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879B1 - 구두뒷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두뒷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879B1
KR830001879B1 KR1019820001652A KR820001652A KR830001879B1 KR 830001879 B1 KR830001879 B1 KR 830001879B1 KR 1019820001652 A KR1019820001652 A KR 1019820001652A KR 820001652 A KR820001652 A KR 820001652A KR 830001879 B1 KR830001879 B1 KR 83000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late
main body
shoe
rear axl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2000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성
Original Assignee
정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성 filed Critical 정대성
Priority to KR101982000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두뒷축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뒷축 본체와 접지판을 구분 성형하는 단면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뒷축 본체와 접지판을 적층되게 접합 성형하는 단면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구두 뒷축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금형 2 : 하부금형
3 : 격판 4 : 프레스
본 발명은 구두 뒷축의 본체외 접지판(TREAD WEAR)을 단일체로 상하 적층되게 성형 제조하는 구두뒷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두 뒷축의 본체를 성형하는 상부금형과 접지판을 성형하는 하부금형을 상하 대접할 수 있게 형성하여 반가류 상태의 본체 성형재와 접지판의 성형재를 각각 상하 금형에 구분하여 넣고 상하금형 사이에 강철 격판을 끼워 1차적으로 본체와 접지판을 상하 분리상태로 압형한 다음 반가류 상태에서 격판을 분리하고 2차적으로 가압하여 상부 본체의 저면과 하부 접지면의 상면이 횡직신의 평활면으로 접착된 단일체의 뒷축으로 적층 성형한 후 가열 처리하여 본체와 접지판이 완전 일체로 적층된 구두 뒷축을 제조함을 특징으로한 것으로 이는 적의한 원재질로서 구두 뒷축의 강도를 높이고 접지면의 마모도를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보다 용이하게 구두 뒷축을 신발에 부착하여 구두를 능율적으로 다량 생산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의 구두 뒷축은 본체와 접지판을 각각 설정된 특정의 재질로 각각 성형 제작하누다음 구두에 부착할 때는 본체를 먼저 구두에 부착하여 그 전면을 평활하게 연마지를 갈어내고 본체의 저면 형태와 일치된 넓이로 접지판을 재단한 다음 접지판의 상면을 역시 연마지로 평활하게 갈어낸 후 접착제를 도포하여 본체의 저면에 접착하고 경화된 후 본체와 접지판의 주연부를 일치되게 끝손질하여 구두를 제조하였기 때문에 뒷축을 부착하는 공정과 수수(手數)가 복잡하여 능율적으로 구두를 제조하기 어렵고 사용중 뒷축의 본체로 부터 접지판이 지면과의 마찰로 용이하게 박리 되어서 오래 신을 수 없고 자주 수선을 해야하는 경제적 부담과 번거로운 불편이 있었다.
종래 구두 뒷축을 본체의 접지판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제작하게 되는 주요 이유는 구두 뒷축의 본체와 접지판은 그 재질 강도가 다르고 색상이 다르며 용적과 형태 등이 다르기 때문에 자연 개별 제작한 다음 구두에 부착할 때 본체와 접지판을 증첩되게 접착 하였던 것이다.
물론 구두 뒷축의 본체의 재질과 접지판의 재질이 각각 다른 만큼 서로 설정된 성형재를 단일 금형의 상하에 중첩으로 넣어 압형시키어 서로 중첩된 단일체의 구두 뒷축을 얻을 수는 있겠으나 이때 금형에 미치는 압력이 뒷축의 본체와 접지판에는 그 용적과 크기의 차이 때문에 각각 다르게 작용되어 결국 본체와 접지판의 접합면은 상하 불규칙하게 굴곡되어 있어서 접치판의 단면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여 외관상 상품가치가 없고 사용시에도 균일한 마모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지금까지 여전히 본체와 접지판을 분리상태로 개별 제조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구두 뒷축의 본체와 접지판을 마치 개별적으로 성형한 것을 접합시킨 것처럼 상하의 접합면이 황직선의 평활면으로 적층되게 단일체로 성형 제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여러가지로 연구 시험한 결과 새로운 구두 뒷축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구두 둣축의 본체와 접지판을 단일체로 적층 성형 제조하는 것에 있고 본체와 접지판의 재질적인 특징이다.
형태에 대하여는 공지의 것에 준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 형태의 구두 뒷축 전체를 압형할 수 있는 금형을 본체(B)를 성형하는 상부금형(1)과 접지판(下)을 성형하는 하부금형(2)으로 분할 형성하여 이들 두 상하 금형(1)(2)을 서로 대접(待接)하였을 때 성형 공간은 뒷축(H)의 전체 형태가 될수 있게한 다음 상부금형(1)과 하부금형(2)의 성형 공간부에 각각 빈가류 상태의 본체(B)의 성형재와 접지판의 성형재를 각각 충전하고 상하금형(1)(2) 사이에 강철격판(3)을 끼우고 통상의 프레스(4)에 의하여 압착하여 격판(3)을 사이에 두고 구두 뒷축 본체(B)와 접지판(T)을 상하금형(1)(2)에 의하여 동시에 각각 성형된다.
이때 본체와 접지판은 각각 충분한 압력을 받아 성형되며 격판으로 분리되어 있는 만큼 성형시에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하금형(1)(2)사이에 끼웠던 격판(3)을 분리하고 2차적으로 프레스(4)로 상하금형(1)(2)을 압착하면 격판(3)에 의하여 평활면으로 된 본체(B)의 저면과 접지판(T)의 상면이 상호 밀접되면서 단일체의 뒷축으로 압착되고 이를 가열로에 의하여 열처리하면 본체와 접지판이 일체로 적층된 본발명의 제품을 얻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두 뒷축의 본체를 성형하는 상부금형과 접지판을 성형하는 하부금형을 서로 대접할 수 있게 형성한 다음 상하 금형 사이에 평판으로 된 격판을 끼워 본체와 접지판을 동시에 각각 성형한 다음 격판을 분리 제거하고 본체와 접지판을 압착하여 적층되게 성형 하였기 때문에 반가류 상태의 본체와 접지판체의 집합 경계가 횡직선으로 한정하게 구분되어 접지판의 일정한 두깨를 이루는 동시 반가류 상태의 접합부가 열처리에 의하여 단일체의 견고한 뒷축으로 경화되므로 구두에 뒷축을 부착하면 접지판의 접착 공정이 생략되어 보다 능율적으로 구두를 제조할 수 있는동시 구두 뒷축의 외관이 단정하고 사용중 지면과의 접찰로 접지판이 분리되는 일이 없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오래 신을 수 있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구두뒷축(H)의 본체(B)를 성형하는 상부금형(1)과 접지판(T)을 성형하는 하부금형(2)으로 분할 형성하여 상하금형 사이에 격판(3)을 끼우고 상하금형(1)(2)에 의하여 1차적으로 본체(B)와 접지판(T)을 동시에 각각 압형한 다음 격판(3)을 분리하고 2차적으로 압형하여 본체와 접지판이 단일체로 적층된 구두 뒷축을 제조함을 특징으로한 구두 뒷축의 제조방법.
KR1019820001652A 1982-04-15 1982-04-15 구두뒷축의 제조방법 KR83000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1652A KR830001879B1 (ko) 1982-04-15 1982-04-15 구두뒷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20001652A KR830001879B1 (ko) 1982-04-15 1982-04-15 구두뒷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79B1 true KR830001879B1 (ko) 1983-09-17

Family

ID=1922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20001652A KR830001879B1 (ko) 1982-04-15 1982-04-15 구두뒷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87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3018A (en) Composite material manufacture by shaping individual sheets followed by consolidating the sheets
US264051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corrugated plywood
JPH0448359B2 (ko)
KR830001879B1 (ko) 구두뒷축의 제조방법
JPS5812843B2 (ja) 積層プラスチツクス製品の製造方法
US4652415A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molded friction pad
US3814656A (en) Die construction
JPS5849185B2 (ja) 自動車用フロアマットの製造方法
JPH0455088B2 (ko)
JPH0430902B2 (ko)
JPS61175010A (ja) 成形方法
JP4017570B2 (ja) シューライニングの仮成形型
JP3007798B2 (ja) 靴胛被の製造方法および靴の製造方法
JPS6227654B2 (ko)
KR101882343B1 (ko) 신발 압착용 다기능 패드의 제조방법
JPH0412215B2 (ko)
JPS6039552B2 (ja) パツド材入り内装部品の端末処理方法
JPH04163030A (ja)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TW533126B (en) Method for integrally forming shoesoles
JPH0236369B2 (ko)
JPS6225356Y2 (ko)
JP2560771B2 (ja) 薄鋼板の積層方法
JPH037101A (ja) 靴用ゴム底の成型方法
US276717A (en) Oleophas rochette
US1422813A (en) atwood and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