다까나시
고오이찌로오 모또야마
다다요시 미요시
스미오 요꾜가와
겡이찌 미야자끼
Original Assignee
닛뽄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신지 이찌로오 filed Critical 닛뽄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1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385B1/ko
Publication of KR83000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1Colour filt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Generation or recovery of colour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텔레비전 신호 발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광학적 색분해 얼룩형 필터의 일부 확대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각 필터세조(細條)의 분광 감도 특성의 일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백색광촬상(攝像)시의 촬상관 출력신호 파형도.
제4도는 종래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 장치의 각 필터 특성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의 기본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계통도.
제6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표시 하는 블록계통도.
제7(a)도 내지 제7(c)도는 각각 특수 조건하에서 제6도의 각 요부의 신호 파형을 표시하는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본 발명 장치의 제2, 제3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 계통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신호의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구성으로 하여 광학적 색 분해 줄무늬 필터(Striped filter)를 통하여 피사체로 부터의 빛을 촬상관의 광도전면(또는 광전면)에 결상(結像)시켜 이 촬상관으로 부터 취출된는 신호중 상기 광학적 색분해 줄무늬 필터에 있어서의 필터 세조의 조수(組數)로서 정해지는 공간 주파수치를 가지는 반송파의 기본파 성분과, 이 반송파의 제2차 고조파 성분으로 부터 소정의 원색 신호를 분리 발생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2차 고조파 성분은 위상분만 사용하고, 그 진폭성분은 사용하지 않으므로써 상기 제2차 고조과 성분에 의한 색그림자의 발생을 없애주고, 또 평균치 검파에 의하여 소정의 2원색 신호를 분리 발생케 해주고, 더우기 상기 제2차 고조파 성분에 의한 수음의 영향이 거의 없이 양호한 S/N비의 원색신호를 발생케 해주고, 더욱 양호한 화질(畵質)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를 발생해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종래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장치(일본 특허윈 소 50-20405호)에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3개의 필터 세조 F1,F2,F3a가 일정한 순서로 같은 폭 a로의 수평주사 방향으로 배열된 광학적 색분해 줄무늬 필터를 사용하여 이 광학적 색분해 줄무늬 필터를 통하여 피사체 부터의 빛을 촬상관부터 취출되는 신호의 고역성분 신호 및 저역 성분 신호로 구분하고, 고역 성분신호의 정파와 부파를 각각 포락선 검파하여 2색 혼합신호로 얻어 이 혼합신호와 저역 성분 신호를 연산하여 적(R), 녹(G), 청(B)의 빛의 3원색 신호를 얻게한 것이다.
여기서 제1도에 있어서, F2은 빛의 3원색(가색법(加色法)의 3원색)중의 어느 하나의 원색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필터 세조로서, 또 F2는 F1을 투과하는 원색광과 이원색광의 원색 이외의 다른 2개의 원색중 어느 하나의 원색의 빛과의 혼합 색광만을 투과시키는 필터세조로서, F3는 백색광을 투과시키는 필터 세조이다. 제2도는 상기 광학적 색분해 줄무늬 필터의 분광감도 특성를 표시하며 I은 필터 세조 F1의 분광 감도 특성을, Ⅱ는 필터 세조 F2의 분광감도 특성을, 또 Ⅲ은 필터 세조 F3의 분광 감도 특성을 각각 표시한다.
상기의 광학적 색분해 얼룩형 필터를 통한 피사체 부터의 빛을 수광하여 광전(光電) 변환하는 촬상관으로부터 취출되어 전치(前値) 증폭기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는 백색광 촬상시에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된다. 제3도에서 F1,F2,F3는 상기 필터세조 F1,F2,F3와의 대응 관계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F1,F2,F3의 3개의 필터세조의 한조를 1주기로 하는 신호로 된다. 이전치증폭기 출력단에 있어서의 제3도에 표시하는 신호는 3색 혼합신호인 직류신호(直接波)와 상기 필터 세조 F1내지 F3의 1조(폭 3a)를 1주기로 하는 기본파 성분 및 그 고조파 성분으로부터 되는 교류신호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치증폭기의 출력신호는 제4도에 Ⅵ로 표시하는 통과주파수 대역(차단 주과수 fy)을 가지는 제1의 저역필터와 V로 표시하는 통과 주파수 대역(차단 주파수 fh)을 가지는 제2의 저역필터와 Ⅵ으로 표시하는 통과 주파수 대역(차단주파수 fh)을 가지는 고역 필터에 각각 공급된다. 상기 제1의 저역 필터에 의하여 휘도신호가 취출되어 상기 제2의 저역필터에 의하여 상기 직류신호가 취출된다. 또 상기 고역 필터로 부터는 상기 필터 세조 F1내지 F3의 1조의 폭으로 정해지는 공간 주파수 f1의 반송파를, 필터세조 F1을 투과하는 원색광 이외의 다른 2개의 원색광에 의한 혼합신호로 진폭변조된 기본파 Ⅶ1과, 상기 공간주파수 f1의 2배의 주파수 f2의 반송파를, 상기 혼합신호로 진폭변조된 제2차 고조파신호 Ⅶ2, 기타의 고차 고조파 성분으로 부터 피진폭변조색신호군이 취출된다. 이 피진폭변조 색신호는 그 정극성 부분과 부극성부분이 각각 따로이 포락선(包絡線)검파된 후 상기 제2의 저역필터의 출력신호와 같이 매트릭스에 공급되어 여기서 R,G,B의 3원색 신호로 변환된다.
종래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하면 필터 세조 F1내지 F3의 공간 주파수가 각각 같은 구성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모우어(mower)의 발생이 적고 또 광학적 색분해 줄무늬 필터나 촬상관등에 인덱스 펄스 밭생용의 세조가 필요치 않으므로 제작이 간단이 되며, 더우기 입사광량의 이용율의 향상해주는 바이어스 빛이 불필요하고, 또 더우기 촬상관의 조준면에 있어서 주변 부분과 중앙 부분에 있어서 변조도의 차에 의한 암영(暗影) 현상을 경감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 장치에 의하면 간이형의 소형 칼라 텔레비젼 카메라와 같이 신호 필요 대역과 반송파의 주파수가 충분히 떨어져 있지 않은 칼라 텔레비젼 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에는 상기 기본파와 제2차 고조파 성분이 포함하는 고역성분을 포락선 검파하여 필터 세조 F1을 투과하는 원색광 이외에 다른 2개의 원색광의 원색신호를 얻는데 있어 완전한 포락선을 얻는 것이 힘들고 평균치 성분이 포함되어 색오차를 생기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의 장치에 의하면 색복조시에 상기 제2차 고조파 성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촬상관의 특성에 있어서는 조준면에 있어서 주변부분과 중심 부분에서는 변조도가 다르고 또 기본주파수보다도 제2차 고조파 주파수에 것이 주변 부분에서의 열화(劣化)가 크고 그것이 색 암영 현상으로서 크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촛점 안정도에 대한 영향은 제2차 고조파 주파수의 것이 기본파 주파수의 것보다 많지만 상기의 장치에서는 제2차 고주파 성분을 색복조에 사용하고 있으므로 안정도가 나빳다. 또 더우기 제2차 고조파대의 잡음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S/N비가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 문제점을 모두 해결한 것으로서 제5도 이하와 같이 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장치의 기본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 계통도이다. 그림에서(1)은 전술한 광학적 색분해 줄무늬 필터로 일례로서 제1의 필터세조 F1을 녹색광만을 투과하는 필터 세조로 하고, 또 제2의 필터 세조 F2를 시안(cyan)색광만을 투과하는 필터 세조로 하며, 더우기 제3의 필터 세조 F3를 백색광을 투과하는 필터 세조로한 것으로 이후에 설명하겠다. 이 광학적 색분해 줄무늬 필터(1)를 투과한 피사체로 부터의 빛은 촬상관(2)의 광도전면에 결상되어 여기서 광전 변환된다. 촬상관(2)의 신호전극으로 부터 취출된 상기 신호는 전치증폭기(3)에 공급되어 여기서 적당한 레벨로 증폭된 후 대역필터(4) 및 (5)에 각각 공급된다.
지금 상기 전치증폭기(3)의 출력신호를 S1으로 하면 S1은 종래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장치(일본 특허원 소 50-24515호)와 같게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1
V=2πf(f는 색분해 줄무늬 필터(1)의 3개의 필터 세조에 의해서 정해지는 공간주파수)
촬상관의 변조도 특성이 각 주파수 100%의 이상상태(理想狀態)에서의 전치증폭기(3)의 S1의 출력신호 파형은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되어 F1에서는 iG,F2에서는 iG+iB, F3에서는 iG+iB+iR의 레벨로 된다. 이 각 레벨 iG,iB,iR이 필요한 3원색 신호에 대응한 것이다.
또 iG,iB,iR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레벨 관계로 된다.
또 촬상관 변조도 특성이 평탄치 않은 경우에는(1)식에 있어서 각 주파수 대의 항에 이 진폭보정을 행하면 동일 신호가 된다. 이하 이상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나 실제의 특성과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등가이다.
대역필터(4)는 상기 주파수 f 및 그 근방 주파수 성분을 통과시키며, 또 대역필터(5)는 주파수 2f 및 그 근방 주파수 성분만을 분리 여파(諦波)한다. 따라서 대역필터(4)로 부터 제4도에서 Ⅶ1로 표시하는 기본파 성분 신호 S2가 취출되는 한편, 대역 필터(5)로 부터 Ⅶ2로 표시하는 제2차 고조파성분 신호 S3가 취출된다. 여기서 S2,S3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2
상기의 신호 S2및 S3는 각각 곱셈회로(6)로 공급되어 여기서 곱셈되어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신호 S4로 된후 출력단자(7)로 부터 출력된다. (4)식의 우변 제1항은 색에 의하여 위상이 변화하지 않은 신호이고, 또 우변 제2항은 주파수가 신호 S2와 동일하며 또 위상이 색에 의하여 S2와 역방항으로 2배의 양으로 편이(偏移)하는 신호이다. 또 상기 우변 제1항과 제2항의 신호의 주파수가 각각 다르고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B신호와 R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신호 S1은 제4도에서 Ⅳ로 표시하는 통과 주파수 대역의 저역필터(도시않음)에 의하여 휘도신호가 취출되며 또 V로 표시하는 통과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저역필터(도시않음)에 의하여 직류신호(3색 혼합신호가)취출되지만 여기에서는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곱셈회로(6)의 출력신호 S4에 착안한 것으로서 이하(4)식의 우변 제2항의 신호 성분을 사용한 경우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장치의 제1실시예의 블룩계통도를 표시한다. 제6도에서 제5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대역 필터(5)의 출력신호 S3는 진폭제한기(8)로 공급되어 여기서 항상 일정한 진폭의 신호 S5로된 후 곱셈회로(9)로 공급된다. 이 일정 진폭의 신호 S5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3
로 된다.
상기 곱셈회로(9)는 상기 진폭 일정한 신호 S5와 대역필터(4)부터의 신호 S2를 각각 곱셈한 신호 S6를 출력한다. 이 곱셉 출력신호 S6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4
상기 신호 S6은 기본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필터(10)를 경유하고 가산회로(11)로 공급되어 여기서 대역필터(4)부터의 신호 S2와 가산되는 한편 감산회로(12)로 공급되어 여기서 상기 신호 S2와 감산된다. 지금 대역필터(10)를 통과한 신호를 S7로 하면 S7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5
상기 가산회로(11)는 신호 S2
Figure kpo00006
배(倍)하여 신호 S7배하여 양신호를 각각 가산한 신호 S8을 출력한다. 또 상기 감산회로(12)는 신호 S2
Figure kpo00008
배한 신호부터 신호 S7
Figure kpo00009
배한 신호를 뺀 신호 S7를 출력한다. 따라서 신호 S8및 S9는 각각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0
여기서(9)식, 19)식중에 있어서의 ± 기호는
iB>iR일때 +
iB<iR일때 -
의 값을 취한다. 상기 신호 S8은 검파회로(13)로 공급되어 또 상기 신호 S9는 검파회로(14)로 공급된다.
상기 검파회로(13),(14)는 포락선 검파, 2승 검파는 물론 평균치 검파에 의하여도 신호 S8,S9를 검파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장치에 의하면 기본파 S2와 제2차 고조파성분 S3등의 고조파 성분으로 부터 되는 고역성불 신호를 검파하고 있기 때문에 이 고역성불 신호가 색에 의하여 교류영 레벨부터 정(+)측의 파고치와 부(-)측의 파고치가 다르고 또 정,부 양측의 평균치는 같은 파형이기 때문에 포락선 검파 밖에 하지 못하였든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곱셈회로에 의하여 신호 S2와 S3의 곱셈 출력신호를 얻어 이것부터(9)식 또는(10)식의 S8,S9의 신호와 같이 단일의 반송파로 색에 의하여 진폭이 변하는 신호를 검파하기 때문에 평균치 검파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검파회로(13)의 검파 출력신호 S10은 출력단자(15)부터 매트릭스 회로(도시않음)에 공급되어 또 이것과 동시에 검파회로(14)의 검파 출력신호 S11은 출력단자(16)부터 상기 매트릭스회로에 공급된다. 상기 검파 출력신호 S10및 S11은 각각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1
상기 신호 S10이 B신호이고 상기 신호 S11이 R 신호이다.
여기서 각 특수 조건때의 값을 구해본다.
Figure kpo00012
이상부터 신호 S10, S11이 각각 B신호, R신호로 불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7(a)도 내지 제7(c)도는 각각 상기의 특수조건하에서의 각 신호 파형을표시한다.
상기(1)의 iB=iR=i 일때 즉 피사체로 부터 백색광 또는 마젠타(magenta)색광이 광학적 색불해 줄무늬 필터(1)를 경유하여 촬상관(2)에 부여되었을때에는
Figure kpo00013
는 제7(a)도에서 Ⅷ로 표시한 바와같이 되며 또
Figure kpo00014
은 (A)에서 Ⅸ로 표시한 바와 같이 동일 레벨로서 위상이 다른 신호로 된다. 또 신호 S8의 파형은 제7(b)도에서 곡선 X로 표시한 바와 같이 되며, 신호 S9의 파형은 (C)에서 곡선 Ⅸ로 표시한 바와 같이 된다.
또 피사체부터의 빛이 청색광일 때에는 iB=i, iR=0이고
Figure kpo00015
은 공히 제7(a)도 중 Ⅷ, Ⅸ'로 표시한 바와 같이 되어 동일 레벨에서 동상이 된다. 또 이때의 신호S8, S9는 각각 제7(b)도, 제7(c)도에서 Ⅹ', Ⅸ로 표시한 바와 같이 되어 S8만이 취출되며, 신호 S9는 0이 된다. 한편 피사체부터의 빛이 적색광 일때는 iB=0, iR=i로서
Figure kpo00016
은 공히 제7(a)도중 Ⅷ", Ⅸ로 표시한 바와 같이 되어 동일 레에서 역상이된다. 따라서 신호 S8은 제7(b)도에서 X'로 표시한 바와 같이 소정 레벨의 R신호가 취출된다.
제7(a)도 내지 제7(c)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S8, S9는 백색광 또는 마젠타 색광 촬상시와 청색광 또는 적색광의 단색광 촬상시에서 레벨이 다르지만 그 레벨차는 극소하여 실용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 광학적 색불해 줄무늬 필터(1)의 3개의 필터 세조의 각각의 불광감도 특성을 S/N가 양호하게 되도록한 종래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장치(일본 특허원 소 53-23590)에 적용한 경우는 R,B의 포화도가 높아지고 말지만 그의 상응하여 총합적으로는 상기의 백색광 촬상기와 단색광(청색광 또는 적색광) 촬상시에서 다른 레벨을 작게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제1 실시예의 S/N의 개선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S/N을 검토하는데 있어서 지금 잡음을 단일 반송파 잡음으로서 취급하여도 총합 잡음은 사용 주파수 대역내의 적불치를 취하면 되고, 또 특히 종래 방식과 비교하는 경우에는 단일 반송파 잡음과 비교 하여도 동등의 비교가 된다.
따라서 잡음을 단일반송파 잡음으로서 취급하는 것으로 하여 기본파 성불 대역에 있어서의 잡음 en1을 En1sin wn1t, 제2차 고조파 성분 대역에 있어서의 잡음 eㅜ2를 En2sin wn2t 로 하면 제6도의 대역 필터 4, 5의 잡음을 고려한 경우의 출력신호 S2', S3'은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7
(16)식의 신호 S3'은 진폭 제한기(8)에 의하여 일정진폭의 신호 S5'로 되지만 이 신호 S5'은 다음식으로 표시 된다.
S5'=-sin2wt-ψ-X2sin(2wt-ψ-wn2t) ........(17)
또 신호 S6'은
wc1t=wt-wt, wn1t, wc2t=2wt-wn2t
로 하면 다음식으로 표시 된다.
S6'=A{1+X, cos(wc1t+ψ) cos{wt-2ψ+X1sin(wB1+ψ)-X2sin(wc2t-ψ)}..............(18)
(15)식 및 (18)식부터 가산회로(11)의 출력신호 S8'은 다음식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된다.
Figure kpo00018
이다. 따라서 각 특수 조건시의 검파회로(13)의 출력단의 신호 S10'중의 잡음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19
여기서 이하 기본파 성분 대역중의 잡음을 n,, 제2차 고조 파성분 대역중의 잡음을 n2로 하면 S10' 중의 잡음은(20)식으로 부터
Figure kpo00020
로 된다. 따라서 지금 n1=n2일때의 총합 잡음 N은
Figure kpo00021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S10'의 신호진폭 S는 t-26 이므로 n1=n2일때의 잡음대 신호비는
N/S=n ………(23) 
이 된다.
Figure kpo00022
따라서 S10'은 (19)식의 진폭성분이으로
S10'=2A{1+X1cos(wc1t+30°)}……(24)
로 된다. 따라서(24)식부터 잡음 성분 n은 2n1이 되므로 총합 잡음 N도 2n1이 된다.
한편 S10'의 신호진폭은 전술한 바와 같이
Figure kpo00023
이므로 잡음대 신호비 N/S은 n1이 된다.
3)ψ=-30°(iR=i, iB=0 일때
Figure kpo00024
이 0 이므로 N은 0 이된다.
이상으로 부터 녹색 투과 필터 세조 F1으로 투과되지 않은 다른 2개의 원색(적 및 청)의 빛의 촬상시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차 고조파성분 대역의 잡음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이 알게 된다. 또 종래의 제안장치(일본 특허원 소 50-20405호)와 같이 포락선 검파에 의하여 복조하는 경우의 같은 해석에 의한 N/S는 1.76N로 되며, 이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n1=n2일때는 상기 제안장치에서는 n1과 n2의 영향이 1:1였든 것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백색광 또는 마젠타 색광 촬상시의 경우에는 1:0.7로 n2의 영향을 적게할 수가 있고, 청색광 또는 적색광의 단색광 촬상시에는 n2의 영향이 0이 되며, 이 단색광 촬상시에는 S가 0의 찬넬일때 N도 0이 되기 때문에(상기 3)의 (ψ=-30°의 경우) 총합으로서는+5 dB 이상의 개선이 얻어 진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차 고조파 성분신호 S3의 진폭성분은 진폭제한기(8)에 의하여 사용하지 않고 위상 성분만을 사용하면서 색복조하고 있기 때문에 색새이딩(shading)의 발생은 S2만으로 결정되어 양호한 화질이 얻어진다.
또 제6도중 대역필터(10)를 생략하여 가산회로(11)의 출력신호로 부터 기본파성분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 필터와 감산회로의 출력신호로 부터 기본파 성분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필터를 설치하여도 좋다.
제8도는 본 발명장치의 제2실시예의 블룩 계통도를 표시한다. 도면중 제5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곱셈회로(6)로 부터 취출된(4)식으로 표시되는 신호 S4는 주파수 f 및 그 근방 주파수의 기본파 성분신호만을 분리 여파하는 대역필터(l7)를 경유하여 진폭제한기(18)로 공급되어 여기서 소정의 일정 진폭으로 된다. 여기서 대역필터(17)의 출력신호를 S12, 진폭제한기(18)의 출력신호를 S13로 하면 양 신호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25
진폭제한기(18)의 출력신호 S13는 대역필터(4)의 출력신호 S2와 곱셈회로(19)에 있어서 곱셈된 후 저역필터(21)에 공급되어 제2차 고조파 성분이 제거된다. 곱셈회로(19)의 출력신호 S14및 저역필터(21)의 출력신호 S16은 각각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26
이것에 의하여 출력단자(23)로 부터 신호 S17이 신호 B로서, 또 출력단자(24)로 부터 신호 S18이 R신호로서 각각 취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백색광 또는 마젠타 색광 촬상시의 신호 S17및 S18의 출력레벨은 전기 제1 실시예와는 역으로 청색광 또는 적색광의 단색광 촬상시의 그에 의하여 (30)식 (31)식에서 부터 아는 바와 같이 작게되지만 이것은 작으므로 실용상 문제는 안된다.
제9도는 본발명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블록계통도를 표시한다. 여기서도 제8도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곱셈회로(6)의 출력신호 S4는 대역필터(25)에 공급되어 여기서 상기 공간 주파수치 f의 3배의 주파수 성분이 분리되어서 신호 S19로된 후 진폭 제한기(26)에 의하여 항상 일정 진폭의 신호로되어 1/3카운트 다운 회로(27)에 공급된다. 상기 신호 S19는 (4)식부터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27
상기 1/3 카운트 다운 회로(27)에 의하여 주파수가 1/3로 강하되어서 취출된 신호 S20은 곱셈회로(28)로 공급되어 여기서 대역 필터(4)로 부터의 신호 S2와 곱셈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 S20
S20=ws wt ...........(33)
로 표시되므로(30)식과 (2)식부터 곱셈회로(28)의 출력신호 S21은 다음식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Figure kpo00028
상기 곱셈회로(28)의 출력신호 S21은 저역필터(29)에 의하여 제2차 고저파 성분이 제거되어 신호 S22로 된후 검파회로(20)의 출력 검파신호 S15와 같이 매트릭스회로(30)에 공급된다.
상기 신호 S22는 (34)식 부터
Figure kpo00029
로 된다. 상기 매트릭스회로(30)는 (29)식에서 표시되는 신호 S15와 상기(35)식으로 표시되는 신호 S22를 4배로 레벨 증강한 신호와의 화 및 차의 연산을 하여 출력단자(31),(32)로 부터 신호 S23, S24를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호 S23, S24는 각각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30
이와같이 하여 출력단자(31)로 부터의 S22이 B신호로서, 또 출력단자(32)로 부터 신호 S24가 R신호로서 각각 분리하여 취출된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하여 취출된 신호 S10, S17, S23와 R신호 S11, S24에는 각각 매트릭스회로에 공급되어 여기서 상기 제4도에서 V로 표시하는 통과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저역 필터에 의하여 상기 신호 S1으로 부터 취출된 직류신호(3색 혼합신호)의
Figure kpo00031
와 매트릭스 되는 것에 의하여 R,G,B의 3원색 신호가 취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장치는 촬상관 출력신호로 부터 불리한 고역성불 신호로 부터 제1의 필터 세조를 투파하는-의 원색광을 제외한 다른 2원색광에 의한 혼합신호가 복조되는 복조 회로를 상기 고역성불 신호로 부터 제1내지 제3의 필터 세조의 반복으로 정해지는 공간 주파수치의 반송파가 진폭변조된 형태의 기본파성불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1의 대역 필터와, 상기 공간 주파수치의 2배가 되는 주파수치의 반송파가 진폭 변조된 형태의 제2차 고조파성분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2의 대역필터와, 상기 제1및 제2의 대역 필터의 각 출력신호를 각각 곱셈하는 곱셈회로와, 이 곱셈회로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의 대역 필터의 출력신호부터 상기 제1의 필터세제를 투과하는 원색광을 제외한 다른 2원색광에 의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회로 수단에 의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2차 고조파 성분신호는 위상 성분만 사용되어 진폭성분은 사용되지 않으므로 촬상관의 조준면외 중심 부분과 주변부분으로 상이한 변조도로 기인하는 색 새이딩의 영향을 기본파 성분 신호만으로 결정할 수가 있고 또 제2차 고조파대의 잡음의 영향을 거의 받는 일없이 양호한 S/N비의 원색신호를 얻을 수가 있으며 특히 상기 고역성분신호로 부터 얻어지는 2원색 신호의 2원색 빛 어느 한쪽만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제2차 고조파대의 잡음의 영항을 전혀 받지 않고, 또 기본파 성분대의 잡음의 영향도 그 이외의 빛 촬상시의 거의 반 정도로 되어 양호한 화질이 얻어져 더욱 촛점 안정도도 향상할 수가 있으며, 더우기 검파하는 신성(예를들면 전기 곱셈회로의 출력신호와 제1의 대역필터의 출력신호와의 가산 또는 감산신호 혹은 제1의 대역필터의 출력신호)는 단일의 반송파로 진폭이 색에 의하여 변한 것이 되므로 평균치 검파회로에 의하여도 소요의 원색신호를 검파할 수가 있어서, 포락선 검파하는 장치에 비하여 색오차를 적게 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필터 세조군이 나란히 연속적인 배열로 구성되는 색-분해 줄무늬 필터에서, 상기 필터 세조군은 적어도3개의 필터 세조로 구성되는데 제1필터 세조는 색혼합법의 3개의 원색(原色)중 어느 하나의 원색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특성을 갖으며, 제2필터 세조는 상기 제1필터세조를 투과하는 원색광과 상기 원색광의 원색이외의 다른 2개의 원색중 어느 하나의 원색과의 혼합색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특성을 갖으며, 제3필터 세조는 전체의 색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특성을 갖는 색-분해 줄무늬 필터와, 상기 색-분해 줄무늬 필터를 전단에 배치시켜두고 상기 색혼합법의 3개의 원색신호를 포함하는 직접 피신호와, 상기 색-분해 줄무늬 필터의 필터세조군의 조수(組數)로서 결정하는 공간 주파수와 동등한 주과수 반송파 및 피반송파 주파수의 고조파 관계인 주파수 반송파 분이 상기 제1필터 세조를 투과하는 원색광 이외의 2개의 원색신호에 따라서 각각 진폭변조 시킨 것으로 피변조 색 신호군으로부터 생성된 고역성분 신호와의 중량신호를 출력신호로서 송출하는 촬상관을 구비하는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장치에 있어서,
    제1분리장치(4)를 촬상관의 출력신호 부터의 공간 주파수에 동등한 주파수 반송파가 진폭 변조된 형태의 기본파 성분 신호를 분리취출하게 하고, 제2분리장치(5)를 전치 증폭기(3)의 출력단과 곱셈회로(6)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신켜 상기 촬상관의 출력신호로 부터의 상기 반송파 주과수의 2배의 주파수 성분이 진폭변조되는 형패의 제2차 고조파 신호를취출하게 하며, 곱셈장치(6,9)를 상기 제1및 제2 분리장치의 출력신호를 곱하게 하고, 대역필터(10,17,25)를 검파회로(14,21,29)로 각각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이 상기 곱셈장치의 출력신호와 상기제1 분리 장치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제1의 필터세조를 투과하는 원색광 이외의 다른 2개의 원색광 신호를 각각 분리 취출하게 하며, 상기 촬상관의 출력신호로 부터 직접 피신호를 분리하도룩 한 분리장치로 구성시키고, 매트릭스 장치(22,30)를 대역필터 및 검파회로에 연결하여 상기 분리장치 및 상기 2개의 원색광 신호를 분리 출력하는 장치의 출력신호로 부터 3개의 원색신호를 얻도룩 구성함을 특징으로 히는 칼라 텔레비젼 신호 발생장치.
KR1019800001203A 1980-03-22 1980-03-22 칼라 텔레비전 신호 발생장치 KR83000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203A KR830002385B1 (ko) 1980-03-22 1980-03-22 칼라 텔레비전 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203A KR830002385B1 (ko) 1980-03-22 1980-03-22 칼라 텔레비전 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476A KR830002476A (ko) 1983-05-28
KR830002385B1 true KR830002385B1 (ko) 1983-10-25

Family

ID=1921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203A KR830002385B1 (ko) 1980-03-22 1980-03-22 칼라 텔레비전 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63B1 (ko) 2017-01-06 2020-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틸 3급-부틸 에테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2476A (ko) 198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1287A (en) Color filter
US7307657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luminance signal
US4041528A (en) Color television signal generating apparatus for use in a single camera tube
JPH0225593B2 (ko)
US4282547A (en) Color image pick-up apparatus
EP0086447B1 (en) Solid state color imaging apparatus
US4277800A (en) Color television signal generating apparatus
JPH0345593B2 (ko)
KR830002385B1 (ko) 칼라 텔레비전 신호 발생장치
PL129458B1 (en) Circuit for reproducing and emphasizing vertical details of television picture
JPS5911309B2 (ja)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発生装置
US4160265A (en) Vertical aperture correction circuit
JPS60254977A (ja) カラ−固体撮像装置
US3715466A (en) Color television camera equipment
JPS6019482B2 (ja) 光学的色分解縞状フイルタ
US4087836A (en) Signal processing for an imaging device
JPS58179087A (ja) テレビジヨンカメラの解像度を高める方法
US3813490A (en) Colour television cameras
KR790001240B1 (ko) 칼라촬상용 색분해 필터
SU1515401A1 (ru) Однотрубочна камера цветного телевидени
JPS6253586A (ja) カラ−固体撮像装置
KR790001241B1 (ko) 칼라 촬상용 색분해필터
SU745017A1 (ru) Передающа камера цветного телевидени
JPS5999762A (ja) カラ−固体撮像装置
JPS5919672B2 (ja) テレビジヨンカメラにおける干渉信号除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