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71B1 - 고체입상 안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체입상 안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71B1
KR830001371B1 KR1019790004253A KR790004253A KR830001371B1 KR 830001371 B1 KR830001371 B1 KR 830001371B1 KR 1019790004253 A KR1019790004253 A KR 1019790004253A KR 790004253 A KR790004253 A KR 790004253A KR 830001371 B1 KR830001371 B1 KR 830001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igment
resin
acid
pigm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밀레지 페트릴 Ⅱ세 리챠드
Original Assignee
아놀드 세일러, 에른스트 알테르
시바 가이기 에이지
아놀드 세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놀드 세일러, 에른스트 알테르, 시바 가이기 에이지, 아놀드 세일러 filed Critical 아놀드 세일러, 에른스트 알테르
Priority to KR1019790004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71B1/ko

Links

Landscapes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체입상 안료 조성물
본 발명은 친유성전색제계(Oleoresinous vehicle systems)와 광범위한 상용성을 갖는 분산성 고체 착색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업용 친유성전색제에 용이하게 분산하며 또한 현저한 광택성, 경도 및 내구성을 갖는 착색 필름 또는 피복막을 부여하는 입상 비응집성 안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료의 표면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유기물질로 후처리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제안된 상기 유기물질로써는 액체의 비건조성 지방산 변성 알키드 수지(Hoback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2,479 836호 및 Rudolph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2728,142호), 디글리콜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 글리콜의 선상 올리고머(Belde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607,335호), 말단수산기를 갖는 저융점 폴리락톤(Durrant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754,956호), 및 트리메리틴산 및 지방 알콜 또는 말단 하이드록시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유도된 산가 약 140이하의 점성 카복시에스테르(Robertson의 미합중국 특허 제4,028,128호)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액체, 유성 또는 점성의 수지 약 10중량% 이상(안료에 대하여)으로 후처리한 안료는 점착성 및 응집성을 가지며 특별한 취급과 저장기술을 필요로한다. 더우기, 얻어진 안료 조성물은 현재 업계에서 입수 가능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여러종류의 친유성 전색제와 충분하게 상용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상기 안료는 한정된 용도만을 갖는다.
페인트 및 잉크의 착색제로서 액체 안료 분산제의 용도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스탠스필드(Stansfield)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778,287호에는 어떤 수산기를 가지며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족 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산가 100이하의 폴리에스테르를 용해시킨 유기용액중의 무기안료, 레이크 또는 토너의 분산제를 기술하였다. 액체 착색제는 건조 안료보다 착색되는 매체중에 용이하게 혼합되는 이점이 있으나 이의 상업적인 가치는 잠재적으로 유해한 액상 화학 약품의 취급 및 저장에 문제가 있으므로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경제성 및 안정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이들 착색제로부터 얻어진 피복막의 바람직한 특성을 전혀 손상하지 않고 여러종류의 피복 매체중에 용이하게 분산하는 저장 안정성의 건조상태로 있는 착색제가 소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만족하는 고체 입상 안료 조성물이 안정하고 비응집성의 형상으로 제조되고 또한 그의 조성물이 풍건성(風乾性), 가열건조(backing)형 및 열경화성의 친유성 전색제계에서 우수한 분산특성을 나타내고 또한 현저한 광택, 경도 및 내구성을 갖는 착색필름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친유성 전색제계에 용이하게 분산하는 고체 입상 안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적어도 1종의 안료 25 내지 95중량%와, 수지의 수산가(價)가 적어도 50mg KOH /g이며 환구식(Ring and bell)연화점이 적어도 60℃인 적어도 1종의 수불용성이고 잘 부수러지기 쉬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75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은 안료 50 내지 85%(가장 바람직하기로는 35 내지 7%),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내지 70%(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65%)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 혼합물 약 1 내지 약 15%(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약 3 내지 약 10%)인 안료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수 있는 안료는, 페인트, 잉크 또는 플라스틱의 착색에 공업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고체 착색제이다. 즉, 이것은 유색무기 및 유기 주요안료, 체질(體質)안료, 금속안료, 여러 종류의 분말상 채널(channel) 및 페네이스 블랙(furnace blacks)등이다. 이들 안료는 건조긔(dry lump), 습긔(wet cake), 물 또는 적당한 유기용매 중의 안료 슬러리 또는 그의 합성으로 얻어진 안료 슬러리의 형태로 사용된다. 안료의 건조증에 통상 일어나는 응집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가능한 프레스케익이 있다. 전형적인 안료로서는 디아릴라이드 엘로우(diarylide yellows), 프탈로시아닌 블루 및 그린(phthalocyanine blues and greens), 퀴인아크리돈 레드 및 바이올레트(quinactidone reds and violets), 디옥사진 바이올레트(dioxazine violet), 카아본 블랙 등과 같은 유기 안료·카드뮴 레드 및 엘로우, 순수한 크롬산연과 마찬가지로 크롬산연 및 황산연 및 또는 몰리브덴산연을 함유하는 고용체를 포착한 리드 크롬산 착색제 및 산화철 엘로우와 레드, 이산화 티타늄등의 무기안료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실온에서 부스러지기 쉬우며 환구식 연화점이 약 60℃이상, 바람직하기로는 약 65℃ 내지 100℃, 및 하이드록실 관능성을 갖는 수불용성, 비결정성, 열가소성 폴리머이다. 수지의 하이드록실 관능성은 수산 가(價)로서 기술되어지나 이 값은 수지 1g의 아세틸화에 필요한 무수 초산을 중화하는 수산화 칼륨의 밀리그람수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수산가가 적어도 50, 바람직하기로는 약 75 내지 약 150이며, 디카복실산, 그의 무수물 또는 에스테르 및 모노카복실산과,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시메틸기를 갖는 지방족 폴리올 1당량 이상을 축합반응 시킴에 의해 형성된다. 디카복실산 성분으로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지환식 또는 방향족산, 무수물 또는 에스테르 일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프탈린 무수물, 0-프탈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디카복실산 성분은 통상적으로 반응 생성물의 전체산 성분의 50몰% 이하이다.
모노카복실산 성분은 마찬가지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이며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벤조산, 저급알킬치환벤조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파라 치환 알킬 벤조산(여기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과 같은 방향족산이다. 특히 좋기로는 P-t-부틸 벤조산이다. 지방족 폴리올은 적어도 3개의 하이드록시메틸기를 함유하는 트리 또는 그 이상의 폴리올이며 바람직하기로는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메틸올 프로판, 펜타에릴스리톨, 디펜타에릴스리톨 또는 트리펜타에릴스리톨이다. 축합반응은 산과 알콜성분을 소량의 유기 설폰산과 같은 산촉매 또는 산화금속과 같은 염기성 촉매 존재하에 약 15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반응은 산가가 비교적 낮은 생성물(통상적으로 약 15이하)이 수득될때까지 반응을 계속 행한다. 수지의 산가는 1g의 수지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 칼슘의 밀리그람의 수이다.
경우에 따라서 또한 일반적으로는, 조성물은 안료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량, 예를들면 약 1 내지 약 15% 바람직하기로는 약 3 내지 약 10중량%의 수불용성, 유용성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또한 함유할수 있다. 바람직한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 이미다졸린과 옥사졸린과 같은 복소환 3급아민인 치환 3급 아민, 폴리에톤시레이트 3급 아민, 디하이드로아비에틸아민 및 N-탈로우 트리메틸렌디아민과 같은 1급 아민 및 C12내지 C18의 지방산 아민과 약 2 내지 15몰의 산화에틸렌의 부가물로부터 유도된 4급 염화암모늄과 같은 4급 암모늄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이미다졸린중 하나는1-(2-하이드록시에틸)-2-n-펩타데세닐-2-이미다졸린이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여러가지 산과 수용성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알카리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반응에 의해서 수불용성 유용성 형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것은 초산염으로서 물에 대하여 우수한 용화성을 갖는 탁월한 계면활성제이다.
예를들면 산기 아민계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착화합물과 같은 수불용성 유용성 형태의 계면활성제는 적어도 10%,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70몰%의 이론치보다 과잉의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유용하다. 전형적인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디윰 올레이트, 소디윰 라우레이트, 소디윰 팔미테이트, 소디윰 스테아레이트, 소디윰 나프텐네이트, 설폰화 캐스터 오일, 설폰화 석유, 설폰화 탈오일, 소디윰 부틸 나프탈렌설포네이트, 우드로진 등이며 특히 좋기로는 Tergitol 4(7-에틸-2-메틸-4-운데카놀의 황산 기트륨 유도체), Igepon AC-78(이세티오네이트 나트륨의 코코낫 오일 산 에스테르), Aerosol 22(테트라소디윰-N-(1,2-디카복시에틸)-N-옥타데실 설포석신아메이트), 수소화 우드로진의 나트륨염 및 소디윰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이다.
물론 계면활성제의 선택 및 양은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HLB치와 안료의 표면 특성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계면활성제의 양은 조성물의 약 1 내지 약 15중량% 바람직하기로는 약 3 내지 약 10중량%이고 양은 수지와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적어도 2 : 1, 바람직하기로는 약 2.5 : 1 내지 약 6 : 1 범위내에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들면 건조상태에서 볼밀에 의해 분쇄하고 수성 촉매 중에서 페블 밀(pebble mill), 또는 수지등에 대하여 용매의 존재하에서 고속도로 교반하는 것에 의해서, 통상적으로는 고체 수지와 안료를 혼합한 다음 수성 촉매 또는 용매를 제거시키기 위한 적당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조성물은 안료의 수성분산액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바람직하기로는 유용성 수불용성의 형태로 변환되는 수용성 또는 수분상성 양이온 또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수중에 안료를 교반하는 것에 의해서 생성하고 수지를 그의 수성분산액에 가하고 그의 수성의 안료-수지 슬러리를 수지의 연화온도보다 높은 온도, 일반적으로 수지의 연화점보다 약 5 내지 약 35℃ 높은 온도에 있어서 안료가 수상으로부터 수지상으로 이동할때까지와 거의 완전하게 안료를 함유하지 않은 수상이 생길때까지 교반하고 수지가 고체로 있는 온도범위로 슬러리의 온도를 조절하고 다음에 생성물을 제거하여 제조하는 것이 편리하다. 소망된 과립을 수득하려는 경우에는 성질상 분진 경향이 있는 분말성 안료로 취급하는 경우가 통상적이나 교반된 안료-수지 슬러리의 온도는 입자의 의집을 제어하고 소망된 입경범위의 과립화를 하기 위해 충분하게 또는 수지 점성을 부여하는 수지 연화점 이상의 온도 범위로 조절하고 소망된 온도로 조절하기 위해 냉수를 가하거나 또는 가열을 중단하고 슬러리를 천천히 냉각하여 수지 연화점 이하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 수지를 유기용매중에 용액으로써 첨가하고 또한 안료는 계면활성제를 침전시키거나 또는 용매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수상으로부터 수지상으로 이동시켜 작은 안료 과립상의 유색 비수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물의 회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한다. 예를들면 슬러리를 원심분리하거나 또는 필터 프레스, 스크린 등과 같은 적당한 형태의 여과 장치에 의해서 뱃취를 작동시켜 탈수한다음 부분적으로 탈수된 생성물은 수세하고 기형 건조기(Tray driers), 진공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한다. 회수는 또한 분무건조기 또는 드럼 건조기에 의해서 용이하게 행할수가 있다. 필요한 경우 건조 전에 또는 후에, 생성물을 분말상으로 분쇄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입상 안료 조성물은 규격품질이 높은 균밀성을 갖고 있어서 친유성 전색제계에 용이하게 분하고, 또한 상기 전색제계에 사용할때 착색력, 광택 및 투명성을 갖는 막, 또는 피복막을 부여하는 에나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광택, 경도 및 내구력을 갖는 박막 또는 피복막을 제공하는 종래의 건조성 알키드 에나멜, 베이킹 타입의 알키드 멜라민 에나멜 및 열경화성 아크릴 멜라민 에나멜과 같은 공업용 친유성 전색제의 사용에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을 일반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음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모든 부와 %는 달리 표시하지 않는한 중량이다.
[실시예 1]
교반기와 가열장치를 박비한 용기에 황색안료 34(CI No. 77603) 224부(건조 기준)를 함유하는 맑은 크롬 엘로우 안료 프레스케익을 충만하고 충만양이 1660용량부인 충만기에 물을 가한다. 교반기를 회전시키고 충만양을 55℃에서 가열하고 이 슬러리에 소디윰 이세티오네이트의 코코낫 오일 에스테르 9.6부(음이온 계면활성제의 0.023당량) 및 슬러리의 pH를 7.0으로 조절하기 위해 5% 탄산나트륨 수용액의 필요량과 분말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72.0부를 가한다. 슬러리 온도를 55℃로 유지하면서 교반을 5분간 계속 행한다. 폴리 에스테르 수지는 연화점(환구식) 약 82℃, 산가 약 14 및 수산가가 약 110이며 0-프탈린 무수화물 0.9몰 및 p-t-부틸 젠조산 2.3몰과 트리메틸을 에탄 1.7몰과를 축합반응시켜서 제조한다 다음에 디하이드로아비에멜아민 12.0부(양이온 계면활성제 0.038당량)를 함유하는 수용액 48.0부 및 빙초산 2.4부를 가하고 슬러리의 pH를 6.5로 조정하고, 슬러리를 9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90 내지 95℃로 유지한다. 25℃의 물을 가해서 용량을 3500부로 하고, 슬러리를 더욕 2분 동안 교반한다. 뱃취를 40메쉬스크린 상에 흐르게 하고 탈수물질을 70℃의 건조기 중에서 건조한다. 생성물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크롬산연 약 70.5%, 폴리에스테르수지 22.7%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 6.8%를 함유하는 비점착성의 과립 안료 조성물 23.5부(수율 73.8%)이었다. 이 과립은 분진성이 없으며 실질적으로 구형의 유동성 입자이고 그의 대부분은 직경이 약 1 내지 약 2mm이다.
본 실시예 안료 조성물의 분산 특성은 다음과 같은 풍건성의 알키드 에나멜에 있어서 평가한다. 본 실시예의 과립 170.2부와 상용의 대두-아마에 중유 알키드 수지(Aroplaz 1445-M50) 47 .2부 및 무기 스프리트 32.8부와를 소형 코웰(Cowles)분산 블레드를 사용하여 5000rpm에서 15분간 교반하고 모래(20 내지 30메쉬) 306부를 가하고 더우기 15분동안 샌드 밀 타입 임펠라 블레이드를 사용하여서 교반을 계속 행함에 의해 황색 에나멜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조한다. 모래를 제거한후 페이스트는 헤그맨(Hegman)게이지의 목성(目盛)에서 7이상이었다. 그의 페이스트 68.8부와 아로플라즈 수지 54.9부, 무기 스프리트 25.3부, 면 드라이어 1.0부 및 코발트 드라이어 0.2부와를 균일하게 될때까지 교반하고 점도를 20 내지 25초, #4쟌 컵(zahn cup)으로 조절함에 의해 상기 페이스트로부터 에나멜을 제조한다. 그의 에나멜을 표준시험 판넬(크기 3×9")에 분무하고 두께 0.7mil의 피복막을 얻고 그의 판넬을 실온에서 48시간동안 건조한다. 얻어진 판넬의 표면은 평활하고 광택이 있으며 맑은 황색이다. 판넬의 평활하고 광택이 있는 표면은 클리브랜드 습윤 캐비넷트 중에 66℃에서 24시간 노출시켜도 변화하지 않는다. 판넬을 내후 시험기(Weatherometer) 중에서 시험할때에 그의 색은 100시간 후에 있어서도 비시험 판넬보다 더 암색이며 충분하게 만족할만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안료 조성물을 또한 피그멘트 옐로우(pigmen yellow) 34를 46부 사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동일한 고체 함유량의 에나넬을 수득하기 위해 페이스트 56.1부, 알키드 수지 46.5부 멜라민 수지 29.1부 및 크실렌 17.4부를 사용하여서 에나멜을 제조하는 것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하게하여 대조 판넬을 제조한다. 대조 판넬을 상기와 동일하게 평가한 결과, 판넬은 평활한 광택을 갖는 것이다. 스워드(sward)경도 시험치는 20, 습윤 및 내후시험에 있어서 표면 및 색의 특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실시예 2]
피그멘트 레드(pigment Red) 104(CI No. 77605) 224부(건조 기준)를 함유하는 몰리브데이트 오렌지 안료 프레스케익을 맑은 크롬엘로우 안료 프레스케익 대신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60부를 사용하고 최종 pH를 6.0으로하는 것이외에 실시예 1의 조작을 반복한다. 본 실시예의 생성물(수율 91.6%)은 오렌지안료 73.3%, 폴리 에스테르 수지 19.7%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 7.0%를 함유하는 비분진성의 유동성 과립상이다. 과립을 풍건성 알키드 에나멜중에 분산하고 이로부터 피복막 판넬을 제조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한 결과, 본 판넬은 습윤 시험에 의해 현저하게 변화하지 않고 내후 시험중에 200시간 노출한 후에도 단지 약간의 암색으로 있는 평활하고 광택을 갖는 명확한 밝은 적미(赤味) 오렌지 표면이다.
본 실시예의 안료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열경화성 아크릴 멜라민 에나멜에 있어서도 평가한다. 본 실시예 과립 61.4부 및 상용의 아크릴 수지 용액(Acryloid AT -56.50% 고체) 22.5부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3개의 롤 밀링기에서 3회 연마함에 의해 오렌지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상기 페이스트 55.9부와 아크릴 수지 용액 37.2부, 상용의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형 수지(Uformite MM-47, 60% 고체) 24.8부, 방향족 석유 용매 솔베스(solvess 100) 3.6부, 부탄올 4.9부 및 크실렌 19.6부와를 교반하고 크실렌을 사용하여 점도를 20초, #4포드 컵(Ford cup)으로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페이스트로부터 에나멜을 제조한다. 그의 에나멜을 시험 판넬상에 분무하고 그의 판넬을 121℃에서 30분 동안 가열한다. 피그멘트 레드 104를 45부 사용해서 페이스트를 생성하고 동일한 고체량의 에나멜을 얻기위해 페이스트 45부, 아크릴 수지용액 57.6부, 멜라민-포름알데하이드 수지 260부, 방향족 석유 용매 3.6부 부타놀 3.6부 및 크실렌 10부를 사용하여서 에나멜을 생성하는 것 이외에 동일하게 하여 대조판넬을 제조한다. 시험 판넬(본 실시예의 안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에나멜을 사용하여서 제조) 및 대조 판넬의 외관 시각 비교를 한 결과, 시험 관넬은 대조 판넬보다 색이 더 진하고, 약간 광택이 없었다. 시험 판넬에 대한 스워드 경도 시험치는 대조판넬 28과 비교해볼때 44이다.
[실시예 3]
교반기 및 가열장치를 구비한 용기에 프탈옥사아닌 동 그린 안료(pigment Green) 7(CI 74260)을 85.5부(건조 기준) 및 물을 충만하여 1600용량부의 슬러리로 하고 교반을 시작한 다음 슬러리를 55℃로 가열한다. 다음에 상용의 계면활성제 알카놀 WXN(소디윰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50%를 함유하는 수용액 38.0부를 가하고 pH를 묽은 아세트산을 사용하여서 6.0으로 조절하고, 55℃에서 30분동안 교반을 계속 행한다. 다음에 실시예 1의 폴리 에스테르 수지 114.0부를 슬러리에 가하고, 55℃에서 5분간 교반을 계속하고 상용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듀오멘(Duomeen) T(N-탈로우 트리메틸렌디아민) 10.1부 및 100% 아세트산 7.3부를 함유하는 수용액 80.8부를 서서히 가하고 묽은 탄산 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서 pH를 7.1로 조절한다. 슬러리를 90℃로 가열하고 90 내지 9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냉수를 가하여서 용적을 3500부로 한다. 슬러리를 40메쉬스크린상에 흐르게하여 얻어진 과립을 건조한 결과, 본 실시예의 생성물은 그의 중량을 기준으로 해서 안료 38.7%, 폴리에스테르 수지 51.7% 및 계면활성제 혼합물 9.7%를 함유하는 유동성이 있는 비분진성의 과립 154부(수율 70%)이었다.
본 실시예 안료 조성물의 비닐 락커에 있어서의 분산특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본 실시예의 과립 21.4부와 비닐클로라이드-아세테이트 공중합체(중량비 86 : 14), 크실렌 32.5% 및 메틸에틸케톤 32.5%를 함유하는 피복액 75부와를 소형 코웰(cowles)분산 블레이드를 사용하여서 5000 r.p.m으로 30분간 교반하고 크실렌 및 메틸 에틸 케톤(50 : 50)의 혼합 용매 33.5부를 30분간에 걸쳐 서서히 가함에 의해 그린 페이스트 배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페이스트 43부와 혼합 용매 70.1부 및 디옥틸부탈레이트 2.6부와를 30분동안 교반하고 상기 페이스트로 부터 락커를 제조한다. 락커는 해그만 게이지의 목성에서 7 1/2이었다. 현미경으로 평가한 결과, 분산성이 우수하고, 거의 대부분의 입자가 2미크론 이하의 크기였다. 락커를 알루미늄 가공지 상에 두께 1.5mil이 되게 도포할때 박막은 매우 양호한 색을 가지며 색상이 선명한 투명성이 있었다.
상용의 피그멘트 그린 7 토너를 8.3부 및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13.1부를, 본 실시예의 과립 21.4부 대신에 사용하는 것이외에 상기와 같이 대조락커를 제조한다. 제조 락커는 6 목성의 헤그만 케이지의 목성에서 6이며, 현미경으로 평가한 결과 입자의 대부분은 10 내지 25미크론의 범위의 크기였다. 그의 대조 락커를 사용한 알루미늄 상의 박막은 시험 락커의 경우에 거의 동등의 착색도를 갖는 것이나 명암과 투명성이 현저하게 열화한다.

Claims (1)

  1. 적어도 1종의 안료 25 내지 95중량 %와, 수지의 수산가가 최소한 50mg·KOH/g이며, 환구식 연화점이 60℃이상인 적어도 1종의 수불용성의 잘 부서지기 쉬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 내지 75중량%로 구성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디카복실산, 이들의 무수물 또는 에스테르 및 적어도 3종의 하이드록시메틸기를 함유하는 지방족 폴리올보다 더큰 모노카복실산의 축합 생성물이며, 안료조성물은 안료 조성물의 전체량을 기준으로하여 약 1 내지 15중량%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 친유성 전색제계에 용이하게 분산하는 고체 입상 안료 조성물.
KR1019790004253A 1979-12-04 1979-12-04 고체입상 안료 조성물 KR830001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253A KR830001371B1 (ko) 1979-12-04 1979-12-04 고체입상 안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253A KR830001371B1 (ko) 1979-12-04 1979-12-04 고체입상 안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371B1 true KR830001371B1 (ko) 1983-07-19

Family

ID=1921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253A KR830001371B1 (ko) 1979-12-04 1979-12-04 고체입상 안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7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1648A (en) Particulate pigment compositions
US4895949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quinacridone solid solutions
CA1113315A (en) Process for granulating lead chromate-containing pigments
KR100375022B1 (ko) 유기안료와특정입자크기의충전재를포함하는새로운안료조성물
CN1715338B (zh) 偶氮巴比妥酸金属络合物颜料及其制造方法
CA1096712A (en) Pig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JPH10231367A (ja) プラスチツク、ラツカー及び建築材料を着色するための無機顔料ペレツト並びにその製造法
EP1956051B1 (en) Phthalocyanine pigments with neutral metallic down flop
US5648408A (en) Organic stir-in pigments
JPH06100788A (ja) 改質β−キナクリドン顔料の製造方法
US7172653B2 (en) Solid pigment preparations comprising surface-active additives based on alkoxylated bisphenols
US5207829A (en) Pigment preparations
US5728204A (en) Preparation of phthalocyanine-containing waterborne coating systems
US2479836A (en) Finishing of pigments
KR830001371B1 (ko) 고체입상 안료 조성물
US6103782A (en) Method of making dry pigment surface modified with polyethylene coating
JPH1072555A (ja) バナジン酸ビスマス顔料
CA2070559A1 (en) Aqueous process for preparation of modified beta quinacridone
EP0702062B1 (en) Organic stir-in pigments
JPS6143390B2 (ko)
CA1056080A (en) Pigment concentrates
JPH0240271B2 (ko)
KR100622293B1 (ko) 심홍색 안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인쇄 잉크
CA1147085A (en) Particulate pigment compositions
JPH06256677A (ja) 分散性キナクリドン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