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224Y1 - 어댑터 - Google Patents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224Y1
KR830001224Y1 KR2019830002513U KR830002513U KR830001224Y1 KR 830001224 Y1 KR830001224 Y1 KR 830001224Y1 KR 2019830002513 U KR2019830002513 U KR 2019830002513U KR 830002513 U KR830002513 U KR 830002513U KR 830001224 Y1 KR830001224 Y1 KR 830001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haft
adapter
contact piece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2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젤바하 하인즈
에퍼스 베르트 게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에르코 로이히덴 게엠베하
클라우스 위트 겐 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코 로이히덴 게엠베하, 클라우스 위트 겐 마트 filed Critical 에르코 로이히덴 게엠베하
Priority to KR2019830002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224Y1/ko

Link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어댑터
제1도는 결합 이전의 전류공급 레일과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전류공급 레일과 어댑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Ⅲ의 방향에서 본 어댑터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화살표 Ⅳ의 방향에서 본 어댑터의 측면도(전류취츨 레일은 생략됨).
제5도는 제3도의 화살표 Ⅴ의 방향에서 본 어댑터의 평면도.
제6도는 제3도의 화살표 Ⅵ의 방향으로 본 어댑터의 저면도.
제7도는 제1도의 Ⅶ-Ⅶ선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
제8도는 접점면 절환축의 제1의 축선방향 위치에 있어서, 제3도의 Ⅷ-Ⅷ선에 따라 접점편 절환측 및 인접하는 하우징 부품을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접점편 절환축의 다른 축선 방향위치에 있어서의 제8도에 상응한 도면.
제10도는 제7도의 Ⅹ-Ⅹ선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
제11도는 제7도의 Ⅸ-Ⅸ선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
제12도는 제1도에 상응한 절환축 절환위치에 있어서의 제7도의 XII-XII선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
제13도는 보유지지편 절환축이 보유지지된 제12도에 상응하는 도면.
제14도는 제2도에 상응하여 양쪽의 절환축을 보유 지지한 제13도와 같은 도면.
본 고안은 어댑터를 삽입했을 때에 외부로 부터의 조작이 가능한 상(相)절환부와 어댑터내에서의 회전이 가능케 장치되며 어댑터 외부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한 접점편절환축 및 보유지지편 절환축에 구비하되, 상기 절환축들의 운동을 서로 상관 관계를 갖고 제어되어, 접점편 절환축의 조작은 보유지지편 절환축이 고정된 때에만 행해질 수 있고 보유지지편 절환축의 해제는 접점편 절환축이 접촉하고 있지 않을 때에만 행해질 수 있게끔 되어있는 도체 레일 및 보유지지 홈을 가진 단상 또는 다상 전류공급 레일용의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개 제2411976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어댑터는 서로 동축적으로 끼워져 지지된 두 개의 절환축, 즉 보유지지편 절환축 및 접점편 절환축을 가진다. 무접점의 보유지지편 절환축은 전류 공급 레일의 보유지지홈내에 어댑터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보유지지편은 회전정과 같이 보유지지홈내에 삽입되어 선회된다. 접점편 절환축은 3개의 상 접점 및 중성선 접점을 가진다. 접점편은, 탄성점으로 지지되어 있고 또한 절환축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접촉위치에 요동할 수가 있다. 이같은 어댑터의 장점은 양쪽의 절환축의 운동제어가 서로 상관관계를 갖음에 있으며, 이에 의해 접점편 절환축의 조작은 보유지지편 절환축이 고정된 때에만, 또한 보유지지편 절환축의 해제는 접점편 절환축이 접촉되어 있지 않을 때에만 행해지게됨에 있다.
또한, 이같은 공지의 어댑트에 있어서는 상 선택스위치의 부품을 포함한 기능 부품의 대부분이 어댑터가 삽이된 상태에서 어댑터 수용통로 내에 배치된다는 장점도 갖는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어댑터는 접촉 저항이 있기 때문에 대전력의 취급이 곤란하다는 점에 대해서 개선되어야만 할것으로 고려된다. 중성선 접점편/도체레일 또는 상접점편/도체 레일의 절환접점 이외에, 공지의 어댑터는 상선택 스위치에 대한 다른 접점이행부를 가지며, 상 선택스위치는 한편 그 자체가 하나의 접촉위치를 형성한다.
특히, 상접점편/상선택 스위치의 절환접점 및 상스위치의 접촉위치가 적절히 설정되지 않을때 접촉위치에서 좋지 못한 전압 강하가 생기는 일이 있으며, 이같은 전압 전압 강하의 결과, 특히 대전력으로 사용할때, 어댑터의 가열현상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공지의 어댑터의 장점을 유지한채로, 어댑터의 구성이 간단하며 전에 접촉저항이 저하되게끔 개선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이같은 과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해결된다. 즉, 보유지지편 절환축이 접점편 절환축으로 부터 격리되어 중성선 접점편을 갖가 한편, 접점편 절환축이 상접점편 만을 가지며, 상기 절환축이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어댑터를 삽입했을때, 부가적으로 외부로 부터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양쪽의 절환축 사이에 이동 가능케 지지된 저지부재를 통해, 절환축의 상호 제어가 행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접점편 절환축은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형태의 부가적인 자유도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단일의 상접점이 어댑터를 삽입하였으때 각종의 상으로 접속된 도체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으며, 또한 바람직한 상에 있어서 도체레일의 높이로서 요동되며, 또한 이때, 도체 레일에 접촉하도록 비켜 놓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중성선 접점편이 보유지지편 절환축에 부속되어 있으므로 접점편 절환축에 있어서의 운동경과는 단일의 상접점편의 조작만으로 한정되며,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에 대한 전제가 형성된다. 기타의 점에 있어서,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는 구성을 변경치 않고 선택적으로 단상, 상 또는 3상 전류취출레일에 사용되며, 또한 적당히 변형하면 상이상의 상을 포함한 전류공급 레일에 사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에 있어서는 별개의 상 선택 스위치가 필요치 않다. 왜냐하면, 상절환에 상접점편만을 가지는 접점편 절환축에 의해 동시에 행해지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는 전술한 공지의 어댑터와는 달리접점편(상접점편, 중성선접점편)/도체 레일의 영역에서의 접촉저항만을 가질뿐이다. 이들 접촉영역은 특히, 비교적 큰 접촉압력의 부가에 의해 대단히 양호하게 제어되므로, 접점영역에 있어서의 접촉저항, 즉, 전압 강하는 비교적 작아 큰 전력을 송출할때의 열 손실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본 고안은 전체 접촉저항을 감소시킨다는 것만으로 만족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전술한 공지의 어댑터의 두 절환축의 운동제어에 있어서의 유리한 상호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필연적인 요구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두 절환축의 상호의 제어는 이들 절환축 사이에서 이동가능케 지지된 저지부재를 통해 행해진다.
이후,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어댑터는 부호(10)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수용통로(12)가 제공되어 있는 전류 공급레일(11)은 자동잠금 상태로 깨워져 있는 두 절연재료 성형부(13), (14)를 가지며, 이들 성형부 내에는 도체 레일이 박혀진 형태로 보유지지되어 있다. 이들 도체 레일의 중성선 레일은 (MP)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한편 상(相)도체 레일은 부호 (R), (S), (T)로 도시된다.
또한, 전류 공급레일(11)에는 서로 대향한 두개의 보유지지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의 우측에 도시된 보유지지홈(15)의 아래쪽에는 접지 접점도체 레일(E)이 전류 공급레일(11)의 성형부에 삽입되어 있다.
전류 공급 레일(11)은 경합금 레일의 특수 단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한편 도체 (MP), (R), (S), (T)과 접지 접점 도체 레일(E)은 편평한 단면의 동으로 만들어져 있다. 실질적으로 두개의 쉘(shell : 16,17)로 형성된 어댑터 하우징(housing : 18)을 포함한 어댑터(10)에는 외측부(19)와 플러그부(plug : 20)가 제공되어 있다.
제1도로 부터 알수 있듯이, 어댑터(10)의 플러그부(2)는 어댑터 수용통로(12)에 삽입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다. 이것은 순수하게 기계적으로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어댑터 하우징(18)의 슬로트(slot ; 22)를 통해 90°의 원주각에 걸쳐 요동가능한 요동 레버(lever : 21)가 제1도에 도시된 중립위치로 부터 잠금 위치(제2도)에 요동된다. 즉, 요동레버(21)에 의해 후술된 보유지지편 절환축(A)이 요동 가능하다. 절환축(A)이 제1도의 중립위치로 부터 제2도의 잠금 위치에 요동되면, 어댑터 하우징(18)의 양측에 있는 슬로프(23)으로 부터 보유지지편(24)이 돌출하여 어댑터(10)를 보유지지홈(15)에 고정한다. 요동레버(21)의 작동에 의해 중성선 접점편(MPk)도 요동된다. 중성선 접점편(MPk)이 중성선 레일(MPk)에 박혀 제2도와 같이 요동레버(21)가 조작된 후에 이와 동시에 중성선 접점편MPk도 요동됨. 상접점편(P)의 요동이 행해질 수 있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접점편(P)은 상도체 레일(R)에 박혀진다. 이후 상세히 설명될 접점편 절환축(B)에 회전 부착된 상접점편(P)은 상도체 레일(S), (T)에도 교대로 접촉된다. 상접점편(P)의 두 교대 위치는 제2도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지접점(Ek)으로서는 용수철 접점이 사용되는데, 이 용수철 접점은 삽입 방향(X)을 따라 어댑터가 삽입될때, 선행위치에서 접지 접점도체 리일(E)에 접동접촉한다. 어댑터(10)이 하나의 위치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게끔, 어댑터의 한쪽에는 극성 리브(rib ; 25)가 제공되며 이 극성 리브는 제1도는 및 제2도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극성홈(26)내에 끼워진다.
제3도 내지 제6도에는 어댑터(10)의 다른면이 명백히 도시된다.
나사(27)는 양쪽의 댑(16), (17)은 결합하여 고정하며, 한편 나사(28)는 도시치 않은 보유지지 장비 예를들어, 램프 보유지지 장비를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어댑터의 더욱 상세한 점은 제7도 내지 제14도로 부터 명백히 알수 있다. 제7도에 도시하듯이, 보유지지편 절환축(A)은 하우징 쉘(16)에 회전 가능케 지지되어 있다. 제7도에는 중립위치에 있는 보유지지편(24) 및 보유지지편에 상응한 슬로트(23)가 명백히 도시된다. 보유지지편 절환축(A)은 중공부재로서 형성되며, 이 중공부재는 내부공간내에 중성성 접점편(MPk)용의 접속부를 수용한다.
중성선 접점편(MPk)은 접속단자(29)에서 끝맺으며, 이 접속단자에는, 예를들어, 램프에 통하는 접속선이 동여매어 진다. 또한, 접속단자(34)가 접지 접점(Ek)의 제공을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중성선 접점편(MPk)은 보유지지편 절환축(A)의 내부공간 내로의 용수철(30)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내측으로 탄력성이 생길수 있다. 또한, 접점편 절환축(B)의 내부공간에 부착된 상접점편(P)은 용수철(30)의 복원력에 항거하여 내측으로 탄력성이 생길 수가 있다. 제7도에서는 슬로트(31), (32)가 명백히 도시되며 중성선 접점편(MPk), 또는, 상접점편(P)은 절환축(A) 또는 절환축(B)이 선회하였을 때 어댑터 하우징(18)의 벽을 통해 외축으로 요동된다. 상저점편(P)도 끝맺으며 접속단자에는, 예를들어 램프로 향해 외측으로 통하는 접속선이 동여매어 진다.
보유지지편 절환축(A)는 90°의 원주각에 걸쳐 요동가능한 요동레버(21)에 의해 조작 가능하며, 한편 접점편 절환축(B)은 저점편 절환축(B)내에 설치된 두개의 축선부재(36)에 의해 회전 가능케 연결된 조작단추(35)에 의해 요동 가능하다.
제7도에서 특히 명백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편 절환축(A)은 접점편 절환축(B)로 부터 격리되어 있다. 접점편 절환축(B)은 압축 용수철(37)의 힘에 저항하여 조작단추(35)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이 조작 단추는 압축 용수철(38)에 의해 정상적으로 어댑터 하우징(18)에 대해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접점편 절환축(B)을 상측 축선 방향 위치로 부터 하측 위치로 움직이려하려면 우선 조작단추(35)를 돌린후 아래쪽으로 당긴다. 접점편 절환축(B)을 축선 위치에 구속하면, 즉시 조작단추(35)가 압축 용수철(38)의 작용에 의해 하우징에 접한 초기 위치에 되돌아가므로 어댑터(10)는 접점편(B)의 축선 방향이동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불변의 외형을 가진다.
접점편 절환축(B)에 인접하며 어댑터 하우징(18)에는 절환축(B)의 축방향에 상응하여 도체 레일(예를 들어, S 및 T)사이의 간격이 정합되게끔 편기된 통과개구 또는 슬로트(32); (제3도 및 제4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같이 하여 중성선 접점편(MPk)이 잘못되어 상도체 리일(T)에 접하는 일이 없게된다.
접점편 절환축(B)은 소정의 축선 방향위치 또는 상위치의 구속을 위해 구속편(39)을 갖는데, 이 구속편은 멈춤면을 갖고있으며, 또한 어댑터 하우징(18)에 의해 형성된 안내공간(40), (40a)내에 선택적으로 박힌다. 이것은, 특히 제7도 내지 제10도에 의해 명백히 알수 있다. 상측 축선 방향 위치에 있어서, 구속편(39)은 안내공간(40)에 박혀져, 이경우 상접점편(P)이 대향한 슬로트(32)를 통과하여 상도체 레일(R) 또는 상도체레일(S)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그때, 접점편 절환축(B)은 압축 용수철(37)의 작용을 받아 자동적으로 상축 축선 방향위치에 유지된다.
상접점편이(하측 슬로트 32를 통하여)상도체 레일( T)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접점편 절환축(B)을 상측 축선 방향 위치로부터 하측 축선방향 위치에 전위시키려고 할경우, 우선 조작단추(35)를 돌려, 이것에 의해 구속편(39)이 제10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게 되도록한다. 즉, 제10도의 회전 위치에 있어서 구속편(39)은 축선 방향 이동에 저항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구속편의 고정날개(50) 또는 (51)이 실내공간(40) 또는 (40a)에 박혀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조작단추(35)에 의해 접점편 절환축(B)은 아래쪽으로 당겨질 수 있고 90°의 선회가 행해지며. 이것에 의해 상접점편(P)은 상도체 레일(T)에 접촉하는 한편, 구속편(39)의 고정 날개(50)가 안내공간(40a)에 박히게 된다. 이 위치에 있어서, 압축 용수철(37)은 압축된다. 상접점편(P)의 오조작은 최하단의 축선방향 위치에 있어서는 중성선 레일(MP)와 마주한 하우징 쉘(16)의 면이 통과 개구 또는 슬로트(32)를 갖지 않으므로 방지된다. 게다가, 어댑터 하측(제6도)에는 자동차에 있어 H자형 기어 변속과 갖은 장치 방식이 인쇄되어 있다. 이것은 압축 용수철을 가지는 단추(52)의 축선 방향 위치에 의해 접점편(P)이 위쪽의 상위치(R 또는 S)에 있는가 또는 아래쪽의 상위치(T)에 있는 가를 알수 있게한다(제8도 및 제9도 참조).
또한, 제7도 그리고 제12도 내지 제14도로 부터 양쪽의 절환축(A), (B)의 상호의 제어가 저지부재(G)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명백히 알수 있다. 제12도 내지 제1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각기 절환축(A), (B)의 단면은 저지부재(G)의 높이에 있어서 대체로 원형이다.
절환축 (A), (B)의 원성표면은 제각기 제어면 (Fa) 및 (Fb)를 형성한다. 접동체 형태의 저지부재( G)는 양족의 절환축 (A), (B)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플러그부(20)의 내벽면 상에서 자신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가동할 수 있게끔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 내면에 있어, 저지부재(G)의 목적에 맞는 측방 및 상하방 지지는 제11도로 부터 알수 있다.
저지부재(G)의 양단면은 제각기 제어면(Fa), (Fb)을 형성하는 인접한 절환축 (A), (B)의 표면에 접하여 지지될수 있으며, 또한 제각기 저지 위치(41/42) 및 (43/44)에 저지될 수 있다.
그때 상접점편(P) 및 증성선 접점편(MPk)의 접촉위치에 있어, 또한, 동시에 보유지지편 절환축(A)의 저지 위치에 있어(제14도 참조), 절환축(A)의 저지위치(41/42)는 절환축(B)의 저지위치(43/44)에 관하여 90°의 원주 각만큼 편위된다. 저지부재(G)의 양단면에 제각기 하나의 저지돌기(42), (44)가 설치되어 있다.
제각기의 저지돌기(42), (44)는 저지노치(notch)(41) 또는 (43)과 연관 작동한다. 저지돌기(42)와 (44)간의 저지부재(G1)의 축선방향 외형길이(G : 제14도 참조)는 제각기의 저지노치(43 도는 41)(제12도)의 제일 깊은 곳과 대향하는 제어면(Fa또는 Fb)간의 길이(R1)보다 소정의 칫수만큼 짧게 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두 절환축 (A), (B)의 상호간의 운동 관계가 얻어진다.
제12도에 있어서, 저지돌기(44)는 관련된 저지노치(43)내에 있으며, 한편 저지돌기(42)는 절환축(A)의 제어면(Fa)에 접하고 있다. 즉, 이것은 접점편 절환축(B)이 제13도에 도시한 상태에 달할때까지 움직일 수 없음을 나타낸다. 제7도 또는 제12도 내지 제14도의 우측에 도시된 저지부재(G)의 단면은 압축 용수철(45)에 의해 항상 외측으로가 압되는 선축 삽입체(46)가 관통하며, 인접한 절환축(B)의 제어면(Fb)에 접하는 삽입체(46)의 단면(47)에 의해 저지돌기(44)와의 연결이 가능하다. 이 상태는 제13도에 명확히 도시되어 있다. 압축 용수철(45)의 작용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는 신축 삽이체(46)은 저지부재(G)전체를 좌측으로 밀며, 이것으로 인해 저지돌기(42)가 관련된 저지노치(41)내에 있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저지돌기(44)는 관련된 저지노치(43)의 외측에 있다. 따라서, 접점편 절환축(B)는 90°만큼 선회되므로, 제14도의(또는 제2도에 따른) 상태가 얻어진다. 제14도에 의하면 보유지지편 절환축 (A)은 돌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하듯이 상접점편(P)이 박혀 있지 않을때만 절환축(A)가 다시 움직일 수 있다.
저지돌기(44) 및 관련된 저지노치(43)는 대체적으로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며, 한편, 저지부재(G)의 다른 단면에 설치된 저지돌기(42)는 외측으로 뾰족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관련된 저지노치(41)는 오목한 상태로 완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보유지지편 절환축(A)이 제13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제12도의 위치로 돌려지려고 할때, 뾰죽한 저지돌기(42)는 저지노치(41)로 부터 미끄러져 나올수가 있다.
신축 삽입체(46)의 단면(47)에는 볼록한 상태로 완곡된 접동돌기(4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동돌기는 접점편 절환축의 접촉위치에 있어서 상의수에 따라 설치된 보조노치(49)에 박힌다. 보조노치(49)내에 접동돌기(48)가 고정될때, (제14도 참조), 음향적으로 분명히 알수 있는 찰칵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한편 접점편 절환축(B)을 제14도의 절환위치로 부터 제13도의 위치로 옮길려고 할때에는 감지가능한 저항을 극복해야만 한다.
또한, 접점편 절환축에 설치된 지지노치(43)가 접점편 절환축(B)의 축선방향 이동량에 정합된 축선방향길이를 갖음은 명백하다(제7도). 또한, 압축 용수철(37)의 복원력이 압축 용수철(38)의 복원력보다 매우 크다는 것도 명확하다.

Claims (1)

  1. 어댑터 삽입시에 외부로부터의 조작가능한 상절환부와, 회전가능케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한 접점편 절환축 및 보유 지지편 절환축을 구비하되, 상기 절환축들의 운동이 상관관계를 갖고 제어되어, 접점편 절환축의 조작은 보유지지편 절환축이 고정된 때에만 행해지게 되고, 보유지지편 절환축의 해제는 접점편 절환축이 접촉하고 있지 않을때에만 행해지게 구성되어 있는 도체레일 및 보유 지지홈을 가진 전류 공급레일용의 어댑터에 있어서, 중성선 접점편(MPk) 및 요동레버(21)를 보유지지편(24)을 가진 보유지지편 절환축(A)에 설치하고, 상접점편(P) 및 조작단추(35)를 보유지지편 절환축(A)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접점편 절환축(B)에 설치하고, 절환축(A,B)의 상관제어를 행하는 저지부재(G)를 절환축(A)과 절환축(B)간에 삽입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KR2019830002513U 1979-03-05 1983-03-22 어댑터 KR830001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2513U KR830001224Y1 (ko) 1979-03-05 1983-03-22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0671 1979-03-05
KR2019830002513U KR830001224Y1 (ko) 1979-03-05 1983-03-22 어댑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0671 Division 1979-03-05 1979-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224Y1 true KR830001224Y1 (ko) 1983-07-18

Family

ID=26626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2513U KR830001224Y1 (ko) 1979-03-05 1983-03-22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2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5257A (en) Precision toggle switch
EP0015356B1 (en) Bipolar shunting device for multipolar electric lines of the armor-plated type
JPH09204956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4345122A (en) Detachable cord
KR20010081141A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US3764762A (en) Electrical switch
KR830001224Y1 (ko) 어댑터
US2748210A (en) Electric switches
EP1296343B1 (en) Switch, in particular battery cutout switch for vehicles and the like
US4623763A (en) Rotary multi-contact switch
US3852552A (en) Toggle switch
JPH04233120A (ja) 過負荷継電器
JPS62234812A (ja) 電気的なスイッチに用いられる切換装置
GB2209888A (en) An electrical socket with rotary shutter
US3194898A (en) Selector switches of the trigger actuated type
US5068506A (en) Switch having a locking mechanism
EP0500647B1 (en) Electrical device for switching on reserve power
JPH07282669A (ja) 電源ボタン装置
JPS6031140Y2 (ja) 多段切換スイツチ
US6236299B1 (en) Auto tripping key switch
KR960008261Y1 (ko) 자동 오프 파우워 스위치의 온/오프 오작동 방지장치
JPH0218900Y2 (ko)
KR930007691Y1 (ko) 접점스위치
JPS6320342U (ko)
KR20190002376U (ko)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