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979Y1 - 어(魚) 상자 - Google Patents

어(魚)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979Y1
KR830000979Y1 KR2019810007830U KR810007830U KR830000979Y1 KR 830000979 Y1 KR830000979 Y1 KR 830000979Y1 KR 2019810007830 U KR2019810007830 U KR 2019810007830U KR 810007830 U KR810007830 U KR 810007830U KR 830000979 Y1 KR830000979 Y1 KR 830000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ish
protrusions
boxe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7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원
Original Assignee
이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원 filed Critical 이규원
Priority to KR2019810007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2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어(魚) 상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어상자에 생선을 넣은 후의 적재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빈(空) 어상자를 운반하기 위하여 포갠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5도는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자(A)의 양측면 (4)(4') : 전후면
(5)(5') : 좌측단 (6)(6') :형 돌출부
(7)(7') : 우측단 (8)(8') :형 돌출부
(9)(9'), (10)(10') : 요홈
본 고안은 상자의 상측면을 레이퍼지게 형성하고 전후면에는형 돌출부와형 돌출부를 서로 대향지게 형성하여 상자에 생선을 넣었을 때는 밑상자와 윗상자를 서로 돌려서형 돌출부와형 돌출부가 맞닿게 적재하고 빈상자를 운반할 때는 밑상자와 윗상자의형 돌출부와형 돌출부 또형 돌출부와형 돌출부가 삽입되게 하면 납작하게 포개진 상태로 되게하는 어(魚)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상자는 대개의 경우, 목재 상자를 사용하였고 사용 후 보관시에는 목재를 분해하여 보관하였기 때문에 재사용시에는 분해한 목재를 다시 상자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목재상자는 1, 2회 정도 이상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목재의 손실과 재사용시의 상자를 만드는 시간적 손실이 많았던 결점이 있었고 또, 종래의 플라스틱제 어상자는 목재 상자와 같이 직사각형의 상자이기 때문에 생선을 만재시 생선의 중량에 의하여 밑부분의 생선은 상당한 압력을 받아 생선의 품질이 손상되고, 상자 자체도 플라스틱의 성질상 윗면과 밑면의 규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없었고 빈상자르 보관시에도 서로 포갤 수 없기 때문에 상당한 보관장소가 필요한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목재 및 플라스틱제 상자의 결점을 해결하여 생선을 상하지 않게 적재할 수 있고 빈상자를 서로 포갤 수 있어 좁은 면적에서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자(A)(B)의 양측면(1)(1')을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상부 주연(2)에는 돌편(3)을 형성한 공지의 어상자에 있어서 전후면(4)(4')의 좌측단(5)(5')에는형 돌출부(6)(6'), 우측단(7)(7')에는형 돌출부(8)(8')를 대향지게 형성하고 돌편(3)의 전후면(4)(4')의형 돌출부(6)(6') 내측에 요홈(9)(9')와형 돌출부(8)(8') 내측에 요홈(10)(10')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1은 손잡이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 및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테이퍼상 상자(A)(B)에 생선을 만재하고 상자(A)에 상자(B)를 적재할 때는 제2도와 같이, 상자(A)의 돌편(3)의 전면(4) 내측요홈(9)(9')와 (10)(10')에 상자(B)의 후면(4') 우측단(7')의형 돌출부(8')와 좌측단(5')의형 돌출부(6')가 서로 맞물려 적재되고 반대로 빈상자를 포개어 보관할 때에는, 제3도와 같이 상자(A)의 전면(4) 좌측단(5)의형 돌출부(6)와 우측단(7)의형 돌출부에 상자(B)의 전면(4) 좌측단(5)의형의 돌출부(6)와 우측단(7)의형 돌출부를 삽입하면 상자(A)(B)의 테이퍼상 양측면(1)(1')와 전후면(4)(4')의 좌우측단(5)(7)의형 돌출부와형 돌출부를 따라 완전히 포개어져 좁은 면적에 많은 상자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상자(A)와 (B)상자에 생선을 만재하여 제2도와 같이 적재할 때는 상자(A)(B)의 양측면(1)(1')이 테이퍼상이고 전후면(4)(4')의 좌우측단(5)(5'), (7)(7')에형 돌출부(6)(6')와형 돌출부(8)(8')가 형성되어 있어서 생선의 중량에 의하여 상자(A)(B)의 밑면과 윗면의 칫수변경이 발생하지 않는 보강 효과가 있음은 물론 적재하거나 포개기 좋게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생선의 품질을 손상시킴이 없이 적재 운반할 수 있고 생선 만재시 상자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서로 포갤 수 있으므로 좁은 면적에 효과적으로 많은 상자를 보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자(A)(B)의 양측면(1)(1')을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상부 주연(2)에는 돌편(3)을 형성한 공지의 어상자에 있어서 전후면(4)(4')의 좌측단(5)(5')에는형 돌출부(6)(6'), 우측단(7)(7')에는형 돌출부(8)(8')를 대향지게 형성하고 돌편(3)의 전후면(4)(4')의형 돌출부(6)(6') 내측에 요홈(9)(9')와형 돌출부(8)(8') 내측에 요홈(10)(10')를 형성하여서 된 어상자.
KR2019810007830U 1981-11-20 1981-11-20 어(魚) 상자 KR830000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7830U KR830000979Y1 (ko) 1981-11-20 1981-11-20 어(魚)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7830U KR830000979Y1 (ko) 1981-11-20 1981-11-20 어(魚)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79Y1 true KR830000979Y1 (ko) 1983-06-29

Family

ID=1922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7830U KR830000979Y1 (ko) 1981-11-20 1981-11-20 어(魚)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9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22B1 (ko) * 2012-08-16 2014-06-27 정지은 수협어판장에서의 활어보관 및 운송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22B1 (ko) * 2012-08-16 2014-06-27 정지은 수협어판장에서의 활어보관 및 운송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5930A (en) Bottle rack
DE58904675D1 (de) Stirnwand aus formbarem material fuer eine wickelrolle.
US4366903A (en) Magazine for magnetic tape cassettes
KR830000979Y1 (ko) 어(魚) 상자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KR102060325B1 (ko)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NZ237304A (en) Stackable container for frozen animal carcasses has wooden crate with end pieces in sockets and stabilising strapping
JPH0350070Y2 (ko)
JPS594950Y2 (ja) まぐろ等の大魚用容器
KR100370476B1 (ko) 물품운송용 조립식 포장상자
JPS593935Y2 (ja)
JPS6121424Y2 (ko)
KR200183556Y1 (ko) 배전용 애자 포장용기
KR810000835Y1 (ko) 운반용 상자
EP0062374A2 (en) Bottle rack
JP2899560B2 (ja) 積み重ね可能な容器
JP2531989Y2 (ja) 気密容器
KR960000614Y1 (ko) 양식용 에어 부구
US2661111A (en) Bottle case
KR950000644Y1 (ko) 갈치상자용 적재 보호대
KR860000603Y1 (ko) 녹음 테이프 보관상자의 보강장치
JPH0542056Y2 (ko)
JP2576758Y2 (ja) 包装用かご
JPS59147022U (ja) 運搬箱
JPS5837354Y2 (ja) 棒体の架設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