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404B1 -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404B1
KR830001404B1 KR1019790003147A KR790003147A KR830001404B1 KR 830001404 B1 KR830001404 B1 KR 830001404B1 KR 1019790003147 A KR1019790003147 A KR 1019790003147A KR 790003147 A KR790003147 A KR 790003147A KR 830001404 B1 KR830001404 B1 KR 830001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sector
information
data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끼 야마시다
히로유끼 간바라
히로아끼 가미바야시
야스유끼 오끼다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101979000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기디스크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데이터트랙에 기록되는 섹터의 구성도.
제3도는 가변길이의 기록 형식과 가변길이의 기록 형식의 데이터를 본 발명에 의해 기록하는 경우의 형식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물리어드레스 에리어의 상세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기디스크 장치와 같은 어드레스부와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기록단위를 기록 매체에 대하여 트랙형으로 기록하는 형식의 회전형 기억장치에 있어서, 신규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흔히 쓰이는 전자계산기 시스탬에 있어서의 종래의 자기 디스크 장치는 주기억 장치와 같이 물리적으로 1대 1에 대응하는 고정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지 않으며 기록정보의 일부에 정보 그 자체를 식별하기 위한 어드레스부(이하 카운트부라 함)를 설치하고 있다. 또 기록정보의 하나의 단위(레코오드라 칭함)의 길이는 가변적이다. 이 때문에 레코오드가 시작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메이커(address marker)라 칭하는 특수한 표시문자가 레코오드의 선두에 기입된다.
어드레스 메이커는 정보의 기입과는 달리 직류적으로 매체를 소거하는 것에 의해 작성하는 방법이 널리 채용되며 따라서 어드레스 메이커의 기입에는 특수한 회로를 설치하고 있다.
또 어드레스메이커의 검색도 정보의 독출과는 다른 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장치를 복잡하게하고 있다. 또 레코오드의 검색은 어드레스 메이커로써만 의지하고 있으므로 정보가 독출되는 기점의 동기화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하드웨어(hardware)를 보다 복잡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기입이나 검색을 하기 위하여 특수한 회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어드레스 메이커와 같은 특수한 패턴을 사용하지 않은 기록, 재생방식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트랙을 고정길이의 복수의 영역(이 영역을 이하 섹터(sector)라 함)으로 나누어 각 섹터의 기점에서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기점을 나타내는 신호는 예를 들면, 전용의 트랙을 사용하여 검출한다. 적어도 어드레스부와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코오드를 기록하는데 있어서는 어드레스부는 다른 정보로부터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 정보를 이하 플래그(flag : 표시문자)라 한다)를 부가시켜 섹터에 기록하고, 데이터부는 어드레스부가 기록된 섹터보다 뒤에 위치하는 섹터에 기록한다.
레코오드의 호출시에는 섹터의 기점을 검출하면 상기한 표시문자를 찾고, 이 표시문자를 검출하면 다음에 위치하는 어드레스부를 독출하여 외부로 부터 부여된 어드레스 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일치됐으면 다음에 위치하는 섹터내의 데이터부에 억세스한다.
또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어드레스 정보가 트랙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경우 트랙내의 적어도 하나의 섹터에 상기한 어드레스부와는 독립하여 해당되는 트랙의 트랙어드레스를 기록해둘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하면 헤드의 위치결정 완료후 섹터로 부터 트랙어드레스를 독출하여 그것과 외부로 부터 부여되는 어드레스 정보중의 트랙 어드레스를 비교함으로써 헤드의 위치결정의 정상성을 체크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어드레스부가 기록될 위치보다 선행하여 각 섹터에 해당되는 섹터의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이 정보를 이하 섹터번호라 한다)를 기록해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어느 섹터에 억세스 했을 때 그 섹터번호를 독출해 두어 목적하는 섹터를 찾는 경우에 이 섹터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디스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0은 자기디스크로서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31은 정보가 기록된 트랙으로서, 이것은 데이터 트랙이라 칭한다. 이 데이터 트랙은 복수의 고정길이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다. 32는 데이터 트랙(31)의 각 센터의 기점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 자기디스크(30)상의 트랙으로서, 이것은 서어보 트랙이라 칭한다.
이 서어브 트랙(32)은 자기디스크(30)가 복수매(枚)여도 전체적으로 하나로 좋다.
제2도는 제1도의 데이터 트랙(31)에 기록되는 정보의 구성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39는 섹터의 기점을 나타내며 다음의 기점(39)까지가 하나의 섹터(40)로 된다.
기점(39)은 서어보 트랙(32)으로 부터 섹터펄스로서 검출되는 점이다. 41은 섹터의 물리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에리어, 42는 소프트웨어에서 지정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정보에리어, 43은 정보 에리어(42)를 식별하기 위한 표시문자, 44는 섹터간의 갭, 45는 물리어드레스에리어(41)와 정보에리어(42)를 구분하는 갭이다.
41∼44의 각각은 각 섹터에 관해 모두 같은 길이이다. 따라서 물리어드레스 에리어(41), 표시문자(43) 및 정보에리어(42)의 위치는 섹터펄스가 검출되는 기점(39)에서 보면 각각 각 섹터에 관해 항상 동일위치에서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로 부터 채용되어 있는 가변길이의 기록정보를 제2도의 형식으로 변환 기록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제3(a)도는 가변길이의 형식의 기록정보의 구성도이다.
제3(a)도에 있어서, 46은 데이터 트랙의 기점을 나타내며 이것은 인덱스메이커(index marker)로서 검출되는 점이다. 47은 그 트랙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호움(home) 어드레스부, 48은 제1번째의 레코오드(이것을 레코오드 0 이라 한다)의 카운트부, 49는 레코오드 0의 키이부 50은 레코오드 0의 데어터부이다. 51은 제2번째의 레코오드(이것을 레코오드 1이라 한다)의 카운트부 52는 레코오드 1의 키이부, 53은 레코오드 1의 데이터부이다. 이하 마찬가지로 레코오드가 계속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3(a)도의 기록정보는 제2도의 형식에 기록된다. 즉, 제3(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움 어드레스(47)는, 섹터 S #o의 정보에리어(42)에 반드시 기입된다. 이것은 그 트랙의 어드레스가 나타내짐과 동시에 그 트랙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헤드의 위치 결정후의 체크나 또는 트랙의 양부(良否)의 판정이나 또는 트랙의 시점으로 부터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위치결정에 사용된다.
레코오드 0 이후의 각 에리어는 순차적으로 섹터에 기록된다.
구체적으로는 레코오드 0의 카운트부(48)는 섹터 S #1의 정보에리어(42)에, 레코오드 0의 키이부(49)는 섹터 S #2의 정보에리어(42)에 레코오드 0의 데이터부(50)는 섹터 S #3의 정보에리어(42)에 이하 동일한 방법으로 기록된다.
데이터부의 길이에 따라서는 하나의 섹터의 정보에리어(42)에 들어갈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의 데이터부는 후속하는 섹터의 정보에리어(42)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부는 몇개의 섹터에 걸쳐져 기록되어도 좋다. 여기서 각 섹터의 표시문자(43)는 카운트부가 기록되는 섹터에서는 (26)16, 그 이외는 (OE)16으로 한다. 또 제3도에서는 갭은 생략하고 있다.
제4도는 물리어드레스 에리어(41)에 기록되는 정보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61은 그 데이터 트랙의 실린더 어드레스, 62는 그 데이터 트랙의 헤드어드레스, 63은 그 섹터의 섹터번호이다. 실린더 어드레스(61)와 헤드어드레스(62)는 그 트랙내의 섹터로서 모두 동일한 내용이 된다.
섹터번호(63)는 각 섹터마다 연속번호로 되어 있다.
제1도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3(b)도의 형식의 기록과 재생을 행한다.
기입과 독출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위장치(채널장치)로 부터 기입인 경우는 기입정보와 어드레스정보가, 독출인 경우는 어드레스 정보만이 제어장치에 부여되고, 기입정보는 데이터 레지스터(20)에, 어드레스정보는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0)에 세트된다.
어드레스 정보중의 실린더 어드레스, 헤드어드레스 및 레코오드어드레스는 각각 실린더 어드레스레지스터(13), 헤드어드레스 레지스터(14), 레코오드 어드레스레지스터(15)에 세트된다. 12는 도시되지 않은 자기헤드를 목적하는 데이터 트랙에 위치시키기 위한 헤드위치 결정회로로서 실린더 어드레스 레지스터(13)와 헤드 어드레스레지스터(14)로 부터의 내용을 받아 자기헤드를 이동시킨다.
이 위치결정이 완료된 후 먼저 섹터기점(39)의 직후에 나타나는 물리어드레스영역(41)으로 부터 정보를 독출하고, 그 실린더어드레스(61)를 순차 비트로 독출하여 그것을 시프트 레지스터(16)에 세트한다. 다음에 이 시프트 레지스터(16)의 내용과 실린더 어드레스 레지스터(13)와의 내용을 제어회로(17)에 입력시켜 양자를 비교한다.
여기서 일치하면 다음에 물리어드레스에리어(41)로부터의 헤드어드레스(62)를 순차 비트로 독출하여 그것을 시프트 레지스터(16)에 세트한다.
다음에 이 시프트레지스터(16)의 내용과 헤드어드레스 레지스터(14)의 내용을 제어회로(17)에 입력하여 양자를 비교한다. 여기서 일치하면 자기헤드는 목적하는 데이터 트랙에 정확하게 위치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기입과 독출동작을 위해 자기헤드는 몇개의 섹터를 통과하게 되나, 이때 각 섹터의 물리어드레스 에리어(41)를 항상 독출하여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하여 자기헤드의 위치결정을 정당성을 항상 체크하도록 해도 좋다.
자기헤드가 목적하는 데이터 트랙에 정확하게 위치하였음이 판정되면 다음에 표시문자(43)를 독출하여 그것을 시프트 레지스터(16)에 세트한다. 제어회로(17)는 시프트 레지스터(16)의 내용이 (26)16인지 아닌지를 조사하여 만일 그렇지 않으면 다음의 섹터의 표시문자(43)를 독출하여, (26)16이 발견될 때까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26)16인 것이 발견되면 다음에 위치하는 정보 에리어(42) 중에서 카운트부를 순차비트로 독출하여 이것을 시프트 레지스터(16)에 세트한다.
다음에 이 시프트 레지스터(16)이 내용과 어드레스 레지스터군(10)에 세트된 어드레스 정보중의 실린더 어드레스, 헤드어드레스, 레코오드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제어회로(17)에 입력시켜 여기서 양자를 비교한다. 여기서 일치하면 제어회로(17)는 다음의 섹터의 정보에리어(42)내의 키이부의 기입과 독출을 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섹터의 정보에리어(42)내의 데이터부의 기입과 독출을 행한다. 데이터부에의 기입정보는 데이터 레지스터(20)로 부터 공급하고, 데이터부로 부터의 독출정보는 데이터 레지스터(20)에 세트된다.
그리고 이상에 있어서, 물리어드레스 에리어(41)의 섹터번호(63)는 다음과 같이 이용한다. 즉 카운트부에는 그 레코오드내의 키이부와 데이터부의 바이트의 길이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갭(44), 물리어드레스 에리어(41), 갭(45), 표시문자(43)의 길이를 고정해 두면 카운트부를 독출함으로써 다음의 레코오드의 카운트부가 몇 바이트후, 따라서 몇 섹터후에 나타나는가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회로(17)는 카운트부가 들어있는 섹터의 섹터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음의 카운트부가 들어있는 섹터의 섹터번호를 구할 수 있다. (26)16의 표시문자(43)만을 의지하여 카운트부를 찾는 것보다 양자를 병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섹터에 걸쳐져 기록되는 레코오드의 카운트부, 키이부, 데이터부 등이 각각 섹터의 시점(始點)을 기준으로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독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복잡한 메이커를 사용하지 아니해도 되며 장치가 대단히 간단해진다.

Claims (1)

  1. 각 트랙(31, 32)이 고정길이의 복수의 섹터(40)로 분할된 회전형 기억장치에 있어서, 각 섹터(40)는 물리어드레스 에리어(41)와 정보에리어(42) 및, 물리어드레스에리어(41)와 정보에리어(42)간에 위치하여 그 뒤에 논리 어드레스가 위치하느냐의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문자(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일련의 데이터의 선두에서 상기한 표시문자(43)에 그후에 논리어드레스가 위치하는 것을 표시하여 정보에리어(42)에 논리어드레스를 기록하고, 그후에 1 또는 2 이상의 상기한 섹터(40)의 정보에리어(42)에 일련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데이터를 독출할 때 표시문자(43)가 그뒤에 논리어드레스가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검지하여 해당 논리어드레스를 독출하여 부여된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일치했을 때 그 후의 일련의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KR1019790003147A 1979-09-13 1979-09-13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KR83000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147A KR830001404B1 (ko) 1979-09-13 1979-09-13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147A KR830001404B1 (ko) 1979-09-13 1979-09-13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404B1 true KR830001404B1 (ko) 1983-07-21

Family

ID=1921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147A KR830001404B1 (ko) 1979-09-13 1979-09-13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40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1124A (en) Defect skipping mechanism for disk drives
US4001883A (en) High density data storage on magnetic disk
GB13814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lternative storage areas on a magnetic disc pack
US4833663A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handling defective sectors on an optical disk
US3208057A (en) Format control for disk recording
US4504873A (en) Identification field scan apparatus
GB1086757A (en) Information store
GB1510529A (en) Digital signal recorders
US4310861A (en) Data-recording device
US4279004A (en) Method for controlling rotary memory device
KR920018733A (ko) 데이타 기록 및 재생 장치
GB1118887A (en) Digital data storage system
US47469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detecting and address mark
KR830001404B1 (ko) 회전형 기억장치의 제어방법
JPS6220141A (ja) 光情報記録媒体
KR100853916B1 (ko) 데이터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EP0482621A2 (e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data
JP272322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89673B2 (ja) アドレスデータ検出装置
JP2984008B2 (ja) 円盤状光記録媒体
JP2587662B2 (ja) 代替情報の配置方法
JP2544327B2 (ja) 磁気デイスク制御装置
JPS5891512A (ja) デ−タ記録方式
JPH0464972A (ja) データレコーダ
JPH03144949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