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071B1 - 게임 장치의 제어기구 - Google Patents

게임 장치의 제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071B1
KR830001071B1 KR1019800002387A KR800002387A KR830001071B1 KR 830001071 B1 KR830001071 B1 KR 830001071B1 KR 1019800002387 A KR1019800002387 A KR 1019800002387A KR 800002387 A KR800002387 A KR 800002387A KR 830001071 B1 KR830001071 B1 KR 83000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reel
circuit
gate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슈 데이빗드
나누스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데이빗드 비이 브리스
버어튼 부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빗드 비이 브리스, 버어튼 부라운 filed Critical 데이빗드 비이 브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depending on the stopping of moving members in a mechanical slot machine, e.g. "fruit"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게임 장치의 제어기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시스팀의 개략도이다.
제2a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려 하는 게임장치의 릴(reel)과 연관된 감지장치와 광학 조립체의 일부분의 개략도이다.
제2b도는 제2a도에 보인 장치의 시간 도표이다.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계산회로의 논리도표이다.
제3a도는 제3b도에 보인 논리회로의 출력과 연관된 표본형태의 해독회로(decode matrix)이다.
제3c도는 제3a도의 계산회로의 전이레지스터(shift register)와 데이타 선택기를 자세히 나타낸 논리도표이다.
제3d도는 제2도의 릴과 광학조립체의 정면 개략도이다.
제3e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장치에 쓰이는 5개의 지불선의 정면 개략도이다.
제3f도는 제3e도의 지불선의 진리표이다.
제4a도, 제4b도, 제5도는 제1도에 보인 릴과 함께 사용되어 제3a도에서 받은 데이타를 게임장치와 연관된 릴의 주변에 있는 미리 결정된 형태에 근거하여 기호로 바꾸는 전형적인 복호회로.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기 또는 상금복호회로의 논리 도표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불 계산회로의 논리 도표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불 조절장치의 논리 도표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선택 제어회로의 논리 도표이다.
제10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시간 논리회로에 쓰이는 시계회로(clock circuit)의 논리 도표이다.
제11도는 제10도에도 시한 시계회로와 협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어 시스팀의 시간 논리회로를 형성하는 제어 혹은 순차회로의 논리 도표이다.
본 발명은 우연히 상금이 결정되는 유흥용 게임장치, 특히 그러한 장치의 전자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중 슬롯머신(slot machine)은 기계에 장치된 핸들을 작동시키면 다수의 릴(real)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어 형태를 나타낸다. 오렌지, 플럼, 등과 같은 과일의 모양이 릴에 그려져 있고 상금은 하나 또는 2이상의 수평선에 나타나는 형태의 조합에 의하여 결정된다. 형태를 그 려넣은 릴과 릴을 회전시키는 장치를 사용한 유흥용 제임장치의 예는 1972.2.15일에 제어 이 랠리(J.E. Lally)등에 허여된 미특허 3,462,287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게임 장치는 원래는 완전히 기계적으로 제조되어 회전하는 릴을 무작위로 멈추게 하고, 상금을 결정하고, 돈을 지불하였으나 근 래에는 이러한 장치를 전자논리 제어시스팀으로 조절하는 여러가지 제안이 있었다. 다수의 릴을 갖는 게임 장치에 쓰이도록 만들어진 논리 제어 시스팀의 예는 제이 에프 맥구이르(J.E.McGuire)등에게 1969.4.15에 허여된 미 특허 3,439,281, 또 랄, 쥐, 웨인(R.G. Wayne)등에게 1972.8.15에 허여된 미 특허 3,684,290, 그리고 시, 에이취, 콕스(C.H. Cox)에게 1974.9.10에 허여된 미 특허 3,834,712등이다. 1969.8.30에 시, 이, 포스터(C.E. Foster)에게 허여된 미 특허 3,269,503은 포커, 과일, 또는다른 게임 장치에 잭 폿(jactpot)을 얻어서 저장하는 전자논리 시스팀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릴의 위치를 감지하는 시스팀이 제공되어 있는 회전 릴 게임장치에 제조와 설치가 간단하고 적용이 용이한 전자 제어 시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간단한 단일선의 릴의 위치 감지조립체를 사용하면서 다수의 지불선에 데이타를 유지할 수 있고 종래의 데이타처리 장치와 같이 쓸 수 있는 출력형태를 갖고 있으며 다수의 릴 정지역을 다룰 수 있도록 확장가능한 전자제어 시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금을 결정하기 위하여 "형태-형태-바"나 "모든 바"등의 동작도 할 수 있는 공지의 시스팀에 비하여 간단한 릴의 띠 비율 배열을 할 수 있는 회전릴 게임장치의 전자제어 시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불 금액의 양과 지불 방법이 간단한 방법으로 가변적이어서 여러가지 지불금액과 배열, 상금 배열마다 지불되는 동전의 수의 증가가 가능하고 곱셈기 형태에 의하여 기본 상금을 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조합된 바"가 "모든바"를 취소할 수 있듯이 선택적으로 하나의 배열을 다른 배열을 위하여 취소할 수 있고 잭폿의 경우 자동적으로 지급하지 않고 손으로 지급할 수 있는 회전릴 게임장치의 전자제어 시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금을 동시에 지불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지불할 수 있어서 장치의 띠 배열에 가해지는 제약을 제거할 수 있는 전자 제어 시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으로 지불하는 잭 폿전에 자동 지불을 할 수 있도록 "최후 동전선"을 찾을수 있는 게임장치의 전자제어 시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당한 시간에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발생하지 않은 입력을 무시하는 게임장치의 전자제어 시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릴의 회전시간을 간단히 조정할 수 있는 회전릴 게임장치의 전제어자 시스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은 다수의 회전릴을 갖는 게임장치에 회전릴의 위치를 검지하는 입력회로와, 입력회로와 연결되어 입력회 로에서 릴의 위치에 관한 데이타를 받아서 유지하는 계산회로와, 계산회로에 연결되어 계산회로에서 릴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받아릴의 위치와 릴의 표지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조합이 존재하는가를 결정하는 비교회로와, 비교회로 연결되어 비교회로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조합이 릴의 표지에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지면 동전을 지불하는 지불회로를 갖는 전자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입력회로는 릴과 연관된 감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릴에 제공된 틈과 구멍과 함께 펄스 형성기에 신호를 전달하며, 입력회로에 역시 포함된 펄스형성기는 감지조립체에서 신호를 받아 계산회로에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신호를 제약한다. 정확히 말하면 감지조 합체는 각각의 릴에 하나씩 다수의 감지기를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감지기는 빛을 내는 부분과 빛을 받는 부분으로 구성되며 LED를 사용하여 회전릴에 제공된 틈과 구멍을 통하여 감광트랜지스터에 빛이 순차적으로 가해지고 끊어지고 하게 한다.
계산회로는 표지논리회로를 포함하여 팀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받아 지불선을 결정하기 위해 데이타를 처리한다. 계산회로는 표지회로외 비교회로에 연결된 띠 회로를 포함하여 표지 회로에서 신호를 받아 그 신호에 포함된 데이타를 일반의 형태 출력복호 평행데이타선으로 바꿔 비교기에 가한다.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회로에 따르면 표시회로는 다수의 위치복호 회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릴에 하나씩 복호회로가 있다. 각각의 이러한 위치 복호회로는 입력회로의 펄스 형성기중의 하나에 연결된 계수기를 포함하여게 임장치의 릴중의 하나에 연관된 위치의 함수인 신호를 받는다. 전이레지스터는 전류와 예를들면 3개의 전술한 릴의 위치에 관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하여 계수기에 연결되고 데이타 선택기는 전이 레지스타에 연결되어 전이 레지스타에서 표지회로의 띠 회로로 데이타를 전달한다. 대개 2진인디지탈 복호기는 데이타 선택기와 복호기에 연관된 띠 회로에 연결되어 데이타 선택기에서 받은 신호를 게임 장치의 릴에 제공된 표지에 의하여 형성된 형태의 함수인 릴 위치 신호로 바꾼다. 더 자세히 말하면 복호기는 데이타 선택기에서 받은 부호화된 신호를 릴과 연관된 정지역이 수만큼 많은 선을 포함하는 평행출력을 변화시킨다. 지불회로의 선택된 실시에는 비에회로교 연결되어 비교기에서 받은 데이타를 처리하고 "동전배출"스위치에 연결된 계수기를 포함한다. 이때 계수기는 상금의 유무와 상금을 지불완료를 결정한다. 게다가 지불회로는 지불 계수기에 연결된 지불조절기를 포함하여 지불 조절기는 동전 배출기에 연결되어 동전을 배출하게 한다. 선회로는 순차기와 순차적으로 상금을 결정하기 위한 지불선을 선택하는 표지회로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다른 지불선의 수나 또는 일정한 선이 반복되는 수는 선택되어 동전의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시간회로는 시계회로와 순차회로를 포함하고 지불 회로와 표지 회로에 연결되어 제어 회로의 작동을 조절한다. 시계회로는 릴의 표지를 위해서가-무작위(pseudo-random)펄스를 발생하도록 되어있고 순차기는 시계회로, 계산회로와 지불회로에 연결되어 전체 작동을 제어한다. 시계회로는 순차기에 시계적인 펄스를 공급하여 순차기에 의하여 제어신호의 출력을 동기시킨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점은 대개 2진인 디지탈 부호화된 데이타를 다수의 공급원에서 받아 미리 정해진 영역과 연관된 부호 공급 정도로 바꾸는 점이다.
시스팀의 이 부분은 다수의 디지탈 데이타의 공급원과 연결된 복호기를 포함하여 데이타를 각각의 신호로 복호하고 다이오드에 의한 매트릭스(matrix)가 복호기에 연결되어 각각의 신호를 받아서 미리 결정된 영역의 공통의 하나를 나타내는 선으로 신호를 보낸다.
본 발명의 다른 특별히 유리한 점은 회전체, 즉 릴의 순간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회전체와 연결된 감지기를 포함하여 회전체에 의하여 막혀서 신호를 만든다. 특히 이러한 막힘은 릴의 주변에 형성된 빈틈에 의하거나 또는 최소한 릴의 회전을 측정하기 위하여 릴에 만들어진 릴에 만들어진 하나의 구멍에 의하여 제공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게임장치(10)가 도시되어 있고 별개의 형태로 된 표시가 있는 다수의 릴(12')(12")이 포함되어 있다. 게임장치(10)와 연과된 전자제어시스팀(14)은 릴(12')(12")(12''')와 연관된 입력회로(16)를 포함한다. 이 입력회로(16)는 릴의 위치를 검지하고 다수의 감응조립체(18')(18")(18''')를 회전릴의 순간위치를 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릴에 하나씩 포함한다. 이 감응 조립체(18')(18")(18''')은 아래에 설명한 것은 물론 광학기인 것이 좋다. 입력회로(16)은 또한 다수의 조립체(18')(18")(18''')에 연결되고 계산 논리회로(22)에 연결된 펄스 형성기(20')(20")(20''')를 각각 포함하여 조립체(18')(18")(18''')에서 신호를 받아 이 신호를 조절하여 계산 논리회로(22)에 인가한다.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계산논리회로(22)는 입력회로(14)에 연결되고, 또 펄스 형성기(20')(20")(20''')에 연결되어 입력회로(14)에서 릴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받아 이 데이타를 유지한다.
제1도에는 3개의 릴이 도시되었지만 다른 수의 릴도 사용될 수 있다. 계산논리회로(22)는 펄스 형성기(20')(20")(20''')에 각각 연결되어 다수의 위치 복호기(24')(24")(24''')를 포함하여 표지회로(index circuit)를 형성하여 입력회로에서 릴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받아 릴의 위치를 결정한다. 회로(22)는 위치복호기(24')(24")(24''')와 각각 연결된 다수의 띠 복호기(26')(26")(26''')를 포함하여 위치 복호기(24')(24")(24''')에 의하여 수행된 표지회로로 부터 신호를 받아 신호에 포함된 데이타를 형태 출력으로 바꾸어 복호된 데이타는 비교기(28) 또는 상금복호기(28)로 보내진다. 비교기는 계산 논리회로(22)에 연결되어 회로(22)에서 릴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받고 각각의 릴(12')(12")(12''')의 위치의 함수로서, 릴(12')(12")(12''')의 형태를 비교하고 이 형태와 미리 정해진 형태사이에 결함이 있나를 결정한다.
지불논리회로(30)는 비교기(28)와 연결되어 회로(28)에서 신호를 받아서 릴(12'((12")(12''')의 주위의 형태에 미리 정해진 결함이 있으면 동전을 지불한다. 이 회로(30)는 비교기(28)와 연결된 지불 계수(32)기를 포함하여 회로(34)에서 받은 데이타를 처리한다. 지불 계수기(36)는 또한 종래의 동전지불 기(28)와 같은 동전지불 감지기에 "동전-지불"릴레이(36)를 통하여 연결되어 회로(28)과 함께 상금배열의 유무와 상금의 지불 완료를 결정한다.
선(38)은 릴레이(36)를 지불조절기(40)에 연결하고 또 선(42)는 지불계수기(32)를 조절기(40)와 함께 둔다. 지불 계속선(44)은 조절기(40)를 지불릴레이(46)와 연결하고 릴레이(46)는 동전지불기(34)와 연결되어 지불기(34)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동전이 나오도록 한다. 선(48)은 조절기(40)에서 나와서 램프(도시되지 않았음)에 동작신호를 가하여 "상금지불""지불 중""부가주의"와 같은 작동을 표시한다. 제1도에 도시한 제어시스팀은 또한 지불논 리회로(30)와 계산논 리회로(22)에 연결된 시간 논리회로(50)를 포함하여 전체 제어시스팀을 조절한다. 회로(50)는 시계회로(52)를 포함하여 가무작위 펄스를 발생하여 릴(12')(12")(12''')를 표지한다. 릴#1, 시계펄스, 릴을 읽음으로 표시된(54)선은 시계회로(52)를 순차기(56)에 연결시킨다. 이 순차기(56)는 또한 계산회로(22)와 지불논리회로(30)에 연결되어 제어시스팀의 모든 작동을 조정한다. 시계회로(52)는 순차기(56)에 선(54)을 따라 시계펄스를 공급한다. 순차기(56)는 다시 시계회로(52)에 시계 리셋팔스를 선(58)에 공급하고 한편 시계회로(52)는 지불조절기(40)에 선(60)을 통하여 연결된다.
"동전삽입"릴이(62)는 "동전삽입"스위치(64)를 순차기(56)에 "신용"이라고 표시된 선(66)을 통해서 연결한다. 스위치(64)와 선(66)의 목적은 순차기(56)가 자세히 설명되면 분명해진다. "순차유지"선(98)은 지불조절기(40)를 순차기(56)에 연결하고 또한 "지불리셋"선(70)은 순차기(56)를 지불계수기(32)에 연결하여 순차사이에 계수기(32)를 리셋한다. 순차기(56)는 또한 위치복호기(24')(24")(24''')로 형성된 표지회로에 "데이타 저장아님"선과 순차4선(72),(74)와 "스트로브(strobe) 아님"선(76)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선들의 목적은 제3a도를 설명할 때 분명해질 것이다.
선(78)은 순차기(56)를 선 선택회로(80)에 연결하고 이것은 다시 위치복호기(24')(24")(24''')로 형성된 표지회로와 지불조절기(40)에 도시된 선(82)(84)으로 각각 연결된다. 회로(80)의 목적은 상금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시된 5개의 가능한 선중에서 지불선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스트로브 아님"선(76)은 회로(80)이 복호기를 제어할 수 있게하고, 스위치(80)는 게임장치(10)가 여러 상금의 단일(중앙) 선(복수), 또는 복수선 형태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게임장치(10)에 복수스위치(88)를 설치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임회의 게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코인의 수를 예를들면 5까지 조정할 수 있다. 순차기(56)는 선(90)이 또한 뻗어 나와 게임장치(10)와 연관된 여러가지 램프에 제어펄스를 가하고 또 선(92)이 뻗어나와 게임장치(10)의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펄스를 가한다.
제1도는 또한 순차기(56)와 연결된 스위치를 나타내며 스위치(94)는 "방출"스위치, 스위치(96)는 "인출"스위치, 스위치(98)는 "시계"스위치, 스위치(100)는 "풀음"스위치라고 지칭된다. 이 스위치들의 목적은 특히 제11도를 설명할때 기술된 것이다.
스위치(86)가 도시된 "복수"위치에 있으면 회로(80)는 중앙지불선(제3e도)를 선택하여 상금을 결정한다. 솔로노이드 구동기(102)는 시계회로(52)의 출력에 연결되어 선(104)를 따라서 구동 펄스를 보내고 또 선(106')(106")(106''')을 통해서 각각의 릴(12')(12")(12''')에 각각 펄스를 가하여 도시되지 않은 릴브레이크 구조를 구동하여 릴을 정지시킨다..릴(12')(12")(12''')의 브레이크 구조는 본 발명에 속하지 않고 또한 본 발명의 제어시스팀에 중요하지 않다.
제2a도를 참조하면 각각의 릴(12')(12")(12''')은 릴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주변에 다수의 막음기(212) 또는 이가 설치된 표지 디스크(210)와 연관되어 있다. 디스크(210)의 주변에 접하여 막음구멍(214)이 제공된다. 이 릴 디스크(210)는 광학 조립체(18')(18")(18''')의 수와 같고 각각의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조립체(18')(18")(18''')에 포함되어 있는 LED (216),(218)(220)와 연관되어 적외선 감응 트렌지스 터(222)(224)(226)이 있다. 각각의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는 특별한 작동을 한다. 즉 다이오드(216)과 및 트랜지스터(222)는 디스크(210)의 주위에 설치된 막음기(212) 또는 이가 두 소자를 가로 막을 때마다 펄스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다이오드(218)과 빛 트렌지스터(224)는 막음기(212) 또는 이가 지날때 마다 계수 펄스를 내보낸다. 함께, 이 부하와 계수펄스는 각각의 슈미트 반전기(228)(230)에 보내져 플립플롭(232)에 보내진다. 플립플롭은 도시되었듯이 S-R래치 플립플롭이 좋다. 부하펄스는 플립플롭(232)을 세트하여 계수펄스로 트리거되어 도시한 것과 같이 출력이 두 펄스의 함수이다. 특히 플립플롭(232)의 출력은 선(234)로 가고 조합체(18')(18")(18''')에서의 다른 출력은 (220)과 (226)으로 각각 표시한 세번째의 다이오드와 빛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형성된 표지리셋신호의 형태이다. 막음기의 구멍(214)는 다이오드(220)와 빛 트랜지스터(226)의 사이에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리셋트선(236)을 통하여 펄스를 보낸다. 막음기(212) 또는 이는 끝에서 각각 d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다이오드(216)과 (218)은 d/2만큼 떨어져 있어서 조합체(18')(18")(18''')가 디스크(210)에 대하여 넓은 범위한계내에 위치하게 하여 읽음의 정확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릴(12')(12")(12")에 대한 조합체(18')(18")(18")의 정확한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또한 어느 때에도 1개 이상의 다이오드 또는 다른 검지장치가 막히지는 않는다.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한 회로의 작동에 시간 도표이다. 중요하게 A,B,C,D,라고 나타낸 시간도표는 제2a도에 나타낸 점에서의 파형을 나타낸다. 계수리셋 펄스는 "N" 계수증가분의 끝에 가까이에 볼수있어 계산회로(22)에 제공된 계수기가 계수/부하(D로 표시됨)이 높음에서 낮음으로 떨어지기 전에 0으로 되어 전술한 계수기가 펄스가 낮음으로 갈때 "N"에서 "1"로 확실히 이동된다. 제2b도의 아래 부분의 도표는 "릴 정지"(표시된)경우의 하용된 지역을 보인다. "a"는 릴(12')(12")(12''')가 기계진동이나 데이타의 애매함을 허용하도록 정지되어 있지 않은 안전 구역을 나타낸다. "b"는 릴이 뛰고, 흔들리고 정지하는 위치가 위치데이타의 정확성을 손상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낸다. 비율 b/a는 A,B,C의 펄스폭과 기계적 정확성의 함수이다.
조합체(18')(18")(18''')는 적당한 12V직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고 이 전원은 적당한 조정된 전원이어도 좋다. 제3a도는 계산논리회로(22)의 표지부를 형성하는 위치 복호기(24')(24")(24''')를 나타낸다. 각각의 복호기(24')(24")(24''')는 연관된 조합체(18')(18")(18'")의 선(234)에서 입력을 갖는다. 계수기(310)는선(234)에 연결되어 거기에서 계수펄스를 받아 계수기(310)의 4개의 평행한 출력중의 하나가 두번째 직렬연결된 계수기(312)의 입력을 형성한다. 복호기에의 그외의 입력은 선(236), 연관된 조합체(18')(18")(18''')의 표지리셋, 그리고 제1도에 도시한 데이타 저장, 순차4라고 표시한 선(72)(74)이다. 이두선(236)(74)은 슈미트 NAND게이트(314)에 입력을 형성하고 게이트의 츨력은 계수기(310)(312)의 리셋 입력에 연결되어 1회전마다 한번씩 계수기를 리셋하고 순차4에 있지 않을 때는 계수기를 불능화시킨다. 계수기(310),(312)의 출력은, 각각 5개의 출력이 그어진 릴위치 데이타를 전이 레지스타(316)에 공급한다. 선(234), 특히 "부하" 부분은 전이레 지스타(316)에 시계신호를 형성하고 계수기(310)(312)의 출력은 데이타 입력을 형성한다. 데이타 저장선(72)은 레지스타(316)의 리셋 입력의 각각에 연결되어 전류와 3개의 전의 위치에 기억저장을 조절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오직3개의 선만이 사용되었으나 4개의 인접한 지불선에 데이타를 유지한다. 데이타 선택선(82)은 실제로는 두개의 평행선(320)(322)와 스트로브선(76)이고 데이타 선택기(318)이 입력을 형성하여 원하여 지불선에 선택기의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스트로브선(76)은 선택기(318)에서 순차전 이동안에 데이타가 지나가는 것을 막는다. 아래쪽 두개의 도시된 데이타 선택기(318)의 출력은 반전기(324)를 거쳐서 NAND게이트(326)의 입력에 가해진다. 접지선 G는 보호를 위해서 선택기(328)의 사용되지 않는 입력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전 복호기(328)의 입력 A,B,C는 각각의 복호기(328)에 대하여 8개의 출력중 하나를 선택한다. 게이트(324)(326)은 3개의 복호기(328)중 어느 것을 가능화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사용되는 출력은 0에서 7까지 따라서 어느 복호기(328)이라도 높음 또는 입력 "D"이고 "D"는 4또는 8을 나타내고 복호기의 출력을 0에서 7까지 나타낸다. 오직 낮음 또는 "D"입력을 갖는 복호기만이 출력을 0에서 7까지 낼수 있다. 출력 "0"은 제일 위쪽의 복호기(328)에는 사용되지 않고, 복호기(328)의 "0"은 멈춤 위치22와 1사이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31과 같은 다른수의 정지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복호기(328)가 사용될 수 있다. 이진 복호기(328)의 병렬출력은 표지디스크(210)의 주위에 형성한 막음 기(212) 또는 이를 나타낸다, 이 위치는 오렌지, 체리, 플럼, 등과 같은 형태를 나타낼수도 잇으며 이 형태의 각각은 릴(12')(12")(12''')의 여러개의 위치에도 나타날 수 있다. 제3b도는 이러한 형태를 공통의 선으로 바꾸는 형태 복호 매트릭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3c도는 하나의 전이 레지스타(316)와 데이타 선택기(318)의 조합을 자세히 나타낸다. 레지스타(316)의 위쪽 3개의 출력은 연관된 데이타 선택기(318)의 마지막 3개의 입력에 가해진다. 왜냐하면 선택기(318)의 입력 1의 주소는 두 개의 0이기 때문이다. 데이타 선택기(318)의 입력 (2),(3),(4)에 보인 진리표는 게임장치(10)의 3개의 병렬 지불선에 관한 것으로 각선들은 제3d도, 제3e도, 제3f도와 함께 설명한다. 제3d도와 제3e도는 릴(12')(12")(12''')의 앞쪽에 배열된 앞면의 덮개면(330)을 보여주며 개구(332)는 덮개면(330)에 게임장치(10)의 디스플레이면을 형성한다. 조립체(18')(18")(18''')는 뒷쪽에 각을 이루며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된다. 중앙수평선은 1. 상부선의 2. 하부선은 3, 2개의 대각지불 선 4,5로 나타낸다. 릴(12')(12")와(12''')는 표지되어 형태(334)가 릴(12')(12")(12''')이 정지하면 지불선 1,2,3과 기억된다.
제3f도는 왼쪽의 도면은 5개의 지불선에 대한 논리이고 오른쪽의 도면은 그에 대한 진리표이다. 진리표의 아래에 "A","B"의 글자가 있는데, 이것은 제3c도의 상부에 있는 글자와 같아서 데이타 선택기(318)가 지불선은 결정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5개의 레지스타(316), 5개의 데이타 선택기(318)는 복호기(328)에 의하여 변환되는 5-비트 2진 부호를 형성한다. 제4a도, 제4b도, 제5 도 특별한 형태의 복호 매트릭스가 도시되었다. 즉 제4b도와 제4b도는 릴(12')과 릴(12")에 대한 매트릭스이고 선택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5도는 릴(12")의 매트릭스이다. 각각의 매트릭스, 즉 띠 복호기(26')(26")(26''')에서 다이오드 매트릭스(410')(410")(510''')은 위치 복호기(24')(24")(24''')의 복호기(328)의 출력에 의하여 형성된 선(412')(412")(512)에서 받은 신호를 각각 릴(12')(12")(12''')에 제공된 형태의 하나 또는 연관된 조합을 나타내는 다수의 선(412')(412")(512)으로 보낸다. 제공된 다이오드와 함께 선(516)은 출력선(514)의 오렌지, 플럼, 벨선을 릴 위치역의 하나, 둘, 셋 바아로 묶어서 특별한 기계에서는 과일과 바를 함께 쓸수있다. 제6도는 비교기 또는 상금 복호기(28)를 나타낸다. 제6도에 나타낸 형태와 부기는 이 회로의 게이트에 들어가는 여러가지 입력을 나타낸다. 입력이 C1에 AND게이트(638) '높음'을 가하면 입력C2이 낮음이면 "2지불"출력이 발생한다. C2가 높음이면 반전기(610)를 통해서 "2지불"을 취소한다. C1과C2가 모두 높음이면, "5지불" 출력이 AND게이트(640)에서 C3가 낮음이면 발생한다. C3가 높음이면 반전기(614)를 통해서 "5지불"출력이 취소된다. 입력 C1,C2,C3이 모두 높으면 "10지불" 출력이 AND게이트(642)에서 나오고 게이트(638)(640)의 출력을 취소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3개의 상금중에서 가장 큰것이 출력을 만든다.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반전기(614)는 입력 C3이 없으므로 실제로는 동작이 없다.
오렌지, 플럼, 벨의 회로는 매우 간단하여 각각의 릴에 3개의 입력이 있어서 각각의 AND게이트(620),(622),(624)와 함께 지불을 행한다. 그러나 바의 회로는 이중 지불을 픽하기 위해서 약간 복잡하다. 아무 바선이 게이트(626)에 연결되어 그 출력이 다른 AND게이트(628)의 입력이 된다. 이 게이트의 출력은 아무바 지불이다. 게이트(628)의 다른 입력은 각각 하나, 둘, 셋의 바를 나타내는 AND 게이트(632),(634),(636)의 출력을 입력으로 갖는 NOR게이트(630)이다. 따라서 각각의 공통바 회로중의 하나에 상금이 나오면 게이트(630)에서 음의 출력이 게이트(620)에 가해져서 "20지불"을 취소한다. 제6도에서 보듯이 AND 게이트의 출력은 번호 638, 640, 642, 644, 646, 648, 650, 652, 654, 656으로 표시되어, 2, 5, 10, 10, 14, 18, 20, 50, 100, 200 즉 잭 폿을 나타낸다. 지불 계수기(32)가 제7도에 자세히 도시되었다. 특히 회로(32)는 전술한 전원이나 또는 다른 적당한 12V 직류에 연결되고 또 "동전지불"릴레이(36)에 연결된 플립 플롭(s-r래치)(710)를 포함하여 릴레이(36)가 플립 플롭(710)을 구동한다. 이전 계수기(72)의 출력은 지불된 동전을 나타내고 (0에서 9까지), BCD계수지(714),(716)은 각각 10개씩, 100개씩 지불된 동전을 나타낸다. 계수기(712), (714), (716)의 출력이 다이오드 매트릭스(718)에 의하여 정해진 수와 같으면 "지불완료"선(726)이 저항 R1에 의하여 높음이 되고 저항 R1은 매우 큰 값이므로 저항 R2이 저항 R2의 영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R1는 R1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R3의 값은 중요하지 않다. 동전의 지불이 지불입력 보다 적을때 저항 R2는 선(720)의 끌어내림 저항으로 사용된다. 제7도의 오른쪽 상방구석에서 볼 수 있듯이, 출력은 선(722)를 통하여 직접 잭 폿선(656)에서 얻어져 기계에서 또는 점원으로부터 직접 지불을 받을 수 있다. 지불선의 남은 것들은 다수의 다이오드(724)를 지나 "아무상금"선(726)으로 가서 지불을 받을 수 있다. 지불선의 남은 것들은 다수의 다이오드(724)를 지나 "아무상금"선(726)으로 가서 지불을 하게하고 또한 다수의 다이오드(728)를 통해서 "지불완료"선(720)으로 가게한다. 전술한 지불선(638)에서의 신호는(656)을 통하여 다이오드매트릭스(718)를 통해서 계수 기(712),(714),(716)의 병렬 단자로 가해진다. 시계 말단계수기는(712)는 플립플롭(710)에 의하여 구동되고 레지스타(712)의 시계단자에서 비지불선(730)이 나온다. 레지스타(712)의 "0"으로 표시된 단자는 선(732)를 따라 지불 계수 "0"으로 연결된다. 선(730),(732)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팀의 회로를 설명하면 분명해진다.
제8도는 지불조절기(40)의 논리회로를 보인다. 이 회로에서 잭 폿선(722)와 선택된 순차선(84)는 AND게이트(810)에 입력을 형성하고 릴 3선(812)는 R-S래치 플립플롭(814)의 입력을 형성한다. 플립플롭(814)의 다른 입력은 입력으로 동전 지불 아님 선(730)을 갖는 NOR게이트(816)의 출력에 의하여 형성된다.
AND게이트(810)와 플립플롭(814)의 출력은 OR게이트(824)의 입력을 형성한다. AND게이트(822)의 출력은 선(44)을 통하여 릴레이(46)에 연결되어 지불 사이클을 행한다. OR게이트(824)의 출력은 순차 유지선(68)이고 OR게이트(818)의 출력인 다른 하나의 OR게이트(824)의 입력은 '안내인 연락선(826)으로 사용된다. 선(820)은 또한 NOR게이트(816)의 '하나의 입력을 형성하고, 따라서 게이트(816)의 입력을 게이트(822)의 출력에 연결한다. AND게이트(822)의 입력의 하나는 '아무상금'선(726)이고 게이트(822)의 다른 압력은 NOR게이트(830)의 출력이다. 게이트(830)의 입력의 하나는 OR게이트(818)의 출력이고 다른 입력은 지불완료 선(720)에서의 신호이다. 지불완료(720)선은 또한 플립플롭(832)(RS래치)에의 입력이 되고 플립플롭의(832)의 출력은 '상금지불'선(840)이 된다. 플립플롭(832)의 다른 입력은 OR게이트(834)를 포함하는 게이트 회로로 형성된다. OR게이트(834)의 입력의 하나는 AND게이트(822)의 출력이 선(820),(828)(836)을 통해서 오고 다른 입력은 선(76)의 순차4이다. OR게이트(834)의 출력은 다수 도선(60)의 시계펄스선(836)과 함께 AND게이트(838)의 입력을 이루고 게이트(838)의 출력은 플립플롭(832)의 입력이다. 아무상금선(726)은 지불/지불중 선(44)을 게이트(822)를 통해서 지불완료선(720)이 게이트(830)에 의하여 반전되어 게이트(822)를 무능화 시킬때까지 구동한다. 게이트(822)의 출력은 게이트(824)를 통해서 순차 유지선(68)을 가동시킨다. 지불완료선(720)은 또 플립플롭(832)를 세트하고 상금 지불램프 선(840)을 킨다. 선(840)은 처음에 릴의 회전 동안은 순차4선(76)에 의하여 꺼져 있다. 한번 게임장치를 동작할 때 부가의 지불은 또한 플립플롭(832)을 선(820)(828)을 통해서 끈다. 시계필스 선(60)과 게이트(838)는 끔을 연기해서 상금지불등이 미리 꺼지는 것을 막는다. 선(722)(84)는 게이트(810)(818)(824)를 통하여 순차 유지선(68)을 구동하고 동시에 안내인 연락 램프 선(826)을 구동한다. 게이트(822)는 게이트(830)를 통하여 지불이 되는 것을 막아서 전이에 의하여 정지된다. 이러한 경우는 잭 폿의 경우 안내원이 직접 지불하고 풀음스위치(100)에 의하여 안내원에 의하여 리셋될 때까지 기계는 동작하지 않는다. 부가의 폐쇄 조건이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동전지불"선(730)은 동전이 지불되면 낮음이 되는 데 그러면 플립플롭(814)을 게이트(816)으로 세트하게 된다. "동전지불"선(730)은 동전이 지불되면 낮음이 되는 데 그러면 플립플롭(814)을 게이트(816)으로 세트하게 된다. 이 조건은 지불명령이 없을 때의 동전의 출력을 나타낸다. 이 경우 안내인은 기계를 순차1로 리셋하여 기계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3번째 릴(12")이 펄스선(812)을 표지할 때 폐쇄조건이 리셋된다.
제9도를 참조하면 순차선(910)(제1도의 선(78)을 형성)이 선선택 회로(80)의 왼쪽에 도시되었다. 이선들(910), 즉 순차선 (5),(6),(7),(8),(9)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동전1에서 5까지를 나타내는 다수의 입력(912),(922),(924),(926),(928)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선(922),(924),(926),(928)은 각각 AND게이트(930),(932),(934),(936)에 동전선(914),(916),(918),(920)과 함께 입력을 형성한다. 이순차선(922),(924),(926),(928)은 연결방법이 의도된 기계동작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제9도에서는 순차5에서 9선까지 연결되지 않았다예를들면 3개의 릴, 5개의 지불선, 다수양식의 기계(제3d도, 제3도의) 경우 동전선(912)(동전 하나 삽입)과 순차 입력선(922),(924),(926),(928)은 순차선(5),(6),(7),(8),(9)에 각각 연결된다. 잭폿의 경우 기계를 동작을 폐쇄시키는 기능을 갖는 선택된 순차선 (84)은 순차입력선(922),(924),(926),(928) 또는 하나의 동전을 삽입한 경우 동전선(912)가 연결된 순차선(9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84)는 순차선(9)에 연결된다.
위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오직 하나의 순차선(91)이 선 선택 회로(80)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삽입동전의 수(1-5까지, 순차선(910)의 수가 증가하면 2이상)는 순차입력선(922),(924),(926),(928)의 적당한 연결에 의하여 기계에 프로그램 될 수 있다. 그러나 동전선(912)는 항상 순차선(910)에 연결된다. 더우기 예를들면 다수 상금지불 방식으로만 동작하는 기계를 만들려면, 최대 삽입 동전수를 위한 순차 입력선(5개 동전의 경우 선(928), 3개 동전의 경우 선(924)등등…)은 최저 순차선(910)에 선택된 순차선(80)과 함께 연결되어 첫번째 기계지불이 생기기 전에 잭폿의 경우 기계를 폐쇄하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기계는 폐쇄되지 않고 마지막 동전에 이를 때 까지 자동 지불을 하게된다. 동전1선(912)은 OR게이트(938)에 직접 연결되어 한개의 동전이 OR게이트(940),(942)를 더욱 게이트하여 데이타 선택 A,B선(320),(322)를 통하여 3개의 릴(12')(12")(12"')의 복호 회로(26')(26")(26"')을 위한 데이타 선택기(318)에 '1'을 보내고 중앙선(1)만을 위한 데이타를 선택한다(제3d도, 제3e도, 제3f도) 선(944),(946)은 게이트(940),(942)의 출력을 각각 OR게이트(948),(950)의 입력에 연결하고 각각의 데이타의 "A""B"면은 복호기(26)(26")(26"')을 선택한다. 게이트(930),(932),(934),(936)의 출력은 스위치(86)이 "다수"위치에 있을때 게이트(938)에 연결되어 중앙선 데이타는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각각의 삽입된 동전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금이 지불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게이트(930),(932)의 출력은 한쌍의 OR게이트(952),(654)를 지나 스위치(86)에 가고, 게이트(934)(936)의 출력은 OR게이트(956)을 지나게이트(954)와 스위치(86)를 거쳐 게이트(938)로 간다. 스위치(86)가 "선" 위치에(도시되지 않았음)있으면 게이트(952)(954)(956)은 게이트(938)에서 떨어진다. 이러한 동작에서 각각의 게이트(930),(932),(934),(936)은 선택게이트(948),(950)에 직접 연결되어 순차 선 데이타 선택을 한다. 즉 게이트(930),(932)는 직접 각각 게이트(94),(942)에 연결하고 "A"데이타를 동전2(제3e도의 상부선2)을. "B"데이타는 동전 3(제3e도의 하부선3)을 게이트한다. 동전 4,5는 "A","B"데이타의 조합이 필요하고 게이트(934)(동전4)는 선(958)에 게이트(956)을 통해서 연결되어 릴(12")(데이타 선택기(26")의 게이트(948),(950)에 펄스를 가한다. 게다가 게이트(934)는 선(960)에 직접 연결되어 릴(12")의 "B"면(데이타 선택기(26")과 릴(12')의 "A"면(데이타 선택기(26'))을 함께 묶는다. 따라서 제 3f도에서 볼 수 있듯이 지불선(4)은 게이트(934)가 높음으로 갈때 정의된다. 게이트(936)의 출력(동전5)는 게이트(962)에 연결되어 릴(12")의 "A"면과 릴(12')의 "B"면을 모두 구동한다. 또한 게이트(936)은 직접 선(962)에 연결되어 릴(12")의 "A"면과 릴(12')의 "B"면을 함께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3f도를 참조하면 지불 선(5)은 게이트(936)가 높음으로 갈때 정의된다. 제10도에 도시된 시계회로(52)는 한쌍의 배타적 OR게이트(1010),(1012)와 한쌍의 반전기(1014),(1016)과 RC회로에서 분압기(1008)와 한쌍의 레지스타(1020)(1021)와 함께 가 무작위 펄스를 발생시키는 부회로를 만드는 발진회로(1008)를 사용하며 릴(12')(12")(12"')의 회전 시간을 분압기(1018)의 조정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부회로의 단일 출력은 BCD계수기(1024),(1026)의 시계입력에 연결된다. 계수기(1020)에의 다른 입력은 OR게이트(1030)의 출력이고 이것은 입력으로 시계리셋선(58)과 RC회로(1040)으로 이것은 계수기(1028)을 전원이 가해지면 리셋트하여 계수기(1028)이 "0"에서 시작하도록 한다. 계수기의 "시계펄스"선(1032)은 제1도의 다수도선(54)의 하나의 도선인데 발진회로에서 직접 나온다. 계수기(1028)의 3개의 병렬의 출력은 릴 #1선(1034), 릴#2선(1036), 릴#3선(812), "릴읽음"선(1036)으로 쓰인다. 발진회로(1008)은 분압기(1018)에 의하여 결정된 비율로 전이 레지스타(1020)(1021)에 펄스를 가한다. 예를들면 단위시간에 20개의 펄스가 반전기(1016)의 출력에 나온다고 가정하자. 이 펄스는 레지스타(1020)(1021)의 7개의 출력을 통해서 가해지는 레지스타(1021)의 마지막 두출력 Q2,Q3와 함께 선(1042)(1044)에 의하여 게이트(1010)의 입력에 가해진다. 만일 선(1042)(1044)가 모두 높음 이나, 모두 낮음이면, 레지스타(1020)에는 낮음이 가해진다. 따라서 변하는 펄스가 레지스타(1021)의 출력에서 보내진다. 선(1046)을 따라 계수기(1024)에 보내진 펄스의 수는 단위시간당 20보다 적으므로, (7-15사이일 것임) 선(1046)을 따른 신호는 "가무작위"펄스라고 불리우고 릴(12')(12")(12''')의 회전시간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선(1032)의 시계펄스는 레지스타(1020),(1021)에 가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변할 것이다.
제11도는 순차기(56)의 상세한 회로이다. 순차기(56)의 한 입력은 순차2선이다. 즉 순차2는 RS래치 플립플롭(1110)에의 입력이고 이것은 일단 릴(12')이 멈추면 동전을 받지 않도록 래치로 작용한다. 다른 입력은 릴#1선(1034)이 OR게이트(1112)로 가해진다. 플립플롭(1110)의 출력은 AND게이트(1114)의 입력을 형성하고. 게이트(1114)의 다른 입력은 신용(66)선이고, 이선은 다른 AND게이트(1116)의 입력이 된다. 게이트(1116)의 다른 입력은 순차1이다. 게이트(1114),(111)의 출력은 전이 레지스타(1118)의 클락과 레셋 입력를 이루며전이 레지스타(1118)의 데이타 입력은 12V직류 전원에 연결되고 전이레지스타(1118)의 병렬 출력은 동전선(914),(916),(918),(920)을 이룬다. 이동전선과 전원선에 "최대동전"스위치(88)의 극이 삽입된다. 스위치(88)의 공통극은 OR게이트(111)의 입력의 하나가 되어 게이트(1112)를 플립플롭(1110)에 최대 동전이 삽입되면 펄스를 방출한다. 이러한 플립플롭(1110)의 구동은 높은 동전 출력이 펄스로 나오는 것을 막는다. 스위치(88)는 반전기(1120)에 의하여 AND게이트(1122)의 하나의 입력에 연결된다. 이것은 순차3과 함께 OR게이트(1122)의 입력이고 게이트(1122),(1124)의 출력은 OR게이트(1126)과 AND게이트(1128)에 각각 연결된다. 순차1은 게이트((128)에 2번째 입력을 형성하고, "방출"스위치(94)는 게이트(1128)에 2번째 입력이고, 게이트(1126),(1128)의 출력은 동전삽입/동전 폐쇄와 핸들 방출 솔레노이드에 각각 선(1130)(1132)를 통해서 연결된다. 선(1134)은 게이트(1124)의 출력에서 부터 확인등(보이지않음)까지 연결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이들 솔레노이드는 게임장치(10)의 일부를 이루는데 이것은 여기에서 서술하고 있는 발명품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반전기(1136)은 신용선(60)을 NAND게이트(1138)의 입력과 연결시켜주고, 게이트(1138)이 NAND게이트(1140)의 음입력중의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출력과도 연결 시켜 준다.
게이트(1140)은 음입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OR게이트로서 제11도에 나타날 것이다. 또한 순차회로(56)의 이 부분에서 플립-플롭(R-S래치)(1142)는 그 입력이 선(68)을 지니고 있는 순차의 하나가 된다. 선(68)은 또한 플립-플롭(1142)에 필요한 게이팅 회로를 형성하는 NOR게이트 1144로 흐르는 입력의 하나를 이루는데 이것은 시계 펄스선 11032로 되면서 게이트 1144로 흐르는 다른 입력과 함께 이루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에서 플립-플롭 11032는 시계 펄스와 선 68을 지니는 순차로 가는 펄스에 의해 펄스가 보내지는 데 후자는 기계가 감겨지거나 과정에서 돈이 들어올때 지니게 되는 순차를 유발시킨다. 플립-플롭(1142)는 NAND게이트(1146)으로 흐르는 4가지 입력중의 하나를 이루고 또한 게이트(1140)으로 흐르는 입력을 형성하는 출력을 이루게 된다. 게이트(1146)으로 흐르는 입력의 나머지중 두가지는 릴선(1038)과 시계펄스선(1032)이며 나머지 한가지 입력은 OR게이트(1148)을 통해 반전기 (115)의 힘을 통해 복호기 카운터/디바이더로부터 순차 6,7,8,9,10신호를 받으면서 이루어진다. 게이트(1148)로 흐르는 다른 입력은 순차4신호와 순차 5신호이다. (1154)는 시계 리세트선(58)을 통해 시계(52)를 리세트 하기위해 가해지는 신호를 만들기위해나뉘어진다. 게이트(1154)로 흐르는 입력들은 시계스위치(98)과 순차(4)선, 지시된(76)들이다. 선(98)은 또한 한쌍의 NAND게이트(1156)과 (1158)각각의 입력들 중의 하나를 형성하고, 게이트(1156)의 나머지 두 입력은 스위치(96)과 순차(56)으로 부터온다. 게이트(1158)의 2번째 입력은 순차(2)로 부터온다. 게이트(1156)과 (1158)의 출력은 게이트(1140)의 입력에 연결되고, 후자의 출력은 지불 리셋 스트로브 선(74)(제8도, 제3a도)과 계수기/복호기(1150)에 로의 시계입력을 형성한다.
계수기/복호기(1150)의 평행 출력들은 순차 부호(1)내지 (10)을 현성한다. 풀림스위치(100)는 계수기/복호기(1150)가, 작동자에 의한 잭폿 지불을 요하는 폐쇄 후에, 작동자에 의해 리셋 되는 것을 가능케한다. 데이타저장 아님선(72)는 데이타가 순차 1,2,3동안에는 버려지고 순차(5),(9) 동안에는 저장되도록(순차10은 사용안됨). 세개의 입력들이 순차 1,2,3선에 연결된 OR게이트(1160)의 출력에의해 형성된다. 전력이 처음 가해질 때 RC회로(1162)가 계수기/복호기(1150)을 리셋 시킨다.
[선택된 실시예의 작동]
특히 제1도와 제11도를 보면 광학조립체 18',18'''와 18"는 적외 LED광원과 광학트 래지스터로 이루어져 있다. 그들은 세 릴 디스크(210)위에 걸쳐있다. 회전 릴디스크(210)은 광선을 차단하여 각 릴어셈블리 12',12",12''',의 순간적인 위치를 결정짓는 신호를 생기게 한다. 이 신호들은 슈믿트 트리거와 플립 플롭회로에 의해된다. 그들은 입력위치 복호회로 24',24",24'''에 적용된다. 위치 복호회로는 들어오는 정보를 처리하고 릴이 회전할 동안 릴의 위치를 정하고 릴이 색인된 후까지 이 정보를 보유한다. 이 정보는 다시 스트립 복호회로 26',26",26'''로 진행한다. 위치정보를 입력으로서 그리고 다이오드 매트릭스 형 기억을 사용하여 해당 위치에 나타날 표식을 결정지운다. 각 릴은 파형성회로, 위치복호 회로와 스트립복호 회로를 포함하는 광학 조립체를 요한다. 세(3)릴 기계에서는 스트립 복호회로로 부터의 세(3)출력은 상금 복호기(28)에 연결된다. 이 회로는 각 표식또는 표식의 조합에 포대를 두어 상금부여 조합을 헤아린다. 상금을 주게될때는 이 정보가 지불 계수기(32)에 주어진다. 지불계수기(32)는 다시 지불 조절회로(40)에 명령을 보내고, 다시 이것이 지불기 릴레이(46)을 작동하고, 이것이 지불기모타(도면에 없음)를 작동시켜 동전이 지불된다. 동전이 지불되면서 지불 계수기(32)에 지불되는 동전마다 한(1)펄스를 보내는 동전 지불 릴레이(36)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작동된다. 지불계수기(32)는 동전 지불 릴레이(36)으로 부터오는 펄스를 세어 그 총숫자를 지불 복호회로(28)로 부터의 지불 입력에의 명령된 숫자와 비교한다. 이 숫자들이 일치할때 지불 계수기(32)는 지불 조절회로(40)에 지불 완료 신호를 보내고 그것은 다시 지불기 릴레이(36)과 동전 지불기(34)를 꺼서 동전의 유출을 막는다. 기계가 처음 작동될 때는 여러가지 회로들이 개시된다. 순차기(56)은 정위치인 순차기(1)로 간다. 시계(52)는 세(3)릴이 모두 색인 또는 제 위치에 고정된 것을 확인하는 색인펄스를 세(3)릴 새인 솔레노이드에 보낸다. 릴들이 제 위치에 고정된 후, 시계(52)는 준비완료 상태를 유지한다. 순차기(50)의 순차(50)은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는 동전 투입 전등이 켜진 상태이다. 동전 폐쇄 솔레노이드는 작동되어 장치(10)의 대래식 동전 전달장치가 장치(10)의 동전 트레이에 되돌려지지 않고, 동전을 처리하게 한다. 또한 순차(1)에서 위치 복호 24',24",24'''와 스트립 복호 26',26",26'''는 릴 위치에 관한 정보를 보유 하지 않도록 리셋된다. 첫 동전이 기계에 투입될 때는 전달기구에 의해 처리되고 그 출력은 "동전들어 갔음"스위치(64)가 된다. 이 스위치는 "동전들어 갔음"릴레이(62)를 작동시키고 이는 다시 크레디트 입력(선66)을 순차기(56)에 제공한다. 이 크레디트 입력은 순차기(56)이 순차(2)를 취하게 한다. 순차2는 손잡이 풀림의 결과를 가져오는데, 이는 손잡이 잠김기구의 열리는 것이다. 이때에 손잡이는 원한다면 당겨질 수 있다. 순차(2)는 또한 "동전 받아 졌음"등을 켜고 최소한 한(1)동전이 넣어진 것을 표시한다. 순차(2)는 또한 회로(1118)계수기를 리셋시켜 특정 게임에서 사용된 동전의 숫자를 기억해둔다. 이 회로는 동전등(light) 2,3,4,5가 그들이 켜져 있었다면 켜지게 하고 단지 동전1둥만이 켜지게 한다. 만약 순차기(56)의 최대 동전 스위치(88)이 하나(1)보다 큰 숫자로 놓아졌으면 그 이상의 동전을 기계에 넣을 수 있다(이용자 원한다면). 이런 동작은 특정 게임에서 투입된 총 동전숫자를 표시하는 등이켜지게 한다. 만약 셋엎 스위치인 최대동전 스위치(88)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숫자의 동전이 투입되었을 때는 순차기(56)이 "동전투입"등을 끄고 "동전폐쇄" 솔레노이드를 de-energize한다. 그 이상의 투입된 동전은 전달기에 의해 처리되지 않고 환불된다. 이용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기기 시작하면 당김스위치(96)이 작동되어 순차기(56)을 순차3으로 되게한다. 일단 손잡이가 당겨지기 시작했으면 기계는 그 이상의 동전을 받지 않고 이용자는 계속 잡아 당겨야만 한다. 당김스위치(96)는 손잡이가 당겨지기 시작한 후 곧 작동된다. 손잡이가 거의 다 당겨졌을 때, 릴의 회전하기 직전, 시계 스위치(98)이 작동된다. 시계스 위치(98)은 순차기(56)을 순차4로 진행시키고 동시에 시계(52)를 리셋한다. 손잡이가 끝까지 당겨졌을 때 시계스 위치(98)은 제 위치로 돌아가고 시계(52)에 리셋펄스를 보낸다. 시계(52)는 임의 간격으로 솔레노이드 드라이버들(102)를 통해 릴12', 릴12", 릴12'''이 정지된 후 곧 시계(52)는 순차기(56)이 순차(5)로 진행되도록 신호를 보낸다. 순차5는 첫 다섯 순차중에 상금이 결정 지워질 수 있는 첫 순차이고 상금이 주어질 때 동전들이 이용자에게 다시 지불될 일련의 동작을 유발한다. 이 다섯가지 순차, 순차 5,6,7,8,9는 투입된 총동전 숫자에 의존한다.

Claims (1)

  1. 별개의 형태의 표지가 제공된 회전가능한 다수의 릴을 포함하는 오락기구에서릴이 회전할 때 각각의 릴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지하는 게임장치의 릴과 연관된 입력장치와
    입력장치에 연결되어 입력장치에서 릴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받아 각각의 릴의 위치에 관한 데이타를 유지하는 계산장치와
    계산장치에 연결되어 계산장치에서 받은 릴의 형태에 관한 신호를 받아 릴의 위치의 함수로서 각각의 릴의 형태를 비교하여 릴의 형태 사이에 미리 정해진 조합이 존재하는가를 결정하는 비교 장치로 구성 된 장치.
KR1019800002387A 1979-06-20 1980-06-18 게임 장치의 제어기구 KR830001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50,364 US4299388A (en) 1979-06-20 1979-06-20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eeled chance based amusement device
US050364 1979-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071B1 true KR830001071B1 (ko) 1983-06-01

Family

ID=2196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387A KR830001071B1 (ko) 1979-06-20 1980-06-18 게임 장치의 제어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299388A (ko)
EP (1) EP0030543A1 (ko)
KR (1) KR830001071B1 (ko)
ES (1) ES8102381A1 (ko)
WO (1) WO1980002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37380B2 (en) * 1981-01-12 1984-06-21 Universal K.K. Slot machine
US4396193A (en) * 1981-05-18 1983-08-02 Imagineering, Inc. Roulette wheel directional sensing apparatus
JPS5895882U (ja) * 1981-12-22 1983-06-29 株式会社ユニバ−サル スロツトマシン
JPS58185184A (ja) * 1982-04-26 1983-10-28 株式会社ユニバ−サル スロットマシン
JPS5932477A (ja) * 1982-08-12 1984-02-21 濱野 準一 スロツトマシン
US4837728A (en) * 1984-01-25 1989-06-06 Igt Multiple progressive gaming system that freezes payouts at start of game
US4712799A (en) * 1984-09-27 1987-12-15 Edwards Manufacturing, Inc. Multi-screen video gaming device and method
US4624459A (en) * 1985-09-12 1986-11-25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Gaming device having random multiple payouts
JPH0519100Y2 (ko) * 1985-11-15 1993-05-20
US5113990A (en) * 1986-02-12 1992-05-19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Bill validation and change system for a slot machine
US5178389A (en) * 1988-04-20 1993-01-12 John Bentley Hand-held electronic gambling game device
US5758875A (en) * 1996-01-11 1998-06-02 Silicon Gaming, Inc. Dynamic ra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played games and gaming machines
US5938196A (en) * 1997-05-07 1999-08-17 Universal De Desarrollos Electronicos, S.A. Reel type slot machine with physical mapping to control the win odds
US5988638A (en) * 1997-06-13 1999-11-23 Unislot, Inc. Reel type slot machine utilizing random number generator for selecting game result
US6506116B1 (en) * 1997-08-27 2003-01-14 Universal Sales Co., Ltd. Game machine
US5879234A (en) * 1997-10-01 1999-03-09 Universal De Desarrollos Electronicos, S.A. (Unidesa) Security system for reel type slot machine with physical mapping to control the win odds
ATE215250T1 (de) 1997-11-20 2002-04-15 Orion Casino Technology B V Spielgerät mit symbolwalze
US6238288B1 (en) * 1997-12-31 2001-05-29 Walker Digit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a game in accordance with speed of play
US20050029745A1 (en) * 1997-12-31 2005-02-10 Walker Jay S.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a game in accordance with speed of play
US8021222B2 (en) 1997-12-31 2011-09-20 Igt Game based on speed of play
US7137885B1 (en) * 2000-08-10 2006-11-21 Wms Gaming, Inc. Slot machine reel mechanism with dedicated local microcontroller
US20040018869A1 (en) * 2002-02-06 2004-01-29 Fumio Inoue Symbol display device for game machine
JP2004081816A (ja) * 2002-06-28 2004-03-18 Seiko Epson Corp 遊技機の実演表示方法および実演用遊技機
EP1543481A2 (en) 2002-09-18 2005-06-22 Wagerworks, Inc. Interactive streak game
US7846026B2 (en) * 2003-12-15 2010-12-07 Spec International Gaming machine door with adjustable cross member
US8500546B2 (en) 2004-02-02 2013-08-06 Igt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a game in accordance with speed of play
US7686689B2 (en) * 2004-02-10 2010-03-30 Wms Gaming, Inc. Basic wagering game having a continuously modified pay table
US7360761B2 (en) * 2004-06-24 2008-04-22 Wms Gaming Inc. Dynamic generation of a profile for spinning reel gaming machines
US8277304B1 (en) 2004-09-02 2012-10-02 Wms Gaming Inc. Aligning a gaming machine reel to a home position
US8047910B2 (en) * 2005-08-31 2011-11-01 Bally Gaming, Inc. Gaming machines having rhythmic reels
AU2008229938A1 (en) * 2007-10-17 2009-05-07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A gaming system and a method of gaming
AU2008255198B2 (en) * 2007-12-21 2012-02-23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A method of gaming, a gaming system and a game controller
AU2009200267A1 (en) * 2008-01-29 2009-08-13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A gaming system and method of gaming
AU2009200273A1 (en) * 2008-01-29 2009-08-13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A gaming system and method of gaming
AU2009200898B2 (en) * 2008-03-10 2012-04-05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A gaming system and a method of gaming
US8696434B2 (en) * 2008-03-24 2014-04-15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Slot machine capable of keeping constant order or constant tempo of stopping rotation reels
US9659437B2 (en) 2012-09-28 2017-05-23 Bally Gam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cross platform persistent gaming sessions using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9503A (en) * 1963-12-24 1966-08-30 Colin E Foster Jackpot arrangement for poker machines
US3533629A (en) * 1967-04-26 1970-10-13 William Pennington Apparatus having means determining coincidence between player and random machine selections
US3556531A (en) * 1968-06-17 1971-01-19 Elder Systems Corp Sweepstake programmer
US3770269A (en) * 1968-06-17 1973-11-06 C Elder Random unit generator amusement device
US3642287A (en) * 1969-01-07 1972-02-15 Bally Mfg Corp Rotating reel game with masking shutter
US3606337A (en) * 1969-03-24 1971-09-20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Poker machine having binary coded rotatable drums
US3684290A (en) * 1969-06-09 1972-08-15 Centaur Mini Computer Devices Electrically operated plural reel chance device
GB1319625A (en) * 1970-04-30 1973-06-06 Bell Fruit Mfg Co Ltd Gaming machines
GB1447550A (en) * 1972-09-20 1976-08-25 Waechtler G Gaming machine
GB1512857A (en) * 1974-09-13 1978-06-01 Bally Mfg Corp Monitoring system for use with amusement game devices
GB1531754A (en) * 1975-04-17 1978-11-08 Bell Fruit Mfg Co Ltd Means for detecting prize-winning combinations of symbols in a gaming machine
US4099722A (en) * 1975-07-30 1978-07-11 Centronics Data Computer Corp. Electronic slot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492596A0 (es) 1980-12-16
EP0030543A1 (en) 1981-06-24
WO1980002804A1 (en) 1980-12-24
ES8102381A1 (es) 1980-12-16
US4299388A (en) 198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1071B1 (ko) 게임 장치의 제어기구
CA1060999A (en) Gaming machines
US5807172A (en) Three reel slot machine with nine ways to win
US4238127A (en) Electronic gaming apparatus
CA1114065A (en) Amusement machines
US4773647A (en) Slot machine with stop switch enablement after attainment of minimum reel speed
US5988638A (en) Reel type slot machine utilizing random number generator for selecting game result
US8226461B2 (en) Gaming machine displaying special games with accumulated special symbols
US7217191B2 (en) Gaming device with retractable remote controller
US6869357B2 (en) Methods of conducting games of chance and gaming devices with multiple pay lines
EP0579449B1 (en) Gaming machine and method of detecting fraud in the same
EP0062433A2 (en) Entertainment machines
US20070178963A1 (en) Gaming machine
WO1998007124A9 (en) Three reel slot machine with nine ways to win
AU2248800A (en) Gaming machine
JPH11276663A (ja) 遊技機
EP0141264A2 (en) Machine for playing a game
JP2006333927A (ja) 遊技機
US20150080105A1 (en) Gaming machine
US8526034B2 (en) Data output device and data output method
JP2000084143A (ja) 遊技機
GB1559161A (en) Amusement with prizes machines
NL8303398A (nl) Muntspeelapparaat met een speelveld voorzien van een aantal over winst of verlies beslissende indicatievelden.
CA1100635A (en) Electronic gaming apparatus
GB2128486A (en) Electronic lotter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