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752Y1 -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 Google Patents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752Y1
KR830000752Y1 KR2019810008612U KR810008612U KR830000752Y1 KR 830000752 Y1 KR830000752 Y1 KR 830000752Y1 KR 2019810008612 U KR2019810008612 U KR 2019810008612U KR 810008612 U KR810008612 U KR 810008612U KR 830000752 Y1 KR830000752 Y1 KR 830000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lephone
hooks
hoo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달
Original Assignee
김진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달 filed Critical 김진달
Priority to KR2019810008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연결구에 전화인입선걸이가 삽지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제6도는 종래에 사용된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곡면이 형성된 몸체 5, 5' : 연결고리
5c, 5c' : 절곡부 A : 연결구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된 전화케이블을 전주에 설치된 단자함으로 인입시킨 다음 이 단자함으로부터 각가정이나 빌딩등의 수용가에게로 전화선을 각각 공급시킴에 있어서 통상의 인입선 걸이와 전주 사이를 연결함을 목적으로하는 전화인입선 걸이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주에 설치된 단자함에서 전화선을 각 수용가로 공급할때 전주에서 공급되는 전화가입자 회전의 늘어짐을 방지키 위하여 제3도의 도시와 같이 가입자 전화선을 인입선걸이의 돌기 사이에 지그재그형으로 삽지되게 함은 통상적이다.
이와 같이 가입자 전화선을 삽지시킨 인입선걸이를 종래에는 제6도의 도시와 같이 그 단면이 고리형()으로 된 연결구를 전주에 고착시켜서 여기에 인입선걸이를 각각 삽통하여 사용하여 이와 같은 연결구는 전주의 높이보다 높은 빌딩으로 가입자 전화회선을 공급할때는 그 인입선걸이도 윗쪽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연결구의 선단부로 인입선걸이가 빠지는 경우가 허다하였으며 또 그 단면이 만곡되었기 때문에 많은 수의 인입선걸이를 수용할 수 없었으며 아울러 각 전화가입자 회선을 이동시키거나 수리할때에슨 좁은 만곡부에 고밀도로 인입선 걸이가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판별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사각형상으로 된 괘지고리를 결착밴드에 부착시킨 구조의 연결구는 공번 79-2060호로 기히 공지된바 있으나 이는 많은량의 전화인입선 걸이를 괘지고리에 걸 경우에는 자연히 밀러나는 현상이 생겨서 개구부로 전화인입선이 빠져나가는 폐단이 있었고 또 연결부를 전주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킬수 없었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에 착안하여 연결구의 단면을 4각형으로 형성시키되 그 일단부는 내측으로 절곡시켜서 된 것으로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심부에 나사공(1)이 천공되고 후면을 곡면(2)으로 형성시킨 합성수지몸체(3)의 양측에 철선의 내심(4)을 감삽시키고 몸체(3)와 일체로 성형된 연결고리(5)(5')를 그 단면을 4각형상으로 하여 그 일단부(5a)(5b)는 내측으로 절곡시켜서 된 절곡부(5c)(5c')를 형성시켜 연결구(A)가 구성되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은 전화가입자회선, 7은 전화인입선걸이, 8은 단자함, 9는 전주이다.
본 고안은 연결구(A)이 양측에 형성시킨 연결고리(5)(5')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그 일단부(5a)(5b)에 전화인입선걸이(7)를 각각 제3도의 도시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삽통케 되는데 이때 연결고리(5)(5')의 단면이 4각형으로 되었고 또 몸체(3)의 양측에 형성시켰기 때문에 종래보다 많은 량의 인입선걸이(7)를 수용시킬수 있으며, 연결고리(5)(5')가 3면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따라서 연결고리(5)(5')에 수용된 인입선걸이(7)가 3등분하게 되어 가입자 전화회선(6)의 이동이나 고장수리시에 각각의 인입선걸이(7)의 판별이 용이하고 그 일단부(5a)(5b)에는 내측으로 향한 절곡부(5c)(5c')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입자 전화선이 전주(9)보다 아무리 높은 빌딩으로 공급되더라도 인입선걸이(7)가 절대로 빠지는 폐단이 전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연결구(A)는 그 후면이 곡면(2)으로 되었기 때문에 전주(9)의 주면이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가입자 전화회선이 많은 경우에는 제5도의 평면예시 도면처럼 연결구(A)를 전주(9)가 전후에 나착시켜주면 간단히 4방향으로 많은 량을 수용시킬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후면이 곡면(2)으로 된 몸체(3)의 양측에 연결고리(5)(5')를 4각형상으로 하여 일체로 성형시키되, 그 일단부(5a)(5b)에 절곡부(5c)(5c')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한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KR2019810008612U 1981-12-18 1981-12-18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KR830000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612U KR830000752Y1 (ko) 1981-12-18 1981-12-18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612U KR830000752Y1 (ko) 1981-12-18 1981-12-18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52Y1 true KR830000752Y1 (ko) 1983-05-21

Family

ID=1922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612U KR830000752Y1 (ko) 1981-12-18 1981-12-18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7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30Y1 (ko) * 2013-07-26 2015-01-07 (주)태진통신산업 전주용 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30Y1 (ko) * 2013-07-26 2015-01-07 (주)태진통신산업 전주용 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0538A1 (en) Conduit connector assembly spring clip having scalloped shaped conduit gripping end
US4641991A (en) Connector for reinforcing rods
KR830000752Y1 (ko) 전화인입선걸이 연결구
US20020020543A1 (en) Apparatus having a cable grommet of uniform flexibility
CA2013702C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having similar or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KR200488389Y1 (ko) 요비선용 전선 결속유닛
US4702544A (en) Electrical connector
EP0221137A1 (en) CONNECTOR WITH WIRE RECORDING COLUMN.
CN214227170U (zh) 一种插式接线头
CN205039494U (zh) 用于接线盒的线缆固定装置
CN214227171U (zh) 一种多导线快接器
US4657321A (en) Telecommunication service wire connector
CN210517154U (zh) 一种电线插头防水结构
CN211212613U (zh) 电线盒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910007959Y1 (ko) 편향 요오크용 호울더
JP3032530U (ja) 配管内挿入線条
KR940000098Y1 (ko) 전선배관박스의 연결장치
KR200379310Y1 (ko) 낚시 채비의 가지선 연결구
JP2549017Y2 (ja) 電線接続器
KR0120826B1 (ko) 방수형 플랫 와이어 케이블
KR200237612Y1 (ko) 전선 집게형 플러그
CA2280504A1 (en) Control wire terminal for wire clamp terminals
KR950007614Y1 (ko) 통신케이블용 고정구
JPH085138A (ja) 電線入り合成樹脂製可とう管
KR200370904Y1 (ko) 벽면 밀착형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