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900B1 - 전하전송 소자의 귀환회로 - Google Patents

전하전송 소자의 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900B1
KR830000900B1 KR1019800000648A KR800000648A KR830000900B1 KR 830000900 B1 KR830000900 B1 KR 830000900B1 KR 1019800000648 A KR1019800000648 A KR 1019800000648A KR 800000648 A KR800000648 A KR 800000648A KR 830000900 B1 KR830000900 B1 KR 83000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transistor
signal
char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오 쓰치야
미쓰오 소네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5/00Transversal filters
    • H03H15/02Transversal filters using analogue shift register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하전송 소자의 귀환회로
제1도, 제2도는 BBD의 설명을 위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예의 접속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기타에의 접속도.
본 발명은 전하전송소자(CTD) 예를들어 BBD의 귀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BBD는 일반적으로 제1도의 표시와 같이 구성된다. 도면에서 입력단자(1)이 PnP형의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2)의 코렉터가 접지되어 에밋터가 저항기(3)을 통하여 전원단자(4)에 접속된다. 이 트랜지스터의 에밋터가 역방향의 다이오드(6)를 통하여 콘덴서 Co의 일단에 접속되어 이 콘덴서 Co를 통하여 크록단자(6)에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 Co의 일단이 npn형의 트랜지스터Q1의 에밋터에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 Q1의 코렉터가 다음단의 npn형 트랜지스터 Q2의 에밋터에 접속되며 이하 같은 방법으로 npn형 트랜지스터 Q2-Q2n(n는 정의정수)의 코렉터와 에밋터가 순차로 접속된다. 이들 트랜지스터 Q2~Q2n의 코렉터와 베이스사이에 각각 콘덴서 C2~C2n가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 C1~C2n의 용량치는 모든 콘덴서 Co의 용량치와 같으며 C라고 한다.
또한 기수번의 트랜지스터 Q1,Q3…Q2n-1의 베이스가 크록단자(7)을 통하여 구동회로(8)에 접속되고 우수번의 트랜지스터 Q2,Q4…Q2n의 베이스가 크록단자(6)을 통해 구동회로(8)에 접속된다. 그리고 크록단자(6)(7)에가 각각 제2도에 A.B로 도시한 바와같이 VDC와 VDC+VP의 전위를 취하여 듀티비가 50%이며 서로 역극성이 되는 크록신호 Ø12가 공급된다. 그리고 전압 VP는 전원단자(4)에 공급되는 전원전압 VCC에 대하여 VCC>VDC+2VP로 된다.
그리고 입력단자(1)에 공급되는 입력신호의 전압 VS가 VDC+VP
Figure kpo00001
VS
Figure kpo00002
VDC+2VP의 범위에 있게 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초기상태에서는 콘덴서 Co~C2n는 모두 단자 전압이 VP에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신호의 전압 VS를 직류성분 VSDC와 교류성분 VSDC로 구분하면 초기상태에서는 교류성분 VSAC만이 0이된다.
따라서 초기상태에 있어서 우수번의 콘덴서 Co,C2…C2n의 홋트 엔드 측은 제2C도로 도시한 것 같이 신호
Figure kpo00003
1가 VDC+VP의 기간에 일단 VDC+2VP까지 상승된 후 VSDC뢰 되어 신호
Figure kpo00004
2가 VDC+VP의 기간에 일단 VSDC-VP까지 하강한 후에 VDC+VP로 된다.
또한 기수번의 콘덴서 C1,C3…C2n-1의 홋트 엔드측은 제2d도의 표시와 같이 신호
Figure kpo00005
1이 VDC+VP의 기간에 일단 VSDC-VP로 되어 신호
Figure kpo00006
2가 VDC+VP의 기간에 일단 VDC-2VP까지 상승한 후 VSDC로 된다.
그리고 입력신호가 공급된 직후의 최초의 신호
Figure kpo00007
1이 VDC+VP의 기간에 있어 이때의 입력신호의 전압을 VS=VS1으로 하면 콘덴서 Co의 홋트 엔드측의 전위는 일단 VDC+2VP까지 상승한 후 VS1이 된다. 즉 콘덴서 Co는 방전하여 {VS1-(VDC+VP)} C의 전하를 축전한다.
이때 트랜지스터 Q1은 OFF임으로 콘덴서 C1,C2....C2n에는 변화가 없다.
다음에 계속되는 신호
Figure kpo00008
2가 VDC+VP의 기간에 있어, 먼저 신호
Figure kpo00009
1의 전위가 VDC로 되므로, 콘덴서 Co의 홋트 엔드측의 전위는 Vs1-(VDC+VP)+VDC=VS1-VP로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1측의 전위는 최종적으로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전위(VDC+VP)까지 상승한다. 이때 트랜지스터 Q1은 능동영역에서 작동하고 있으므로 콘덴서 Co의 충전은 단자(7)→콘덴서 C1→트랜지스터 Q1의 코렉터 에밋터→콘덴서 Co의 경로로 행하여진다. 그리고 콘덴서 Co의 홋트 엔드측의 전위가 VS1-VP로부터 VDC+VP로 변화하므로 콘덴서 C1의 홋트엔드 측으로 부터 콘덴서 Co의 홋트엔드 측으로의 전하의 이동은 {(VDC+VP)-(VP1-VP)} C=(VDC+2VP-VS1)C로 부여된다. 이에 대해 콘덴서 C1에는 최초 VP.C의 전하가 축적되어 있었으므로 콘덴서 C1의 최종 전하량은 VP.C-(VDC+2VP-VS1) C={VS1-(VDC+VP)C로 된다. 즉 신호
Figure kpo00010
1이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o가 VS1-(VPC+VP)였던 것이 신호
Figure kpo00011
2가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1에서 이동하여 콘덴서 Co은 VDC+VP로 되돌아온다. 또한 트랜지스터 Q2가 OFF임으로 콘덴서 C2,C3...C2n에는 변화가 없다. 다시 다음 신호
Figure kpo00012
1가 VDC+VP의 기간에 있어 입력신호의 전압을 VS=VS2로 하면 콘덴서 Co는 VS2-(VDC+VP)로 충전되고 콘덴서 C1은 VDC+VP뢰 되돌려져 콘덴서 C2는 VS1-(VDC+VP)로 충전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Q3가 OFF이므로 콘덴서 C3이후에는 변하지 않는다.
이상의 동작이 반복되어서 신호는 도면의 좌로부터 우로 신호
Figure kpo00013
1,
Figure kpo00014
2에 동기하여 이동된다.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어 순회형의 트랜스 버설필터를 구성할 경우에는 복수의 중간단자를 마련하여 상이한 지연시간의 신호를 잡아내어 이들을 소정의 중첩을 시키면서 순차 가산하여 이 가산신호를 전단의 소정부에 귀환시킨다. 이때 종래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되었다. 즉 제1도에서 신호를 잡아내려하는 콘덴서 C4,C6,C8의 홋트 엔드측이 각각 에밋터 홀로아회로(91)(92)(93)에 접속된다. 이들 에밋터 홀로아회로(91)(92)(93)의 출력신호가 각각 중첩되어 회로(94)(95)(96)을 통하여 애너로그 가산회로(97)에 공급되고 이 가산신호가 쌤플 호올드회로(98)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쌤플호올드 회로(98)이 전단의 콘덴서 C2의 홋트엔드측에 접속된다.
이 회로에 의하면 각 중단단자로 부터의 신호가 에밋터 홀로아를 통하여 전압으로 잡아내어져 임의로 중합되어 애너로그 가산된다. 그리고 이 가산호가 전하의 형태로 전단콘덴서에 주입되어 귀환이 걸린다.
그러나 이 회로의 경우 콘덴서로 부터 출력을 에밋터 홀로아회로에서 잡아내고 있으므로 에밋터홀로아의 코렉터 베이스간 용량 CCB나 베이스전류 IB의 영향으로 크록신호의 실효펄스 높이가 감소하여 전송효율이 열화하거나 진호의 다이너믹 범위가 저하해 버린다.
또한 애너로그 가산회로나 쌤프링 호올드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자수가 매우 많이 필요하게 되어 소비전력이 많이 필요하고 가격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에밋터 홀로아회로, 애너로그 가산회로, 쌤플링 호올드회로를 통하여 스파이크적인 전류가 흘러 이것이 전원이나 접지를 통하여 다른 회로에 악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에밋터 홀로아회로의 입력측과 쌤프링회로의 출력측 사이의 직류전위를 일치시켜 다시 안정화시키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상술의 결점을 제거한 귀한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3도는 부귀환을 걸었을 경우로 도면에서 써픽스가 우수인 콘덴서 C4,C6...가 분활되어 각각 C4',C4",C6',C6"...로 됨과 동시에 이들 용량치가 각각 a4C,(1-a4)C,a6C, (1-a6)C...로 된다. 여기에서 분활된 한쪽 콘덴서 C4',C6°'...의 고울드 엔드측이 서로 접속되고 다른쪽 콘덴서 C4",C6"...고울드 엔드측이 단자(6)에 접속이 된다.
또한 콘프리멘터리한 트랜지스터(11), (12)의 에밋터가 서로 접속되고 이 접속점이 콘덴서 C4',C6'...의 접속점이 접속이 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1),(12)의 베이스가 서로 접속되어 이 접속점에 발진기(13)이 접속된다.
이 발진기(13)으로 부터는 신호
Figure kpo00015
1과 동위상이며, VDC-VBE와 VDC+VP+VBE(단 VEB는 트랜지스터(11),(12)의 베이스 에밋터간 전압)의 전위를 취하는 신호
Figure kpo00016
1가 공급된다. 그리고 pnp형의 트랜지스터(12)의 코렉터가 접지되어, npn 형의 트랜지스터(11)의 코렉터가 전류 밀러회로 M1구성하는 한쪽 pnp형의 트랜지스터(14)의 코렉터 및 베이스에 접지되고 트랜지스터(14)의 에밋터가 저항기(15)를 통하여 전원전자(4)에 접속된다.
이 전류 밀러회로 M1을 구성하는 다른쪽 pnp형의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14)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14)의 에밋터가 저항기(17)을 통하여 전원단자(4)에 접속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16)의 코렉터가 전단의 콘덴서 C2의 홋트 엔드측에 접지된다. 또한 저항기(15),(17)의 저항치는 같아지게 한다. 다시 콘프리멘터리한 트랜지스터(18)(19)의 에밋터가 서로 접속되어 이 접속점이 콘덴서(20)을 통하여 접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18)(19)의 베이스가 서로 접속되어 이 접속점에 발진기(13)이 접속된다. 그리고 npn형의 트랜지스터(18)의 코렉터가 콘덴서 C2의 홋트 엔드측에 접속되어 pnp형의 트랜지스터(19)의 코렉터가 접지된다. 그리고 콘덴서(20)의 용량치 Cx는 VP에 대한 VSCD의의 비율을 VSDC-VDC-(2-K)VP로 하여 CX=K(a4+a6+...) C가 되도록 한다. 이 회로에서 입력신호가 공급되어 있지 않을 때는 콘덴서는 모두의 단자전압이 VP로 되여있다.
이에 대하여 입력신호가 공급된 직후의 신호
Figure kpo00017
1이 VDC+VP의 기간에 있어서 이때 공급된 신호의 전압이 VS=VS1이라하면 콘덴서 Co의 단자전압은 VP로부터 VS1-(VDC+VP)로 변화된다. 다시 1크록기간τ(=
Figure kpo00018
: fc는 크록주파수)후의 신호
Figure kpo00019
1이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2의 단자전압이 VP로 부터 VS1-(VDC+VP)로 변화된다.
그리고 2τ 후의 신호
Figure kpo00020
1가 VDC+VP의 기간에 있어 콘덴서 C4',C4"의 단자전압이 공히 VP로 부터 VS1-(VDC+VP)로 변화되어 이 사이에 콘덴서 C4'로 부터 a4CVP-a4C{VS1-(VDC+VP)}=a4C{VDC+2VP)-VS1}의 전하가 트랜지스터(11)의 코렉터를 통하여 방전된다.
또한 3τ후의 신호
Figure kpo00021
1가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6'가 방전되어 이때의 방전전하는 a6CVP-a6C{VS1-VDC+VP}=a6C{(VDC+2VP)-VS1}이 되어 이 전하가 트랜지스터(11)의 코렉터를 통하여 방전된다.
그리고 4τ후의 신호
Figure kpo00022
1가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8'가 방전되며 이때의 방전전하는 a8CVP-a8C{VS1-VDC+VP)}=a8C{(VDC+2VP)-VS1}로 되며 이 전하가 트랜지스터(11)의 코렉터를 통하여 방전된다.
그리고 이들의 모든 방전전하는 트랜지스터(11)의 코렉터를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11)의 코렉터를 흐르는 전하량 X는 다음과 같이 된다.
X={(VDC+2VP)-VS}Cla4Z-2+a6Z-3+a6Z-4....)
단 Z=esτ S=jw=j2πf; f는 입력신호의 주파수 즉 트랜지스터(11)의 코렉터에는 입력신호를 2τ 지연, 3τ지연, 4τ지연... 한 신호를 각각 a4,a6,a8...로 중합시켜 이들을 가산한 값에 대응하는 전하가 흐르게 된다. 이 전하의 흐름에 의한 전류의 평균치 IAV는 IAV=
Figure kpo00023
=x·fc 그리고 이 전류 IAV가 트랜지스터(14)를 통하여 흐르므로서 이것과 같은 전류가 트랜지스터(16)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따라서 콘덴서 C2에는 대응하는 1크록기간(τ)에 전하량 x의 전하가 주입된다. 따라서 콘덴서 C2에는 트랜지스터(16)와 콘덴서 C2로부터 전하가 공급되게되어 콘덴서 C2로부터 전하가 공급되게되어 콘덴서 C2로부터 공급되고 있던 전하량이 트랜지스터(16)으로부터 공급되는 전하량 x의 분만큼 적게 되어진다. 즉 전하량 x에 의하여 부귀환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이 부귀환에 의하여 입력단위로 부터 콘덴서 C2의 홋투엔트측까지의 전달함수 H(z)는
Figure kpo00024
로 된다.
또한 귀환시에 신호 VS는 교류성분 VSAC외에 직류성분 VSDC도 가산되나 이 직류성분은 상술한 트랜지스터(18),(19) 및 콘덴서(20)에 의한 직류 보정회로에서 제거된다.
이리하여 귀환이 행하여 지게되나 본 발명에 의하여 귀환신호를 전하의 형으로 잡아내고 있으므로 가산이나 주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으며 애너로그 가산회로이나 쌤프링 호올드회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콘덴서에는 통상의 전송시와 같은 펄스가 공급되고 있으므로 BBD로 전송되는 신호에는 전혀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그리고 직류전위의 변동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가 있어 직류가 안정화된다.
또한 제4도는 기타 실시예이며 이 예에는 써픽스가 기수의 콘덴서로 부터의 신호로 부귀환을 행하는 경우를 표시한다. 도면에 써픽스가 기수의 콘덴서 C3,C5...가 분할되며 각각 C3',C3",C5',C5"...로 됨과 더불어 이들의 용량치가 각각 a3C, (1-a3)C, a5C, (1-a5)C...로 된다. 이들의 분할된 한쪽의 콘덴서 C3',C5'...의 고올이 엔드측이 서로 접속되어 다른쪽 콘덴서 C3",C5"...의 고올드엔드측이 단자(7)에 접속된다. 또한 콘프리멘터리한 트랜지스터(21)(22)의 에밋터가 서로 접속되어 이 접속점이 콘덴서 C3',C5'...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21),(22)의 베이스가 서로 접속되어 이 접속점에 발진기(23)가 접속된다.
이 발진기(23)으로부터 신로
Figure kpo00025
2와 동위상이며 VDC-VBE와 VDC+VP+VBE의 전위를 취하는 신호
Figure kpo00026
2'가 공급된다. 그리고 npn형의 트랜지스터(21)의 코렉터가 전원단자(4)에 접속되고 npn형의 트랜지스터(22)의 코렉터가 제2의 전류 밀러회로 M2를 구성하는 한편의 npn형의 트랜지스터(24)의 코렉터 및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4)의 에밋터가 저항기(25)를 통하여 접지된다.
이 전류 밀러회로 M2를 구성하는 다른쪽 npn형의 트랜지스터(26)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24)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25)의 에밋터가 저장기(27)를 통하여 접지된다. 또한 저항기(27),(27)의 저항치는 같게된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26)의 코렉터가 전류 밀러회로 M1의 트랜지스터(14)의 코렉터와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16)의 코렉터가 콘덴서 C2의 홋트 엔드측에 접속된다. 거기에 콘덴서 C2의 홋트엔드측에 직류 보정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18)의 코렉터가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20)의 용량치 CX가 CX=k (a3+a5+...)C로 된다.
이 회로에서 입력신호가 공급되어 있지 않을때는 콘덴서는 모든 단자전압이 VP로 되어있다. 이에 대하여 입력신호가 공급된 직후 직후의 신호
Figure kpo00027
1가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o의 단자전압이 VS1-(VDC+VP)에 충전되어 다음 신호
Figure kpo00028
2가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1의 단자전압이 VS1-(VDC+VP)에 충전되어 τ후의 신호
Figure kpo00029
1이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2의 단자전압이 VS1-(VDC+VP)에 충전된다.
그리고 1.5τ후의 신호
Figure kpo00030
2가 VDC+VP의 기간에 있어 콘덴서 C3',C3"의 단자전압이 공히 VS1-(VDC+VP)에 충전되며 이때 콘덴서 C3'로 부터 트랜지스터(21)의 코렉터를 통하여 a3C{(VDC+2VP)-VS1}의 전하가 화살표 I1의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그리고 2τ후의 신호
Figure kpo00031
1가 VDC+VP의 기간에 같은 전하가 트랜지스터(22)의 코렉터를 통하여 화살표 IO의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다음에 3τ후의 신호
Figure kpo00032
1이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5'로 부터 트랜지스터(22)와 코렉터를 통하여 a5C{(VDC+2VP)-VS1}의 전하가 화살표 IO의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다음에 3τ후의 신호
Figure kpo00033
1이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5'로 부터 트랜지스터(22)와 코렉터를 통하여 a5C{(VDC+2VS1)-VS1}의 전하가 화살표 IO의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다시 4τ후의 신호
Figure kpo00034
1이 VDC+VP의 기간에 콘덴서 C7'로 부터 트랜지스터(22)의 코렉터를 통하여 a7C{(VDC+2VP)-VS1}의 전하를 흐르게 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22)의 코렉터를 통하여 흐르게 하는 전하량 X는 다음과 같이 된다.
X={(VDC+2VP)-VS}C(a3Z-2+a5Z-3...)
즉 트랜지스터(16)의 코렉터로부터는 입력신호를 2τ지연, 3τ지연, 4τ지연...한 신호에 각각 a3,a5,o7...으로 중합시켜 이것들을 가산한 값에 대응하는 전하가 흐르도록 한다.
그리고 이전하의 흐름에 의한 전류의 평균치 IAV는 IAV=
Figure kpo00035
=x·fc로 되고 이 전류 IAV가 트랜지스터(24)를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서 이와 동등한 전류가 트랜지스터(26)을 통하여 흐르게되며 다시 이 전류가 트랜지스터(14)를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서 이것과 동일한 전류가 트랜지스터(16)을 통하여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해 콘덴서 C2에는 대응하는 1크록기간(τ)에 전하량 X의 전하가 주입된다.
따라서 제3도의 예와 같이 전하량 X에 의하여 부귀환이 걸려지며 이 부귀환에 의하여 입력단으로 부터 콘덴서 C2의 홋트 엔드측까지의 전달함수 H(z)는 H(z)=
Figure kpo00036
로 된다. 또한 제5도는 정귀환을 걸었을 때이며 도면에서 콘덴서 C4',C6'...의 고올드 엔드측의 접속점이 콤프리멘터리한 트랜지스터(31),(32)의 에밋터의 접속절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31),(32)의 베이스의 접속접이 발진기(13)에 접속된다. 그리하여 npn형의 트랜지스터(31)의 코렉터가 콘덴서 C2의 홋트엔드측에 접속되고 pnp형의 트랜지스터(32)의 코렉터가 접지된다. 그리고 직류 보정회로에서 트랜지스터(18)의 코렉터가 제3의 전류 밀러회로 M3를 구성하는 한쪽 pnp형의 트랜지스터(33)의 코렉터 및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33)의 에밋터가 저항기(34)를 통하여 전원단자(4)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pnp형 트랜지스터(35)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33)의 베이스에 접지되어 트랜지스터(35)의 에밋터가 저항기(36)을 통하여 전원단자(4)에 접지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35)의 코렉터가 콘덴서 C2의 홋트엔드측에 접지된다. 따라서 콘덴서 C4',C6'...로 부터의 합계전하량 X가 콘덴서 C2의 홋트 엔드로 부터 잡아내어 콘덴서 C2로부터 이동되는 전하량이 전하량 X분만큼 많아진다. 즉 전하량 X에 의하여 정귀환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이 정귀환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이 정귀환에 의하여 입력측으로부터 콘덴서 C2의 홋트엔드측까지의 전달함수 H(z)는 H(z)=
Figure kpo00037
로 된다.
또한 제6도는 같은 정귀환이며 써픽스가 기수의 콘덴서로 부터 귀환신호를 얻는 경우를 표시한다. 도면에서 콘덴서 C3',C5'...의 고올드 엔드측의 접속점이 콤프리 멘터리한 트랜지스터(41),(42)의 베이스의 접속점이 발진기(23)에 접속된다. 그리고 npn형의 트랜지스터(41)의 코렉터가 전원단자(4)에 접속되고 pnp형의 트랜지스터(42)의 코렉터가 제4의 전류밀러회로 M4를 한 쪽의 npn형 트랜지스터(43)의 코렉터 및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43)의 에밋터가 저항기(44)를 통하여 접지된다.
다시 다른쪽의 npn형 트랜지스터(45)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45)의 베이스에 접지되어 트랜지스터(45)의 에밋터가 저항기(46)을 통하여 접지된다. 그리하여 트랜지스터(45)의 코렉터가 콘덴서 C2의 홋트 엔드측에 접속된다. 또한 직류 보정회로는 제5도와 같게되어진다.
따라서 콘덴서 C3',C5'...로 부터의 합계 전하량 X가 콘덴서 C2의 홋트 엔드측으로부터 잡아내여져 정귀환이 걸린다. 이때 전달함수 H(z)는 H(z)=
Figure kpo00038
이 된다.
그리고 제7도는 상술한 제3도 및 제5도의 회로를 사용하여 정부 양귀환을 거는 경우이다. 도면에서 콘덴서 C4',C8'...의 고올드 엔드측의 접속점이 트랜지스터(31),(32)의 에밋터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콘덴서 C6',C10'...의 고올드 엔드측의 접속점이 트랜지스터(11),(12)의 에밋터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이 회로에 있어서 입력단으로 콘덴서부터 C2의 홋트엔드측까지의 전달함수 H(z)는
Figure kpo00039
로 된다.
또한 이 회로에서 귀환신호의 직류보정을 행할 경우에는 트랜지스터(11),(12)의 에밋터의 접속점 E1과 접지와의 사이나 트랜지스터(31),(32)의 에밋터의 접속접 E2와 접지와의 사이에 콘덴서(20)을 마련하면된다. 즉 정귀환측의 계수 a4,a8...의 합계가 부귀환측의 계수 a6,a10...의 합계보다 큰 경우에는 용량치 CX가 CX=k{(a4+a8+...)-(a6+a10+...)}C의 콘덴서(20)을 접속점 E1과 접지의 사이에 마련한다. 이에 대하여 정귀환측 계수의 합계가 부귀환측 계수의 합계보다 적을 경우에는 CX=k{(a6+a10+...)-(a4+a8+...)}C의 콘덴서(20)을 접속점 E2와 접지 사이에 마련하면 된다.
또한 제4도 제6도의 회로를 사용하여, 써픽스가 기수인 콘덴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정부양귀환을 행할 수도 있다.
다시 상술의 예는 어느 것이나 계수 a가 1 이하의 경우이나 소마의 전달관수에 의하여 계수에 1 이상의 값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예를들어 제3도의 회로에 있어서 콘덴서 C4',C6'...의 값을 각각
Figure kpo00040
C,
Figure kpo00041
C,...와 같이 모두
Figure kpo00042
로 한다.
또한 이 경우에 m는
Figure kpo00043
,...의 값이 모두 1 이하가 되는 정수라고 한다. 그리고 콘덴서 C4",C6",...의 값도 각각 (1-
Figure kpo00044
)C, (1-
Figure kpo00045
) C,로 한다.
그리고, 전류밀러회로 M1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14)를 흐르는 전류를 Ia, 트랜지스터(16)을 흐르는 전류를 Ib로 하여 이들 전류가
Figure kpo00046
=m가 되도록 각 트랜지스터(14),(16) 및 저항기(15),(17)을 조성한다.
즉 트랜지스터(14)의 에밋터 면적을 Sa, 트랜지스터(16)의 에밋터 면적을 Sb로 하여 이들 면적이
Figure kpo00047
=m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14)에 전류 Ia가 흐르 때의 에밋터와 베이스간의 저항을 ra, 트랜지스터(16)에 전류 Ib가 흐를 때의 에밋터와 베이스간의 저항을 ra, 저항기(15)의 저항치를 Ra, 저항기(17)의 저항치를 Rb로 하여
Figure kpo00048
=m
따라서 이 회로에 의하면 필요한 귀환신호의
Figure kpo00049
의 신호가 얻어지면 이 신호가 전력 밀러호로 M1에서 m 배로 증폭되어 콘덴서 C2에 주입된다. 이리하여 계수가 1 이상의 경우에는 소망의 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써픽스가 기수인 콘덴서로부터 귀환신호를 잡아내는 경우나 정귀환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1 이상이 계수에 의한 귀환을 행할 수가 있다.
더우기 이 경우에 제4도의 예에서는 전류 밀러회로 M1,M2의 어느 것으로 증폭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회로에 있어서 직류보정용 콘덴서(20)의 용량치 CX는 각각이 어떤 회로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로서 본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특성이 좋은 귀환을 행할 수가 있다. 더욱 본 발명은 BBD에 한하지 않고 CCD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전하 전송소자를 구성하는 임의용량을 소망비로 분할하여, 이 분할된 한쪽 용량의 고올드 엔드측에 크록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크록신호와 동위상의 신호를 상보적인 한 쌍의 능동소자의 제어단자에 공통으로 공급하고 이들 능동소자의 제어단자를 서로 접속시켜 이 접속점을 상기 다른쪽 용량의 고올드엔드측에 접속하고 상기능동소자를 흐르는 전하를 검출하여 이 검출된 전하에 대응하는 전하를 전단의 용량에 공급하여 귀환을 걸도록 한 전하 전송소자의 귀환회로.
KR1019800000648A 1980-02-19 1980-02-19 전하전송 소자의 귀환회로 KR83000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648A KR830000900B1 (ko) 1980-02-19 1980-02-19 전하전송 소자의 귀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648A KR830000900B1 (ko) 1980-02-19 1980-02-19 전하전송 소자의 귀환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900B1 true KR830000900B1 (ko) 1983-04-26

Family

ID=1921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648A KR830000900B1 (ko) 1980-02-19 1980-02-19 전하전송 소자의 귀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90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8509A (en) Filter circuit utilizing charge transfer device
EP0030824B1 (en) An integrator with a switched capacitor and its use in a filter
US4604584A (en) Switched capacitor precision difference amplifier
DE1541954B2 (de) Kondensator-Überladungsvorrichtung
DE3016737A1 (de) Integratorschaltung mit abtaststufe
US4558292A (en) Low pass filter
KR830000900B1 (ko) 전하전송 소자의 귀환회로
US4354250A (en) Switched-capacitor source resistor simulation circuit
DE2951166C2 (ko)
US4314162A (en) Filter circuit utilizing charge transfer device
EP0060096B1 (en) Drive circuits for driving digital circuits with a clock signal
US4296392A (en) Switched capacitor bilinear resistors
CA1147817A (en) Bucket brigaded device
US4405908A (en) Filter circuit having a charge transfer device
JPH0245372B2 (ko)
JPH0993086A (ja) スイッチトキャパシタ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信号処理回路
KR830002298B1 (ko) 전하전송 소자의 클록킹 신호 구동회로
KR850001142B1 (ko) 버켓전하 이송장치(b.b.d)
JPS6043594B2 (ja) 電荷転送素子の出力回路
JPS6322487B2 (ko)
JPH07120935B2 (ja) スイツチング回路
JPS6221411B2 (ko)
JPS6317248B2 (ko)
JPS6324328B2 (ko)
JPS6043595B2 (ja) 電荷転送素子の出力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