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665B1 -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665B1
KR830000665B1 KR1019790003365A KR790003365A KR830000665B1 KR 830000665 B1 KR830000665 B1 KR 830000665B1 KR 1019790003365 A KR1019790003365 A KR 1019790003365A KR 790003365 A KR790003365 A KR 790003365A KR 830000665 B1 KR830000665 B1 KR 83000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nel
deflection
display
display window
funne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투스 바커 지쓰
코넬리스 그루트 디오도투스
Original Assignee
디·제이·삭커스
엔·브이·필립스 글로 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제이·삭커스, 엔·브이·필립스 글로 아이람펜 파브리켄 filed Critical 디·제이·삭커스
Priority to KR1019790003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제 1a 내지 1f도는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제2도는 제1a 내지 1f도에 도시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조립되었으며, 비스듬이 연삭된 퍼널(funnel)부를 가지는 표시관에 있어서 전자비임통로를 도시한 선도.
제 3a 및 3b도는 노광테이블(table)을 사용하여 표시창상에 표시 스크린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선도적 평면도 및 선도적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방법의 일예에 의해 퍼널부상의 표적을 연삭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표시관 내의 전자비임통로를 도시한 선도.
본 발명은 거의 장방의 표시창 및 퍼널(funnel)부를 가지며, 상기 퍼널부의 폭이 넓은 단부가 거의 장방형이며, 상기 퍼널부의 장방형 단부가 상호직교하는 두축선 및 표시창용의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의 판넬부에 상기의 표시창을 상기 퍼널부의 지지면상에 배차하기 위한 표적이 제공되어 있는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 및 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을 제조할 경우, 보통 각종의 교정수단에 의해 표시관의 수렴오차나 색불순도를 제거하게 된다. 이들 색불순도 및 수렴오차는 표시관 조립시 각종의 소자, 예를 들어, 표시창, 퍼널부, 전자총 및 편향장치를 상호간에 위치적으로 충분한 정밀도를 가지고 조정할 수 없다는 사실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소자자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그 제조정밀도도 제한되어, 동일 소자들이 상호간에 동일하게 되지 않게 된다.
표시관의 각종의 소자를 조정하는 것에는 수개의 기준장치가 알려져 있다. 통상의 기준장치는 미국 특허 제3,971,490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이 미국특허 명세서의 경우, 표시관의 퍼널부에 대해 기준면을 연삭형성하고, 퍼널부의 넥크부의 축선을 연삭된 기준면을 기준으로 하여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표시창은 그 외면에 기준점을 갖는데, 이들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표시스크린을 표시창 위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표시창을 표시스크린의 기준점과 퍼널부의 기준면을 공통의 기준으로 하여 퍼널부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스크린은 퍼널부의 넥크부의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된다. 후에 넥크부내에 설치해야 할 전자총에 의해 발생케 되는 전자비임의 유효한 전자공급원은 넥크부의 축선상에 위치되며, 이 유효 전자원도 표시스크린을 기준으르 하여 설치되게끔 한다. 그러나 상술한 기준장치를 사용할 경우, 표시창에 대한 퍼널부의 지지면을 넥크부의 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의 지지면을 필요의 정밀도로서 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로 상기의 지지면을 필요의 정밀도로서 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연삭한다는 것은 전혀 혹은 거의 할 수 없다. 또한 상술한 기준장치를 사용할 경우 편향장치를 별개로 위치 결정하고, 이 편향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편향중심이 표시관의 넥크부의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퍼널부상에서 편향장치를 조정하는 공정은 많은 시간을 요하며, 제조처리상의 가격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표시관의 퍼널부상에서 편향장치를 조정하는 조정횟수나 작업공정의 수를 최소로 하는 기준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의 퍼널부상에서의 편향장치의 조정을 수회의 간단한 작업으로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의 제조방법은 거의 장방형의 표시창과 퍼널부를 가지며 상기 퍼널부의 폭이 넓은 단부가 거의 장방형이며, 상기 퍼널부의 장방형 단부가 상호 직교하는 두 축선과 표시창용의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의 퍼널부에 상기의 표시창을 상기 퍼널부의 지지면상에 배치하기 위한 표적이 부착된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의 표적을 상기 퍼널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하도록 제공하고 상기의 기준점의 위치를 상기 표적을 제공할 때에 상기 퍼널부를 고정하는 중심내에 또는 거의 편향중심내에 위치케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향장치의 제조는 작은 공차로 행해질 수 있다. 이것은 편향장치의 규정점에 대하는 편향중심의 위치가 정확히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시관의 제조에 있어 표시관내의 편향중심의 위치를 제조 개시점으로서 선택하고, 표적을 제공하여 이들 표적을 각종의 소자, 예를 들어 표시창이나 퍼널부를 편향중심의 위치에 대해 조정하는 기준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표시창상에 설치되는 표시스크린이 편향중심에 대해 정확히 위치 설정되게끔 한다. 따라서 편향중심의 위치가 표시관의 제조처리의 앞선 공정에서 미리 알려질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표시관의 퍼널부를 고정할 목적으로 중심설정 장치를 사용하여 이 심출장치에 의해 후에 퍼널부상에 설치되는 편향장치의 편향중심내에 또는 거의 편향중심내에 위치되는 기준점을 퍼널부내에 고정한다. 여기서 편향중심이란 편향장치의 길이축선(전자광축)과 일치하는 중심선을 가지는 가상의 전자비임에 대한 편향장치 자계의 편향작용이 집중한다고 간주할 수 있는 중심을 의미한다. 편향중심은 편향점이라 칭하는 점의 모임이면, 표시스크린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이 편향중심으로부터 전자가 방사되는 것 같이 보인다. 따라서 편향중심이란 상술한 전자비임의 유호전자원과 등의어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있어서, 표시창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표적의 부분은 중심설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기준점을 가지는 면으로부터 이미 결정한 거리에 제공되며, 상기의 면은 상기 퍼널부의 장방형 단부의 하나의 측면에 대해 평행으로 되며 동시에, 표시창에 대한 퍼널부의 지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된다. 상기의 ''이미 결정한 거리"는 표시스크린을 표시창의 외면상에 위치하는 표적에 대해 표시창에 공지와 같이 사진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노광테이블(table)에 의해 고정된다. 본 예에 의하면, 표시창의 지지면을 반드시 퍼널부의 기하학적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연삭할 필요는 없다. 상기의 지지면은 퍼널부의 판면 전체에 의해서 또는 퍼널부의 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3개의 돌기부에 의해서 구성할 수가 있다. 표적은 퍼널부의 표면에 있어 기준면으로 하던가, 또는 퍼널부상이 제공된 리브(rib), 돌기부 또는 요부상의 기준면일 수도 있다. 상기의 기준면은 퍼널부의 장방형 단부의 측변에 평행으로 혹은 거의 평행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기준면을 연삭장치에 의해 연삭할 경우, 상기의 중심설정 장치를 이 중심설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퍼널부를 중심설정 장치내에 배치하며, 표시창에 대한 퍼널부의 지지면에 연삭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연삭면에 대해 적어도 거의 수직하게 될 때까지 상기의 중심설정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간단히 달성할 수 있다. 연속적인 형광체라인(line)을 가지는 표시스크린을 구비한 표시관의 경우, 형광체 라인의 방향과 평행하게 기준점을 통과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끔 중심설정 장치를 배치하면 충분하다. 형광체 영역의 폐턴(pattern)이 6각형일 경우에는, 중심설정 장치를 이 집중장치에 의해 고정된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끔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있어서, 중심설정 장치에 의해 퍼널부의 외면상의 점에서 퍼널부를 고정하며 이들점이 후에 퍼널부상에 설치해야 할 편향장치의 위치설정절과 일치 혹은 거의 일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 중심설정 장치를 유사의 편향장치로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 1a도는 넥크(neck)부 1을 콘(cone)부 2에 접속하는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넥크부 1의 기하학적 축선 3은 콘부2의 기하학적 추선 4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기하학적 축선 6을 가지는 퍼널부 7이 얻어진다. 제 1b도는 표시창에 대한 지지면 5(콘부의 연부 5)를 퍼널부 7의 기하학적 축선 6에 대해 수직하게 연삭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제 1c도는 기준면 8을 퍼널부 7의 축선 6에 대해 평행하게 연삭하여, 기준면 8이 축선 6을 따르는 면으로 부터 거를 K에 위치시키고, 이 기준면이 판넬부의 장방형 단부의 한쪽에 대해 평행하게 되도록 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이 거리 K는 노광테이블에 의해서 고정되며, 이것에 의해 표시스크린이 표시창상에 사진 식각적으로 제공된다. 이것을 제 1d도에 선도적으로 도시한다. 이 제 1d도에 있어서 창 9상에 제공된 형광체의 충은 유효한 광원(노광점 18)으로부터 샤도우 마스크 10을 거쳐 노광된다. 창 9는 노광테이블(도시치 않음)상에 배치되어, 상기 창의 외면상에 위치하는 표적이 노광테이블의 위치설정용 돌기부에 대향하여 접하도록 한다. 상기 표적중의 하나가 11로 도시되며, 제 1d도에 도시한 거리 K는 제 1c도에 도시한 거리 K에 상당한다. 이같은 일반적인 공지의 방법에 있어서, 표시창 9에는 표시스크린이 제공되는데, 이 표시스크린은 삼색(적, 녹 및 청)을 발광하는 형광체 영역의 패턴(pattern)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노광점 18을 통과하고 창 9에 대해 수직하며 점 M에서 표시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축선 12에 대해 표시스크린이 위치 설정된다. 표시스크린이 표시창 9상에 제공된 후, 표시창 9는 퍼널부 7상에 배치되는데, 이 경우,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창 9의 축선 12가 퍼널부 7의 축선 6의 연장선에 위치하도록 된다. 다음에 창 9 및 퍼널부 7은 상호간에 부착된다. 최종적으로 제 1f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총 13이 넥크부 1내에 조립되며, 전자총 13의 길이축선 14가 넥크부 1콘부 2 및 표시창 9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길이축선 15와 일치되도록 한다.
제 1b도에 도시한 표시관의 제조처리공정, 즉 축선 6에 대해 콘부의 연부 5를 수직연삭하는 공정은 실제로는 실현될 수 없거나 또는 거의 실현되지 않는다. 콘부의 연부 5의 경사로 인해, 표시관의 화상표시에 발생되는 오차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표시관의 각종의 소자의 조립은 어느 정도의 공차 내에서 행해지지만, 표시창에 대한 지지면(콘부의 연부)은 축선 6에 대해 각도 α만큼 경사져 연삭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표시스크린의 중심에 위치하는 점 M이 충돌하는 제 전자비임 중의 하나, 예를 들어 전자총 13으로부터 발생되어, 녹색발광 형광체 영역이 한정되는 전자비임을 고려한다. 표시스크린으로의 전자비임통로상에서, 전자비임은 전자비임에 대해 정적 교정을 행하는 교정장치를 통과한다. 상기의 교정에 의해서, 전자비임은 표시스크린의 노광점을 통과하여 표시스크린의 중심에 관해 한점에 집중된다. 제2도에 있어서, 편의상 상기 교정효과가 도면의 면에 수직한 면 20내에서 집중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한다. 이경우,전자비임은 전자비임을 편향시키는 편향장치 21을 통과한다. 이 경우도, 편의상 편향효과가 도면의 면에 수직하 면 22, 즉, 3개의 전자비임에 대한 편향점이 위치하는 소위 편향면 내에서 집중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한다. 편향중심을 형성하는 이들 편향점의 위치는 표시스크린에 대한 노광점의 위치에 상당한다. 편향 이후, 전자비임은 샤도우마스크 10을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표시창 9상에 제공된 표시스크린 23상에 충돌한다. 표시창 9에 대한 지지면 24가 축선 6에 대해 수직(α=0°)하게 연삭되었다고 하면(제 1b도 참조), 고려된 전자비임은 통로 A-B-D-C-M을 통과한다. 실제로, 전자총 13의 길이축선 14 및 편향장치 21의 길이축선 및 표시창 9의 축선 12는 일치한다. 그러나 표시창에 대한 지지면 24가 각도 α만큼 경사져 연삭되면, 고려된 전자비임은 축선 12(제 1d도 참조)에 응하여 표시스크린상에 충돌되어 색불순도가 회피되도록 즉, 다른 색의 형광체 영역상의 충돌이 없게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같은 목적을 위해, 전자비임이 축선 12와 편향면 22의 교차점 E를 통과하여, 따라서 통로 A-B-E-F-M(E-F-M는 축선 12(제 1d도)와 일치한다)를 통과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같은 필요한 교정의 결과로서 전자비임은 편향장치 21의 축선과 각도 β를 이루고 거리 e만큼 점차적으로 증대하는 통로 B-E를 거쳐 편향자계내를 통과하다. 따라서, 수렴오차가 생긴다. 즉 3개의 전자비임은 표시스크린상에서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오차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므로서 방지할 수 있다. 제 3a 및 3b도는 표시창 30에 표시스크린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제 3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창은 3개의 접합점 31,32 및 33에서 노광테이블(도시치 않음)상에 배치된다. 이들 접합점 31, 32 및 33에 대해 노광점 P'가 위치하는 도면의 면에 대해 수직한 축선이 결정된다. 제 3b도에 상기축선을 P'M'로서 도시한다. 접합점 31을 통하는 점선과 P'간의 거리는l로서 도시된다. 또한 접합점 32 및 33을 통과하는 점선과 점 P'간의 거리를 m으로 도시한다. 도면의 명료성을 목적으로, 녹색형광체 영역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점 P'는 표시스크린의 녹색의 형광체 영역에 대한 노광점이다. 실제로는 다른 적색 및 청색의 형광체 영역에 대한 노광점이 있다. 이들 노광점은 점 P'에 매우 접근하여 위치하며, 이들 노광점은 상호간에 아울러, 이후 표시관에 제공되는 편향장치의 편향중심에 상당하는 노광중심을 구성한다. 이후, 표시창의 짧은 쪽의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선을 따라 형광체 영역이 제공되는 표시관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표시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어떠한 패턴의 형광체 영역에 대해서도 적용되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원리가 하등 영향되는 것은 아니다. 제 3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형광체층이 제공된 표시창은 점 P'로부터 샤도우 스크 34를 거쳐 노광된다. 점 P'는 노광테이블의 지지면 35로부터의 거리 r에 위치한다. 표시관의 퍼널(funel)부상에 표시창을 적정히 배치하기 위해서는, 편향장치의 축선의 주위의 편향중심내에 혹은 거의 편향중심내에 위치되는 표시관내의 점에 점 P'가 일치하면 충분하다. 표적을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관의 퍼널부상에 제공한다. 미리 연삭된 퍼널부 40은 중심설정장치 41에 넣어지고, 이 장치 41에 의해, 후에 퍼널부상에 설비될 편향장치의 편향중심내에, 혹은 거의 편향중심내에 위치하는 기준점 D'를 퍼널부 40내에서 결정한다. 이 기준점의 결정을 가장 간단히 달성하는 방법은 편향장치가 퍼널부상에 제공된 후, 편향장치가 정합되는 점과 같은 점에서 퍼널부의 외면과 정합되는 중심설정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중심설정 장치 41은, 예를들어 의사의 편향장치로 될 수 있다. 중심설정장치 41은 넥크부 43상의 세점 42에서 퍼널부 40에 정합됨과 동시에 퍼널부 40의 콘부 45상의 세점 44에서 퍼널부 40에 정합된다. 중심설정장치 41의 축선 46은 후에 제공될 편향장치의 축선과 일치한다. 중심설정 장치는 다시 프레임(frame) 47내에 제공되어 도면의 면에 수직으로 D'를 통과하는 축선이 퍼널부 40이 심출장치내에 들어갔을 때에, 퍼널부 40의 장방형 단부의 짧은 쪽의 측변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다음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창 30에 대한 퍼널부 40의 지지면이 면 48에 가압되어 지지면의 경사로 인해 상기의 퍼널부가 경사상태로 되게끔 한다. 제4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양호하게 도시하기 위해 상술한 경사를 대단히 과장한다. 다음에 짧은 쪽의 측변상에 위치하는 돌기부 49상의 기준면 52는 모타 51에 의해 구동되는 연삭휠(whell) 50에 의해 연삭된다. 연삭휠 50의 연삭면 53은 면 48에 대해 수직이 된다. 돌기부 49로부터 많은 재료를 제거하여, 연삭기준면 52가 D'를 통과하는 면으로부터 거리l위치에 위치되고 면 48에 대해 수직이 되며, 퍼널부 40의 구형단부의 짧은 쪽의 측변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한다. 거리l은 제 3a 및 3b도에 도시하는 거리l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퍼널부 40의 장방형 단부의 긴쪽의 측변상에 있는 2개의 돌기부에 대해서도 기준면의 연삭을 행하여 이들 돌기부의 연삭면을 통과하는 면이 점 D'로부터 제 3a도에 있어서의 거리 m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경우, 긴 쪽의 측면상의 돌기부가 거리 m에 관해 연삭되는 정확도는 거리l에 관한 경우보다 작아도 된다. 그 이유는 표시스크린이 형광체라인의 길이방향에 약간 편이하여도 전자비임의 충돌에 관한 색불순도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표시창의 형광체 영역이 육각형 패턴일 경우에는 표시창의 위치설정용의 모든 돌기부의 연삭은 정확히 행해질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중심설정 장치 41은 이것에 의해 결정된 점 D'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예를들어 나침반의 경우에서와 같이 지지된다. 돌기부 49의 연삭 이후, 표시창 30은 퍼널부 40의 장방형 단부상에 위치 설정된다. 제 3a 및 3b도에서 접합부 31, 32 및 33이 표시창과 접합하는 위치에 위치적으로 일치하는 돌기부 49의 연삭면은 표시창에서 접합부 31, 32 및 33에 의해 결졍되는 위치와 지그(jig)내에서 정렬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배치된 표시창 30은 퍼널부 40에 긴밀히 부착된다. 퍼널부는 제4도의 거리 D'E'가 제 3b도의 거리 r(P'E')에 상당하는 길이로 연삭되어 있기 때문에, 점 D'는 후에 퍼널부 40상에 제공될 편향장치의 편향중심내에 위치하고, 표시창 30에 대한 점 D'의 위치는 제 3b도의 표시창 30에 관련한 점 P'의 위치에 일치 혹은 거의 일치하여, 따라서 퍼널부상에 표시창을 적정히 배치하는데 관한 조건이 만족된다. 퍼널부를 어느 정도의 길이로 연삭하기 위해서는, 퍼널부를 중심설정 장치내에 배치하고 고정시켜 점 D'에 대해 어느 정도의 길이로 연삭할 수가 있다. 최종적으로 전자총을 넥크부 43내에 설비한다. 이 경우 최소한 제2도에 도시하는 면 20의 위치에 있어서 적자총의 길이축선에 축선 46, 즉 편향장치의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비교를 위해 제2도에서 고려된 것과 대응하는 전자비임의 통로를 제5도에 도시한다. 전자총 63 및 면 60은 전자총 13 및 면 20이 제각기 상당한다. 또한 편향장치 61 및 편향면 62는 편향장치 21 및 편향면 22에 제각기 상당한다. 제 3b도에 의한 실제의 칼라표시의 경우, 점 M'로 향하는 전자비임은 선 P'M'에 따라 표시스크린에 접근한다. 제 3b도의 거리l과 동일의 거리l을 도시한 제5도에 의하면, 표시스크린으로의 전자비임의 접근은 선 D'M'을 따라 행해지며, 이것이 적정한 것이 된다.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라서 지지면 64가 각도 δ로 경사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점 D'가 표시창에 비해 점 P'와 대응하는 위치를 점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점 M'를 대한 전자비임은 통로 A'-B'-D'-F'-M'를 따라 점 M'에 도달한다. 그러나 이 경우 수렴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전자비임이 편향장치의 축선에 일치한 통로 A'-B'-M'를 거쳐 편향자계내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편향장치의 경우와 같이 같은 점에서 표시관과 정합하는 중심설정 장치 41을 사용하므로써 편향장치의 위치설정을 간단히 행할 수가 있다. 실제로는 편향장치가 콘부에 접할 때까지 편향장치를 넥크부상에 접동시키는 것에 의해 편향장치가 표시관의 길이방향에서 자동적으로 적정한 위치를 점유하게 된다. 위치설정용의 3개의 돌기부는 중심설정장치 41 및 편향장치의 쌍방이 정합하는 콘부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들의 돌기부의 하나는 편향장치의 길이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편향장치의 회전위치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1)

  1. 거의 장방형의 표시창과 퍼널부를 가지며, 상기 퍼널부의 폭이 넓은 단부가 거의 구형이며, 상기 퍼널부의 장방형 단부가 상호 직교하는 두 축선과 표시창용의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퍼널부에 상기 표시창을 상기 퍼널부의 지지면상에 배치하기 위한 표적이 부착된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표적을 상기 퍼널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준점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기준점위치를 상기 표적을 제공할 때에 상기 퍼널부를 고정하는 중심설정 장치에 의해 고정하고, 상기 기준점을 후에 상기 퍼널부상에 제공하는 편향장치의 편향중심내에 혹은 거의 편향중심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KR1019790003365A 1979-09-28 1979-09-28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KR830000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365A KR830000665B1 (ko) 1979-09-28 1979-09-28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365A KR830000665B1 (ko) 1979-09-28 1979-09-28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65B1 true KR830000665B1 (ko) 1983-03-25

Family

ID=1921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365A KR830000665B1 (ko) 1979-09-28 1979-09-28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66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0665B1 (ko) 칼라텔레비젼 표시관 제조방법
JPH0127538B2 (ko)
US4226513A (en) Exposure device for making a stripe screen on a faceplate of a color cathode ray tube
KR840000489B1 (ko) 칼라텔레비젼 표시관의 제조방법
US476413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and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US5001026A (en) CRT screen exposure device and method
US4220919A (en) Cathode ray tube display error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5946519A (en) Light source for forming phosphor elements on CRT display screen
KR20000050496A (ko) 평면 브라운관용 패널의 얼라인먼트 마크
US5831372A (en) Cathode ray tube with supporting members each having a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 for improved bearing of atmospheric pressure between the faceplate and the rearplate
JP2509076Y2 (ja) 露光装置
KR200145251Y1 (ko) 노광 광원의 위치결정장치
KR900002121Y1 (ko) 칼라 수상관용 로테이션 조정 장치
US20010002950A1 (en) Exposure device for forming phosphor screen of color cathode ray tube
EP0675518B1 (en) Exposing apparatus
JPS5836806B2 (ja) カラ−受像管用バルブおよびその製作方法
US6472810B1 (en) Light source device, exposure apparatus and cathode ray tube panel
JP2001272790A (ja) 露光用光源装置
JPH05109359A (ja) カラー陰極線管の露光装置における光源装置
JPH04296426A (ja) 露光装置とカラー受像管の製造方法
KR19980018547U (ko) 음극선관의 노광장치
JPH06150820A (ja) カラー受像管の露光装置
JPH07296725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露光装置
JPS5837650B2 (ja) カラ−ジユゾウカンヨウパネルヤキツケホウホウ
JPH0836972A (ja) 陰極線管のアライメント測定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