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337B1 - 연기 검출기 - Google Patents

연기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337B1
KR830002337B1 KR1019800002399A KR800002399A KR830002337B1 KR 830002337 B1 KR830002337 B1 KR 830002337B1 KR 1019800002399 A KR1019800002399 A KR 1019800002399A KR 800002399 A KR800002399 A KR 800002399A KR 830002337 B1 KR830002337 B1 KR 83000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moke
detector
detection
smok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102A (ko
Inventor
마꼬도 하뉴
Original Assignee
니뽕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이샤
메시다 사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이샤, 메시다 사까이 filed Critical 니뽕 게이비 호쇼 가부시끼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337B1/ko
Publication of KR83000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102A/ko
Priority to KR1019830004073A priority patent/KR830002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기 검출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연기검출기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III-III-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제3도까지 도시된 연기검출기의 부분적인 단면인 평면도.
제5도는 제1도에서 제4도까지 도시된 겸출기에 연합된 연기검출유니트의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횡단면도.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생성되는 연기를 바쁘게 검출하는 고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기입자에 의해 분산된 광선의 검출을 통해 연기의 검출이 이뤼지는 형태의 개량된 연기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기검출기는, 광선이 검출기속으로 들어간 연기에 투사되어 그 광선은 연기의 입자에 의해 분산되며, 또 분산된 광선은 연기의 검출을 지시하는 소리신호로 발생되는 광전소자에 의해 검출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기검출기에서는 광선이 연소의 초기단계에서 생기는 엷은 연기에 투사될때, 광선의 작은 부분만이 엷은 연기입자에 의해 분산된다. 절국, 분산된 광선은 기껏해야 수천분의 일럭스(LUX)의 광선의 조명도 약해진다. 다른 한편으로는, 종래의 연기검출기가 연기검출기가 요구되는 곳에 배치될 때, 주위의 광선은 수백럭스의 조명도로 매우 강해질 수 있다. 더구나, 연기검기가 태양광선에 직접 노출될 때, 주위광선의 조명도는 수만럭스까지 높아진다. 그러므로 종래의 연기검출기는 캠버(chamber)내로 공기의 흡입은 허용하나 주위광선이 들어오는 것은 허용하지 않도록 매우 복잡하고 어두운 캠버를 내부에 갖는다. 일본국 공개실용신안원 제54(1979)-29078호나 제54(1979)-12390호는 종래의 연기검출기에 제공되는 그린 복잡하고 어두운 캠버를 구비한다. 절국, 종래 연기검출기의 물리적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검추기의 크기도 커야만 했으므로 제조비용도 많이 들었다. 더군다나, 종래의 연기검출기의 복잡하고 어두운 캠버는 연기의 느린 흡입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연기검출기는 연소의 초기단계에서 생기는 연기를 확실하게 검출하는데 가끔 실패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연기검출기를 개량하여 상술된 절점들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으로, 연소의 초기단계에서 생기는 연기를 빨리 검출할 수 있는 고감지 연기검출기를 제공하면서 단순한 구조의 캠버뿐 아니라 검출된 연기가 검출기속으로 들어오는 경우와 들어오지 않는 경우의 검출기의 출력의 비로 정의된 신호대 잡음비(S/N)를 갖는 연기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발명에 따른 목적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부터 확실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학장치(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기검출기의 광선입수 및 광선검출부(3)와 광선방출부(2) 내에서 연합한다. 광학장치(1)는 기초핀(4)상에 설치되고, 광학장치(1)의 광선방출부(2)는 광선을 방출하는 광원(5), 각관원(5)을 지지하고 광원의 방사각을 절정하는 간극부재(10a)와, 광선투과 구면체소자(6a)로 제공된다. 광원(5)은 예를들면, 통상 LED 소자로 불리는 광성방출 다이오드가 될 수 있다. 구면체소자(6a)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갖는 광선출구부(7a)는 광선방출부(2)의 끝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광선방출부(2)는 광출구부(7a)를 통해 광선방출부(2)의 외부를 향해 광선을 방출한다. 플랜지(flange)부(8)는 광선출구부(7a)의 외부를 향해 광선출구부(7a)의 의주부로부터 신장된다. 플랜지부(8)는 광원(5)에 의해 방출된 광선이 광선검출부(3)내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광선방출부(2)의 광원(5)은 일반적으로 상술된 LED 같은 반도체 광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가시광선방사소자, 적외선방사소자, 자외선방사소자 및 백색광 방출램프와 같은 많은 다른 광원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광선검출부(3)는 광선이 광선방출부(2)로부터 방출되는 공간을 경유하여, 광선방출부(2)와 직각의 위치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광선검출부(3)는 광선입수구(7b)로 형성되고, 또 광선입수구(7b)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광선투과구면체소자(6b)와 간국부재(10b)와 광전소자(9)와 같은 광선감지소자로 제공된다. 간극부재(10b)는 구면체소자(6b)를 지지하고, 상술된 공간내로 들어오는 연기입자로부터 분산된 광선이 광전소자(9)의 광선입수면을 향해 미리 예정된 수렴각으로 통과하는 개구를 갖는다. 그러므로, 광원(5)으로부터 방출된 광선은 간극부재(10a)와 구면체소자(6a)와 광선방출부(2)의 광선출구부(7a)를 통과하며, 또 연기검출기 속으로 들어오는 연기에 투사된다. 결국, 광선은 연기의 입자로부터 분산된다. 분산된 광선은 광선입수구(7b)를 통해 광선검출부(3)로 들어간다. 그래서, 광선검출부(3)에서, 연기의 검출은 분산될 광선의 검출을 통해 이뤼진다. 광선투과면체소자(6a 및 6b)들이 각각 플라스틱재료나 유리로 만들어진 구면체인 것을 주지해야 한다. 광선투과구면체소자(6a)의 구면형상은 광원의 중앙축을 구면체소자(6a)의 광학축으로 정열하기가 매우 쉽게 때문에 광선방출부(2)를 조립하는데 장점이 있다. 더구나, 광선투과구면체소자(6a 및 6b)는 짧은 초점거리와 작은 구경을 갖는 광학소자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광선방출부(2)와 광선검출부(3)를 연합하는 광학장치(1)는 매우 작게 조립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선방출부(2)의 광선출구부(7a) 부근의 공간속으로 연기를 들어보내는 것으로부터 강하게 분산된 광선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하게 분산된 광선을 광선검출부(3)로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만약연기가 아주 엷더라도 연기의 검출이 확실하고 믿을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된다.
기초판(4)에 장치된 상술된 광학장치(1)는 하우징(13) 각 하우징(13)의 꼭대기에 부착된 상부 덮개(11)속에 포위된다. 상부덮개(11)는 상부덮개(11) 내예 형성된 어두운 캠버속으로 주위광선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광학장치(1)는 강하게 분산된 광선의 검출을 통해 연기의 검출이 확실히 이뤼지는 매우 정밀한 조립체로 되기 때문에, 연기검출기 속으로의 주위광선의 흡입이 완전히 예방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사실은 상부덮개(11)내에 형성된 어두운 캠버의 구조를 간단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실시에의 연기 검출기에서, 간단한 광선봉쇄판(12a 및 12b)들은 상부덮개(11)내에 배치되어 태양광선들을 어두운 캠버내로 직접들어 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연기검출기는 감도 놈은 연기검출장치가 될 수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광학장치(1)의 반대편에 배치된 한쌍의 광선봉쇄판(12a)은 주위 광선이나 태양광선들이 상부덮개(11) 내에 형성된 커다란 연기입수구(11a)를 통해 어두운 킴버내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광선봉쇄판(12b)은 주위광선이 상부덮개(11)이 형성된 작은 연기입수구(11b)를 통해 어두운 캠버예 직접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제5도에 잘 도시된 것처럼, 광선봉쇄판(12b)은 또한 광선이 상부덮개(11)의 내면으로부터 반사된 후에 광선방출부(2)로 부터 방출된 광선이 광선이 광선검출부(3)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판(12b)은 상부덮개(11)의 내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선을 흡수한다.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면, 연기검출기는 광전소자(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종래의 전기적 증폭기(14)를 갖는다. 증폭기(14)는 광선검출부(2)의 광전소자(9)로 부터 나오는 전기적 연기검출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신호는 경보기(도시안됨)나 소화기(도시안됨)를 작동하는데 사용된다.
광선방출부(2)의 광원(5)이 가시광선의 파장을 제외한 파장을 갖는 광선으로 방출되는 연기검출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앞으로 기술될 것이다. 즉, 광원(5)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한다. 광원(5)의 대표적인 예는 최고파장 9,400Å의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방출다이오드(LE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광선검출부(3)는 상술된 적외선만 통과할 수 있는 광선선택소자를 사용한다. 광선선택소자의 대표적인 예의 하나로, 피러ㅌ(filter)(15) (제5또)는 9,200Å 보다 작은 파장을 갖는 광선을 봉쇄하는데 사용되고, 또 광선입수구(7b) 근처에 배치된다. 광선선앗소자의 다른 예에서, 광선감지소자로 사용되는 공지의 광전소자는 (9) 미리 선택된 파장을 갖는 광선에 반응하는 선택된 광선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광선선택소자의 다른 예에서 광선투각 구면체소자(6b)는 상술된 필터부재(15)와 같은 필터작용을 하는 재료로 될 수 있다. 더우기, 필터부재(15)는 광전소자(9)와 광선투과구면체소자(6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들이 광선방출부(2)의 광원(5)으로 방출될 때, 적외선들은 연기검출기의 어두운 캠버버내로 들어가는 연기에 의해 분산된다. 그래서, 분산된 적외선에서, 9,200Å 이상의 파장을 갖는 성분들을 필터부재(15)를 통해 광선검출부(3)내로 들어갈 수 있다. 그러므로, 광선검출부(3)는 검출기의 주위광선을 포함하는 가시광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결국, 연기검출기의 실수없이 커다란 연기검출능력을 갖는다. 더우기 상부덮개(11)내에 형성된 어두운 캠버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연기는 어두운 버속으로 쉽게 들어올 수 있다. 그러므로, 연기의 빠른 검출은 본 발명의 연기검출기에 의해 보장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적외선이나 자외선 같은 비가시광선이 사용되는 경우에, 상부덮개(11)는 제거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에, 약간의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그 방면의 숙련공에 의해서 일어날 수도 있다.

Claims (1)

  1. 연기검출기에 있어서, 광선 방출부(2)를 광원(5)과 이 광원으로부터 연기를 향해 광선이 통과하도록 해주는 광 투과 구면체소자(6a)로 구비시켜, 검출기내로 유입되는 연기에 광선이 투사되게 하고, 광선검출부(3)를 분산된 광의 검출에 응답하여 연기 검출신호가 발생되는 광전소자(9)와 상기 광전소자(9)를 향해 상기 분산된 광선이 통과하도록 해주는 광 투과 구면체소자(6b)로 구비시켜 상기 연기의 입자로부터 분산된 광선이 입수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검출기.
KR1019800002399A 1980-06-18 1980-06-18 연기 검출기 KR83000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399A KR830002337B1 (ko) 1980-06-18 1980-06-18 연기 검출기
KR1019830004073A KR830002339B1 (ko) 1980-06-18 1983-08-30 연기 검출기용 광선 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399A KR830002337B1 (ko) 1980-06-18 1980-06-18 연기 검출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073A Division KR830002339B1 (ko) 1980-06-18 1983-08-30 연기 검출기용 광선 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102A KR830003102A (ko) 1983-05-31
KR830002337B1 true KR830002337B1 (ko) 1983-10-22

Family

ID=1921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399A KR830002337B1 (ko) 1980-06-18 1980-06-18 연기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3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102A (ko) 198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1178C2 (ru)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й участок,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датчик дыма и система всасывающего тип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рисутствия дыма
US4857895A (en) Combined scatter and light obscuration smoke detector
US8232884B2 (en) Carbon monoxide and smoke detectors having distinct alarm indications and a test button that indicates improper operation
US4906978A (en) Optical smoke detector
GB1561421A (en) Smoke sensor
US7940190B2 (en) Smoke detector
TW201329913A (zh) 光電式煙偵測器
US4221485A (en) Optical smoke detector
WO2020189630A1 (ja) 煙感知器
US4488049A (en) Moving wall test device in optical smoke detectors
CN111080960A (zh) 一种带有导光散射结构的烟感探测装置
KR830002337B1 (ko) 연기 검출기
CA1050631A (en) Photocell smoke detector
KR830002339B1 (ko) 연기 검출기용 광선 선택장치
JPS6153550A (ja) 光電式煙感知器
EP0021671A1 (en) A smoke detector
CN110940619A (zh) 一种高精准烟雾探测器
CN217955230U (zh) 烟雾检测装置及烟雾报警器
RU2698961C1 (ru) Датчик дыма
JPH0650075Y2 (ja) 散乱光式煙感知器
JP2800843B2 (ja) 光電式煙感知器
JPH04322397A (ja) 確認灯付き煙感知器
JP2000321130A (ja) 反射型フォトセンサ
JP2528862Y2 (ja) 光電式煙感知器
JPH07120477B2 (ja) 散乱光式煙感知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