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341B1 -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 Google Patents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341B1
KR830001341B1 KR7702461A KR770002461A KR830001341B1 KR 830001341 B1 KR830001341 B1 KR 830001341B1 KR 7702461 A KR7702461 A KR 7702461A KR 770002461 A KR770002461 A KR 770002461A KR 830001341 B1 KR830001341 B1 KR 83000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strawberry
picking
tapp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038A (ko
Inventor
노리오미 후지이
Original Assignee
후지다 지까오
큐-피-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다 지까오, 큐-피-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다 지까오
Priority to KR770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341B1/ko
Publication of KR83000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꼭지따기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를 단면으로 한 측면도.
제2도는 동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틀체("●體")의 평면도.
제4도는 동 측면도.
제5도는 제3도 Ⅳ-Ⅳ선 단면도.
제6도는 꼭지따기 로울의 분해평면도.
제7도는 그 베어링의 단면도.
제8도는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의 회전상황을 나타낸 설명도.
제9도 및 제10도는 동 확대설명도.
제11(a)도, 제11(b)도, 제11(c)도, 제11(d)도는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 사이에 딸기의 꼭지가 협지(挾持)되는 상황을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본원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꼭지따기 장치 (2) : 수조
(3) : 딸기공급 컨베이어 (4) : 딸기유도 컨베이어
(5) : 꼭지따기 로울 장치 (13) : 날개판
(15)(46) : 모우터 (20) : 틀체
(23) : 꼭지따기 로울 (27) : 현조레버
(32) : 각축부 (33) : 꼭지따기 로울축
(34) : 발포체 로울 (35A)(35B) : 베어링부재
(40) : 스프링 (60) : 분리봉
(61) : 조하간 (66)(67) : 간막이부재
(80) : 딸기의 과육 (81) : 꼭지
X : 딸기투입구역 Y : 꼭지부상구역
Z : 딸기부상구역
본원 발명은 딸기 또는 그것과 유사한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꼭지의 부착상태의여하에 불구하고 확실한 꼭지따기를 할 수 있는 꼭지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딸기의 꼭지따기 장치로서, 한쌍의 로울을 복수조(腹數組)수평으로 또는 다소 경사시켜서 병치(竝置)하고, 인접한 로울을 서로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그 로울위에 꼭지붙은 딸기를 공급하고, 꼭지가 로울 사이에 달라붙는 기회를 많이 주기 위해 로울의 주면의 마찰력에 의하거나 또는 로울 상부에 따로 설치된 요동솔에 의해서 딸기에 회전을 주도록한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꼭지따기 장치에서는 꼭지따기를 하는 딸기는 반드시 회전하기 쉬운 구형(求刑)의 것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더구나 그 크기에 가지런 하지 못한 것이많으므로, 로울상의 모든 딸기에 원활한 회전을 주며, 또한 그 꼭지를 로울사이에 물리게 한다는 것은 극히 어렵다. 또 로울상의 딸기는 딸기끼리 간섭작용에 의해, 설사 압송구(押送具)로 압송하더라도 용이하게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꼭지따기 작업을 능률좋게 할수가 없을뿐만 아니라 딸기의 과육(果肉)자체가 연약하기 때문에 꼭지따기 작업중에 과육이 손상되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 종래의 꼭지따기 장치에 의하면, 한쌍의 로울 사이에 딸기의 꼭지를 물리게 하였다손 치더라도 로울끼리의 접촉이 선접촉이기 때문에 딸기의 꼭지의 일부 밖엔 로울 사이에 물리게 할수가 없었으며, 따라서 과육으로 부터 꼭지를 비틀어 뜯을때 꼭지의 일부가 과육측에 남아 버린다고 하는 결점이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 종래에는 미국특허 제3,519,049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꼭지가 일단로울 사이에 물렸을 시기를 보아 칼날에 의해 꼭지부착부분을 과축과 함께절단해서 제거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꼭지의 완전제거를 꾀하도록 하는 장치도 볼수 있지만, 이들에 의하면 과육의 상당량이 절제되어 버리기 때문에 수율(收率)이 나쁘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 종래의 것의 결점을 제거한 신규의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중에 부유(浮)시킨 딸기등의 과실은 약간의 힘을 가한 것만으로 회전하며, 또한 그 부력에의해 일정방향에의 이송(移送)이 용이해지며, 게다가 과육으로부터 꼭지가 떨어지기 쉽게되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은 수조내(水槽內)의 수중에 적어도 하면이 잠기도록 해서 주면을 스폰지 등의 발포제로울로 구성한 두개를 한쌍으로 하는 꼭지따기 로울을 배설하고, 이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의 심재(芯材)를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각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서로 압전하는 방향으로 탄압 지지하고, 상기 꼭지따기 로울에는 그 접촉부가 윗쪽을 향해 이행(移行)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자재로 구성해서, 딸기의 형상이나 크기, 딸기의 표면의 성상(性狀) 꼭지의 부착상태 여하에 불구하고 딸기를 손상하는 일 없이 양호한 회전을 부여하고, 꼭지의 물림을 촉진해서 신속하고 확실한 꼭지따기가 이루어지며, 수율의 향상을 꾀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꼭지따기 장치(1)는 물을 충만시킬 수 있는 수조(2)와, 이 수조(2)의 일단(一端)상부에 말단을 임하게 해서 설치되는 딸기 공급컨베이어(3)와, 이 컨베이어(3)의 말단 가까이의 수조(2)내에 설치되는 딸기유도 컨베이어(4)와, 이 컨베이어(4)의 하단부분에 일단이 위치해서 수중에 설치되는 꼭지따기 로울장치(5)를 갖추고, 상기 수조(2)에는 급수구(6)를 임하게 하고 있다.
상기 유도 컨베이어(4)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딸기 공급컨베이어(3)의 말단과 이격(離隔)한 위치에 있어서 수조(2)의 개구부(開口部)상의 좌우에 설치된 베어링(7),(7) 및 수조(2)의 저부(底部)상의양측에 설치된 베어링(8),(8)에 좌우 대칭으로 스프로켓(9),(10),(11)이 축지(軸支)되며, 이들 스프로켓에 좌우의 체인(12)(12)가 감기며 이 체인(12),(12)간의 면측에 선단이 진행방향을 향해 경사하는 차양모양의 날개판(13),(13)…이 소요의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조(2)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스프로켓(9)의 축단에 부착된 스프로켓(14)과, 수조(2)밖에 설치된 모우터(15)의 구동축(16)위에 스프로켓(17)에 전도체인(18)이 감기며, 상기 유도컨베이어(4)에 화살표방향에의 회전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꼭지따기 로울장치(5)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수조(2)의 양측벽(2),(2)의 내면에 가급적 근접해서 내장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틀체(20)와 이 틀체(20)의 전후 틀부(●部)(21),(22)사이에 축가(軸架)되는 꼭지따기 로울(23)로 이루어지며, 이 꼭지따기 로울(23)은 두개의 꼭지따기 로울(23A),(23B)를 한쌍으로 하여 복수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군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틀체(20)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유도컨베이어(4)와는반대측의 상단부(20A)가 수(2)의 측벽(2a),(2a)상에 대설(對設)된 베어링(24),(24)에 삽통하는 축(25)에 의해 지지되며, 타단측의 하단부(20B)는 상기 유도컨베이어(4)의 단말(端末)에 가까운 위치에 두어지고, 또한 틀체(20)의 중간부 양측에는 현조(懸燥) 레버(27),(27)의 하단이 핀(26),(26)으로 추지(樞支)되어 있으며, 이 현조레버(27),(27)의 윗쪽부에 열설(列設)된 구멍(28),(28)…과, 수조(2)의 측벽(2a),(2a)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29),(29)에 삽통하는 멈춤핀(30),(30)에 의해 소망의 경사상태를 선택해서 틀체(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꼭지따기 로울(23)은 제6도에 분해해서 나타낸 것처럼 양단부 및 중간부 적소에 환축부(丸軸部)(31),(31)…를 가지며, 그밖의 것을 정방형 단면을 갖는 각축부(角軸部)(32),(32)…로 한 금속 등의 경질자료로 이루어진 꼭지따기 로울축(33)과, 이 꼭지따기 로울축(33)의 각 축부(32),(32)…의 각 각길이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외주면에 피착되는 스폰지, 함기(含氣) 고무, 해면 등의 압축성이 풍부한 자재로 된 원통상의 발포체 로울(34),(3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꼭지따기 로울축(33),(33)의 각 축부(32),(32)는 정방형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단면, 오각형단면 등으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꼭지따기 로울(23)은 제3도에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두개를 한쌍으로해서 단부의 환축부(30),(30)가 틀체(20)의 전후 틀부(21),(22)의 베어링(35),(36)에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또한 쌍을 이루는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발포체 로울(34),(34)의 탄접(彈接) 수단은 제7도에 1조의 베어링(35)을 대표예로 해서 나타낸 것처럼 고설(固設)되는 한쪽의 베어링부재(35A)의 측면에 단면 반원형상의 요부(凹部)(37)가 형성되며, 다른쪽의 베어링부재(35B)는 이웃에 위치한 고정 베어링부재(35A)의 요소(凹所)(38)에 접동자재(接動自在)로 끼워 넣어지며, 그 외단면에 상기 베어링부재(35A)의 요부(37)와 대향하는 단면 반원형상의 요부(39)가 형성되고, 이 베어링부재(35B)는 스프링(40)에 의해 상기 베어링부재(35A)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의(偏倚)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베어링부재(35A),(35B)의 요부(37),(39)에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꼭지따기 로울축(33),(33)의 축단이 환축부(30),(30)를 끼워 맞추면 상기 스프링(40)의 가압력으로 제8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것처럼 양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발포체로울(34),(34)은 그 접촉부 가 눌려 찌부러지는 것처럼 압접되어서 양접촉(兩接觸)의 상태로 된다.
상기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꼭지따기 로울축(33),(33)의 축단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반대단(反對端)에 스프로켓(41),(42)을 가지며, 이들 각축(33),(33)…같은 단부측의 스프로켓(41),(41)…및 (42),(42)…에 각기 체인(43),(44)이 감긴다.
상기 틀체(20)의 상단부(20A)측에 있어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모우터(46)의 구동축(47)위의 스프로켓(48)과, 이 틀체(20)를 축지하는 축(25)의 일단에 부착된 스프로켓(45)에 체인(49)이 감겨서 이 축(25)의 일단에 형성된 워엄(50)에 맞물리는 워엄기어(51)의 축(52)상의 스프로켓(53)에 상술한 체인(43)이 걸리며, 이 체인(43)에 로울(23A)의 스프로켓(41),(41)…이 걸어 맞추어져 있다.
상기 축9(25)의 타단에는 워엄(57)이 형성되며, 워엄(50)과 워엄(57)이 이빨의 형성방향은 반대로 되어있으며, 워엄(57)에는 워엄기어(56)가 맞물리고 있다. 따라서 워엄기어(51)의 워엄기어(56)의 회전방향은 반대로 되어 있다. 이 워엄기어(56)는 틀체(20)의 한쪽의 축틀(54)내면에 연해서 배설된 전도축(55)의 일단에 고착되어 있다. 전도축(55)의 틀체(20)의 하단부(20B)내에 위치하는 타단부에는 스프로켓(58)이 고착되며 이 스프로켓(58)에 체인(44)이 걸리고, 이 체인(44)에는 로울(23B)의 스프로켓(42),(42)…가 걸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전도축(55)의 워엄기어(56)에 근접해서 체인(43)의 감기는 스프로켓(53A)이 설치되며, 이 스프로켓(53A)은 전도축(55)에 대해서 자유로운 상태로 부착되고, 전도축(55)의 회전방향과 스프로켓(53A)의 회전방향은 반대로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회전방향은 그 발포체로울(34),(34)의 접촉부 T가 윗쪽으로이행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꼭지따기 로울축(33),(33)은 각축부(32),(32)는 그 단면에 있어서 항상 대칭위치를 취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틀체(20)의 하면측에 있어서, 상술한 관계를 갖는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 사이의 직하부위에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환봉상(丸棒狀)의 분리봉(60),(60)…이 이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대충 전 길이에 걸쳐서 설치된다. 이 분리봉(60)은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과 이웃에 위치한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와의 사이를 통과해서 윗쪽으로 뻗는 조하간(燥下杆)(61),(61)을 가지며, 이 조하간(61)의 상단의 수평방향으로 굴곡한 굴곡부(62)가 상기틀체(20)의 양측틀(54),(54) 사이에 가설된 대들보부(部)(63),(63)의 가로구멍(構孔)(64)에 삽입되어서 요동 가능하게 매달려 있다.
상기 틀체(20)가 설치되는 부분의 수조(2)의 저부(底部)는 제1도에 나타고 있는 것처럼, 이 틀체(20)의경사에 대충 평행이 되도록 경사면(65)에 형성되며, 또 틀체(20)의 상단부(20A)측 및 하단부(20B)측의 윗쪽부위에는 망재(網材), 판재(板材), 책(柵)등으로 이루어진 간막이부재(66),(67)가 수설(垂設)되며, 이 간막이부재(66),(67)에 의해 수조(2)내에서 수면 L상에 걸쳐서 꼭지붙은 딸기의 투입구역 X, 틀체(20)의 상부 범위에 해당하는 꼭지 부상구역 Y 및 꼭지가 제거된 딸기의 부상구역 Z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 딸기의 부상구역 Z의 수조(2)의 상연(上緣)에는 꼭지가 제거된 딸기를 물의 오우버플로우와 함께 유출해서 회수를도모하는 유출구(68)가 설치되어 있다.
(69)는 틀체(20)의 양쪽틀(54),(54)에 수설된 가이드판으로서, 유도컨베이어(4)에 의해 틀체(20)의 하단부(20B)밑으로 급송(給送)된 딸기를 틀체(20)의 꼭지따기 로울(23)이 설치되어 있는 범위로 유도시키기 위한 것이며, (70),(70)은 틀체(20)의 경사각을 변경할때에 틀체(20)을 유지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꼭지따기 작업의 개시에 앞서서, 모우터(46)를 가동하면, 체인(49)을 통해서 축(25)이 구동되며, 그 축(25)위의 워엄(50)에서 워엄기어(51)를 통해서 축(52)을 회동시켜, 그 축(52)위의 스프로켓(53)을 구동해서체인(43)을 구동시킨다. 이 체인(43)의 구동에 의해 이것에 맞물려 있는 스프로켓(41,)(41)…을 일제히 갖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스프로켓(41),(41)…이 고정되어 있는 꼭지따기 로울(23A),(23A)…를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킨다. 또 상기 축(25)위의 워엄(57)에서 워엄기어(56)를 통해서 회전되는 전도축(55)에 의해, 틀체(20)의 하단부(20B)측의 스프로켓(42),(42)…를 일제히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들 스프로켓(42),(42)…이 고정되어 있는 꼭지따기 로울(23B),(23B)…를 상기 꼭지따기 로울(23A),(23A)…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모우터(15)를 가동함으로써 유도컨베이어(4)가 화살표방향으로 구동된다.
이어서 공급컨베이어(3)에서 꼭지가 붙은 딸기를 공급하면, 딸기는 공급컨이어(3)의 말단에서 수조(2)내의 딸기 투입구역 X으로 낙하한다. 수중으로 낙하한 딸기는 유도컨베이어(4)의 날개판(翼板)(13),(13)…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저(水底)방향으로 유도되며, 그 말단에서 방출된다. 이 경우, 딸기는 그 크 에 불구하고 비중이 약 0.9정도이므로, 유도컨베이어(4)의 말단에서 틀체(20)의 하단부(20)하면을 향해서 차츰 부상한다.
상기와 같이 해서 부상하는 딸기는 틀체(20)의 양측하부에 수설되어 있는 가이드판(69),(69)에 의해 모두 틀체(20)의 양측틀(54),(54)사이로 유지되며, 틀체(20)내에 열설되는 꼭지따기 로울(23)의 하면에 닿는다.
그리고, 딸기는 수중에서는 약간의 힘이 가해진 것만으로 진동하므로, 꼭지따기 로울(23)의 하면에 공급된 딸기는 1개소로 뭉치는 일없이 적당히 분산해서 꼭지따기 작업이 이루어진다.
꼭지따기 로울(23)의 하면에 부상한 꼭지가 붙은 딸기는 다음의 작용에 의해서 꼭지가 제거된다.
즉, 상기 실시예의 경우, 꼭지따기 로울(23)은 제9도 및 제10도에 1조의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단면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꼭지따기 로울축(33),(33)의 각축부(32),(32)가 항상 대치위치를 이루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며, 또한 한쪽의 꼭지따기 로울축(33)의 베어링부재(35B)는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에서, 각축부(32),(32)의 모퉁이부(隅部)가 대향할 때 자동축의 꼭지따기 로울(23B)의 축중심은 O1위치에 있어서 양꼭지따기 로울(23A),(23B)의 축간거리는 가장 크며, 또 각축부(32),(32)의 변부(" t-4 ")가 대향할 때 가동축의 꼭지따기 로울(23B)의 축 중심은 O2위치에 있으며, 축간거리는 가장 짧아진다. 따라서 위치 고정축의 꼭지따기 로울(23A)의 각축(角軸)부 (32)의 하나의 모퉁이부 a1에 대해서 보았을때, 그 모퉁이부 a1의 궤적(軌跡)은 a1-a13과 같이 원호로 되는데 반하여, 가동축의 꼭지따기 로울(23B)의 각축부(32)의 상기 모퉁이부 a1에 대응하는 모퉁이부 b1의 궤적은 b1~b1 4과 같이 되며, b4에서 b10까지는 B4에서 a10으로 대충 평행하는 즉, 대충 위쪽을 향한 궤적을 그리게 된다. 또 발포제 로울(34),(34)의 접촉부 T의 접점은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T1에서 T2사이를 변화한다.
상기한 것에서,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발포제 로울(34),(34)의 접촉부 T의 하부접점 T1은 꼭지따기 로울축(33),(33)의 축중심위치보다 거리 M1또는 M2만큼 아래쪽으로 이격한 위치, 바꾸어 말하면 발포제 로울(234),(34)의 하면에 가까운 위치로 되며, 딸기의 꼭지가 물리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발포체 로울(34),(34)의 하면에 공급된 꼭지가 붙은 딸기는 부상해서 접촉부 T의 하부접점 T1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발포체 로울(34),(34)에 당접한다. 당접한 꼭지가 붙은 딸기에는 회동하고 있는 발포체 로울(34),(34)와 마찰이 생김으로써 물과 딸기는 비중차가 적은 것에서 딸기에 용이하게 회전력이 주어지며, 꼭지붙은 딸기는 발포체 로울(34),(34)에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딸기의 접촉부 T의 하부접점 T1이당 접했을때, 꼭지의 일부가 접촉부 T에 물리게 된다(제11(A)도 표시).
꼭지의 일부가 접촉부 T에 물리게되면, 제11(A)도, 제11(B)도, 제11(C)도에 나타낸 것처럼, 발포체 로울(34),(34)의 회동에 의해, 반대방향을 향한 꼭지도 말아 올려져서 꼭지 전체가 접촉부 T에 물리며, 꼭지따기 로울(23A),(23B)에 협지된다(제11(b)도에 표시).
그리고, 후술하는 각축부(32),(32)의 각부(角部)에 의한 확실한 협지와 끌어 올리는 작용에 의해, 꼭지전체가 윗쪽을 향해서 끌리게되며, 제11도에 나타낸 것처럼 딸기의 과육부(果肉部)도 윗쪽으로 끌어 올려져서 발포체 로울을 요상(凹狀)으로 푹 꺼지게 하는 동시에, 꼭지가 과육으로부터 비틀려 뜯겨진다. 꼭지가 비틀려 뜯긴 딸기는 발포체 로울(34),(34)의 축압에 반발해서 꼭지따기 로울(34),(34)에서 떨어진다. 그리고 발포체 로울(34),(34) 자체는 유연하기 때문에, 꼭지를 비틀어 뜯을때 과육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각축부(32),(32)에 의한 잡아당기는 작용을 제9도 및 제11도에 의해서 설명하면, 발포체 로울(34),(34)는 각축부(32),(32)의 한모퉁이부 a,b가 위치하는 a4,b4에서 a10,b10의 부분까지는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압축되어 있으며, 또 이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충 윗쪽을 향한 궤적을 그리게 된다. 따라서, a4, b4의 곳까지 보내져 온 꼭지는 압축된 발포체 로울(34),(34). 강하게 협지되어서, 윗쪽을 향해서 a10, b10의 곳까지 잡아 당겨진다. 이 잡아당기는 작용중에 꼭지가 슬립하는 일도 있으나, 이 경우 다음의 모퉁이부 a, b가 회동해 와서 같은 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기 잡아당기는 작용이 중단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꼭지의 협지력은 스프링의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잡아당기는 작용에 의해 과육에서 비틀려 뜯긴 꼭지는 그대로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발포체 로울(34),(34)의 접촉부 T사이를 통과해서 상승하고, 꼭지따기 로울(23A),(23B) 위의 꼭지 부상구역 Y 내로 부상하고, 적절한 수단에 의해 회수가 꾀해진다.
꼭지가 제거된 딸기는 그대로 꼭지따기 로울(23)의 하면을 따라서 틀체(20)의 상단 (20A)측으로 이동하고, 딸기 부상구역 Z내로 부상해서 오우버플로우 하는 수류(水流)를 타고 유출구(68)에서 수조(2)밖으로 회수된다.
그리고, 딸기가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23B)사이로 부상했을 경우에는 그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환봉상(丸棒狀)의 분리봉(60),(60)…에 닿아서 좌우 어느쪽인가에 배분되며, 반드시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A)의 하면으로 이행해서 상술한 작용을 받게 되며, 상기 로울러 사이에 딸기가 정체하는 일은 없다. 또한 쌍의 꼭지따기 로울의 아래쪽으로 공급된 딸기는 상술한 작용을 받는 외에, 요동하고 있는 분리봉(60),(60)에 의해 단속적으로 측방으로 눌려지므로, 꼭지가 옆을 향해서 회전하고 있는 딸기를 위를 향하게할수 있다.
그리고, 꼭지따기 작업에 있어서, 꼭지가 임은 딸기의 성상이나 크기, 형상등의 제조건에 의해, 꼭지따기 로울(23A),(23B)의 하면에 연해서 부상하는 속도와 꼭지의 제거상황을 감안하여, 부상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서 꼭지의 제거비율이 저하할때에는 현조레버(27),(27)의 멈춤핀(30),(30)을 뽑아서 가장 바람직한 이동속도가 얻어지는 경사각도를 선정하고, 다시 그 위치에 대응하는 현조레버(27),(27)의 구멍(28)을 선택해서 멈춤핀(30),(30)을 끼워 넣어서 틀체(20)를 지지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수조내의 수중에 적어도 하면이 잠기도록 해서 주면(周面)을 스폰지 등의 압축성을 갖는 발포체로 구성한 두개를 한쌍으로 하는 꼭지따기 로울을 배설하고, 상기 꼭지따기 로울에는 그 접촉부가 윗쪽을 향해 이행하도록 양 꼭지따기 로울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구동자재로 구성했으므로, 대기중에 있어서 행하는 종래 장치와 다르며, 딸기의 형상이나 크기 또는 표면의 성상(性狀)여하에관계없이 딸기에 양호한 회전을 부여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꼭지가 꼭지따기 로울 사이에 물리는 기회를 매우 많이 줄수 있다.
더구나 상기한 회전은 수중에 있어서 가벼운 접촉하에서 이루어지므로, 딸기에 손상을 줄 염려가 없으며, 또한 수중에 있어서 딸기에 회전을 주기 위해 자기세정효과도 나타낸다. 특히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꼭지따기 로울의 외주면을 발포체로울로 구성하고, 그 축은 경질의 각축으로서 구성하고, 다시 적어도 한쪽의 축을 가동적으로 지지해서 다른쪽에 대해 탄압시킨 구성으로 했으므로, 꼭지따기 로울 사이에 딸기의 꼭지를 확실히 물리게 해서 꼭지의 근원(根元)을 협지해서 윗쪽으로 끌어 올릴 수가 있으며, 따라서 확실한 꼭지따기를 할 수 있다.
또 두번째 발명처럼,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 사이에 수하 지지되며, 꼭지따기 로울 하면에 연해서 분리봉을 이 꼭지따기 로울의 가로방향 이동에 의해 요동자재로 설치한 것에 의해,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 사이에 딸기가 부상하더라도 정체시키는 일 없이 좌우의 어느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 사이에 유도할 수가 있으며 더구나 이 분리봉의 꼭지가 옆으로 향해서 회전중인 딸기를 계속적으로 밀어서 윗쪽을 향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딸기의 꼭지를 꼭지따기 로울 사이로 물리게하는 기회를 보다 많이 줄 수 있다. 그때 문에 딸기 꼭지의 꼭지따기 로울에의 물림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한층 더 높은 효율로 꼭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꼭지따기 로울을 지지하는 틀체의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면, 딸기의 부상작용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꼭지따기 로울에 연해서 이동시키면서 꼭지따기를 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한층 더 꼭지의 제거가 높은 능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처리 딸기의 성상에 응한 가장 효과적인 리시간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관해서 딸기의 꼭지따기에 대해 설명했지만, 딸기 이외의 유사과일, 예를 들어 버찌의 꼭지따기에 대해서도 사용가능하다. 또 각부(各部)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예 에한정되는 것은아니며, 본원 발명의 기술사항을 일탈치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설계변경은 임의대로 할 수 있다.

Claims (1)

  1. 수조(水槽)(2)와, 이 수조(2)내의 수중에 적어도 하면이 잠기도록 해서 설치되며, 주면을 스폰지 등의 발포체 로울(34),(34)로 형성하는 동시에 축심(軸芯)을 경질의 재료로 각축상(角軸狀)으로 형성한 두개를 한쌍으로 하는 꼭지따기 로울(23)과, 상기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과 서로 압접상태로 해서 회전자재로 지지하는 탄압지지수단과, 상기 한쌍의 꼭지따기 로울(23)의 접촉부가 윗쪽을 향해서 이행(移行)하도록 양 꼭지따기 로울(23)에 상호간에 역방향의 회전을 부여하는 회전구동수단을 대비해서 이루어진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KR7702461A 1977-10-25 1977-10-25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KR83000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461A KR830001341B1 (ko) 1977-10-25 1977-10-25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461A KR830001341B1 (ko) 1977-10-25 1977-10-25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38A KR830000038A (ko) 1983-03-25
KR830001341B1 true KR830001341B1 (ko) 1983-07-14

Family

ID=1920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461A KR830001341B1 (ko) 1977-10-25 1977-10-25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3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038A (ko) 198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3040A (en) Machine for process of poultry gizzards
DE2222198C2 (de) Vorrichtung zum Austragen von Öl oder dergleichen wasserabstoßenden Stoffen aus einer auf einer Flüssigkeit schwimmenden Schicht
JP4927406B2 (ja) スパイラル脱葉機
US5104351A (en) Device for boning a piece of meat
US3020583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hrimp from a mixed catch and/or removing the shrimp heads
US47181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iscerating scallops
KR830001341B1 (ko) 과실류의 꼭지따기 장치
US3232412A (en) Apparatus for bringing into upright belly-dosal position fish transported resting on one side
JP3699593B2 (ja) 洗浄装置
US2888709A (en) Machine for separating shrimp from fish and de-heading the shrimp
US4138940A (en) Apparatus for removing calyxes and the like from fruits
US457029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gizzards from the entrails of poultry and for further processing the gizzards
EP0548192B1 (en) Tuber separator
KR20220071746A (ko) 양식 굴 자동 수확장치
US2755501A (en) Shrimp separating and peeling machines
US2601055A (en) Strawberry capping machine
US1097213A (en) Tomato seeding and pulping machine.
EP032225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potatoes and the like
US3359595A (en) Roller device for removing the meat from king crab legs
JP4343869B2 (ja) バナナの皮剥き方法及び装置
US3003186A (en) Fish cleaning machine
JP3992626B2 (ja) 豆のさや剥き装置
US3256556A (en) Device for removing the meat from king crab legs
KR830001318B1 (ko) 딸기의 꼭지 따기장치
KR960009613Y1 (ko) 산수유 열매의 씨 분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