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609B1 - Electronic instrument - Google Patents

Electronic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609B1
KR830000609B1 KR1019790001312A KR790001312A KR830000609B1 KR 830000609 B1 KR830000609 B1 KR 830000609B1 KR 1019790001312 A KR1019790001312 A KR 1019790001312A KR 790001312 A KR790001312 A KR 790001312A KR 830000609 B1 KR830000609 B1 KR 83000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gate
signal
gates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시오 가시오
Original Assignee
도시오 가시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오 가시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오 가시오
Priority to KR101979000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6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전자 악기Electronic instrument

제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기본 개념에 의거한 원리 구성도.1 is a principle block diagram based on the system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사용되는 엔베로우브 모우드도.2 is an envelope mode diagram used in FIG.

제3도는 제1도의 악음파형 설정 방식의 기본 설명도.3 is a basic explanatory diagram of the sound wave waveform setting method of FIG.

제4도(a), (b), (c), 는 엔베로우브 계수치에 따르는 악음 파형의 상대적 변화 표시도.4 (a), (b), (c) are diagrams showing relative changes in the sound waveform according to the envelope coefficient values.

제5도(a), (b), (c), (d), (e), (f)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논리기호 설명도.5 (a), (b), (c), (d), (e), and (f) are explanatory diagrams of logic symbols used in this embodiment.

제6도는 제7도(a), (b), (c), (d)의 도면 접속상태도.6 is a drawing connection state diagram of FIGS. 7 (a), (b), (c) and (d).

제7도 (a), (b), (c), (d)는 본 발명의 시스템 심장부의 구체적 회로구성도.7 (a), (b), (c) and (d) are specific circuit diagrams of the system he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제7도(a), (b)에서의 블록 어드레스 상태에 관련된 음계에 상응한 선택출력상태를 표시한 타임 챠아트.FIG. 8 is a time chart showing a selective output state corresponding to the scale associated with the block address state in FIGS. 7 (a) and 7 (b).

제9도는 제7도(a)의 동기 레지스터에 관련된 옥타브마다 가산 타이밍 출력을 표시하는 타임 챠아트.FIG. 9 is a time chart showing the addition timing output for each octave associated with the synchronization register of FIG.

제10도는 제7도(a), (b)에서의 음계 스텝수 설명도.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number of scale steps in FIGS. 7 (a) and 7 (b).

제11도 (a), (b), (c)는 본 시스템에서의 음계마다 파형주기를 설명하는 타임 챠아트.11 (a), (b) and (c) are time charts illustrating waveform periods for each scale in the present system.

제12도는 제7도(c)에서의 시프트 메모리 상세도.FIG. 12 is a detailed view of the shift memory in FIG.

제13도는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음량 곡선 형식의 종류도.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type of volume curve used in this system.

제14도는 본 시스템에서의 α, β별 음량 곡선형식의 조합 설명도.14 is a combination explanatory diagram of the volume curve form for each α and β in the present system.

제15도는 본 시스템에서의 악음파형의 α, β별 블록어드레스 지정에 의한 설명도.Fig.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designating block addresses for alpha and beta of a sound wave waveform in the present system.

제16도는 제7도(a)에서의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의 상세도.FIG. 16 is a detailed view of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section in FIG.

제17도는 제7도(c)에서의 출력 가산치 설명도.FIG. 1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output additions in FIG.

제18도는 제7도(a)에서의 출력 사이클수 카운터의 타임챠아트.18 is a time chart of the output cycle counter in FIG.

제19도는 제7도(b)의 설명에 사용되는 사이클수와 듀우티이와의 기본 관련 설명도.19 is a basic related explanatory diagram of the number of cycles used in the description of FIG.

제20도는 본 시스템에서의 α, β별 주기 모우드 지정상태 설명도.2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ycle mode designation state for each α and β in the present system.

제21도는 본 시스템에서의 α, β별 주기 모우드에 관련된 상세도.21 is a detailed diagram related to the periodic mode for each α and β in the present system.

제22도, 제23도 및 제24도는 본시스템에 사용되는 트레몰로 제어를 설명하는 파형도.22, 23, and 24 are waveform diagrams for explaining tremolo control used in the present system.

제25도 (a), (b)는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발현 음적 트레몰로 제어를 설명하는 파형도.25 (a) and 25 (b) are waveform diagrams illustrating expression negative tremolo control used in the present system.

제26도는 제27도(a), (b)의 도면 접속상태 설명도.FIG. 2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drawing connection state of FIGS. 27 (a) and (b).

제27도 (a), (b)는 제7도(a), (b), (c), (d)를 콘트롤하는 제어부의 구체회로도.27 (a) and 27 (b) are concrete circuit diagrams of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FIGS. 7 (a), (b), (c) and (d).

제28도 (a), (b)는 제27도(a)에서의 중주 관계 타임 챠아트.28 (a) and 28 (b) show the quartet relationship time chart in FIG. 27 (a).

제29도 (a), (b)는 제27도(b)에서의 키입력 타이밍 및 등기 신호에 연관된 타임 챠아트.29 (a) and 29 (b) show time charts associated with keying timing and registration signals in FIG. 27 (b).

제30도는 각종 클록시간 발생회로에 의한 타임 클록 선택상태 설명도.3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time clock selection state by various clock time generation circuits.

제31도는 본 시스템에서의 비브라아토 제어타임 챠아트.31 shows the vibrato control time chart in the present system.

제32도는 어텍시의 경시 변화에 수반한 각종 음량 입상상태의 설명도.3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various volume granularity states with time-dependent change of attack.

제33도는 디케이시의 경시 변화에 수반한 각종 음량변화 상태 설명도.3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various volume change states accompanying the decay of the decay over time;

제34도는 리리즈시의 경시변화에 따른 음량변화 상태 설명도이다.FIG. 3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state of volume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ver time of release time.

본 발명은 디지탈 기술을 이용한 전자 악기에 관한 것으로, 전자 악기에 있어서, 연주키 각기에 대응한 음원 주파수는 평균을 음계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그 음원 주파수를 작성함에는 예 : 기준 클록 주파수신호를 복수단의 분주회로로 분주하고, 그 분주단의 분주비 조합 선택에 의하여 각 음원 주파수를 얻는 소위 분주 음원 방식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 sound source frequency corresponding to each playing key is determined based on an average scal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requency division circuits, and there is a so-called frequency division sound source system that obtains each sound source frequency by selecting a division ratio combination of the frequency division stages.

그리고 연주키에 대응한 음원 주파수로 예 : 악음 파형 메모리(Memory)에서 파형을 독출하는 것이다.Then, the waveform is read out from the sound waveform memory, for example, at the sound sourc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key.

여하튼 종래의 것은 단음을 주체로 하여 창안하며, 복수연주키의 동시 조작에 의한 화음을 가능케한 경우에는 동시 조작된 복수 연주키 각기에 대하여 음계주기 제어회로를 설치하여 병열적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대단히 회로 구성이 대형화하는 것이다.In any case, the conventional method is to create a single sound mainly, and in the case where a chord by simultaneous operation of a plurality of playing keys is possible, a parallel cycle processing circuit is provided for each of the simultaneously operated plurality of playing keys. The configuration is enlarged.

또 하나의 음계주기 제어회로를 복수연주키의 동시조작에 대하여 시 분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n개의 연주키에서는 1/n의 분해능(分解能)이 됨으로 하나의 연주키에 대하여는 n시간에 1회 처리제어가 되며, 이를 고려하여 각 연주키마다 음계 주기를 설정하여 악음을 발생함에는 복잡한 회로구성이 됨으로 아직 디지탈 기술에 의한 화음 연주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최적하고 간단한 음계 주기 제어기술은 확립되어져 있지 않다.It is also conceivable that one scale period control circuit can be used time-divisionally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multiple performance keys. In this case, however, the n performance keys have a resolution of 1 / n. The processing is controlled once every n hours, and considering this, it is a complicated circuit configuration to generate the musical sound by setting the scale period for each playing key, so it is still optimal and simple scale period to enable the chord performance by digital technology. Control technology is not established.

또 전자올겐, 전자피아노, 씬세사이저어등의 전자악기에 있어서는, 다수의 음색을 갖는 악음을 얻기 위하여 악음에 대응한 각종악음 파형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Moreover, i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such as electron organs, electronic pianos, and scene sizers, in order to obtain a musical sound having a large number of tones, it is important to create various musical waveforms corresponding to the musical sound.

때문에 악음 파형의 설정방식도 여러가지 생각하여져 왔다. 예 : 기본파에서 배음관계(倍音關係)에 있는 소요차수의 고주파까지의 정현파(正弦波)를 각각 진폭표시 디지탈 신호로 순차 복수의 기억장치로 분할하여 기억하여 두고 악음 지정에 맞추어 소망 차수의 정현파를 선택적으로 동시에 독출하고, 합성하여 소정형상의 악음파형을 설정하는 것, 미리 삼각파, 정현파, 구형파, 거치상파 등의 기본 파형을 디지탈적으로 파형 기억장치에 고정 기억 설정하여 두는 것 및 미리 소정이 악음파형 그것을 디지탈적, 혹은 아나로그적으로 고정 기억하여 두는 것이 있다.Therefore, various methods of setting the sound wave waveform have been considered. Example: A sinusoidal wave from the fundamental wave to the high frequency of the required order in the harmonic ord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devices in order by storing the amplitude-displayed digital signal, respectively, and the sinusoidal wave of the desired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sound specification. To simultaneously read, synthesize, and set a sound wave waveform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to preset and store basic waveforms such as a triangular wave, a sine wave, a square wave, and a stationary wave in a fixed memory digitally in a waveform storage device; Acoustic Wave Form It is a digital or analogue fixed memory.

한편, 악음을 소정 악기음등과 유사하게 하기 위하여는 악음파형을 유사하게 하는 것만은 아니고 그 입상(立上), 입하(立下) 등의 음량 엔베로우브를 중첩시키지 않으면 안되나, 상술한 종래의 것에서는 디지탈기술에 의하여 효과적인 음량엔베로우브를 중첩하는 것은 없고 아나로그적인 수법에 의하거나, 혹은 복잡한 제어회로를 필요로 하여 LSI(대규모 집적회로)에 최적한 디지탈 기술에 의한 악음 파형 설정 기술은 아직 확립되어져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the sound sound similar to a predetermined musical instrument sound, not only the sound wave waveform is similar, but also the volume envelopes such as granularity and arrival are overlapped. The sound wave waveform setting by digital technology which is effective for analog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LSI) by analog technique or need complicated control circuit without overlapping effective volume envelope by digital technology The reality is that technology is not yet established.

다시, 일반적으로 자연악기에서 발생되는 악음의 음색은 그 주파수 스펙들(예 : 정상상태에서 배음구조)에 의거한 파형 및 입상에서 감쇄에 이르기까지의 음량 엔베로우브가 중요한 요소로 되나, 실제로 자연악기에서 발음된 악음은, 타의 여러가지의 요서, 즉, 금관악기등에서 볼수 있는 발음시의 고주파 성분의 지체 및 고주파 성분의 미묘한 흔들림, 또 발현악기 등에서 볼 수 있는 발음시의 발성 성분의 중첩 및 감쇄시의 고, 조의 변화로서 악음 특유한 특징을 갖는 것이다.Again, in general, the tone of a musical sound generated by a natural instrument has a waveform based on its frequency specifications (e.g., harmonic structure at steady state) and a volume envelope from granularity to attenuation, but in fact, The musical sound pronounced in the musical instrument is different from other books, namely, the delay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and the subtle fluctuations of the high frequency component in pronunciation, and the overlapping and attenuation of the vocal components in the pronunciation found in the musical instrument. As a change of tone, the tone has distinctive features.

그래서 전자 악기에서 발음되는 악음에서 전기 신호에서 주는 혼성등을 제거하여 자연감을 주기 위하여는 파형 및 음량 엔베로우브타에 상술한 경시적 배음 구조의 변화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move the mixed light from the electrical signal from the sound sound pronounced in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to give a natural feeling, it is necessary to give the above-described overtone structure change to the waveform and the volume envelope.

그런대, 종래 제공되어온 전자 악기에 있어서는 예 : 전자 올겐에서는 각음마다 배음구조 변화를 부여되는 것 없으며 일의적(一義的)으로 정해진 악음파형에 단순히 음량엔베로우브를 중첩하는 것이며, 또 미리 피아노 혹은 첸바로 등의 악음이 푸리 셋트되어져 있는 것에서도 그 악음파형은 미리 설정된 단일 파형의 것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ly provid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for example, in electronic electronic organs, no harmonic structure change is given to each sound, and a volume envelope is simply superimposed on a sound wave waveform that is uniquely defined. Even if a musical sound such as Chenvaro is preset, the sound waveform is a single waveform that is set in advance.

다시, 단음 악기인 씬세사이져에 있어서의 예 : VCF(전압 제어형필터)등의 아나로그적 필터 조작으로 여파대역(濾波帶域)을 경시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나, 그 변화방향은「저주파→고주파」혹은 「고주파→저주파」등 비교적 단순한 조작이고 보다 자연감을 표현하기 위하여는 다시 여러가지의 효과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An example of a thin-sized instrument, a thin-sized instrument: an analog filter operation such as a VCF (voltage-controlled filter) changes the filter band over time, but the direction of change is from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Or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and it is a relatively simple operation, and in order to express a more natural feeling, various effect devices must be used again.

더욱이 화음 연주를 가능케 한 것에서는 필터 및 효과장치를 각각 키에 대하여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며 회로구성이 복잡화, 대형화할 뿐만아니라 극히 고가한 악기가 되고 만다.Moreover, in enabling chord playing, filters and effects devices must be formed for each key, and the circuit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large, and it becomes an extremely expensive instrument.

이와 같이 종래의 전자악기에서는 배음구조 그 자체에 대한 경시적 변화는 아나로그적 기술을 사용하여 이루는 것이고 그대로 화음 연주에 적용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으며 결국 각음마다 배음구조에 경시적 변화를 부여, 또는 디지탈로 기술을 사용하여 LSI(대규모집적회로)화에 호적한 악음파형 설정 기술은 아직 확립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he change over time of the harmonic structure itself is made by using analog technology, and there are various problems to apply it to the chord performance as it is. It is a reality that a sound wave setting technology suitable for LSI (large-scale integrated circuit) has been not established yet using the furnace technology.

또 일반적으로 자연 악기에서 발생되는 악음의 음색은 그 주파수 스펙틀(예 : 정상상태에서의 배음구조)에 의한 파형 및 입상에서 감쇄에 이르기까지의 음량 엔베로우브가 중요한 요소로 되나, 실제에 자연악기에서 발음된 악음은, 타의 여러가지 요소, 예 : 금관 악기 등에서 볼수 있는 발음시의 고주파 성분의 지체 및 고조파성분의 미묘한 흔들림, 또 발현악기등에서 볼수 있는 발음시의 발성성분의 중량 및 감쇄시의 고주파성분의 금속한 소멸 등에 따른 경시적인 배음구조의 변화 등으로 각 악기의 특유한 음색 특징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in general, the sound quality of a musical sound generated by a natural instru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waveform by the frequency spectrum (e.g., harmonic structure in a steady state) and the volume envelope from granularity to attenuation. The sound of sound produced in musical instruments is different from other elements, such as the delay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during sounding and the subtle fluctuations of harmonics in sound, and the high frequency of attenuation of sound components found in sounding instruments. Changes in the overtone structure due to the metal's dissipation, etc. result in the distinctive tone characteristics of each musical instrument.

그래서 전자 악기에서 발생되는 악음에서 전기신호에 의한 혼성을 제거하고 자연감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파형 및 음량 엔베로우브의 타에 상술한 경시적인 배음구조의 변화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move the mixing caused by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musical sound generated in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to impart a natural feeling, it is necessary to give the above-described change of the overtone structure to the other of the waveform and the volume envelope.

그래서, 종래 제공되어온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예 : 올겐에서는 드롭버 혹은 다브렛트 등으로 소망한 배음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서 소망한 악음파형을 얻어, 이에 음량 엔베로우브를 중첩하여 소정 악음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악음파형 그것을 상술한 드롭버 혹은 다브렛트의 조합으로 설정되는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것이고 가령 2개의 악음을 조합했다 할지라도 각각 악음에 대한 제어는 불가능하고 경시적인 배음구조의 변화를 얻을 수가 없어 효과적인 악음을 발생할 수는 없는 것이다.Thus, in an example of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hat has been provided in the past: in Orgen, a desired sound wave waveform is obtained by arbitrarily combining desired harmonics with a drop burr, a doublet, or the like, and a volume envelope is overlapp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sound. will be. In this case, however, the sound wave waveform is uniquely set by the combination of the above-mentioned drop burrs or daubrets, and even if two sounds are combined, it is impossible to control each sound and change the overtone structure over time. You can't get effective music because you can't get it.

본 발명은 서상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연주키의 음계에 대응하여 계수 수단의 주기를 설정하는 전자악기에 있어서, 그 주기설정에 의한 주기 제어와 미조(微調)의 주기제어에 의하여 2단계로 결정할 수도 있도록 구성하고, 복수의 연주키에 대한 다이너믹한 순환에 따라 처리 제어에 최적한 단일 디지탈기술에 의하여 음계주기 제어가 될수 있는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light of the point of view, and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setting the period of the coun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musical scale of the playing key, two steps are performed by the period control by the period setting and the micro period contro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controlling the period of the scale by a single digital technology that is optimal for process control according to the dynamic circulation of a plurality of playing keys.

또 본 발명은 악음파형의 제어뿐만 아니라, 예 : 피아노, 기타와 같이 음량의 입상, 입하 곡선이 상이한 음량 제어도 디지탈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digitally controlling not only the control of the sound wave waveform, but also the volume control in which the granularity and the arrival curve of the volume are different, such as a piano and a guitar.

다시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한 파형을 동시적으로 지시하고 이를 합성할 수가 있고 또 파형의 상위뿐만 아니라 각기 파형간에서 음량의 입상, 입하 곡선을 상이하게 할수도 있으며 현저하게 배음구조의 경시 변화를 주어 효과적인 음색악음을 얻을 수 있는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indicate and synthesize a plurality of different waveforms, and can also vary the granularity and arrival curve of the volume between the waveforms as well as the tops of the waveforms. It is to provide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hat can obtain an effective tone.

또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한 파형을 동시적으로 가지시하고 이를 합성할 수가 있으며 파형의 상위뿐만 아니라, 상이한 파형간에 있어서 각각 주기를 M : N의 관계를 제외하고 경시적인 배음 구조의 변화로 효과적인 음색을 갖는 악음을 얻는 전자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have a plurality of different waveforms and synthesize them, and not only the difference of the waveforms but also the period between the different waveforms, except for the relationship of M: N, the sound tone is effectively changed over time. It is to provide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hat obtains the sound to have.

이하 본 발명의 전자악기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념개념을 제1도 원구성도에 연관시켜 설명하면, 제1도에 있어서, 1은 도시않은 연주키군(예 : 옥타브, 12음계의 기본음역을 가능케한 48개의 음고키)의 각 키조작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음고 입력 코오드를 기억하는 음고입력 코오드레지스터이며, 이 음고 입력 코오드는 음계클록 주파수 제어하는 음계주기 설정회로 2에 공급된다.Hereinafter,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to FIG. 1, the memorial concept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rigi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 In FIG. 1, 1 represents a playing key group (eg, octave, A pitch input code register that stores different pitch input codes in response to each key operation of the 48 pitch keys enabling the 12th basic pitch range, and this pitch input code is provided to the scale period setting circuit 2 to control the scale clock frequency. Supplied.

따라서, 이 음계주기 설정회로 2에서는 음고 입력코오드의 각기에 맞추어 상이한 음계클록 주파수신호가 발생되여 악음파형 기본 1싸이클의 주기를 복수 스텝으로 계수하는 주기계수회로 3에 계수 보진 신호로서 공급된다.Therefore, in the scale period setting circuit 2, different scale clock frequency signals are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each of the pitch input codes, and are supplied as a coefficient complementary signal to the period coefficient circuit 3 which counts the period of the sound wave basic one cycle in multiple steps.

주기 계주회로 3은 바람직하기는 바이너리에 계수 동작하는 계수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예에서는 「1」, 「2」, 「4」, 「8」, 「16」, 「32」, 「64」, 「128」로서 웨어트부된 8빗트로 되며, 10진수의 「0」~「255」까지의 「256」의 계수상태를 얻는 회로이고 이에 따라서 악음파형의 기복 1사이클은 「256」진의 각 계수치에 대응한「256」의 계수 스탭으로 표시하게 된다.Periodic relay circuit 3 preferably constitutes a counter that counts in binary. In this example, "1", "2", "4", "8", "16", "32", "64", "128" It is a circuit which obtains the count state of "256" from "0" to "255" of decimal number, and accordingly, 1 cycle of ups and downs of a sound wave waveform corresponds to each count value of "256" binary. It is displayed by the coefficient staff of "256".

그리고 이「256」계수스텝은 1 이상의 특성 스텝수를 하나의 단위로서 블록화되여 1사이클가 m 블록으로 분할하게 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m-16의 「16」블록으로 분할되어, 하나의 블록은 「16」의 계수스텝(10진수의 「0」~「15」의 계수상태)로 표시하게 되며, 따라서 주기 계수회로 3의 「16」, 「32」, 「64」, 「128」의 웨이트 단으로 표시되는 4빗트 계수치 상태를 시간적 추이에 따른 「16」의 블록 어드레스시서 대응부할 수가 있어 이를 제1표에서 표로 한다.This " 256 " coefficient step blocks one or more characteristic step numbers as one unit and divides one cycle into m blocks. In other words, in this embodiment, m-16 is divided into "16" blocks, and one block is displayed in the counting step of "16" (counting state of "0" to "15" in decimal). The 4-bit count value indicated by the weight stages of the "16", "32", "64", and "128" of the counting circuit 3 can be correspondingly assigned to the block address of "16" over time. It is made from table to table.

[표 1]TABLE 1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주기 계수회로 3의 8빗트 각단의 출력은 전술한 음계주기 설정회로 2에 공급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고 입력코오드에 대응한 음계 클록 주파수 신호의 출력 주파수 제어를 하게 된다.The output of each 8-bit stage of the period counting circuit 3 is supplied to the scale period setting circuit 2 described above, and as described later, the output frequency control of the scale clock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itch input code is performed.

다시 주기 계수회로 3의 상위 4빗트 웨이트 「16」, 「32」, 「64」, 「128」이 출력은 데코오드 4를 개하여 16블록의 블록 어드레스 신호로서 블록마다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5에 공급된다.Again, the upper four bit weights "16", "32", "64", and "128" of the period counter circuit 3 are supplied to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or 5 for each block as a block address signal of 16 blocks by opening the decoder 4. do.

이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5는 1주기의 악음파형 「0」~「15」로 표시된다.This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unit 5 is represented by one sound wave waveform "0" to "15".

블록 어드레스 각기 파형의 입상, 입하의 진폭변화량(본예에서는 「0」, 「1」, 「2」, 「4」의 절대치)를 +(엎), -(다운)을 수반하여 지시하는 것으로, 이 진폭변화량(미분치)를 미분계수치라 칭한다.The block address is used to indicate the amplitud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amplitude of the waveforms (absolute values of "0", "1", "2" and "4" in this example) with + (down) and-(down). The amplitude variation (derivative value) is called a derivative coefficient value.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5를 블록 어드레스 마다에 지정되는 미분 계수치 및 「+」, 「-」의 지시신호는 데 코오드 4에서의 블록 어드레스 신호에 등기하여 순차로 출력되어 승산회로 6에 공급된다.The differential count value designated by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or 5 for each block address and the indication signals of "+" and "-" are sequentially outputted to the block address signal at the decoder 4 and supplied to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또 승산회로 6에는 연주키 조작시 부터의 시간 경과에 따라 연주음량을 증대하거나 혹은 감소시키기 위한 음량제어를 디지탈적으로 제어하는 음량곡선 작성카운터(이하 엔벨로부브 카운터라 함) 7은 제어치(카운터의 계수치)가 공급되여 결국 파형 프로그램지정부 5의 미분계수치와 그 「+」, 「-」지시에 따라서 블록 어드레스에 동기하여 승산하게 된다.In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a volume curve creation cou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nvelope counter) that digitally controls the volume control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volume of the performance as time passes from the time when the key is operated, 7 is a control value ( Counter value) is supplied to multiply in synchronism with the block address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 of waveform program designator 5 and its "+" and "-" instructions.

전술한 엔베로우브 카운터 7은 후술되는 각종 음량곡선(이하 엔베로우브라 칭함) 모우드중 선택 지시된 하나의 모우드에 따라서 지정클록(엔베우브 클록이라 칭함)을, 후술하는 어택(Attack), 디케이(Decay), 리리스(Release)의 각 음량제어 상태에 맞추어 엎 또는 다운 계수 제어하는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nvelope counter 7 selects from among various volume curv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envelope bra) modes described below, and assigns a specified clock (called an envelope clock) to an attack and decay (described below). Decay) or up / down coefficient control according to the volume control status of the release.

즉, 엔베로우브 카운터 7의 계수치 「0」~「31」의 정수치이고, 이들 엔베로우브 계수치(E로 표시한다)라 칭한다. 엔베로우브 모우드 일예를 제2도에 표기한다.That is, these are integer values of the count values "0"-"31" of the envelope counter 7, and are called these envelope count values (denoted by E). An example of an envelope mode is shown in FIG.

이리하여 파형 프로그램지정부 5로 블록 어드레스 마다 미리 지정된 미분계수는 제2도시한 당해 엔베로우브 계수치 E의 정배수를 「+」 또는 「-」을 수반하여 지시하도록 지정하는 것으로 기 동작으로 전술한 승산회로 6으로 ±(미분계수치×엔베로우브 계수치 E)가 이루어지는 것이다.Thus,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specified in advance for each block address by waveform program designator 5 designates the constant multiple of the envelope coefficient value E shown in the second figure to be accompanied by "+" or "-".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generates ±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 × envelope coefficient value E).

즉, 제3도는 그 일예를 도해한 것으로 악음파형 1주기의 블록어드레스 「0」~「15」의 각 블록 미분계수치에 대한 엔베로우브 계수치 E와의 관계를 표시하여져 있으며 따라서 엔베로우브 모오드는 제2도의 경우에서의 엔베로우브 계수치 E는 「5」, 「10」, 「20」, 「30」의 시점(제2도의×표로 표시한다)에의 음량 제어치를 포함한 악음 파형의 상대적 크기의 변화량은 제4도(a), (b), (c) 표시와 같이 된다.That is, FIG. 3 illustrates one exa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elope coefficient value E for each block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 of block addresses "0" to "15" of one sound wave waveform is shown. Envelope coefficient value E in the case of FIG. 2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sound wave waveform including the volume control value at the time points (indicated by the X table in FIG. 2) at "5", "10", "20", and "30". Becomes as shown in FIG. 4 (a), (b), (c).

물론, 악음파형의 상대적 변화는 시간 경과에 따르는 당해 엔베로우브 계수치 E로서 결국 추이하여 가는 것이다.Of course, the relative change in the acoustic waveform is eventually shifted as the envelope coefficient E over tim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 어드레스 「0」만은 미분계수치 「+」, 「-」의 지정은 이루지 않으며 항상 변화량은 영이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only the block address "0" does not specify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s "+" and "-", and the change amount is always zero.

전술한 승산회로 6의 출력은 아더 8의 일방입력측에 공급되며 다시 아더 8출력은 누산기 9를 개하여 아더 8의 타방 입력측에 귀환되는 것으로, 따라서 전회 블록의 승산 출력에 대하여 금회의 블록 승산출력치의 변화량이 누산되는 것으로 결국 전술한 제3도, 제4도 (a), (b), (c)의 악음파형도는 이 누산기 9의 출력으로서 취출되는 것이다.The above-mentioned output of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is supplied to one input side of the Arthur 8, and the output of the eighth output is fed back to the other input side of the Arthur 8 by opening the accumulator 9, so that the current multiplication output value of the current block As the amount of change is accumulated, the acoustic waveform diagrams of FIGS. 3, 4, (a), (b), and (c) described above are taken out as the output of the accumulator 9.

그리고 누산기 9의 출력은 D/A변환(디지탈-아나록변환)기 10을 개하여 스피커 11에 의하여 조작된연주키에 대응한 음고로서 발음되는 것이다.The output of the accumulator 9 is pronounced as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key operated by the speaker 11 by opening the D / A converter (digital-analogue converter).

상술의 성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부언하면, 즉, 우선 음량제어수단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도에 있어서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음의 높이는 음고 입력 코오드 레지스터 1에 설정된 음고 입력 코오드의 내용에 따라 결정된다.In more detail, the above-mentioned statement, that is, the volume control mea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height of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key operated in FIG. 1 depends on the content of the pitch input code set in the pitch input code register 1. FIG. Is determined.

이 설정된 음고 입력 코오드에 의하여, 음계 주기 설정회로 그 출력 클록의 주파수가 변화한다.The set pitch input code changes the frequency of the output clock of the scale period setting circuit.

이 출력 클록은 256진의 카운터 즉, 주기계수회로 3에 공급되므로 결국; 음고가 높을 때에는 출력 클록 주파수가 높아지며 이에 맞추어 카운터 3은 256개의 클록을 계수하는 기간도 짧아지며, 주기가 짧은 즉, 높은 음에 대응한 음계 주기가 회로 2로 설정된다. 여기서 설정된 한개의 음의 주기는 디코더 4로 16개의 블록에 분할된다.This output clock is supplied to a 256-bit counter, i.e., the period count circuit 3, eventually; When the pitch is high, the output clock frequency becomes high, and accordingly, the counter 3 also shortens the period for counting 256 clocks, and the scale period corresponding to the short note, that is, the high pitch, is set to circuit 2. One note period set here is divided into 16 blocks by the decoder 4.

상기 디코더 4의 출력은 블록 어드레스 신호로서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5에 공급되여 해당한 어드레스위치에서 파형의 입상, 입하의 진폭의 변화량 「0」「1」「2」「4」의 절대치가「+」「-」의 부호를 동반하여 독출되어 승산회로 6으로 공급된다. 이것을 미분계수치라 한다.The output of the decoder 4 is supplied to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unit 5 as a block address signal,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change amount "0", "1", "2" and "4" of the waveforms of the waveforms at the corresponding address position is "+". It is read with a sign of "-" and supplied to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This is called differential coefficient.

상기 승산회로 6에는 음량변화 곡선의 기본 부분을 나타내는 값이 카운터 7에서 공급된다.The multiplication circuit 6 is supplied with a value representing the basic portion of the volume change curve from the counter 7.

카운터 7은 연주키의 조작시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음량을 디지탈적으로 변화시켜 주기 위한 제어치를 승산회로 6에 부여한다.The counter 7 gives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a control value for digitally changing the volume with the passage of time when the playing key is operated.

또한 카운터 7에는 상이한 여러개의 앤베로프(음량곡선)에 맞추어 지정 클록을 UP, DOWN 계수한다.The counter 7 also counts up and down the specified clock in accordance with several different envelopes (volume curves).

예 : 제2도에서와 같이 음량곡선 모드지시가 「어택」일 때에는 「0」에서 「30」까지 직선으로 UP카운트하고, 디케이일 때에는 아무 것도 카운트하지 않고 「30」의 카운트치를 보지하며 리리스일 때에는 「30」에서 「0」까지 DOWN 카운트한다.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volume curve mode instruction is "Attack", it is UP counted in a straight line from "0" to "30", and when it is decay, it counts nothing and counts the count value of "30" and release. At that time, the count is counted down from "30" to "0".

제2도시와 같이 엔베로프 카운터 7의 계수치는 「0」에서 「31」까지의 32단위 정수치이며, 이것이 음량 변화의 기본이 되는 엔베로프 계수치 E이다. 예 : 블록 어드레스가 「1」일때의 엔베로프 계수치 「E」는 E=5이며 이때의 미분 게수치는 제3도에서 「+2」일 경우이면, 음량제어치(승산회로 6의 출력치)는 제4도(a)의 중간의 파형과 같이 「+2.5」가 된다.As in the second illustration, the count value of the envelope counter 7 is an integer value of 32 units from "0" to "31", which is the envelope count value E on which the volume change is based. Example: When the envelope count value "E" when the block address is "1" is E = 5, and the derivative value at this time is "+2" in Fig. 3, the volume control value (output value of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Becomes "+2.5" like the waveform in the middle of FIG.

또한 E=10일 경우는 제4도의 하측 파형과 같이 「+2.10」가 된다. 또 제4도(b)에서와 같이 「E」의 값이 커지면, 커질수록 파형의 변화는 커진다.In addition, when E = 10, it becomes "+2.10" like the lower waveform of FIG. As shown in Fig. 4 (b), the larger the value of "E" is, the larger the change in waveform is.

승산회로 6의 출력은 아더 8 및 누산기 9에서 블록마다 누산되며 결국 제4도(a), (b)에서의 악음 파형 또는 이 누산기 9의 출력으로서 취출되는 것이다.The output of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is accumulated for each block in the Arthur 8 and the accumulator 9, and is finally taken out as a sound wave waveform in Figs. 4 (a) and (b) or the output of this accumulator 9.

또한 주기 계수수단을 설명하면, 주기 계수 수단은 악음의 음고를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하여 디지탈 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음고를, 그 악음의 주파수의 역수인 주기로서 설정하고 있다. 즉, 주기가 짧으면 짧을수록, 발생되는 악음의 주파수가 높아진다. 제1도에 있어서 발생되는 악음은 그 음고에 관계없이 모두 256진의 카운터 3 「0」에서 「255」까지의 계수 시간의 장단으로 그 주기가 설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period counting means is described, the period counting means is to digitally set the pitch of a musical note in response to an operated playing key. Here, the pitch is set as a period which is the inverse of the frequency of the musical tone. That is, the shorter the perio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he generated sound. Regardless of the pitch, the period of the musical sound generated in FIG. 1 is set to the length and length of the counting time from the counter 3 " 0 "

따라서 높은 음고의 연주키를 조작하면, 음고 입력코오드 레지스터 1의 출력에 의하여 음계주기 설정회로 2에서 카운트 3에 공급되는 클록 주파수가 높아지며, 그만큼 빨리 「0」에서 「255」까지의 카운터가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a high pitch playing key is operated, the clock frequency supplied from the pitch cycle setting circuit 2 to the count 3 is increased by the output of the pitch input code register 1, and a counter from "0" to "255" is made as soon as that.

따라서 악음파형의 1주기는 상기와 같이하여 카운터 3에 의하여 설정되는데, 이 주기는 카운터 3에 의하여 설정되는데, 이 1주기는 카운터 3중에서 「16」「32」「64」「128」로 중착된 4빗트분의 출력을 사용하여 16개의 블록에 분할된다. 이것은 제1표시와 같다. 즉, 카운트 3이 계수는 「0」에서 「15」까지는 카운터 3의 상위 4빗트는 모두 「0」이나 계수치가 「16」이 되면 「19」에서 중착된 빗트는 「1」이 된다.(카운트 3의 하위 5빗트는 「10000」이 된다).Therefore, one period of the sound wave waveform is set by the counter 3 as described above, and this period is set by the counter 3, and this one period is set to "16", "32", "64" and "128" among the counters. The output is divided into 16 blocks using 4 bits of output. This is the same as the first indication. That is, the count 3 is from 0 to 15, and the upper 4 bits of the counter 3 are all 0, but when the count is 16, the bit is neutralized at 19. The count is 1. The lower five bits of 3 become `` 10000 ''.

이것이 제1표의 블록 어드레스「1」로 표시한 상위 4빗트「1000」에 대응된다.This corresponds to the upper four bits "1000" indicated by the block address "1" in the first table.

다음에 카운터 3의 계수치는 「32」가 되면 카운터 3의 하위 6빗트는「10000」이 되며 이것이 제1표의 블록어드레스 「2」로 표시한 상위 4빗트「0100」에 대응한다. 이와같이 카운터 3의 계수치는 「16」씩 증가할때 마다, 상위 4빗트가 제1표와 같이 변화하며, 블록 어드레스는 「+1」씩 증가하여간다.When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3 reaches "32", the lower 6 bits of the counter 3 become "10000", which corresponds to the upper 4 bits "0100" indicated by the block address "2" of the first table. In this manner, each time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3 is increased by "16", the upper 4 bits change as shown in the first table, and the block address is increased by "+1".

이와같이 하여 악음파형의 1주기는 m블록(여기서는 m=16)으로 분할된다.In this way, one period of the acoustic waveform is divided into m blocks (here m = 16).

이상과 같이 m블록으로 분할된 각 블록마다에, 파형프로그램 지정부 5에서 출력된 정, 또는 부의 정수치와 카운터 7에서 출력된 앤베로프 E등을 승산회로 6으로 승산하고, 누산기 9에서 파형음량이 같이 제어된 악음신호 출력이 얻어진다.For each block divided into m blocks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ve or negative integer value output from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section 5 and the envelope E output from the counter 7 are multiplied by the multiplication circuit 6, and the waveform volume is accumulated by the accumulator 9. Thus controlled sound signal output is obtained.

이와같이 악음의 파형 설정은 1 사이클의 악음파형을 복수블록으로 분할하여 블록마다 파형의 입상, 입하 미분계수치를 임의로 지시할 수 있으며 또 동시에 엔베로우브 계수치와의 관계에 있어서 음량 제어도 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sound wave waveform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blocks by arbitrarily instructing the granularity and arrival differential coefficient of the waveform for each block, and at the same time, the volume control can be performed in relation to the envelope coefficient value. .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적 구성에 중에서 상술하는 것이나, 이에 앞서 이하 도면에 사용되고 있는 논리기호에 대하여 설명이 제5도(a), (b), (c), (d), (e)에 표시되어 있고 그중에는 각 논리기호에 대응한 논리식, 진리표, 일반식 논리기호가, 또 조합회로예가 기술되어 있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 specific configuration, but the description of the logic symbols used in the following drawings is shown in FIGS. 5A, 5B, 4C, 3D and 5E. Among them, logical expressions, truth tables, and general logic symbols corresponding to each logic symbol are described, and examples of combination circuits are described.

따라서, 특히 주의를 요하는 것은, 오아게이트 및 앤드 게이트의 입력라인에 붙쳐진 인버어터 기호는 그 게이트에만 유효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며, 상세한 것은 각도면의 조합 회로예를 참조한 것.Therefo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note that the inverter symbols attached to the input lines of the ora gate and the end gate are not valid only for the gate, and refer to the example of the combination circuit of the angular plane for details.

제6도는 제7도 (a), (b), (c), (d)의 도면 결합상태도로서 20은 4빗트(「1」, 「2」, 「4」, 「8」웨이트)의 입력, 출력단을 구유, 화살표 방향으로 4빗트 파라렛에 시프트 하는 8본의 타인 메모리로 구성되는 음계 코오드 레지스터, 21은 2빗트(「1」, 「2」웨이트)의 입, 출력단을 구유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2빗트 파라렛에 시프트하는 8본의 라인메모리로 구성되는 옥타브 코오드 터레지스터이며 각기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음계 입력코오드, 옥타브 입력 코오드를 기억하게 된다.FIG. 6 is a drawing combination state diagram of FIGS. 7 (a), (b), (c) and (d), and 20 is input of 4 bits ('1', '2', '4', '8' weight). The scale register consists of eight tines of memory that shifts the output stage to the 4-bit parameter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21 is the input / output terminal of 2 bits ('1' and '2' weights). This is an octave code register consisting of eight line memories shifted to a two-bit paratlet, and it stores the scale input code and octave input code corresponding to each operated key.

즉, 후술하는 연주키의 조작에 연관되는 입력지시 신호 발생에 동기하여 대응한 음계입력 코오드, 옥타브 입력코오드가 앤드게이트 22-27, 오아게이트 28-1~28-4, 오아게이트 29, 30을 개하여 각 음계코오드터레지스 20,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에 입력되는 것이다.That is, the scale input code and the octave input code corresponding to the generation of the input instruction signal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key described below are connected to the AND gates 22-27, OA gates 28-1 to 28-4, and OA gates 29 and 30. In addition, each scale code register is input to the octave code register 21.

그리고 입력된 음계코오드, 옥타브코오드(이하 음고 코오드라 함)은 시프트펄스 Φ(본 시스템의 기본클록이다)에 의하여 순차 화살표 방향으로 파라렛시프트되어, 8%의 시프트시간후에 각 출력단에서 각각 인히빗트 게이트 31-1~31-4 및 인히빗트 게이트 32, 33을 개하여 재차 순환 입력되는 소위 다이나믹 시프트 동작을 하는 것이다.The input scale code and octave c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itch code) are parametrically sh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the shift pulse Φ (the basic clock of this system), and each input is inhibited after 8% of the shift time. The so-called dynamic shift operation is performed again by cyclically inputting the gates 31-1 to 31-4 and the inhibit gates 32 and 33.

그리고 새로운 입력지시신호에 동기하여 인히빗트게이트 31-1~31-4 및 인히빗트 게이트 32~33을 페성함에 따라 각 레지스터 20, 21에 있는 음고 코오드는 소거(消去)되도록 제어된다.In addition, the pitch codes in the registers 20 and 21 are controlled to be erased in response to the inhibit gates 31-1 to 31-4 and the inhibit gates 32 to 33 synchronized with the new input instruction signal.

또, 음고 코오드 레지스터 20,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은 8본의 라인 메모리를 갖고 있음으로, 예 : 최대 8개의 연주키를 동시에 조작하여도 입력지시신호에 동기하여 대응한 음계입력코오드, 옥타브 입력코오드를 타이밍 순위에 따라서 순차 입력시켜 각각 다이너믹 시프트 순환 보지를 할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itch code register 20 and the octave code register 21 have eight line memories. For example, even if up to eight performance key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he corresponding scale input code and octave input code are synchronized with the input instruction signal. By sequentially inputting according to the timing order, dynamic shift cyclic holding can be performed.

즉, 8개의 음을 시, 분할적(割的)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시스템에서의 음계코오드, 옥타브코오드는 제2표 및 제3표에 가한다.That is, eight sounds are controlled in time and division. Scale codes and octave codes in the present system are added to the second and third tables.

[표 2]TABLE 2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표 3]TABLE 3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34는 악음파형 1주기(사이클)를, 전기 음계 코오드 레지스터 20,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에 순환 기억되어 있는 음고 코오드에 따라서 각각 주기 계수하는 레지스터로, 전술한 음계 코오드 레지스터 20,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과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시프트 펄스 Φ에 의하여 순차 다이너믹에 시프트하는 8본의 라인 메모리를 구유하여 구성되져 있다.34 denotes a period for counting one sound wave waveform (cycle) in accordance with pitch codes cyclically stored in the electric scale code register 20 and the octave code register 21, similar to the scale code register 20 and the octave code register 21 described above. It consists of eight line memories which shift to dynamic one by one by the shift pulse (phi) in an arrow direction.

이주기 계수레지스터 34는 기본적으로는 악음파형 1사이클을 시간적 추이에 따라서 「16」블록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각 블록어드레스에 대응한 계수치를 기억하는 4빗트 16진(제1표에 표시한 「0」~「15」의 「16」블록의 블럭 어드레스에 대응한다)로 된 블록계수 레지스터 34-1, 이 블록 계수 보진을 지령하는 가산 타이밍신호를 취출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블록마다 스텝수를 제어하는 4빗트 16 진동기 계수레지스터 TC 레지스터)34-2 및 블록계수레지스터 34-1사이클마다 계수보진되는 3빗트 8진의 사이클수 레지스터 34-3으로 구성되어져 있다.This period coefficient register 34 is basically a 4-bit hexadecimal number ("0" to 1 shown in Table 1), which stores a coefficient value corresponding to each block address in order to divide one cycle of a sound wave waveform into "16" blocks according to a time course. Block coefficient register 34-1 corresponding to the block address of the block " 16 " of " 15 ", and 4 bits 16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steps for each block described later in order to extract the addition timing signal for commanding block coefficient enhancement. Vibrator Coefficient Register TC Register) 34-2 and Block Coefficient Register 34-1.

블록 계수 레지스터 34-1 및 사이클수 레지스터 34-3의 각 출력에서 발생하는 각 라인 메모리 계수내용은 후술하는 블록마다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35를 그대로 통과하고, 제7도(b)의 아더 36 또는 순환 게이트 인 인히빗트게이트 37-1~37-7을 개하여 각 다이너믹에 순환보지되는 것으로 이 순환 시이클에 있어서 바이나리에 계수 보진하는 아더 36은 전술한 가산 타이밍신호 발생시에「+1」보진되는 것이다.The contents of each line memory coefficient generated at each output of the block coefficient register 34-1 and the cycle number register 34-3 pass through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unit 35 as it is for each block to be described later. Circulation-holding is performed for each dynamic by opening the gate-inhibit gates 37-1 to 37-7, and Arthur 36, which counts the binarial coefficients in this cycle, is "+1" when the addition timing signal is generated. Will be.

또 블록 계수 레지스터 34-1의 4빗트(「1」, 「2」, 「4」, 「8」웨이트)출력(제8도(a) 참조)은 「16」의 블록 어드레스중 특정 블록 어드레스를 검출하기 위한 블록상태 검출회로 38에 공급되며 그 출력 ⓞ에서 제8도(b) 도시한 0블록 어드레스 신호가, 출력 ①, ②, ③, ④에서 각각 제8도(c) 도시한 출력신호를 취출된다.In addition, the 4-bit ("1", "2", "4", and "8" weight) outputs of the block coefficient register 34-1 (see Fig. 8A) designate a specific block address among the block addresses of "16". Supplied to the block state detection circuit 38 for detection, and the 0 block address signal shown in FIG. 8 (b) in the output? Is output to the output signal shown in FIG. 8 (c) in the outputs ①, ②, ③, and ④, respectively. It is taken out.

그중에서 출력 ①~④는 후술하는 음계마다 스텝보정수를 정하는 음계스텝 매트릭스회로 39에 공급된다.The outputs 1 through 4 are supplied to the scale step matrix circuit 39 which determines the step correction number for each scale to be described later.

즉, 블록상태 검출회로 38의 출력 ⓞ은 인버어티드 엔드게이트 38-1, 인히빗트 게이트 38-2, 38-3을 순차 직렬로 접속함에 따라 웨이트「1」, 「2」, 「4」, 「8」가 동시에 "0"인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의 조건으로 「0」블록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 ①은 웨이트「1」출력을 그대로 취출하고 기수 블록어드레스신호를 출력 ②은 웨이트「1」가 "0"이며 또 웨이트「2」가 "1"이다.That is, the output ⓞ of the block state detection circuit 38 is connected to the inverted end gate 38-1, the inhibit gates 38-2, and 38-3 in series so that the weights " 1 "," 2 "," 4 ""8" is "0" at the same time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Outputting a block address signal of " 0 " under the condition of " 1 " outputs the weight " 1 " output as it is, and outputs an odd block address signal " 2 " and " 1 "

[

Figure kpo00008
2]의 조건을 취하는 인히빗트 게이트 38-4에 의하여「2」, 「6」, 「10」, 「14」블록어드레스신호를 출력 ③은 웨이트 「4」가 "1"이고 또 웨이트「2」, 「1」이 동시에 "0"인 [4.
Figure kpo00009
.
Figure kpo00010
]의 조건을 취하기 위하여 인히빗트 게이트 38-5, 38-6을 순차 직렬 접속하여 「4」, 「12」블록어드레스신호를 출력 ④은 웨이트「8」이 "1"로서 웨이트「4」, 「2」, 「1」이 "0"인 [8.
Figure kpo00011
.
Figure kpo00012
.
Figure kpo00013
]의 조건을 취하기 위하여 인히빗트 게이트 38-7-~38-9를 순차 직렬접속하고 「8」블록 어드레스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8
[2], "6", "10", and "14" block address signals are output by the inhibit gate 38-4, which takes the conditions of 2). The weight "4" is "1" and the weight "2". , Wherein "1" is "0" at the same time [4.
Figure kpo00009
.
Figure kpo00010
[4] and 12 block output signals are output by connecting Inhibit Gates 38-5 and 38-6 sequentially in order to take the condition of ④. The weight "8" is "1" and the weight "4", " 2 "," 1 "is" 0 "[8.
Figure kpo00011
.
Figure kpo00012
.
Figure kpo00013
In order to take the condition of], the Inhibit Gates 38-7 to 38-9 are serially connected in series, and the "8" block address signals are output respectively.

한편, 동기계수레지스터(TC레지스터) 34-2의 4빗트 각단의 출력은 아더 40의 입력에 이 아더 40의 5빗트 각단의 출력은 감산기 41에 접속되며 다시 감산기 41의 4빗트 출력은 순환제어게이트인 인히빗트 게이트 42-1 42-4를 개하여 각기 대응한 빗트단의 입력축에 귀환토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put of the 4-bit end of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TC register) 34-2 is connected to the input of Arthur 40, and the output of the 5-bit end of this 40 is connected to the subtractor 41, and again the 4-bit output of the subtractor 41 is the circulating control gate. Inhibit gate 42-1 42-4 is opened to return to the input shaft of the corresponding bit end.

또 동기계수 레지스터 34-2의 각단 출력은 전술한 아더 36에 공급될 가산 타이밍신호를 각 옥타브에 맞추어 출력하는 가산 타이밍 발생회로 43 및 「1」, 「2」, 「4」웨이트의 3빗트 출력는 후술하는 웨이트 시프트 회로 44에 공급된다.The output of each stage of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34-2 is an addition timing generation circuit 43 that outputs the addition timing signal to be supplied to the above-mentioned Arthur 36 according to each octave, and the 3-bit output of the "1", "2", and "4" weights. It is supplied to the weight shift circuit 44 mentioned later.

다시, 이 가산타이밍 발생회로 43 및 웨이트 시프트회로 44에는 전술한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에서 출력될 2빗트의 출력상태에 의하여 제1~제4옥타브 신호(01~04)를 발생하는 옥타브 코오드 데코오드 45의 출력신호가 결합된다. 즉, 옥타브 코오드 데코오드 45의 인버어티드 앤드 게이트 45-1은 제1옥타브 신호 01을, 인히빗트 게이트 45-2는 제2옥타브 02를, 인히빗트 게이트 45-3은 제3옥타브신호 03을, 엔드게이트 45-4는 제4옥타브신호 04를 각각 전술한 제3도에 표시한 코오드 상태를 검출함에 따라 출력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ddition timing generating circuit 43 and the weight shift circuit 44 generate an octave code deco that generates the first to fourth octave signals 0 1 to 0 4 according to the output state of two bits to be output from the octave code register 21 described above. The output signal of odd 45 is combined. That is, the inverted and gate 45-1 of the octave code decoder 45 is the first octave signal 0 1 , the inhibit gate 45-2 is the second octave 0 2 , and the inhibit gate 45-3 is the third octave signal. 0 3 and the end gate 45-4 output the fourth octave signal 0 4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code state shown in FIG. 3.

옥타브 신호 01∼03은 가산타이밍 발생회로 43의 앤드게이트 43-1, 43-2, 43-3에 각각 공급되며, 옥타브신호 02는 웨이트 시프트회로 44의 앤드게이트 44-1에, 03은 앤드게이트 44-2와 44-3에, 옥타브신호 04는 앤드게이트 44-4, 44-5, 및 44-6에 공급된다.The octave signals 0 1 to 0 3 are supplied to the AND gates 43-1, 43-2, and 43-3 of the addition timing generation circuit 43, respectively, and the octave signals 0 2 are supplied to the AND gate 44-1 of the weight shift circuit 44, respectively. 3 is supplied to the AND gates 44-2 and 44-3, and the octave signal 0 4 is supplied to the AND gates 44-4, 44-5, and 44-6.

가산타이밍 발생회로 43의 앤드게이트 43-1에는 동기계수레지스터 34-2의 「1」, 「2」, 「4」웨이트 출력신호가 오아게이트 43-4, 43-5를 개하여 결합되며 오아게이트 43-4에서 출력되는, 「2」, 「4」웨이트의 출력신호는 앤드게이트 43-2에 다시 「8」웨이트의 출력신호는 앤드게이트 43-3에 결합하여서 된다.In the AND gate 43-1 of the counting timing generating circuit 43, the " 1 ", " 2 " and " 4 " weight output signals of the synchronous coefficient register 34-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oragate 43-4 and 43-5. The output signals of the "2" and "4" weights output from 43-4 are coupled to the AND gate 43-2, and the output signals of the "8" weight are coupled to the AND gate 43-3.

또 이들 앤드게이트의 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43-6 , 43-7, 인버어딧트 앤드 게이트 43-8에 각각 결합되며, 다시 인버어딧트앤드게이트 「8」의 출력신호가 결합하여서 된다.The outputs of these AND gates are coupled to the inhibit gates 43-6, 43-7, and the invertad AND gate 43-8, respectively, and the output signals of the invertad and gate "8" are combined again.

그리고 이들 인버어딧트 앤드 게이트 43-8 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43-7에, 다시 인히빗트 게이트 43-7의 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43-6에 직렬적으로 접속되여 인히빗트 43-6출력에서 전술한 감산 타이밍 신호를 얻게된다.These inadvertit and gate 43-8 outputs are connected to the inhibit gate 43-7 and the output of the inhibit gate 43-7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inhibit gate 43-6. One subtracted timing signal is obtained.

즉, 제9도에 하나인 타인 메모리에의 동기계수 레지스터 34-2의 계수상태(제9도(a)로 표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가산타이밍 발생회로 43에서의 출력라인 ⓐ, ⓑ, ⓒ에 각각 출력된 제9도(b) 도시한 출력신호는 옥타브 코오드 데코오드 45에서의 옥타브 신호 01∼04의 각발생출력에 동기하여 인히빗트게이트 43-5 출력 ⓓ에서 제9도(c) 출력신호로서 취출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unting state of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34-2 to the tine memory as shown in FIG. 9 (as shown in FIG. 9 (a), on the output lines ⓐ, ⓑ, and ⓒ in the addition timing generating circuit 43). The output signals shown in Fig. 9 (b) are shown in Fig. 9 (c) in the Inhibit Gate 43-5 output ⓓ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spective outputs of the octave signals 0 1 to 0 4 in the octave code decoder 45. It is taken out as an output signal.

즉, 제1옥타브신호 01에서는 동기계수레지스터 34-2가 「0」계수시에만, 제2옥타브신호 02에서는 「0」과 「1」의 계수시에만, 제3옥타브신호 0₃에서는 「0」∼「3」의 계수시에만, 제4옥타브 신호 O4에서는 「0」∼「7」의 계수시에만 가산 타이밍 발생회로 43에서 가산타이밍 신호로서 출력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first octave signal 0 1 ,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34-2 is only at the time of "0" count, and in the second octave signal 0 2 only at the count of "0" and "1", in the third octave signal 0₃, it is "0". "... only when the coefficient" 3 ", the fourth octave signal O 4 will be in the" 0 "to output as the timing signal is added by the adding the timing generating circuit 43 only when the coefficient of" 7 ".

그리고 이리하여 얻어진 가산타이밍신호는 아더 40에 「+8」가산 지령신호로서, 또 앤드게이트 46-1 46-4에 게이트 개방신호로서 공급됨과 동시에 제7도(b)의 아더 36에 +1가산 지령신호로서도 인가된다.The addition timing signal thus obtained is supplied as an "+8" addition command signal to Arthur 40 and a gate open signal to AND gate 46-1 46-4, and a +1 addition command signal to Arthur 36 of FIG. It is also applied as.

한편, 옥타브 코오드 데코오드 45에서 출력되는 옥타크신호 01, 02, 03, 04는 전술한 가산타이밍 발생회로 43을 통과하여 제7도(b)에서의 감산기 41에 각각 「-1」, 「-2」, 「-4」, 「-8」지령신호로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octave signals 0 1 , 0 2 , 0 3 , 0 4 output from the octave code decoder 45 pass through the above-described addition timing generating circuit 43 and are respectively added to the subtractor 41 in FIG. "-2", "-4" and "-8" command signals are supplied.

따라서 주기 계수레지스터 34-2→아더 ―40→감산기 41→동기계수레지스터 34―2의 순환루우프 내에서는 기본적으로는 동기 계수 34―2에서 출력되는 계수기억치에 대하여 아더 40으로 전술한 가산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8」가산되며, 다시 그 가산 결과는 옥타브신호 01∼04에 맞는 수치(옥타브신호0₁에서는 「-1」, 옥타브신호 02에서는 「-2」, 옥타브신호 0₃에서는 「-4」, 옥타브신호 0₄에서는 「-8」)으로 감산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yclic loop of the cycle count register 34-2 → Arthur-40 → subtractor 41 → synchronous machine register 34-2, basically, the addition timing signal described above with the counter 40 is counted for the counter memory output from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34-2. In addition, "+8" is added, and the addition result is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octave signals 0 1 to 0 4 ("-1" for the octave signal 0 "," -2 "for the octave signal 0 2 , and"-"for the octave signal 0₃). 4 " and the octave signal 0 " are subtracted by " -8 ").

그리고 아더 40에는 전술한 가산타이밍 신호의 발생에 동기하여 개방되는 앤드 게이트 46-1∼46-4에서 음계에 상응한 스텝 보정수가 전술한 블록계수 레지스터 34-1의 블록계수상태에 맞추어 음계스텝매트 릭스회로 39에서 공급되는 것이다.In step 40, the step correc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ound scale at AND gates 46-1 to 46-4, which are open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generation of the addition timing signal described above, is adjusted to the block coefficient state of the block coefficient register 34-1 described above. It is supplied by the RIX circuit 39.

즉, 악음파형 1사이클은 시간추이에 따라 「16」블록 어드레스로 되며 각 블록 어드레스는 기본클록 ø.의 8배이상의 클록수 (기본클록 주기의 8배주기 이상)로 되게 된다. 이 기본클록 ø.의 1발이 악음파형 1스텝에 상당하고 결국 각 클록어드레스는 8스텝 이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That is, one cycle of the sound wave waveform becomes a "16" block address according to the time course, and each block address becomes a clock number eight times or more (eight times or more of the basic clock period) of the basic clock?. It can be said that one step of the basic clock ø. Corresponds to one sound wave waveform step, and eventually each clock address is 8 steps or more.

악음파형 1사이클의 「16」블록어드레스중, 각각 8스텝으로서 총 128스텝으로 하는 것이 본 시스템에서의 최고음이다(실제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본 시스템에서는 130스텝수를 최고음(C#7)으로 하고 있다).Among the "16" block addresses of a single acoustic wave type, eight steps each are set to 128 steps in total, which is the highest sound in this system (actually, as described later, 130 steps are the highest sound in the system (C # 7)). Is).

이리하여 최고음 스텝수에서 1옥타브 아래까지의 사이의 각음계간 스텝수를 12

Figure kpo00014
관계가 되도록 증가하게함에 따라 순차 음계에 맞추어 긴 주기가 되어 저음을 얻게 된다.This gives you 12 steps between each step from the highest step number to one octave down.
Figure kpo00014
As the relationship increases, the bass is long in time with the sequential scale.

제7도(B)의 음계스텝 매트릭스회로 39는, 기본적으로는 주기계수 레지스터 34의 계수진(+)에 의한 주기설정치를 조수(粗數)와 미수(微數)로 구분, 음계에 맞추없 주기제어를 이루게 하는 제어치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The scale step matrix circuit 39 of FIG. 7B basically divides the period set value by the counting (+) value of the period coefficient register 34 into a tide and a fine and does not match the scale. It stores the control value which makes the period control.

이리하여 전술한 블록상태 검출회로 38의 출력 ①, ②, ③, ④의 출력신호 및 음계코오드 레지스터 20의 4 빗트 출력이 입력된다.Thus, the output signals 1, 2, 3 and 4 of the block state detection circuit 38 described above and the 4-bit output of the scale code register 20 are input.

그리고 이 음계스텝 매트릭스회로 39예는 제2표에 표시한 12음계의 각 코오드상태를 검출하는 앤드기능 매트릭스회로 36-1이 형성되어져 있고, 음계에 대응한 12출력라인 ①-⑫(도표에서와 같은 C음계 검출라인-C# 음계검출라인)가 취출되며 제1의 오아기능 매트릭스회로 39-2, 제2의 오아기능 매트릭스회로 39-3을 통하여 앤드게이트 39-4~39-14에 결합되어 있다.In the example of the scale step matrix circuit 39, an AND function matrix circuit 36-1 for detecting the code state of each of the 12 scales shown in the second table is formed, and 12 output lines ①-⑫ corresponding to the scale are shown in FIG. The same C scale detection line-C # scale detection line) is taken out and connected to the AND gates 39-4 to 39-14 through the first or second functional matrix circuit 39-2 and the second or second functional matrix circuit 39-3. .

제1오아 기능 매트릭스회로 39-2는 각 음계마다 C, C"순으로 「0, 0, 1, 1, 2, 2, 3, 4, 5, 5, 5, 6, 7」의 미수를 제어할 스텝 가수를 출력라인 X1, X2, X3의 3본으로 된 코오드상태로 출력하는 것으로, 그 스텝 가수는 음계마다 「16」블록에 각각 가수되는 것이다.The first OR function matrix circuit 39-2 controls the number of attempts of "0, 0, 1, 1, 2, 2, 3, 4, 5, 5, 5, 6, 7" in order of C, C "for each scale. to output the hydrolysis step to the output line of the third cord to the state of X 1, X 2, X 3 , the hydrolysis step is that each of the singer "16" block for each scale.

즉, 제4표의 표시한 바와 같다.That is, it is as showing in a 4th table | surface.

[표 4]TABLE 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5

제2의 오아기능 매트릭스회로 39-3은 악음 파형의 1사이클 각음계에 대하여 조수에 대응하여 스텝 보정 가수를 부여하기 위한 회로이며 이 경우 스텝 보정 가수치를 복수 블록어드레스의 타이밍에 있어서 일괄 평균적으로 가하기 위하여 블록상태 검출회로 38에서 출력되는 ①-④ 출력을 각 음계에 맞추어 선택하는 것으로 제8도(d)도시와 같이 음계에 맞추어 "0"표 표시한 블록어드레스가 선택된다.The second oar function matrix circuit 39-3 is a circuit for giving a step correction mantissa corresponding to the tide to the one cycle angular scale of the sound waveform. In this case, the step correction mantissa value is applied to the collective average at the timing of the plural block addresses. In order to select ①-④ output from the block state detection circuit 38 for each scale, the block address indicated by "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cale as shown in FIG.

즉, 이 선택된 블록어드레스의 복수가 조수 제어 타이밍이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selected block addresses is the tide control timing.

그리고 그 선택신호는 음계에 상응한 앤드게이트 39-4~39-14에 공급하게 된다.The selection signal is supplied to the AND gates 39-4 to 39-14 corresponding to the scale.

다시 앤드게이트 39-4~39-14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39-15~39-25의 직렬회로에 접속되어 최종 오아게이트 39-25의 출력라인 X4에서 음계마다 「1」~「15」중에서 선택된 블록어드레스에 「+1」보정신호가 출력된다.Again the output of the AND gate 39-4 - 39-14 are connected to the series circuit of the gate Iowa 39-15 - 39-25 in the final Iowa output of the gate line X 39-25 4 scale every "1" to "15" in A "+1" correction signal is output to the selected block address.

즉, 음계스텝 매트릭스 회로 39에서 출력될 스텝 보정수는 주기 제어치가 되어 [미수를 제수하는 스텝가수+조수에 맞춘 스텝 보정가수]이다.In other words, the step correction number to be output from the scale step matrix circuit 39 becomes a periodic control value, which is [step correction number matching the divisor + plus the step correction number according to the tide].

이리하여 음계스텝 매트릭스 회로 39의 출력라인, X1, X2, X3, X4에서의 출력신호는 블록상태검출회로 38에서 출력되는 0 블록어드레스 신호의 발생시 이의에서 게이트가 벌려지는 인히빗트 게이트 47-1~47-4에 공급된다.Thus, the output signal from the output line of the scale step matrix circuit 39, X 1 , X 2 , X 3 , and X 4 is an inhibit gate that opens when the zero block address signal is output from the block state detection circuit 38. It is supplied to 47-1 ~ 47-4.

인히빗트 게이트 47-1~47-3은 각각 대응한 오아게이트 48-1~48-3을 개하여 각각 앤드게이트 46-2~46-4에 공급됨과 동시에 인히빗트 게이트 47-4의 출력은 앤드게이트 46-1에 공급하여서 된다.Inhibit gates 47-1 to 47-3 are supplied to AND gates 46-2 to 46-4, respectively, with corresponding oragates 48-1 to 48-3 corresponding to the outputs of inhibit gate 47-4. It is supplied to the gate 46-1.

따라서 「0」블록어드레스 신호 이외에서는 전술한 가산타이밍신호 발생에 동기하여 「+8」과 같이 전술한 블록어드레스에 대하여 「+1」될 스텝 보정가수가 아더 40에 가산신호로서 공급하게 된다.Therefore, in addition to the "0" block address signal, the step correction singer to be "+1"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block address in synchronism with the gen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addition timing signal is supplied to the adder 40 as the addition signal.

또 블록상태 검출회로 38에서 출력되는 「0」블록어드레스 신호 발생시에는 오아게이트 48-4, 앤드게이트 46-2를 개하여 「+2」보정치가 인가되어 전술한 가산 타이밍신호의 발생에 동기하여 「+8」가산함과 동시에 가산하게 된다.When the "0" block address signal output from the block state detection circuit 38 is generated, a "+2" correction value is applied by opening the OR gate 48-4 and the AND gate 46-2, an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generation of the addition timing signal described above. +8 "is added and simultaneously.

결국 아더 40에 공급되는 음계에 의한 블록 어드레스마다 가산치는 최고 옥타브(제4옥타브신호 04)로 제10도시와 같이 되며, 다시 이치가 각 블록 어드레스내의 스텝수(기본클록수)에 대응하게 되는 것으로, 각 음계의 악음파형 1사이클의 스텝수가 같이 제10도의 우란도시와 같다.Eventually, the added value for each block address by the scale supplied to Arthur 40 is the highest octave (fourth octave signal 0 4 ) as shown in the tenth illustration, and the value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steps (basic clock number) in each block address. The number of steps of one cycle of acoustic sound waves of each sca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Uran diagram of FIG.

즉, 각음계간의 수스텝스가 12

Figure kpo00016
관계가 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number steps between each scale is 12
Figure kpo00016
It is a relationship.

물론, 아더 40에 공급되는 전술한 가산타이밍은 옥타브신회 01∼04에 따라서 상이하며 또 감산기 41로 감산되는 치다옥타브 신호 01∼04에 의하여 상이하며 옥타브가 낮아(옥타브 신호 01방향)짐에 따라 악음파형의 1사이클의 주기가 길어지는 것이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addition timing supplied to the Arthur 40 differs depending on the octave synths 0 1 to 0 4 and differs by the chidaoctave signals 0 1 to 0 4 subtracted by the subtractor 41 and the octave is low (the octave signal 0 1 direction). As the load increases, the period of one cycle of the sound wave waveform becomes longer.

이리하여 전술한 주기 계수 레지스터 34 및 음계코오드 레지스터 20, 옥타브코오드 레지스터 21은 8본의 라인메모리를 구유, 각레지스터의 화살표 방향의 1사이클은 8ø의 시프트 펄스로 1순환하기 때문에 악음파형 제어는 당해 1순환을 기준으로 하여 제어하고 본 시스템에 의하면 이하에 기술하는 시프트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서 레지스터의 1순환내의 임의 위치에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Thus, the period coefficient register 34, the scale code register 20, and the octave code register 21 described above use eight line memories, and one cyc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of each register is cycled by 8 시프트 shift pulses. The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one cycl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system, the shift memory described below can be used to control the register to any position within one cycle.

즉, 본 시스템에서는 제7도(c)에서의 출력을 발생부측(D/A 변환회로의 직전)에 8본의 라인메모리를 화살표방향으로 병설하고 기본클록 ø0로 시프트 동작하는 시프트 메모리 49를 형설하여서 된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system, the shift memory 49 for shifting the basic clock ø 0 with eight line memori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placed on the generating unit side (just before the D / A conversion circuit) in the output section 7c. It should be arranged.

이 시프트 메모리 49는 제7도(a)에서의 전술한 웨이트시프트회로 44에서 출력되는 3빗트 (「1」, 「2」, 「4」웨이트)로 표시되는 코오드에 의하여 8본의 라인메모리의 어느 것인가가 어드레스 지정되도록 되어 있고, 출력측에 가까운 라인메모리에서 순차로 어드레스 「0」~「7」이 되어 있다.The shift memory 49 is composed of eight lines of memory by a code expressed by three bits (" 1 ", " 2 " and " 4 " weights) outputted from the weight shift circuit 44 described above in FIG. Which is addressed, and addresses "0" to "7" are sequentially in the line memory near the output side.

즉, 이 어드레스 지정에 의하여 최대 8ø0시프트 타임지연이 가능하게 된다.In other words, by this address designation, a maximum 8 ° 0 shift time delay is possible.

또, 이 시프트 메모리 49의 어드레스는 제7도(a)의 가산타이밍 발생회로 43되는 가산타이밍신호가 제7도(c)의 앤드게이트 50, 51을 가하여 공급했을 때면 지정되는 것이고 이 시프트 메모리 49에 인가될 앤드게이트 51의 출력신호를 이네이블 신호라 한다.The address of the shift memory 49 is designated when the addition timing signal supplied to the addition timing generation circuit 43 in FIG. 7A is supplied by adding the AND gates 50 and 51 in FIG. 7C. The output signal of the AND gate 51 to be applied to is called an enable signal.

제7도(a)에서의 웨이트 시프트회로 44의 앤드게이트 44-1, 44-3 및 44-6에는 동기계수레지스터 34-2의 웨이트 1의 출력이 앤드게이트 44-2 및 44-5에는 웨이트 2의 출력이 앤드게이트 44-4에는 웨이트 4의 출력이 인가되며, 그리고 앤드게이트 44-6은 출력라인 Y1에, 앤드게이트 44-3과 44-5는 오아게이트 44-7을 개하여 출력라인 Y2에, 앤드게이트 44-4와 44-5는 오아게이트 44-8 및 앤드게이트 44-1 출력을 공급되는 오아게이트 44-9를 개하여 출력라인 Y4에 결합된다.The output of the weight 1 of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34-2 is provided in the AND gates 44-1, 44-3, and 44-6 of the weight shift circuit 44 in FIG. The output of 2 is the output of the weight 4 to the AND gate 44-4, and the AND gate 44-6 to the output line Y 1 , and the AND gates 44-3 and 44-5 to open the OA gate 44-7. On line Y 2 , AND gates 44-4 and 44-5 are coupled to output line Y 4 by opening OA gate 44-9, which is supplied with OA gates 44-8 and AND gate 44-1 outputs.

즉, 이출력라인 Y1, Y2, Y4로 표시되는 3빗트 출력은 시프트 메모리 49에 어드레스 지정코오드로서 제공되게 하며, 동기계수 레지스터 34-2의 출력은 옥타브 신호 01∼04에 맞추어 제5표에 표시한 어드레스 지정이 된다.That is, the 3-bit output represented by these output lines Y 1 , Y 2 , and Y 4 is provided to the shift memory 49 as an addressing code, and the output of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34-2 is adapted to the octave signals 0 1 to 0 4 . The address designation shown in the fifth table is used.

[표 5]TABLE 5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7

그리고, 후술하겠으나, 이 지정된 어드레스의 라인 메모리에서 아더 52로 부터의 출력치는 순차 ø0펄스로 시프트엎하고 시프트 메모리 49의 출력에서 취출된다.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utput value from Arthur 52 in the line memory at the designated address is shifted over with sequential ø 0 pulses and taken out from the output of the shift memory 49.

이와 같이 음계마다 약음파형 1사이클은 기준클록을 단위로 하는 스텝으로 되며 각음계에서 상이한 스텝수가 되는 것으로, 그 음계마다 주기 작성의 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1도(a)를 사용하여 동작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way, one cycle of the weak sound waveform for each scale becomes a step in the reference clock unit, and the number of steps in each scale is different, and the operation is explained using FIG. Shall be.

제11도(a)동작은 제10도시한 최고 옥타브의 04로 하고 음계명이 "C"의 경우이다.The operation in FIG. 11A is 0 4 of the highest octave shown in FIG. 10, and the scale name is "C".

주기 계수레지스터 34가 「0」으로 초기 상태에 있는 시점에서 가산 타이밍 발생회로 43에서 가산타이밍 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블록 상태 검출 회로 38부터의 「0」블록 어드레스 신호에 동기하여 오악에이트 48-4, 앤드게이트 46-3을 개하여 「+2」보정치가「+8」가산지령과 동시에 부여하게 됨으로 따라서 아더 40으로 (0+10)의 가산이 이루어 진다.The addition tim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addition timing generation circuit 43 at the time when the period count register 34 is in the initial state of " 0 ", so that the operation timing 48-4, in synchronization with the " 0 " block address signal from the block state detection circuit 38, The AND gate 46-3 is opened, and the "+2" correction value is given at the same time as the "+8" addition command, thus adding (0 + 10) to Arthur 40.

이 가산치 10은 감산기 41로 제4옥타브 신호 04로서 「-8」감산되며 감산 출력치「2」가 동기계수 레지스터 34-2에 귀환된다.This addition value 10 is subtracted "-8" with the subtractor 41 as the 4th octave signal 0 4 , and the subtraction output value "2" is fed back to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34-2.

또 가산타이밍신호는 아더 36에 「+1」가산지령으로서 공급됨과 동시에 이네이블 신호로서 제7도(c)의 시프트메모리 49에도 부여된다.The addition timing signal is supplied to the Arthur 36 as a " + 1 " addition instruction, and is also provided to the shift memory 49 in Fig. 7C as an enable signal.

이때 시프트 메모리 49의 어드레스는「0」이고 곧바로 시프트 메모리 49의 라인 메모리「0」에서 후술하는 아더 52의 출력치가 출력가능한 출력타이밍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address of the shift memory 49 is " 0 " and the output timing of the output unit 52 described later in the line memory " 0 "

다음에 8ø0시프트 타임 후에는 동기계수 레지스터 34-2에서 「2」가 출력되어 블록계수 레지스터 34-1에서「1」이 출력된다. (각 제11도(a)의 (b), (e) 참조)After following the 0 8ø shift time is a "2"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oefficient register 34-2 is "1" is output from the block count register 34-1. (See (b) and (e) of each FIG. 11 (a).)

이 시점에서는 블록계수 레이스터 34-1 출력은 「1」이기 때문에 음계스텝 매트릭스회로 39에 블록상태검출회로 38의 ①출력이 인가되나, 음계 "C"에서는 이 매트릭스회로 39에서는 출력신호가 발생치 않고, 따라서 아더 40에는 스텝 보정수는 부여치 않고 가산타이밍에 동기하여 「+8」지령만이 공급되게 됨으로 결국 (2+8)의 가산이 이루어진다.At this point, since the block coefficient raster 34-1 output is "1", the output of the block state detection circuit 38 ① is applied to the scale step matrix circuit 39. However, at scale "C", the output signal is generated in this matrix circuit 39. Therefore, only the " + 8 " command is supplied to Arthur 4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ddition timing without giving the step correction number, so that (2 + 8) is added.

다시 감산기로 41로 -8감산되어 결국 감산 출력치「2」는 동기 계수 레지스터 34-2에 귀환된다.The subtractor is subtracted -8 to 41 again, and the subtracted output value "2" is fed back to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34-2.

또 가산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아더 36에 「+1」신호가 공급되며 가산치「2」는 블록계수 레지스터 34-1에 귀환된다.In addition, a "+1" signal is supplied to Arthur 36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ddition timing signal, and the addition value "2" is fed back to the block coefficient register 34-1.

다시 이 가산타이밍신호는 전술한 시프트 메모리 49에 이네이블 신호로서 인가되어, 동기계수 레지스터(TC) 34-2의 출력치 「2」는 웨이트 시프트회로 44에 공급됨으로 그 출력 Y2에서 "1"시호가 취출되며 제5표에서와 같이 시프트 메모리 49의 어드레스 「2」를 지정하게 된다.Again, this addition timing signal is applied to the shift memory 49 described above as an enable signal, and the output value "2" of the synchronization coefficient register TC 34-2 is supplied to the weight shift circuit 44 so that "1" at the output Y 2 . The time signal is taken out and the address " 2 " of the shift memory 49 is designated as shown in the fifth table.

이에 따라 블록어드레스「1」출력 타이밍은 제11도(a)의 (i)와 같이 2ø0시프트 타임 지연되어 시프트 메모리 49에서 출력되는 상태가 된다.As a result, the block address " 1 " output timing is in a state of being output from the shift memory 49 with a delay time of 2 ° 0 shift as shown in (i) of FIG.

즉, 블록어드레스 「0」과 「1」사이는 10스텝이 되는 것이다.That is, the block address between "0" and "1" is 10 steps.

이하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음계 "C"에서는 이하 블록어드레스 사이는 8스텝 간격이 되여 제10되시와 같은 악음파형의 1사이클은 130 스텝수로 되는 것이다.By repeating the same operation as below, in the musical scale "C", there are 8 step intervals between the following block addresses, and one cycle of the sound wave waveform as in the tenth period is 130 steps.

또 제1도(b), (c)에는 각각 같이 제4옥타브 신호 04에서의 음계 "B C #"에 대하여 동작설명을 제11도(a)의 상태도와 같이 하여 표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Fig. 1 (b) and (c), the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scale "BC #" in the fourth octave signal 0 4 is similarly shown in the state diagram of Fig. 11 (a).

제12도는 제7도(c)에의 시프트 메모리 49 및 아더 52의 상세를 표시한 것으로, 49-1~49-8의 각각 10빗트로 되는 8본의 타인 메모리(49-4~49-7은 도면상에서는 생략)로서 기본클록 ø0로 시프트한다.FIG. 12 shows the details of the shift memory 49 and the Arthur 52 in FIG. 7 (c). The eight tine memories (49-4 to 49-7 are 10 bits each of 49-1 to 49-8 are shown in FIG. Shifts to the basic clock ø 0 .

각 라인메모리 49-1~49-8의 입력측에는 입력제어회로 49-9~49-16이 형설되여 도면중에는 간략화를 위하여 1빗트만에 대하여 게이트 회로가 표시되어 있으나, 전체 빗트가 같은 게이트회로로 되어 있는 것이다.Input control circuits 49-9 to 49-16 are formed on the input side of each of the line memories 49-1 to 49-8. In the figure, the gate circuit is displayed for only one bit for simplicity. It is.

또 이 시프트 메모리 49의 데코오드 49-17에는 제7도(a)의 웨이트 시프트 회로 44의 Y1, Y2, Y4의 3빗트의 어드레스 지정신호가 인가되여 여기서 「0」~「7」의 어드레스 지정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o the decoders 49-17 of the shift memory 49, an address designation signal of three bits of Y 1 , Y 2 , and Y 4 of the weight shift circuit 44 of FIG. 7A is applied, where "0" to "7". Addressing is performed.

즉, 어드레스 「0」~「7」순으로 라인 메모리 49-1~49-8이 대응부 되어져 있다.That is, the line memories 49-1 to 49-8 are associated with the addresses "0" to "7".

이리하여 어드레스「0」~「7」지정신호는 이네이블신호가 공급된 앤드게이트 49-18~49-25에 부여되여, 그 출력은 입력제어회로 49-9~49-16에 공급된다. 입력제어회로 49-9~49-16은 지정된 어드레스의 라인 메모리에서 전술한 아더 52의 출력은 입력시켜, 순차 출력측에 시프트 시키는 것이다.Thus, the address " 0 " to " 7 " designation signals are provided to the AND gates 49-18 to 49-25 to which the enable signals are supplied, and their outputs are supplied to the input control circuits 49-9 to 49-16. The input control circuits 49-9 to 49-16 input the output of the above-mentioned Arthur 52 in the line memory of the designated address and shift it to the output side sequentially.

그리고 라인 메모리 49-1출력에서 출력 아더 49-26, 랏치회로 49-27을 개하여 D/A 변환회로(제1도 참조)에 공급하는 것이다.At the output of the line memory 49-1, the output order 49-26 and the latch circuit 49-27 are opened and supplied to the D / A conversion circuit (see FIG. 1).

또 랏치회로 49-27의 출력은 출력 아더 49-26에 순환됨에 따라 누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latch circuit 49-27 accumulates as it is circulated to the output order 49-26.

다시 라인메모리 49-1~49-8의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한 직전 라인메모리 출력은 오아게이트 49-28(1빗트만을 표시하였다)을 개하여 아더 52의 대용 웨이트단에 인가된다.The line memory output immediately before the designated addresses of the line memories 49-1 to 49-8 is applied to the alternative weight stage of Arthur 52 by opening the oragate 49-28 (only one bit is shown).

다음에 제7도(a)의 35은 동기셋트 레지스터로 1빗트의 라인 메모리가 8본 직렬로 접속하여서 되며, 54는 엔베로우브 레지스터로 7빗트(「1」, 「2」, 「4」, 「8」, 「16」, 「32」, 「64」웨이트)의 라인 메모리가 8본 화살표 방향으로 병설 접속시켜 구성되어져 있는 것으로 어느 것이나 시프트 펄스 ø0에 동기하여 순차 화살표 방향으로 시프트된다.Next, 35 in Fig. 7 (a) is a synchronization set register, in which one line of 8-bit line memory is connected in series, and 54 is 7 bits (" 1 "," 2 "," 4 ") with an envelope register. , "8", "16", "32", "64" weight)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of eight arrows, and all of them shift in the sequential arrow direction in synchronism with the shift pulse? 0 .

원컨데 전기 음계 코오드 레지스터 20,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 주기계수 레지스터 34, 동기셋트 레지스터 53,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는 각각 라인 메모리가 대응부되어 있으며, 즉 음계 코오드 레지스터 320, 옥타브 코오드레지스터 21에서 출력되는 음계 코오드에 대하여는 이에 대응한 제어출력이 주기 계수 레지스터 34, 동기 셋트 레지스터 53,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에서 발생되는 상태에 놓여져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electric scale code register 20, the octave code register 21, the periodic coefficient register 34, the sync set register 53, and the envelope register 54 each have a line memory corresponding, that is, output from the scale code register 320 and the octave code register 21. For the scale code, the control output corresponding thereto is in the state generated in the period coefficient register 34, the synchronization set register 53, and the envelope register 54.

전술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1」, 「2」, 「4」, 「8」, 「16」웨이트의 5빗트 출력에 의하여 표시되는「0」~「31」의 32통의 계수치로서 엔베로우브 계수치가 되어 지시되여 「32」, 「64」의 웨이트 2빗트는 엔베로우브의 어택, 디케이, 리리스 및 크리어의 4개 엔베로우브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엔베로우즈 레지스터 54의 7빗트의 각단 출력은 아더 55의 대응 웨이트 입력단에 인가된다.Envelopes as 32 coefficient values of "0" to "31" displayed by the 5-bit output of "1", "2", "4", "8", and "16" weight of the tactical envelope register 54. The two counts of " 32 " and " 64 " indicate four envelope states of attack, decay, release and clear. Thus, the seven-bit output of each stage of envelope register 54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weight input terminal of Arthur 55.

이 아더 55중 엔베로우브 제어치를 계수하는 아더 55-1의 각 빗트출력은 그 캐리 출력 신호시에 출력금지 제어하는 인히빗트 게이트 56-1~56-5를 개하여 엔베로우브 레지스터의 「1」, 「2」, 「4」, 「8」, 「16」웨이트의 대응한 입력측에 순환된다.Each bit output of the Arthur 55-1, which counts the envelope control value, is opened through the Inhibit Gates 56-1 to 56-5 which control the output prohibition at the time of the carry output signal. ”,“ 2 ”,“ 4 ”,“ 8 ”, and“ 16 ”weights are circulated to the corresponding input side.

또 아더 55-1에서 발생하는 출력신호는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상태 검출 웨이트 「32」, 「64」로서 00의 크리어 상태를 검출하는 인버어딧트 앤드게이트 57의 출력으로 게이트 금지될 인히빗트 게이트 55-2를 개하여 상태 계수용 아더 55-3의 캐리 입력단에 인가된다. 즉, 아더 55-3은 엔베로우브의 크리어상태 이외에서는 캐리 출력신호를 수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더 55-3 출력은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32」, 「64」웨이트 입력단에 인히빗트 게이트 58-1, 58-2를 개하여 순환 보지케 된다.In addition, the output signal generated in the Arthur 55-1 is an inhibit gate to be prohibited by the output of the inverted end gate 57 which detects a clear state of 00 as the state detection weights "32" and "64" of the envelope register 54. 55-2 is applied to the carry input of state 55-3 for state counting. That is, Arthur 55-3 imports a carry output signal except for the clear state of the envelope. The output of the Arthur 55-3 is held circular by opening the inhibitor gates 58-1 and 58-2 at the "32" and "64" weight input terminals of the envelope register 54.

또 이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32」웨이트 단의 입력측에 오아게이트 59를 개하여 전술한 제7도에(a)서의 연소(演素)키의 입력지시 신호가 인가되어지며 이 때문에 입력지시신호의 발생으로 엔베로우브는 곧바로 어택상태에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put instruction signal for the combustion key in Fig. 7 (a) is applied to the input side of the "32" weight stage of the envelope register 54, and thus the input signal is applied. The envelope immediately becomes in an attack state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indication signal.

여기서 엔베로우브 상태와 「32」, 「64」의 웨이트의 2빗트의 코오드 상태와의 관계를 제6표에서 표시한다.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elope state and the two-bit code state of the "32" and "64" weights is shown in Table 6.

[표 6]TABLE 6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8

제7도(a)에서의 동기셋트 레지스터 53의 출력은 엔드 게이트 60, 인히빗트 게이트 61의 일방 입력단에 인가된다.The output of the sync set register 53 in FIG. 7A is applied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end gate 60 and the inhibit gate 61.

앤드 게이트 60의 타방입력단에는 전술 「0」블록 어택 어드레스 신호와 가산 타이밍 발생회로 43에서 출력되는 가산타이밍 신호와의 논리적을 취하는 앤드게이트의 62출력이 공급된다.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AND gate 60 is supplied with 62 outputs of the AND gate which take a logic between the aforementioned "0" block attack address signal and the addition timing signal output from the addition timing generation circuit 43.

동기셋트 레지스터 53의 셋트는 후술하는 엔베로우브 상태에 맞추어 인히빗트 게이트 63에서 출력되는 록신호(이것을 엔베로우브 클록이라 총칭함)가 오아게이트 64, 65를 통과하여 입력측에 인가됨에 따라 이루어 진다.The set of the sync set registers 53 is performed by applying a lock signal (generally referred to as an envelope clock) output from the inhibit gate 63 to the input side through the OR gates 64 and 65 in accordance with the envelope state described below. .

또 인히빗트 게이트 63에는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을 올「0」상태를 검출하는 인히빗트 게이트 66-1 66-5 및 인버어딧트 앤드 개이트 66-5의 직렬 접속 출력신호가 인가됨으로 올 「0」상태에서는 엔베로우브 클록은 이 인히빗트 게이트 63을 통과하지 않도록 제어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rial connection output signals of the Inhibit Gate 66-1 66-5 and the Invertad and Gite 66-5 which detect the " 0 " The envelope clock is controlled so as not to pass through this inhibit gate 63 in the "

이리하여 동기셋트 레지스터 53에 「1」신호가 셋트되면 앤드게이트 62에 의한 「0」블록 가산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앤드게이트 60이 개방되며 아더 55에의 가산타이밍신호가 발생함과 동시에 인히빗트 게이트 61의 출력이 금지됨으로 동기셋트 레지스터 53에는 "0"신호가 서입되여 셋트가 해제된다.Thus, when the "1" signal is set in the sync set register 53, the AND gate 60 is opened in synchronism with the "0" block addition timing signal by the AND gate 62, and an addition timing signal to the Arthur 55 is generated. Output is forbidden, so the "0" signal is written to the sync set register 53 to cancel the set.

그리고 앤드게이트 60에서 출력된 가산 타이밍신호는 앤드게이트 67-1~67-5에 게이트 개방신호로서 급되며 후술하는 엔베로우브용 아더 55에의 가산치가 공급되게 되며 이에 따라 어택, 디케이, 리리스 태에서의 엔베로브 시간 경과가 추이(推移)하게 된다. 즉, 동기셋트 레지스터 53은 엔베로우브용 아더에 인가되는 가산치를 악음파형의 「0」블록 어드레스 동기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addition timing signal output from the AND gate 60 is supplied as the gate open signal to the AND gates 67-1 to 67-5, and the addition value to the below-mentioned envelope 55 is supplied to the AND gates 67-1 to 67-5. The envelope time elapses. That is, the synchronization set register 53 is for synchronizing the addition value applied to the envelope-order "0" block address of the acoustic waveform.

또 동기셋트 레지스터 53의 출력은 「0」으로서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가 올 「0」시에는 인히빗트 게이트 에서 후술하는 리셋트신호가 출력된다.The output of the sync set register 53 is " 0 ". When the envelope register 54 is all " 0 ", a reset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is output from the inhibit gate.

전술한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1」, 「2」, 「4」, 「8」, 「16」웨이트의 5빗트 출력은 웨이트 시프트회로의 익스클시프 오아게이트 69-1~69-5에 각각 공급된다.The 5-bit outputs of the above-mentioned envelope registers 54 of "1", "2", "4", "8", and "16" weights are applied to the exclusion oragate 69-1 to 69-5 of the weight shift circuit. Each is supplied.

제7도(c)에서의 스위치 S1, S2, S3, S4, S5, S6은 α, β별 음량곡선 형식지시 스위치이고, S1, S2, S3,의 스위치의 조는 α음량곡선형식의 어택(A), 디케이(D), 리리스(R)를 각각 지시하고 S2, S4, S6, 스위치의 조는 음량 곡선 형식의 A, D, R를 각각 지시한다.The switches S 1 , S 2 , S 3 , S 4 , S 5 , and S 6 in FIG. 7 (c) are volume curve type indicating switches for α and β, and the switches of S 1 , S 2 , S 3 , The pairs indicate the attack (A), decay (D), and the lease (R) in the α-volume curve form, respectively, and the pairs of S 2 , S 4 , S 6 , and the switch indicate A, D, and R in the volume curve form, respectively.

즉, 음량곡선 형식의 종류는 제13도시와 같이 3개의 스위치로 7통의 지시가 가능하며 본예에서는 이 음량 곡선형식을 2종류 동시에 선택할 수가 있고 일방을 α(스위치 S1, S2, S3, 로 선택), 타방을 β(스위치 S2, S4, S6,로 선택)하여 호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α, β별 음량곡선형식의 조합지시 종류는 제14도시와 같이 된다.That is, the type of the volume curve type can be indicated seven times by three switches as shown in FIG. 13, and in this example, two types of the volume curve type can be simultaneously selected, and one is selected by the α (switch S 1 , S 2 , S 3). And select (), and select the other one as β (switch S 2 , S 4 , S 6 ,). Accordingly, the type of combination instruction in the form of a volume curve for each of α and β is as shown in FIG.

여기서, 제7도(a)의 전술한 블록어드레스 파형프로그램 지정35부는 제1도 내지 제35도로 설명한 바와 같이 악음파형 1주기를 「0」~「15」로 표시하는 「16」블록 어드레스의 각각으로, 파형의 입상, 입하 미분계수를 「+」(엎), 「-」(다운)을 수반하여 지시하는 것으로 다시 각블록어드레스마다 전술한 미리 지정되어는 음량곡선형식의 α를 지정하거나, β를 지정하거나가 가능한 것으로, β 지시의 경우 「1」신호, α지 의 경우에「0」신호 출력이 된다.Here, the above-mentioned block address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section 35 in FIG. 7A shows each of the " 16 " block addresses that display one period of the sound waveform as " 0 " to " 15 ", as described in FIGS. By specifying the granularity and arrival differential coefficient of the waveform with "+" (up) and "-" (down), α in the previously-specified volume curve format is specified for each block address, or β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signal as "1" signal for β instruction or "0" signal output for α finger.

즉, 제15도에 그 지정일예가 표시된 것으로, 각 블록마다 미분 계수치 「1」, 「2」, 「4」및 「+」「-」의 지시가 됨과 동시에 다시 α, β의 음량곡선형식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designation example is shown in FIG. 15, and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s "1", "2", "4", and "+" and "-" are indicated for each block, and the volume curve format of α and β is selected again. It is supposed to be.

그리고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35의 상세는 제16도시와 같이 블록어드레스 「1」~「15」각 블록어드레스 미분계수치 「1」, 「2」, 「4」의 절대치를 지정하는 스위치 A1~ A15, B1~B15, α/β음량곡선 형식 지시 위치 C1~C15+/- 지시스위치 D1~ D15를 형성되어져 있고, 각 블록어드레스마다 스위치군의 공통 라인에는 블록 계수 레지스터 34-1의 계수치「1」~「15」 블록상태 검출신호가 결합하여서 된다.For details of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unit 35, the switches A 1 to A 15 which designate the absolute values of the block address differential coefficients "1", "2", and "4" as shown in FIG. , B 1 to B 15 , α / β volume curve type Indication position C 1 to C 15 +/- Indication switches D 1 to D 15 are formed, and the block coefficient register 34- The count values "1" to "15" of the 1 block state detection signals are combined.

다시 각 블록의 미분계수 지정 스위치 A1~A15, B1~B15는 데코오드 E1~E15, 를 개하여 각각 미분계수 「1」, 「2」, 「4」의 3개 지시신호로서 출력되며, 결국 각 대응한 지시신호 동지(同志)가 오아게이트를 개하여 취출하게 되는 것이다.The differential coefficient designation switches A 1 to A 15 and B 1 to B 15 of the blocks are decoded by E 1 to E 15 , respectively, and three indication signals of differential coefficients "1", "2" and "4" are displayed. As a result, each corresponding indicating signal acknowledgment opens the oragate and is taken out.

또, 블록어드레스 「0」은 항상 「0」레벨로 설정됨으로 스위치 지정은 없고, 따라서 블록 어드레스「1」~「15」까지가 지정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lock address "0" is always set to the "0" level, there is no switch designation, and thus block addresses "1" to "15" can be designated.

이리하여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35로 블록 어드레스마다 지정된(-) 지령신호 제7도(c)에서의 아더52에 공급되어 미분 계수치 「1」, 「2」, 「4」의 지령신호는 제7도(c)의 웨이트 시프트 회로 69에 다시 β지령신호는 제7도(b)의 익스클시브 오아게이트 70 및 71에 부여된다. 그리고 이 β 지령신호에 통상은 익스클시브 오아게이트 70을 통과하여, α, β별 음량곡선 형식 제어회로 72의 인히빗트게이트 72-1~72-3 및 엔드게이트 72-4~72-6에 인가된다.Thus,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unit 35 is supplied to Arthur 52 in the (-) command signal 7 (c) designated for each block address, and the command signals of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s "1", "2", and "4" are shown in FIG. The β command signal is applied to the exclusive orifices 70 and 71 of FIG. 7B again in the weight shift circuit 69 in (c). The β command signal is normally passed through the exclusive oragate 70 to the inactive gates 72-1 to 72-3 and the end gates 72-4 to 72-6 of the volume curve type control circuit 72 for each of α and β. Is approved.

따라서 앤드게이트 72-4~72-6은 β지시신호("1")에 동기하고, 인히빗트 게이트 72-1~72-3은 α 지시신호("0")에 동기하여 αβ별 음량곡선형식 지시스위 S1~S2으로 선택 지시된 αβ에 맞추어 출력되게 되며 인히빗트 게이트 72-2와 앤드게이트 72-5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72-8에 인히빗트 게이트 72-3과 앤드게이트 72-6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72-9에 접속하여서 된다.Thus, the AND gates 72-4 to 72-6 are synchronized with the β command signal ("1"), and the inhibit gates 72-1 to 72-3 are synchronized with the α command signal ("0") and have a volume curve for each αβ. Indicated switches S 1 to S 2 are output according to the indicated αβ, and the outputs of the inhibit gate 72-2 and the end gate 72-5 are the inhibit gate 72-3 and the end gate 72-6 to the oragate 72-8. The output of is connected to Oagate 72-9.

오아게이트 72-7의 출력은 앤드게이트 72-10, 인히빗트 게이트 72-11, 72-12 및 앤드게이트 72-13에 공급되며, 오아게이트 72-8의 출력은 앤드게이트 72-14 및 인히빗트 게이트 72-12에, 오아게이트 72-9의 출력은 앤드게이트 72-15에 공급된다.The output of Oagate 72-7 is fed to Andgate 72-10, Inhibit Gate 72-11, 72-12 and Andgate 72-13, and the output of Oagate 72-8 is ANDGATE 72-14 and Inhibit At gate 72-12, the output of oragate 72-9 is fed to endgate 72-15.

또 앤드게이트 72-14의 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72-11 및 앤드게이트 72-13에 인가된다.The output of AND gate 72-14 is also applied to inhibit gate 72-11 and AND gate 72-13.

다시 앤드게이트 72-10과 인히빗드 게이트 72-11은 오아게이트 72-16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72-17에, 인히빗트 게이트 72-12의 출력은 앤드게이트 72-18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72-19에, 앤드게이트 72-13과 72-15는 오아게이트 72-20에 공급되며 다시 오아게이트 72-17, 72-19, 72-20은 직렬로 접속되여 결국 오아게이트 72-17의 출력으로서 전술한 앤드게이트 50에 공급하여서 된다. 앤드 72-10, 72-14, 72-15, 72-18에는 엔베로우브 상태 검출회로 73에서의 검출신호가 접속되는 것으로, 즉, 통상은 인버어티이드 앤드 게이트 73-1은 엔베로우브의 00 그리어 상태, 인히빗트 게이트 73-2는 어택상태, 인히빗트 게이트 73-3은 디케이상태, 앤드 게이트 73-4는 리리스 상태를 검출하고, 인히빗트 게이트 73-2는 앤드게이트 72-10에 인히빗드 게이트 73-3은 앤드게이트 72-14, 72-18에 게이트 개방신호로서 공급된다.Again, the AND gate 72-10 and the inhibit gate 72-11 open the oragate 72-16 to the oragate 72-17, and the output of the inhibit gate 72-12 opens the AND gate 72-18 to the oragate 72-. At 19, ANDGATE 72-13 and 72-15 are supplied to OAGATE 72-20 and again OAGATE 72-17, 72-19 and 72-20 are connected in series, eventually leading to the output of OAGATE 72-17. It is supplied to one end gate 50. The detection signals from the envelope state detection circuit 73 are connected to the AND 72-10, 72-14, 72-15, and 72-18, that is, normally, the inverted AND gate 73-1 is connected to the envelope. 00 grill state, Inhibit gate 73-2 detects attack, Inhibit gate 73-3 detects decay state, AND gate 73-4 detects lease state, and inhibit gate 73-2 detects in AND gate 72-10. The bead gate 73-3 is supplied as the gate open signal to the AND gates 72-14 and 72-18.

또, 인버어티이드 앤드게이트 73-1은 전술한 엔버로우브 레지스터 54의 올 0상태 검출신호(*표시로 표시된 제7도(D)참조)와 동시에 인히빗트 게이트 73-5에 공급되며, 그 인히빗트 게이트 73-5의 출력은 다시 앤드게이트 73-4와 동시에 오아게이트 73-6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73-15에 게이트 개방신호로서 공급된다.The inverted AND gate 73-1 is supplied to the inhibit gate 73-5 at the same time as the all-zero state detection signal of the above-mentioned envelope register 54 (see FIG. The output of the inhibit gate 73-5 is again supplied to the AND gate 73-15 as the gate open signal by opening the OR gate 73-6 simultaneously with the AND gate 73-4.

따라서 αβ별 음량곡선형식 제어회로 72의 오아게이트 72-16은 어택상태이고 음량곡선 형식이 제13도 ④~⑦ 지시의 경우 및 디케이 상태이고 제13도의 ②와 ③의 지시경우에 출력되어 앤드게이트 72-18은 디케이 상태이고 어택지시가 있을 경우의 디케이 지시없는 제13도에서의 4의 지시경우의 「31」지령신호를 취출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oragate 72-16 of the volume curve type control circuit 72 for each αβ is in an attack state, and the volume curve type is output in the case of the directions of Figs. 72-18 is a command of "31" command in case of the instruction of 4 in FIG. 13 without decay instruction when decay state and attack instruction are present.

또 오아게이트 72-20은 디케이, 리리스의 "내림" 지시인 제13도 ①, ③, ⑤, ⑥, ⑦의 경우에 엔베로우브 계수치를 반전한 보수치를 지시하는 신호로서 취출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13 (1), (3), (5), (6) and (7), which is the "down" instruction of the decay and release, the oragate 72-20 is taken out as a signal indicating the complementary value inverting the envelope count value.

한편, 오아게이트 72-17은 어택(A), 디케이(D), 리리스(R)의 스위치지시가 있을 때에만 각어택, 디케이, 리리스 상태로 출력되며, 그때의 가산타이밍신호를 시프트 메모리 49에 대한 이네이블신호로서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ORA gates 72-17 are output in the respective attack, decay, and lease states only when there is a switch instruction of the attack (A), decay (D), and the lease (R). It is output as an enable signal for.

앤드게이트 72-18에서 출력되는 31 지령신호는 웨이트 시프트 회로 69의 오아게이트 69-6~69-10에 공급되며 오아게이트 72-20에서 출력되는 복수지령신호는 익스클시브 오아게이트 69-11을 개하여 전술한 익스클시브 오아게이트 69-1~69-5에 공급된다.The 31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AND gate 72-18 is supplied to the OA gates 69-6 to 69-10 of the weight shift circuit 69, and the plural command signals output from the OA gate 72-20 are connected to the exclusive OA gate 69-11. It is supplied to Exclusive OA gates 69-1 to 69-5.

즉, 웨이트 시프트 회로 69는 전술한 「31」지령신호, 보수지령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1」, 「2」, 「4」, 「8」, 「16」웨이트로 표시되는 엔베로우브 계수치는 익스클시브 오아게이트 69-1~69-5를 통과하고 파형프로그램지정부 25에서 지시된 블록어드레스마다 미분계수치 「1」, 「2」, 「4」의 지정된 계수치에 맞추어 웨이트 시프트(이 경우는 ±미분계수치 X 엔베로우브 계수치 E)가 되여 그승산치가 아더 52에 공급하게 된다.That is, the weight shift circuit 69 weights "1", "2", "4", "8", and "16" of the envelope register 54 when the aforementioned "31" command signal and the maintenance command signal do not exist. Envelope coefficients indicated by are passed through the Exclusive OA gates 69-1 to 69-5, and the specified coefficient values of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s "1", "2", and "4" for each block address indicated by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or 25 The weight shift (in this case, ±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 X envelope coefficient value E) is applied, and the multiplication value is supplied to Arthur 52.

즉, 미분계수치「1」지시신호는 앤드게이트 69-12~69-16의 일방 입력단에, 그 지시신호는 앤드게이트 69-17~69-21의 일방 입력단에, 4지시신호는 앤드게이트 69-22~69-26의 일방 입력단에 공급된다.That is,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 "1" instruction signal is supplied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AND gates 69-12 to 69-16, the instruction signal is input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AND gates 69-17 to 69-21, and the four instruction signal is connected to the AND gate 69-. It is supplied to one input terminal of 22 ~ 69-26.

그리고 앤드게이트 69-12, 69-17, 69-22의 타방입력단에는 엔베로우브 계수치의 웨이트 「1」에 대응한 신호가, 앤드게이트 69-13, 69-18, 69-23 타방 입력단에는 웨이트 「2」에 대응한 신호가, 앤드게이트 69-14, 69-19, 69-24의 타방입력단에는 웨이트 「4」에 대응한 신호가, 앤드게이트 69-15, 69-20, 69-25의 타방입력단에는 웨이트「8」에 대응한 신호가, 앤드게이트 69-16, 69-21, 69-26의 타방입력단에는 웨이트 「16」에 대응한 신호가 공급되게 된다.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eight "1" of the envelope coefficient value is input to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AND gates 69-12, 69-17, and 69-22, and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gates of the AND gates 69-13, 69-18 and 69-23. The signal corresponding to "2" is the other input terminal of ANDGATE 69-14, 69-19, 69-24, and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eight "4" is of ANDGATE 69-15, 69-20, 69-25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eight "8" is suppli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 and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eight "16" is supplied to the other input terminals of the AND gates 69-16, 69-21, and 69-26.

다시 앤드게이트 69-12는 아더 52의 웨이트 「1」입력측에 앤드게이트 69-13과 96-17은 오아게이트 59-27을 개하여 웨이트 「2」의 입력측에, 앤드게이트 69-14, 69-18, 69-22는 오아게이트 69-28, 69-29에 의하여 웨이트 「4」의 입력측에, 엔드게이트 6-15, 69-19, 69-23은 오아게이트 69-30, 69-31에 의하여 웨이트 「8」의 입력측에 앤드게이트 69-16, 69-20, 69-24는 오아게이트 69-32, 69-33에 의하여 웨이트「16」의 입력측에, 앤드게이트 69-21과 69-25는 오아게이트 69-34를 개하여 웨이트 「32」의 입력측에, 앤드게이트 69-26은 「64」의 입력측에 결하여 된다.And again, the AND gates 69-12 are on the input `` 1 '' of Arthur 52, and the AND gates 69-13 and 96-17 are on the input side of the weight `` 2 ''. 18, 69-22 are on the input side of the weight "4" by Oagate 69-28, 69-29, and endgates 6-15, 69-19, 69-23 are on Oagate 69-30, 69-31 On the input side of the weight "8", the AND gates 69-16, 69-20, and 69-24 are on the input side of the weight "16" by the oragate 69-32, 69-33, and the AND gates 69-21 and 69-25 are Opening the oragate 69-34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the weight "32", and the AND gate 69-26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of "64".

따라서 이 웨이트 시프트 회로 69는 미분계수치「1」, 「2」, 「4」에 맞추어 제17도시한 승산치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αβ별 음량곡선 형식 제어회로 72에서 출력되는「31」지령신호는 오아게이트 69-6~69-10에 공급된 경우에는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출력관계없이 엔베로우브 계수치는 31에 강해지게 된다.Therefore, the weight shift circuit 69 obtains the multiplication value shown in FIG. 17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ial coefficient values "1", "2", and "4". Thus, when the "31"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volume curve type control circuit 72 for each αβ is supplied to the ORA gates 69-6 to 69-10, the envelope count value becomes 31 regardless of the output of the envelope register 54. You lose.

또 보수지령이 익스클시브 오악에이트 69-11에 공급되면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5빗트로 표시되는 엔베로우브 계수치는 반전되여 제17도시한 승산치는 역 계수치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도~제4도시한 경우와 상이한 점은 제15도에서와 같이 각 블록어드레스마다 승산은 αβ로 지시된 음량곡선 형식에 따르는 것이고 결국 ±미분계수치 X 엔베로우브 계수치 E(단, E는 α 음량곡선형식에 따를 경우에는 Eαβ음량곡선 형식에 따를 때에는 Eβ가 된다)가 되는 것이다.When the maintenance command is supplied to the Exclusive OAQ 69-11, the envelope count value indicated by 5 bits of the envelope register 54 is reversed, and the multiplication value shown in the 17th becomes the inverse coefficient value. Therefore, the difference from the case shown in FIGS. 1 to 4 is that the multiplication for each block address is in accordance with the volume curve format indicated by αβ as in FIG. 15, and thus the differential derivative value X envelope coefficient E (where E Becomes Eβ in accordance with the α volume curve format).

이와같이 하여 아더 52에 입력된 승산치는 시프트 메모리 49에 공급된다.In this way, the multiplication value input to the Arthur 52 is supplied to the shift memory 49.

즉, αβ의 2개 음량곡선형식을 지시함에 따라, α에 따르는 파형과 β를 따르는 파형을 동시에 지시할 수 있어, 결국 상호 상이한 파형간에는 각각 음량의 입상, 입하 곡선을 달리하게 되며 그 조합에 의하여 합성 악음파형을 변화를 능히 이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indicating two volume curve types of αβ, a waveform according to α and a waveform following β can be simultaneously indicated, so that the granularity and arrival curve of the volume are different between the different waveforms. Synthetic acoustic waveforms will be able to change.

이 때문에 현저하게 배음구조의 경시적 변화를 부여하게 되여 효과적인 음색을 갖는 악음을 발생할 수 있어, 특히 금관악기, 발현악기에서 볼 수 있는 발음시에 그 악기 특유한 특징을 표현함에 최적하다.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give remarkable changes over time in the overtone structure, so that a musical sound having an effective tone can be generated,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 peculiar to the musical instrument during the pronunciation seen in brass and expression musical instruments.

제7도(b)에 있어서, 스위치 S10, S11, S12는 αβ별 주기모우드 지정을 지시하는 것으로 각 스위치 S10, S11, S12는 주기(듀티이(Duty)라 한다) 제어회로 74에 공급되며 이 3기의 스위치은 온, 오프상태로 앤드기능 매트릭스회로 74-1에서 8통의 「0」~「7」숫자로 표시되는 모우드 지정신호가 출력라인에서 취출되어 그 출력라인은 오아기능 매트릭스회로 74-2에 입력된다.Of claim 7, also (b), switches S 10, S 11, S 12 are αβ to be indicative of a specific period The mode specifying the switches S 10, S 11, S 12 is (referred dyutiyi (Duty)) cycle control circuit The three switches are turned on and off, and the mode designation signals indicated by eight zeros to seven numbers in the end function matrix circuit 74-1 are taken out from the output line. It is input to the function matrix circuit 74-2.

일방, 제7도(a)에 도시한 파형 1주기마다 계수 보진될 사이클수 레지스터 34-3의 3빗트(「16」, 「32」, 「64」웨이트)출력도 이듀티이 제어회로 74에 공급되는 것이며, 사이클1수 계수상태에 맞추어 인버어티이드 앤드게이트 74-3으로부터는 제18도(b) 출력상태가, 오아게이트 74-4로부터는 앤드게이트 74-5, 인히빗트 게이트 74-6 및 전술한 인버어티이드 앤드게이트 74-3 상태에 의하여 [

Figure kpo00019
+16.32.
Figure kpo00020
]의 조건인 제18도(c)의 출력 상태를 얻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3-bit (" 16 "," 32 " and " 64 " weight) outputs of the cycle number register 34-3 to be counted for each cycle of the waveform shown in Fig. 7A are also supplied to the duty control circuit 74. The output state of FIG. 18 (b) is output from the inverted AND gate 74-3 according to the cycle number count state, and the AND gate 74-5, the inhibit gate 74-6, and the OR gate 74-4. By the above-mentioned inverted endgate 74-3 state [
Figure kpo00019
+16.32.
Figure kpo00020
The output state of FIG. 18C is obtained.

그리고 제18도(a)에 도시한 사이클수 레지스터 34-3의 [10] 신호는 인히빗트 게이트 74-7 및 74-8에 공급되며 전술한 인버어티이드 앤드게이트 74-3 출력은 앤드게이트 74-9와 74-10에 공급되어 오아게이트 74-4의 출력은 앤드게이트 74-11과 74-12에 공급하여서 된다.The signal [10] of the cycle number register 34-3 shown in FIG. 18A is supplied to the inhibit gates 74-7 and 74-8, and the above-described inverted end gate 74-3 output is the AND gate 74. The outputs of oragate 74-4 are supplied to AND gates 74-11 and 74-12.

여기서 듀티이와 사이클 계수 상태와의 기본적인 관계에 대하여 상술하면, 이는 제19도시와 같다.Here, the basic relationship between the duty cycle and the cycle count st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즉, 「0」으로 표시되는 것은 파형출력이 없는 싸이클을, 「1」은 파형출력 "유"의 사이클을 표시하고 있다. 듀티이 「1」, 「1/2」, 「1/4」는 각각 매회, "1" 사이클마다, "2"사이클마다, "4" 사이클마다 파형출력을 취출한다. 듀티이 「1/3」은 "4"와 "5"의 사이클 계수는 하지않고 곧바로 "6" 사이클 상태로 설정함에 따라 얻어진다. 즉, 전술한 αβ별 주기 모우드 지정스위 S10, S11, S12의 3빗트의 조합으로 서지정되는 「0」~「7」숫자로 대응부하는 모우드중 6 및 7의 모우드 지정의 경우, 오아기능 매트릭스회로 74-2에서의 출력 K1출력신호가 발생하고, 아더 36의 웨이트 「64」의 출력신호가 동시에 앤드게이트 74-13에 공급하고 그 출력 신호를 오아게이트 74-14를 개하여 사이클수 레지스터 34-3의 웨이트 32에 공급하고 "4", "5" 사이틀 상태를 날리는 것이다.That is, "0" indicates a cycle without waveform output, and "1" indicates a cycle of waveform output "yes". The duty "1", "1/2", and "1/4" take out a waveform output every "1" cycle, every "2" cycle, and every "4" cycle, respectively. The duty "1/3" is obtained by setting the "6" cycle state immediately without performing the cycle coefficients of "4" and "5". That is, when the corresponding load is designated 6 and 7 of the modal Modal to "0" to "7", the number to be standing in a combination of specified per cycle described above αβ The mode switches S 10, S 11, in S 12 3 bitteu, The output K 1 output signal from the OA function matrix circuit 74-2 is generated,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weight "64" of Arthur 36 is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AND gate 74-13, and the output signal is opened by the OR gate 74-14. It is supplied to the weight 32 of the cycle register 34-3, and the state of "4" and "5" is blown.

또 오아기능 매트릭스회로 74-2의 K2출력은 오아게이트 74-15에, K3출력은 오아게이트 74-16, K4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74-7를 개하여 오아게이트 74-15에, K5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74-8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74-16에, K6출력은 앤드게이트 74-9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74-17에 K7출력은 앤드게이트 74-10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74-18에, K8출력은 앤드게이트 74-11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74-19에, K9출력은 앤드게이트 74-12를 개하여 오아게이트 74-20에 접속되며, 다시 오아게이트 74-15, 74-17, 74-19는 직렬접속되여 출력 X1(α)를 오아게이트 74-16, 74-18, 74-20은 직렬 접속되여서 출력X2(β)를 취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출력 X1(α), X2(β)에 발생하는출력신호는 αβ별 주기모우드 지정숫자 「0」~「5」에 대응하여 제20도시와 같다.The K 2 output of the OA function matrix circuit 74-2 is connected to the Oagate 74-15, the K 3 output to the Oagate 74-15, and the K 4 output to the Oagate 74-15. K 5 output is opened to Inhibit Gate 74-8 to Oagate 74-16, and K 6 output is to Opengate 74-9 to Oagate 74-17 to K 7 output to Opengate 74-10. To Oagate 74-18, K 8 output is connected to Oagate 74-19 by opening Andgate 74-11, and K 9 output is connected to Oagate 74-20 by opening Andgate 74-12. 74-15, 74-17 and 74-19 are connected in series to output X 1 (α), and oracle 74-16, 74-18 and 74-20 are connected in series to take output X 2 (β). Therefore, the output signals generated at the outputs X 1 (α) and X 2 (β) are as shown in FIG. 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cycle mode designation numbers "0" to "5" for each αβ.

즉, 출력 X1(α)에서는 α지시에 의한 파형에 의거하여 주기 M가 출력 X2(β)에서는 β지시에 의한 파형에 의한 주기 N가 취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output X 1 (α), we will be on the basis of the waveform cycle, the output M X 2 (β) by α indicated by the period N of the waveform indicated by the extracted β.

따라서 주기 모우드 「0」~「5」는 주기 M, N는 같이 정수이나, 주기 모우드「6」「7」는 주기 M, N일방이 정수이면 타방은 비정수 관계로 주기 제어되게 된다.Therefore, while the periodic modes "0" to "5" are constants M and N, the periodic modes "6" and "7" are periodic Ms and N are both integers, and the other is cycle controlled in a non-integer relationship.

다시, 출력 X1(α), X2(β)는 각각 인히빗트 게이트 75, 앤드게이트 76에 공급되며, 통상은 익스클리시브 오아게이트 71에서는 α/β 지시신호에 동기하여 α지시신호("1")에서는 앤드게이트 76이 열려, 그들 출력은 다시 후술하는 인히빗출 게이트 77, 78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79에서 출력되어 제7도(c)의 앤드게이트 51에 공급된다.Again, the outputs X 1 (α) and X 2 (β) are supplied to the inhibit gate 75 and the AND gate 76, respectively, and in the exclusive oragate 71, the α instruction signal ("") is synchronized with the α / β instruction signal. 1 "), the AND gate 76 is opened, and their outputs are again output from the OR gate 79 through the inhibit gates 77 and 7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re supplied to the AND gate 51 in FIG.

여기서 스위치 R2는 익스클시브 오아게이트 71에 접속되어 있고 조작으로 파형 프로기램지정부 35에서 출력되는 블록 어드레스마다 α/β지시신호를 반전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앤드게이트 76은 α지시신호에, 인히빗출 게이트 75는 β지시신호에 동기하여 출력되게 됨으로 출력 X1이 β 출력 X2가 α의 듀티이가 된다.Here, the switch R 2 is connected to the exclusive oragate 71, and is formed to invert the α / β instruction signal for each block address outputted from the waveform programator 35 by operation, and thus the AND gate 76 is connected to the α instruction signal. The inhibit gate 75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β indicating signal so that the output X 1 becomes a duty of α output X 2 .

스위치 R2는 후술하는 P 신호 및 그 반전신호 P가 각각 공급되는 인히빗드 게이트 80, 81에 접속되여 αβ를 분리하거나, 비분리 어느한 지시를 하는 것으로 조작시에는 인히빗트 게이트 80, 81로부터 출력을 얻게 되지 않으며, 따라서 인히빗트 게이트 77, 78로부터는 각각 모우드 지령에 의한 α,β별 듀티이를 표시하는 X1(α), X2(β)(단스위치 R1시에는 X1(β), X2(α)가 된다)신호가 취출된다.The switch R 2 is connected to the inhibit gates 80 and 81 to which the P signal and the inverted signal 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supplied, respectively, to separate αβ or to indicate non-separation, which is output from the inhibit gates 80 and 81 during operation. Therefore, X 1 (α) and X 2 (β) (where X 1 (β) at the time of switch R 1 ) indicating duty ratios by α and β by the mode commands from Inhibit Gates 77 and 78, respectively. , X 2 (α)) is extracted.

스위치 R2비조작시에는 인히빗트 게이트 80, 81에서는 각각 P신호,

Figure kpo00021
신호 (단, 후술하겠으나 중주지시에만 발생한다)가 출력되며 전술한 각 레지스터의 우수라인 메모리는 α로서, 기수라인 메모리는 β로 지시되게되며 이를 일람표로 이해하게 쉽게 표시한 것이 제21도이다.When the switch R 2 is not operated, the P signal,
Figure kpo00021
A signal (however, it will be described later, but generated only in the midpoint instruction) is outputted, and the even-line memory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registers is α, and the odd-line memory is indicated by β, and it is shown in FIG.

한편, 이 경우 스위치 R2, 및 다음에 설명하는 R3의 스위치 지정은 이루어 지지 않았을 경우를 표시한다. 또 스위치 R2에 의한 비분리지시는 중주시에만 유효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is case, the case where switch designation of the switch R 2 and R 3 described below is not made is shown. In addition, the non-isolated instruction by the switch R 2 is valid only in the middle period.

스위치 R3은 익스클시브 오아게이트 70에 접속되여 이것이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35로 블록마다 지정된 α/β지시신호는 반전하게 된다. 즉, 제21도시표에 있어서, α/β의 관계는 전적으로 반대가 된다.Switch R 3 IX is greater when the sheave Iowa doeyeo connected to the gate 70 this is operated, the α / β instruction signal assigned to each designation section 35 waveform program block is reversed. That is, in the twenty-first graph, the relationship of? /? Is completely reversed.

이와같이 αβ별주기 모두드 지정으로 옥타브 조작을 할수가 있고, 악음파형 듀티이가 변화하고 음색도 옥타브 마다 상이하게 할수가 있어 효과적인 기능이다.In this way, the octave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specifying the αβ period, and the sound wave type duty can be changed and the tone can be different for each octave, which is an effective function.

또 제21도의 α/β비 분리동작을 참작함에, 모우드 지정[6]의 경우는 α:β는 1:1.5의 주기가 되며 β는 α에 대하여 완전 4도 저음이 되며, 모우드 지정 7의 경우는 β는 α에대하여 주기는 2배가 되나, β의 파형은 α의 주기의 2/3배와 2배의 주기 합성을 생각할 수 있고 β는 α에 대하여 완전 5도 고성분과 옥타브 저성분음이 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α / β ratio separation operation of FIG. 21, in the case of mode designation [6], α: β has a period of 1: 1.5, and β becomes a perfect 4 degree bass with respect to α. Β is twice as long as α, but β's waveform is 2/3 times and twice as long as the period of α, and β is a full 5 degrees high and octave low component for α. .

이와 같이 상이한 파형간의 주기관계 M : N에 주기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합성할 파형 각기의 배음구조의 변화 및 이들 합성하여서 얻어진 상승 효과에 의한 배음구조의 변화에 따라서 보다 자연감을 갖는 경시변화를 갖는 효과적인 악음을 얻을 수가 있다.Since the period control can be performed in the periodic relationship M: N between the different waveforms as described above, the change in the harmonic structure of each waveform to be synthesized and the change in the harmonic structure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btained by the synthesis have a more natural change over time. Effective musical notes can be obtained.

제7도(b)에 있어서, 스위치 T1은 통상의 트레몰로(트로몰로평 이라함) 지시 스위치이고, T2는 조작중에만 트레몰로가 제어되는 텃치 트레몰로 지시스위치이며, 텃치트레몰로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트레몰로 평지시스우치를 개방하여 두는 것이다.In FIG. 7 (b), the switch T 1 is a conventional tremolo (referred to as tromoloflat) indicating switch, and T 2 is a quench tremolo indicating switch in which the tremolo is controlled only during operation, and the quench tremolo is instructed. The Tremolo Plains Sichuan is open.

스위치 T3, T4, T5는 트레몰로의 깊이 (진폭치라함)를 지시하는 스위치이고 순차로 최대 「1」 (100%의 깊이), 「1/2」(50%의 깊이), 「1/4」(25%의 깊이)를 지정할수 있다.The switches T 3 , T 4 and T 5 indicate the depth of the tremolo (called the amplitude value) and are sequentially maximal "1" (100% depth), "1/2" (50% depth), "1" / 4 "(25% depth).

스위치 T1혹은 T2의 지정신호는 오아게이트 82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83-1~83-3에 공급되기 위하여, 지정된 진폭치의 출력 지시 신호가 취출되여 트레몰로 제어회로 84에 공급된다.The designated signal of the switch T 1 or T 2 is supplied to the tremolo control circuit 84 by outputting an output instruction signal having a specified amplitude value so as to be supplied to the AND gates 83-1 to 83-3 via the oragate 82.

이리하여, 앤드게이트 83-1~83-3은 오아게이트 84-1 혹은 84-2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84-3, 84-4에 부여된다. 또, 앤드게이트 83-2의 출력은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64」웨이트 출력이 결합될 앤드게이트 84-5를 개하여 오아게이트 84-6, 앤드게이트 84-7에 공급된다.Thus, the AND gates 83-1 to 83-3 are provided to the AND gates 84-3 and 84-4 by opening the oragate 84-1 or 84-2. The output of the AND gate 83-2 is supplied to the OR gate 84-6 and the AND gate 84-7 through the AND gate 84-5 to which the "64" weight output of the envelope register 54 is coupled.

따라서 디케이상태 및 리리스 상태에서는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웨이트「16」은 항상 "1"가 된다.Therefore, the weight " 16 " of the envelope register 54 is always " 1 " in the decay state and the lease state.

다시 리리스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를 검출하는 앤드게이트 84-8출력은 전술한 앤드게이트 84-3에 부여되여져 있고, 그 출력은 후술하는 맨드린 지정이외로 개방 가능한 인히빗트 게이트 84-9를 개하여 오아게이트 84-10에서 출력신호로서 취출됨으로, 인히빗트게이트 84-7은 리리스 상태에서는 벌리지 않으며, 인히빗트게이트 84-11이 개방 가능하게 된다.The AND gate 84-8 output which detects the state of detecting the lease state again is provided to the AND gate 84-3 described above, and its output opens an inhibit gate 84-9 which can be opened other than the mandrin designation described later. By being taken out as an output signal from the oragate 84-10, the inhibit gate 84-7 does not open in the lease state, and the inhibit gate 84-11 can be opened.

한편, 트레몰로 지시에서는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64」웨이트의 출력이 앤드 게이트 84-4에 공급되며, 그 출력은 오아게이트 84-12를 개하여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69」웨이트에 항상「1」신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00」의 크리어 상태는 되지 않으며, 디케이 상태와 리리스 상태의 반복이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tremolo instruction, the output of the " 64 " weight of the envelope register 54 is supplied to the AND gate 84-4, and the output is always connected to the " 69 " weight of the envelope register 54 by opening the oragate 84-12. In order to supply the "1" signal, the clear state of "00" is not set, and the decay state and the lease state are repeated.

앤드 게이트 83-3의 출력은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웨이트 「64」출력이 부여되여 앤드게이트 84-13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84-14, 84-15에 부여됨과 동시에 인히 빗트게이트 84-16에도 공급된다. 이 인히빗트 게이트 84-16은 인히빗트 게이트 84-17과 같이 리리스 상태에서는 벌리지 않고, 이 상태에서는 인히빗트 게이트 84-17, 84-8이 개방 가능하게 된다. 또 엔제로우브 레지스터 45웨이브 「32」의 출력은 후술하는 트레몰로 발지시(撥指示)스위치 T6의 경우에만 유효한 앤드게이트 84-19가 결합될 인히빗트 게이트 84-20을 개하여, 다시 인히빗트 게이트 84-21에 부여된다. 즉, 인히빗트 게이트 84-21에는 앤드 게이트 84-42로 부터의 게이트 출력금지 신호가 인가되어 있음으로 트레몰로 지시에서는 벌리지 않고 "0"출력이 된다. 따라서 엔베로우브 상태 검출회로 73은 인히빗트게이트 73-3디게이상태의 출력신호 만이 취출되지 않는다. 즉, 트레몰로 지시 스위치 T1, T2에 있어서는, 엔베이로우브 레지스터 54의 엔베로우브 계수치는 음량 곡선 형식 (제13도 참조)에 맞추어 진폭치 1/1, 1/2, 1/4의 깊이 지시에 따라 제22도에서 제24도시와 같은 예가 된다.The output of the AND gate 83-3 is given the weight "64" output of the envelope register 54, is opened to the OR gates 84-14 and 84-15 by opening the AND gate 84-13, and also to the bit gate 84-16. Supplied. This inhibit gate 84-16 does not open in a release state like the inhibit gate 84-17, and in this state, the inhibit gates 84-17 and 84-8 can be opened.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Narrow Lobe register 45 wave "32" is opened by the Inhibit Gate 84-20 to which the AND gate 84-19, which is effective only in the case of the Tremolo triggering switch T 6 described later, is combined. Is given to gates 84-21. That is, since the gate output prohibition signal from the AND gate 84-42 is applied to the inhibit gates 84-21, the output becomes "0" without being widened in the tremolo instruction. Therefore, in the envelope state detection circuit 73, only the output signal of the inhibit gate 73-3 deg. State is not taken out. That is, in the tremolo indicating switches T 1 and T 2 , the envelope coefficients of the envelope register 54 have amplitude values of 1/1, 1/2, and 1/4 according to the volume curve form (see FIG. 13). According to the depth indication, an example is shown in FIG. 22 to FIG. 24.

한편, 제13도에서의 음량 곡선형식 ①, ④, ⑤에 대하여는 트레몰로는 제한되지 않는다. T6은 트레몰로 발지시 스위치로서, 이의 조작되면 앤드게이트 84-19로 부터는 리리스상태로, 또 엔베우브지스터 54가 「16」이상이 되는 조건으로 출력되는 인히빗트 게이트 84-22의 출력신호가 통과하게 된다. 다시,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00」의 크리어 상태가 상태검출회로 73의 인버어티이드 앤드게이트 73-1로 검출되면, 인히빗트 게이트 73-5, 오아게이트 73-6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72-15에 리리스 지시신호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따라서 리리스 상태에서의 전반은 후술하는 디케이 클록신호로 동작하고 결국 제25도(a,b)도시와 같이 (단, 트레몰로 깊이 1/1지정의 경우)음량 곡선형식에 맞춘 발현 움직인 트레몰로가 되며, 효과적인 기능이 되는 것이다. 텃치 트레몰로 지시스위치 T2는 트레몰로 형 지시스위치 T1을 미리 오프상태로 하여 두었을 때에 유효하며, 조작중에만 트레몰로 효과를 얻는 것이다.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의 「32」, 「64」웨이트 단의 출력상태에 의하여, 인히빗트 게이트 85로 어택 상태 검출신호 ⓐ를, 인히빗트 게이트 86으로 디케이 상태 검출신호 ⓓ를 앤드 게이트 87과 인히빗트 게이트 88의 직렬회로로서 리리스 검출신호 ⓨ를, 전술한 인버어티이드 게이트 66-6의 출력으로 하여 리리스 검출신호 hr를, 앤드게이트 89와 90의 직렬회로에 의하여 스로우 리리스 검출신호 Sr를 취출하게 된다. 또, 91은 하이리리스 지정의 동기 셋트 레지스터 이며, 1빗트의 라인 메모리를 8본을 갖이며, 시프트펄스ø0로 시프트동작을 한다.On the other hand, tremolo is not limited to the volume curve forms ①, ④, and ⑤ in FIG. T 6 is a switch when tremolo is released. When it is operated, the output signal of the inhibit gate 84-22, which is output in the lease state from the AND gate 84-19, and the condition that the envelope resistor 54 becomes "16" or more, passes through. Done. If the clear state of "00" in the envelope register 54 is detected by the inverted end gate 73-1 of the state detection circuit 73, the inhibit gate 73-5 and the ora gate 73-6 are opened to open the end gate 72. -15 is outputted as a release instruction signal. Therefore, the first half of the lease state operates as a decay clock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and eventually becomes a tremolo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volume curve form as shown in FIG. 25 (a, b) (in the case of specifying the tremolo depth 1/1). To become an effective function. The quench tremolo instruction switch T 2 is effective when the tremolo type instruction switch T 1 is turned off in advance, and the tremolo effect is obtained only during operation. Depending on the output state of the 32 and 64 weight stages of the envelope register 54, the attack state detection signal ⓐ is applied to the inhibit gate 85 and the decay state detection signal ⓓ to the inhibit gate 86 is inhibited from the AND gate 87. As the serial circuit of the gate 88, the lease detection signal c is the output of the inverted gate 66-6 described above, and the lease detection signal hr is taken out by the series circuit of the AND gates 89 and 90. . Further, 91 is a synchronous reset of the register specified ririseu high, and the line memory 1 has the bitteu 8 present, and the shift operation by the shift pulse ø 0.

이리하여 하이리리스 hr는 연주키의 오프시 (특히 올겐음과 같은 정착음 지정시)의 클록음 방지를 위한 비교적 빠른 감쇄를 의미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후술 hr셋트 신호는 출력됨과 동시에 그신호는 오아게이트 92를 개하여 입력지시 신호가 없을시는 벌어지는 인히빗트 게이트 93및 제7도 (a)에서의 앤드게이트 62의 반전신호로 벌어지는 인히빗트 게이트 94를 개하여 하이리리스등기 셋트 레지스터 91에 입력된다.In this way, the high-lith hr means a relatively fast attenuation for preventing the clock sound when the playing keys are off (especially when specifying a settling tone such as an organ sound). The hr set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is outputted, and the signal is opened by the inverted signal of the inhibit gate 93 and the inverted signal of the AND gate 62 in FIG. 7 (a). The gate 94 is opened and input to the high-list register set register 91.

인히빗트게이트 93의 출력신호는 앤드게이트 62의 출력신호 (「0」블록 어드레스 신호 발생시의 가산타이밍)에 동기하여 앤드 게이트 95, 엔베로우브 상태의 「00」이외의 상태로 게이트가 벌어지는 인히빗트 게이트 96, 오아게이트 64및 오아게이트 65를 개하여 엔베로우브클록용 동기 셋트 레지스터 53에 입력셋트하여 하이리리스 동작을 하게 된다. 이상은 본 시스템의 심장부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어서 제7도(a), (b), (c), (d)의 회로 구성을 제어하는 타이밍 관계, 엔베로우브제어용 각종 클록신호, 중주 제어신호, 연주키군, 키입력 제어등에 대하여 제26도의 도면 접속상태에 있는 제27도(a)(b)회로 구성도를 설명한다. 원 클록 발생기 100에서 출력되는 기본 클록신호 ø0(에 2 7 2 5 20 Hz)는 제7도(a) 및 (d)의 레지스터 20, 21, 34, 53, 54를 구성하고 있는 8본의 라인 메모리 1순환에 상당한 계수를 하는 라인 카운터 101에 공급된다. 이 라인 카운터 101은 3빗으로 8진 바이너리 계수 동작을 하는 것으로, 각 빗트단의 출력 제28도(ⓐ) 참조)은 제어타이밍 발생회로 102에 공급하여서 된다. 이 제어 타이밍 발생회로 102에는 중주지시스위치 W에서의 W1(비중주지시), W2(2중주지시), W3(4중주지시) 접점위시의 각 지시신호가 공급되여 있고, 따라서 출력ⓐ에는 인하빗트 게이트 102-1, 인버어티이드 앤드 게이트 102-2를 개하여 출력신호가, 비중주시시에서는 오아케이트 102-3, 102-4를 개하여 출력ⓓ에 「1」 산호 및 오아게이트 102-5, 102-6을 개하여 출력 ⓒ에 「1」신호가 출력된다. 또 2중주 지시에는 앤드 게이트 102-7, 오아게이트 102-3, 102-4를 개하여 출력 ⓓ에 제28도 (c)에 도시한 출력신호가 얻어진다. 4중주 지시에서는 앤드게이트 102-10, 102-11, 오아게이트 102-4를 개하여 출력 ⓟ에서 제28도(d)에 도시한 출력 신호가, 또 인히빗트 게이트 102-12, 102-13 오아게이트 102-6을 개하여 출력 ⓒ에서 제28도(d)에 도시한 출력 신호가 발생한다. 중주지시스위치 W의 접점 W4의 8중주 지시신호, 4중주 지시신호, 2중주 지시신호 및 라인 카운터 101의 각 빗트단 출력은 중주 타이밍 신호 발생회로 103에 공급된다.The output signal of the inhibit gate 93 is an inhibit signal whose gate is opened in a state other than the AND gate 95 and the envelope state "00" in synchronization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AND gate 62 (addition timing when the " 0 " block address signal is generated). The gate 96, oragate 64 and oragate 65 are opened and input set to the sync set register 53 for envelope clock to perform high-rising operation. Although the above has described the configuration which is the heart of the system, the timing relationship for controll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s. 7 (a), (b), (c), and (d), various clock signals for envelope control, and quartet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s of Fig. 27 (a) (b) in Fig. 26 connected to Fig. 26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signal, the playing key group, the key input control, and the like. The basic clock signal ø 0 (at 2 7 2 5 20 Hz) output from the one-clock generator 100 is composed of eight components constituting registers 20, 21, 34, 53, and 54 of FIGS. 7A and 7D. It is supplied to the line counter 101 which has a significant count on one cycle of the line memory. The line counter 101 performs an octal binary counting operation with three combs. The output of each bit end (see FIG. 28A) is supplied to the control timing generation circuit 102. FIG. The control timing generation circuit 102 is supplied with the respective instruction signals of the W 1 (non-weighted instruction), W 2 (doubled instruction), and W 3 (quadrant instruction) contact wishes at the middle command switch W. Inverted gate 102-1 and inverted and gate 102-2 are used for output signal. In non-weighted case, open signals 102-3 and 102-4 are used to output “1” coral and oragate 102 at output ⓓ. The signal " 1 " In addition, the AND signal 102-7, the oA gates 102-3, and 102-4 are opened for the duplex instruction, and the output signal shown in FIG. In the quartet instruction, the AND gates 102-10, 102-11, and oragate 102-4 are opened, and the output signals shown in FIG. The output signal shown in Fig. 28 (d) at the output? Is generated by opening the gate 102-6. Quartet each comb teudan output of the indication switch contact W W 4 8 quartet instruction signal, quartet instruction signal, second instruction signal, and quartet of line counter 101 is supplied to a circuit 103. The timing signal generating quartet.

이리하여 오아게이트 103-1에는 4중주 지시신호 혹은 8중주 지시신호가, 오아게이트 103-2에서는 중주유(2, 4, 8 중주 어떤 지시에서도 출력된다) 신호가 출력된다.Thus, the quartet instruction signal or the quartet instruction signal is output to the oragate 103-1, and the middle oil (output from any instruction of 2, 4, or quintet) is output from the oragate 103-2.

이 오아게이트 103-2의 중주 유신호은 앤드게이트 103-3, 인히빗트 게이트 103-4에 공급됨으로 라인 카운터 101의 웨이트 「1」출력신호는 제28도(c)의 도시와 같이 P신호,

Figure kpo00022
신호로서 각 게이트에서 출력되며 제7도(c)의 인히빗트게이트 80, 81에 인가하게 된다. 또 오아게이트 103-2에서 출력되는 중주유신호는 앤드게이트103-5에 공급됨으로 그 출력에서 라인카운터 101의 웨이트「1」출력신호가 취출되며 오아게이트 104를 개하여「+1」지령신호로서 출력된다.The middle circumferential oil signal of the oragate 103-2 is supplied to the AND gate 103-3 and the inhibit gate 103-4, so that the weight "1" output signal of the line counter 101 is a P signal, as shown in FIG.
Figure kpo00022
The signal is output from each gate and applied to the inhibit gates 80 and 81 of FIG. In addition, the heavy fuel oil signal output from the OA gate 103-2 is supplied to the AND gate 103-5, and the weight “1” output signal of the line counter 101 is taken out from the output, and the OA gate 104 is opened and output as a “+1” command signal. do.

또 오아게이트 103-1 출력은 앤드 게이트 103-6에 공급됨으로 라인카운터 101의 웨이트 「2」에서의 출력신호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 103-7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103-8에 공급된다.The output of the OA gate 103-1 is supplied to the AND gate 103-6, so that the output signal from the weight "2" of the line counter 101 is outputted, and the OA gate 103-7 is opened and supplied to the OA gate 103-8.

또 2중주 지시신호는 인히빗트 게이트 103-9에 공급되여 그 출력에서 라인카운터 101의 반전신호가 취출되며 오아게이트 107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103-8을 인가된다. 다시 오아게이트 103-8을 인가된다. 다시 오아게이트 103-2에서 출력되는 중주유신호는 오아게이트 103-10을 개하여 반전출력신호로서 오아게이트 103-8에 인가된다.The duo indication signal is supplied to the inhibit gate 103-9, and an inverted signal of the line counter 101 is taken out from the output thereof, and the oragate 103-8 is applied by opening the oragate 107. Again Oagate 103-8 is applied. The heavy fuel oil signal output from the oragate 103-2 is applied to the oragate 103-8 as the inverted output signal by opening the oragate 103-10.

또 이 오아게이트 103-10에는 비브라아모 지정스위치 B의 조작신호가 인가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vibramo designation switch B is applied to this oragate 103-10.

즉, 오아게이트 103-8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105를 개하여 2중주, 4중주지시에 의하여 제28도(b)의 (g), (i)에 도시한 출력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at is, the output of the OA gate 103-8 outputs the output signals shown in (g) and (i) of FIG.

또, 8중주지시신호가 앤드게이트 103-11에 공급되면 라인카운터 102의 웨이트 「4」의 출력신호는 이 앤드게이트 103-11에서 출력되며, 오아게이트 106을 개하여 제28도(b)의(k)에 도시한 신호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제28도 (b)의(f), (g)도시한 타이밍신호는 2중주지정시에 각각 오아게이트 104, 105에서 출력되며, 제28도(b)의(h), (i) 도시한 타이밍 신호는 4중주 지정시에 각각 오아게이트 104, 105에서 출력되며, 다시 제28도(b)의 (J), (K)(I), 도시한 타이밍신호는 8중주 지정시에 각각 오아게이트 104-106에서 출력되며 제7도(a)도시한 앤드게이트 97-1~97-3에 인가되여 「0」블록어드레스신호에 동기하여 추가수치로서 아더 40에 공급하게 된다.When the octet command signal is supplied to the AND gate 103-11, the output signal of the weight " 4 " of the line counter 102 is outputted from the AND gate 103-11. It is output as a signal shown in (k). Therefore, timing signals shown in (f) and (g) of FIG. 28 (b) are output from the oragates 104 and 105 at the time of the assignment of the duo, respectively, and (h) and (i) of FIG. 28 (b). One tim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orifices 104 and 105 at the time of the quartet designation, and (J), (K) (I) and the timing signal shown in FIG. It is output from the gates 104-106 and applied to the AND gates 97-1 to 97-3 shown in Fig. 7A, and is supplied to Arthur 40 as an additional valu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 0 " block address signal.

즉, 중주 지시의 전기추가 가수치는 각 라인 메모리에 주파수미차를 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That is, the electric addition mantissa of the quintet instruction is used to load the frequency difference to each line memory.

전술한 제어타이밍 발생회로 102에서 출력되는 전술한 출력 ⓐ, ⓑ, ⓒ의 타이밍 신호는 입력 제어회로 107에 공급됨과 동시에 출력 ⓐ에서의 타이밍신호는 제27도(b)의 옥타브 카운터 108에도 공급된다.The timing signals of the above-described outputs ⓐ, ⓑ, and ⓒ output from the control timing generation circuit 102 are supplied to the input control circuit 107 and the timing signals from the output ⓐ are also supplied to the octave counter 108 in FIG. 27 (b). .

즉, 이 옥타브 카운터 108은 8ø0의 8라인 타임마다 계수 보진 되는 3빗트 8진이 바이나리 카운터 이고, 그 중하위 2빗트 (웨이트 「1」, 「2」가 4옥타브의 코오드 상태로서 제7도(a) 옥타브 입력코오드가 된다.(제20도(a)의 (a) 참조)In other words, this octave counter 108 is a binary counter with a 3-bit octal, which is counted every 8-line time of 8 ° 0 , and the lower and lower 2-bits (weights "1" and "2" are four-octave coded states. (a) An octave input code (see (a) in Figure 20 (a)).

이 옥타브 카운터 180의 3빗트의 각단출력은 동기 신호 발생회로 109에 공급됨과 동시에 데코오드 110에도 부여된다. 이리하여 이 3빗트의 올「0」계수상태가 인버어티이드 앤드게이트 1089-1, 인히빗트 게이트 109-2에 의하여 검출되며, 검출 출력 ⓑ로서 제29도(a)의 (b)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취출되며 음계 카운터 110에 계수 보진 신호로서 인가된다.Each 3-bit output of the octave counter 180 is su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109 and also provided to the decoder 110. Thus, the three-bit all-zero count state is detected by the inverted end gate 1089-1 and the inhibit gate 109-2, and the timing shown in (b) of FIG. 29 (a) as the detection output? The signal is taken out and applied to the scale counter 110 as a count complement signal.

이 음계 카운터 111은 하위 2빗트가 3진 바이나리 계수기로서 되며, 그 캐리로서 상위 1빗트 2진 계수기를 동작시키는 것이다.(제29도(a)의 (C) 참조)In this scale counter 111, the lower 2-bit is used as a ternary binary counter and the upper 1-bit binary counter is operated as the carry (see (C) of FIG. 29 (a)).

또 실제는 카운터 108의 최 상위 빗트와의 조합 4빗트로음계 카운터를 구성하고, 따라서 이 4빗트 출력이 제7도 (a)의 임계 입력 코오드가 되는 것이다.In practice, a four-bit scale counter is combined with the highest bit of the counter 108, and thus the four-bit output becomes the threshold input code of Fig. 7A.

이 카운터 111은 동기 신호 발생회로 109에 공급됨과 동시에 데코오드 112에도 인가된다.The counter 111 is su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109 and also to the decoder 112.

데코오드 110의 출력 ①~⑧의 8출력으로 부터는 제29도(b)의 (d)도시한 바와 같은 상이한 타이밍신호가 출력되여 연주키군 113의 8본 종 라인에 인가된다. 이 연주키군 113은 48개 연주키는 매트릭스 상으로 배치되어 6본의 출력라인은 키조작 타이밍 검출회로 114의 앤드게이트 114-1~114-6에 각각 공급하게 된다.From the outputs 1 to 8 of the decoder 110, different timing signals as shown in (d) of FIG. 29 (b) are output and applied to the eight main lines of the playing key group 113. In the playing key group 113, 48 playing keys are arranged in a matrix, and six output lines are supplied to the end gates 114-1 to 114-6 of the key operation timing detection circuit 114, respectively.

이 앤드게이트 114-1∼114-6에는 데코오드 112의 출력

Figure kpo00023
에서 발생하는 상이한 6개의 타이밍신호(제29도(b)의 (e)참조)가 각각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outputs of decoder 112 are provided at the AND gates 114-1 to 114-6.
Figure kpo00023
Six different timing signals (see (e) of FIG. 29 (b)) generated at s are combined sequentially.

이리하여 앤이게이트 114-1~114-6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114-7~114-11 직렬회로에 의하여 그 출력에서 48개 연주키중 조작된 대응키 입력타이밍신호가 취출되며 입력제어회로 107의 키입력 F/F 107-1에 입력된다. 동기신호 발생회로 109에서 출력되는 타이밍신호는 카운터 108, 111의 계수 상태에 맞추어검출하게 되며, 출력(e)로 부터는 제29도(b)의 (f)로 시한 타이밍신호가 인히빗트 게이트 109-3~109-5를 사용 검출되며, 출력 ⓕ에서는 제29도(b)의 (g) 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인버어티이드 앤드게이트 109-1, 인히빗트 게이트 109-2, 109-7, 109-8을 사용, 검출한다.Thus, the output of ANGATE 114-1 to 114-6 is outputted by the OAGATE 114-7 ~ 114-11 serial circuit, and the corresponding key input timing signal operated out of the 48 playing keys is outputted from the output circuit. It is input to key input F / F 107-1 of. The timing signal output from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109 is det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ounting state of the counters 108 and 111, and the timing signal timed by the (f) of FIG. 3 to 109-5 are detected, and in the output ⓕ, the timing signal shown in (g) of FIG. 29 (b) is inverted and gate 109-1, inhibit gate 109-2, 109-7, and 109-. Use 8 to detect.

다시 출력 ⓠ에서는 제29도(b)의 (h)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앤드게이트 109-9, 인히빗트 게이트 109-10, 109-11을 사용, 검출되며, 출력 ⓗ에서는 카운터 111의 S4출력신호가, 출력 ①에서는 제29도(b)의 (i)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인히빗트 게이트 109-12를 사용, 검출되며 출력 1에서는 제29(b)의 (j)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앤드게이트 109-13, 인히빗트 게이트 109-14를 사용, 검출하여 각각 출력되는 것이다.Again output ⓠ in claim 29 also (b) (h) shown a timing signal that AND gate 109-9, inhibit bitteu gate 109-10, 109-11 use, is detected, the output S 4 ⓗ the output of the counter 111 of the At the output ①, the timing signal shown in (i) of FIG. 29 (b) is detected using the inhibit gate 109-12, and the output signal 1 (j) of (29) in the output 1 is detected. The gates 109-13 and Inhibit gates 109-14 are used for detection and output.

각종 클록시간 발생회로 115의 시프트 레지스타 115-1은 241빗트로 다이나믹하게 동작하는 것으로 제어타이밍발생회로 102의 출력 ⓐ에서의 8라인 타임마다 클록신호에 의하여 시프트 된다.The shift register 115-1 of the various clock time generation circuits 115 operates dynamically at 241 bits and is shifted by the clock signal every eight line times at the output? Of the control timing generation circuit 102.

따라서 이 시프트 레지스터 115-1의 1순환은 전술한 카운터 108의 8진 카운터 111의 3진과의 계 24진에 동기하는 것이다.Therefore, one cycle of the shift register 115-1 i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otal 24 digits of the ternary number of the octal counter 111 of the counter 108 described above.

이 시프트 레지스터 115-1은 8빗트 단위로 제1계수부, 제2계수부, 제3계수부의 독립한 계수부를 갖고 있으며 제1계수부 및 제2계수부는 비브라아토 및 엔베로우브 타임 클록신호발생을 위하여 사용되며, 제3계수부는 후술하는 신키 있을시의 소정 시간의 타임 계수에 사용된다.The shift register 115-1 has independent counting portions of the first coefficient portion, the second coefficient portion, and the third coefficient portion in 8-bit units, and the first coefficient portion and the second coefficient portion are vibrato and envelope time clock signals. It is used for the generation, and the third coefficient part is used for the time coefficient of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re is a new key to be described later.

기본적으로는 제1계수부는 동기신호 발생회로 109출력 ①타이밍신호 (제29도 (b) 참조)로 동작하는 8빗트 바이나리카운터 이고, 제2계수부는 출력 ⓗ에서의 타이밍신호를 동작하는 2빗트가 3진 카운트 하는 8빗트의 바이나리 카운터, 제3계수부는 출력 ⓔ에서의 타이밍신호로 동작하는 8빗트 바이나리 카운터이다.Basically, the first coefficient unit is an 8-bit binary counter operating as a timing signal (see Fig. 29 (b)), and the second coefficient unit is a 2-bit operating timing signal at output ⓗ. An 8-bit binary counter that counts ternary numbers, and the third coefficient unit is an 8-bit binary counter that operates as a timing signal at the output ⓔ.

이리하여 이 시프트 레지스터 115-1의 출력 d, 에서의 출력신호는 오아게이트를 개하여 아더 115-3에 공급되며, 다시, 그 출력은 시프트레지스터 115-1의 입력측에 순환되게 된다.Thus, the output signal at the output d, of this shift register 115-1 is supplied to Arthur 115-3 by opening an oragate, and the output is circulated to the input side of the shift register 115-1.

또 아더 115-3에서 캐리신호는 캐리 F/F 107-2를 개하여 인히빗트 게이트 115-4에 인가된다. 이 인히빗트 게이트 115-4는 동기신호 발생회로 109의 출력(i)타이밍신호 발생시에 출력 금지하게 되는 것으로 그 출력은 오아게이트 115-5를 개하여 아더 115-3에 인가된다.In addition, the carry signal is applied to the inhibit gate 115-4 through the carry F / F 107-2 at Arthur 115-3. This inhibit gate 115-4 is to be prohibited from output when the timing signal (i)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 109 is generated. The output is applied to the Arthur 115-3 by opening the oragate 115-5.

또 출력(i) 타이밍신호는 인히빗트 게이트 115-5을 개하여 오아게이트 115-5에도 입력된다. 시프트 레지스터 115-1의 출력 d2는 인버어티드앤드 게이트 115-7, 인히빗트 게이트 115-8, 출력 d3는 인히빗트 게이트 115-9 및 앤드게이트 115-10에, 출력 d4는 인히빗트 게이트 115-11 및 앤드 게이트 115-12에 출력 d5는 인히빗트게이트 115-13 및 앤드게이트 115-14에, 출력 d6은 인히빗트 게이트 115-15 및 앤드게이트 115-16에, 출력 d7은 앤드게이트 115-17에 인가된다The output (i) timing signal is also input to the oragate 115-5 through the inhibit gate 115-5. Output d 2 of shift register 115-1 is inverted and gate 115-7, inhibit gate 115-8, output d 3 is inhibit gate 115-9 and endgate 115-10, and output d 4 is inhibit Output d 5 to gate 115-11 and end gate 115-12 to inhibit gate 115-13 and to gate 115-14, output d 6 to inhibit gate 115-15 and to gate 115-16, output d 7 Is applied to ANDGATE 115-17

또 인버어티이드앤드 게이트 115-7, 인히빗트 게이트 115-9, 115-11, 115-13, 115-15에는 각각 순차전단게이트 115-10, 115-12, 115-14, 115-16, 115-17이 인가되며 각 앤드게이트의 출력은 완숏트의 클록(8ø0타임폭)으로서 취출되는 것이다.Inverted End Gates 115-7, Inhibit Gates 115-9, 115-11, 115-13, and 115-15 are sequentially cut-off gates 115-10, 115-12, 115-14, 115-16, and 115-15, respectively. -17 is applied and the output of each AND gate is taken out as a fully shorted clock (8 ° 0 time width).

또 인히빗트 게이트 115-8에는 출력 d1이 인가되며, 그 출력은 앤드게이트 115-18에 공급된다,In addition, the output d 1 is applied to the inhibit gate 115-8, and the output is supplied to the AND gate 115-18.

이 앤드게이트 115-18에는 전술한 동기신호 발생회로 109출력 ①타이밍신호가 인가되며 오아게이트 115-2를 개하여 아더 115-3에 인가된다.The above-described synchronous signal generating circuit 109 output timing signal is applied to the AND gate 115-18, and is applied to the order 115-3 by opening the OR gate 115-2.

즉, 계2수부의 하2빗트의 3진 카운트의 제어를 하는 것이다.That is, the ternary count of the lower two bits of the coefficient part is controlled.

시프트 레지스터 115-1 출력 d1은 앤드게이트 114-19에, 앤드게이트 115-14출력은 앤드게이트 115-20에 인가되며, 이들 출력은 전술한 동기신호 발생회로 108출력 타이밍신호에 동기하여 체트링 방지용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플립플롭 115-21(디레이무)에 각각 리셋트 또는 셋트 신호로서 공급된다.The shift register 115-1 output d 1 is applied to the AND gate 114-19, and the AND gate 115-14 output is applied to the AND gate 115-20, and these outputs are chatter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timing signal 108 output timing signal. It is supplied as a reset or set signal to flip-flops 115-21 (delays) for determining the prevention time, respectively.

따라서 116은 비브라아트클록선낵회로이고 앤드게이트 116-1에는 앤드게이트 116-10에서의 타임클록신호가, 앤드게이트 116-2에는 앤드게이트 115-12에서의 타임 클록신호가 결합되며 이들 앤드게이트 116-1, 116-2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116-3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116-4, 인히빗트 게이트 116-5에 결합된다.Thus, 116 is a vibra art clock line circuit, and the AND gate 116-1 is coupled with the time clock signal at AND gate 116-10, and the AND gate 116-2 is coupled with the time clock signal at AND gate 115-12. The outputs of 116-1 and 116-2 are coupled to AND gate 116-4 and inhibit gate 116-5 by opening orifice 116-3.

다시 인히빗트 게이트 116-5의 출력은 전기 동기신호 발생회로 109출력 ⓕ 타이밍신호가 인가될 앤드게이트 116-6에, 앤드 게이트 116-4의 출력은 출력 ⓑ타이밍신호가 인가될 앤드게이트 116-7에 공급되여 이들 앤드게이트 116-6, 116-7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116-8을 개하여 비브라아모클록신호øB로서 출력된다. 즉, 이비브라아토 클록신호 øB는 비브라아토클록 선택스위치 SA, SB선택 지정에 의하여 상이한 타임클록신호가 되는 것이다. SA스위치는 제30도에서와 같이 시프트레지스터 115-1의 제1계수부에서 정해지는 타임클록신호를 취출하는 것인가, 제2의 계수부에서 정하는 타임클록신호를 취출하는 것인가를 지정하는 것이다.Again, the output of the inhibit gate 116-5 is an AND gate 116-6 to which the timing signal of the electrical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109 is applied, and the output of the AND gate 116-4 is an AND gate 116-7 to which an output ⓑ timing signal is applied. the output of these aND gates doeyeo 116-6, 116-7 supply is output to one of Iowa gate 116-8 non bra as amorphous clock signal ø B. In other words, the Ibibrato clock signal? B becomes a different time clock signal by vibratoclock selection switches S A and S B selection designation. As shown in FIG. 30, the S A switch designates whether to extract the time clock signal determined by the first coefficient unit of the shift register 115-1 or the time clock signal determined by the second coefficient unit.

이리하여 비브르아토 클록신호 øB는 제28도(a)에서의 8진 바이나리 카운터 117의 계수보진 신호로서인가 된다. 이 카운터 117은 각 출력단에서 제31도(a) 신호를 발생하고 비브라아토 제어회로 118에 인가된다.In this way, the vibrator clock signal? B is applied as the count compensation signal of the octal binary counter 117 in FIG. This counter 117 generates the signal of Fig. 31A at each output stage and is applied to the vibrato control circuit 118.

그리고, 이 계수상태에 의하여 출력 e1에는 제31도(b)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인히빗트 게이트 118-1, 앤드게이트 118-2에 의하여 검출되며, 출력 e2에는 제31도(c)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인히빗트 게이트 118-3 앤드게이트 118-4에 의하여 검출되며, 출력 e3에는 제31도(d)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앤드게이트 118-5, 118-6에 의하여 검출되며, 출력 e4에는 제31도(e)도시한 타이밍신호는 인버어티이드앤드게이트 118-7, 앤드게이트 18-8에 의하여 검출되며, 출력 e5에는 제31도 (f) 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인히빗트 게이트 118-9에 의하여 검출되며, 다시 출력 e6에는 제31도(g) 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인히빗트 게이트 118-10에 의하여 검출된다. 결국 출력 e7에서 제31도(h)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출력 e1, e2, e3의 오아를 취하는 오아게이트 118-10, 118-11의 직렬회로에 의하여 검출되며, 출력 e8에서는 제31도(i)도시한 타이밍신호가 출력 e1, e2, e5의 논리화를 취할 오아게이트 118-13, 118-14의 직렬회로에 의하여 검출하게 된다.And, output by the coefficient e 1, the state 31 view (b) showing the timing and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inhibitor bitteu gate 118-1, AND gate 118-2, and the output e 2 is the Fig. 31 (c) showing and a timing signal is detected by the inhibitor bitteu gate 118-3 aND gate 118-4, and the output e 3 is 31 degree (d) is a timing signal showing detected by the aND gate 118-5, 118-6, and the output In e 4 , the timing signal shown in FIG. 31 (e) is detected by the inverted and gates 118-7 and AND gate 18-8, and in the output e 5 , the timing signal shown in FIG. 31 (f) is suppressed. detected by the gate 118-9, and, again, the output e 6 31 FIG. (g) is detected by a timing signal shown by the inhibitor bitteu gate 118-10. In the end the output e 7 31 FIG. (H) shown a timing signal is output e 1, e 2, Iowa gate 118-10, and is detected by a series circuit of 118-11 takes the Iowa e 3, e output in the 8 The timing signal shown in Fig. 31 (i) is detected by the series circuits of the OR gates 118-13 and 118-14 which take the logic of the outputs e 1 , e 2 , and e 5 .

따라서 출력 e7, e8, e4의 타이밍신호는 비브라아로 지정스위치 B조작 지정시에 앤드게이트 118-15~118-17, 오아게이트 104-105를 개하여 제7도(a)에서의 「0」 블록신호가 공급될 앤드게이트 97-1~97-3에 출력되는 것이다. 즉 비브라아로 지시시에는 카운터 117의 카운터치에 따라서 ΔP1, ΔP2, ΔP4가 출력된다. 119는 제7도(d)의 인히빗트 게이트 63에 인가될 엔베로 우브 클록은 선택하는 엔베클록 세렉트회로이다. AR, RB는 리리스 상태에의 타임클록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 DA, DB는 디케이 상태에의 타임클록 신호를 선택하는 스위치 RC는 스로우 리리스 클록신호의 선택 스위치이고, 또 OA는 올겐음적(정상음) 엔베로우브 지정스위치 이다.Therefore, the timing signals of the outputs e 7 , e 8 , and e 4 are Vibraa, and the AND gates 118-15 to 118-17 and OA gate 104-105 are opened at the time of designation of the switch B operation. The " 0 " block signal is output to the AND gates 97-1 to 97-3 to be supplied. That is, when instructing Vibraa, ΔP 1 , ΔP 2 , and ΔP 4 are output according to the counter value of the counter 117. 119 is an envelope clock select circuit for selecting an envelope clock to be applied to the inhibit gate 63 of FIG. AR and RB are switches for selecting the time clock signal in the lease state. DA and DB are switches for selecting the time clock signal in the decay state. RC is a select switch for the slow release clock signal, and OA is an alleged sound (normal sound). Envelope designation switch.

전술한 앤드게이트 115-12에서 출력되는 타임클록신호는 앤드게이트 119-1~119-3에, 앤드게이트 115-14에서 출력되는 타임클록신호는 앤드게이트 119-4∼119-6에, 앤드게이트 115-16에서 출력되는 타임 클록신호는 앤드게이트 119-7~119-9에, 앤드게이트 115-17에서 출력되는 타임 클록신호는 앤드게이트 119-10, 119-11에 인가된다.The time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AND gate 115-12 described above is output to the AND gates 119-1 to 119-3, the time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AND gate 115-14 is applied to the AND gates 119-4 to 119-6 and the AND gate. The time clock signals output from 115-16 are applied to the AND gates 119-7 to 119-9, and the time clock signals output from the AND gates 115-17 are applied to the AND gates 119-10 and 119-11.

다시 앤드게이트 119-1, 119-4, 119-7, 117-10에는 각각 RB스위치의 선택 접점출력이 인가되며, 이들 앤드게이트 출력은 오아를 취할 오아게이트 119-12~119-14의 직렬회로에 공급되며 그 출력은 앤드게이트 119-15, 인히빗트 게이트 119-16에 결합된다.Again, the select contact outputs of the R B switches are applied to the AND gates 119-1, 119-4, 119-7, and 117-10, respectively, and these AND gate output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OR gates 119-12 to 119-14 to take an oar. It is supplied to the circuit and its output is coupled to the AND gate 119-15 and the inhibit gate 119-16.

전술한 동기신호 발생회로 109의 출력 ⓕ타이밍신호는 앤드게이트 119-17~119-19에, 출력 ⓖ타이밍신호는 앤드게이트 119-20~119-22에 인가된다. 앤드게이트 119-15, 인히빗트 게이트 119-16은 각각 앤드게이트 119-20, 119-17에 부여되어 그 출력은 오아게이트 119-23을 개하여 제7도(d) 도시의 리리스 상태 검출신호가 인가되는 앤드게이트 119-24를 개하여 리리스 클록신호 øR로서 출력한다.The output timing timing signal of the above-described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109 is applied to the AND gates 119-17 to 119-19, and the output? Timing signal is applied to the AND gates 119-20 to 119-22. The AND gate 119-15 and the inhibit gate 119-16 are provided to the AND gates 119-20 and 119-17, respectively, and the output thereof is opened by the OR gate 119-23 so that the release state detection signal shown in FIG. The applied AND gates 119-24 are opened and output as the release clock signal? R.

RA 스위치는 제30도에서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 115-1의 제1계수부에서 정해지는 타임클록신호를 취출하는가, 제2의 계수부로 정하는 타임클록신호를 취출하는 가를 지정하는 것이다.The RA switch designates whether to take out the time clock signal determined by the first coefficient unit of the shift register 115-1 or to extract the time clock signal determined by the second coefficient unit as shown in FIG.

앤드게이트 119-2, 119-5, 119-8에는 각각 DB스위치 선택 접점출력이 인가되며, 이들 앤드 게이트의 출력은 오아를 취할 오아게이트 119-25, 119-26의 직렬회로에 공급되며 그 출력은 앤드게이트 119-27, 인히빗트 게이트 119-28에 각각 공급된다.The AND gates 119-2, 119-5, and 119-8 are supplied with the D B switch select contact outputs, respectively, and the outputs of these AND gates are supplied to the series circuits of the oA gates 119-25 and 119-26 to take the oars. The outputs are supplied to AND gates 119-27 and inhibit gates 119-28, respectively.

다시 이 앤드게이트 119-27, 인히빗트 게이트 119-28 출력은 각기 앤드게이트 119-21, 119-18, 오아게이트 119-20을 개하여 앤드게이트 119-30에 공급되며, 제7도(d)의 디케이 상태 검출신호시에 디케이 클록신호를 출력하게 된다.Again, the ANDGATE 119-27 and INHIBIT GATE 119-28 outputs are supplied to the ANDGATE 119-30 through the ANDGATE 119-21, 119-18 and OAGATE 119-20, respectively. The decay clock signal is output at the decay state detection signal of.

이어서, 앤드게이트 119-6, 119-9, 119-11 각기에는 스위치 RC의 선택 접점 출력이 인가되며, 이들 앤드게이트 출력은 오아를 취할 오아게이트 119-31, 119-32의 직렬회로에 공급되며 그 출력은 제7도(d)에서 공급될 스로오리리스 상태 검출신호 발생시에 앤드게이트 119-33, 119-19를 개하여 스로우 리리스 클록신호 øS2를 취출한다.Subsequently, the select contact output of the switch R C is applied to each of the AND gates 119-6, 119-9, and 119-11, and these AND gate outputs are supplied to the series circuits of the OR gates 119-31 and 119-32 to take an oar. The output of the throw-release clock signal? S 2 is taken out by opening the AND gates 119-33 and 119-19 when the throw-through state detection signal to be supplied in Fig. 7 (d) is generated.

앤드게이트 119-3은 오아게이트 119-37를 개하여 제7도(d)에서 공급될 하이리리스 상태 검출신호, 혹은 어택상태 검출신호 발생시에 출력되며, 앤드게이트 119-22에서 하이리리스 클록신호 혹은 어택 클록신호 øA로서 출력된다.The AND gate 119-3 is outputted when the high-lead state detection signal or the attack state detection signal to be supplied in FIG. 7 (d) is opened by opening the oragate 119-37, and the high-gate clock signal at the AND gate 119-22 is generated. It is output as an attack clock signal? A.

이리하여 앤드게이트 119-24에서 출력되는 리리스 클록신호 øR, 앤드게이트 119-30에서 출력되는 디케이 클록신호 øD, 앤드게이트 119-19에서 출력되는 스로우리리스 클록신호 øS2, 앤드게이트 119-22에서 출력될 하이리리스 클록신호 øHR, 각 타임클록신호는 오아게이트 119-34, 119-35, 110-36의 직렬회로 출력에서 엔베로우브 클록신호로서 제7도(d) 인히빗트 게이트 63에 공급된다. 120은 어택상태, 디케이상태, 리리스상태, 스로우리리스상태, 하이리리스상태 제7도(c) 엔베로우브용 아더 55에 공급될 가산치 지정회로 이고, 엔베로우브 계수치를 지정된 가산치 만큼 「+」, 「-」함에 따라 시간 경과에 따라 엔베로우브입상, 입하시간을 급속히 제어하도록 한다.Thus, the lease clock signal ø R output from the AND gates 119-24, the decay clock signal ø D output from the AND gates 119-30, the slow-down clock signal ø S2 output from the AND gates 119-19, and the AND gates 119-22. The high clock clock signal øH R to be outputted from the time clock signal is the envelope clock signal from the series circuit outputs of the OR gates 119-34, 119-35, and 110-36. Supplied. 120 is an addition value designating circuit to be supplied to the attacker, decay state, release state, throw-out state, and high release state FIG. 7 (c) Envelope Arthur 55, and the envelope value is " + " As a result of this, the envelope granularity and arrival time are rapidly controlled as time passes.

즉, Aa 스위치는 5접점의 선택스위치이고, 각 접점 출력은 어택상태 검출신호가 인가될 앤드게이트 120-1~120-5를 개하여 각각 「+1」, 「+2」, 「+4」, 「+8」, 「+32」의 가산치 지령신호를 오아게이트 120-6~120-10을 개하여 출력한다.That is, the Aa switch is a selection switch of five contacts, and each of the contact outputs is connected with "+1", "+2", and "+4" through the AND gates 120-1 to 120-5 to which the attack state detection signal is applied. Addition command signals of " + 8 " and " + 32 "

Da 스위치는 5접점 선택스위치이고, 각 접점 출력은 디케이상테 검출신호가 인가될 앤드게이트 120-11~120-15, 오아게이트 120-6~120-10을 개하여 각각 「+1」, 「+2」, 「+4」, 「+8」, 「+32」의 가산치지령신호로서 출력한다,The Da switch is a 5 contact selector switch, and each contact output is connected with an AND gate 120-11 to 120-15 and an OR gate 120-6 to 120-10 to which a detection signal is applied. 2 "," +4 "," +8 "and" +32 "are output as addition value command signals.

또 리리스상태 검출신호 발생시에는 오아게이트 120-16을 개하여 「+1」가 가산 지령신호를, 스로우 리리스 상태 검출신호의 발생시에는 오아게이트 120-17을 개하여 「+1」가산치 지령신호를, 하이리리스 상태 검출신호의 발생시에는 오아게이트 120-18을 개하여「+8」가산치 지령신호를 얻게 되여 이 가산치가 제7도(c) 아더 55에 앤드게이트 67-1~67-5를 개하여 공급된다.When the release stat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OA gate 120-16 is opened to generate an addition command signal, and when the release stat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OA gate 120-17 is opened to generate the +1 addition command signal. When the high release stat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Oagate 120-18 is opened to obtain the "+8" addition value command signal, and this addition value is set to AND gates 67-1 to 67-5 in Arthur 55 of Fig. 7 (c). It is supplied by opening.

결국, 앤드게이트 115-10, 115-12, 115-12, 115-14, 115-16, 115-17에서 출력될 제1계수부, 제2계수부에서 각각 상이한 타임클록신호는 비브라아트 클록선택회로 116 및 엔베클록 셀렉트 회로 119에 의하여 각각 지시에 맞추어 제30도의 "0"표로 표시된 개소에 선택되며, 다시, 그 선택된 타임클록신호에 동기하여 엔베로우브용 아더 55에 대한 가산치가 셀렉트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time clock signal different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efficients to be output from the AND gates 115-10, 115-12, 115-12, 115-14, 115-16, and 115-17 is a vibra art clock. The selection circuit 116 and the envelope clock select circuit 119 are respectively selected at the points indicated by the "0" table in FIG. 30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and again, the addition value to the envelope 55 for the envelope can be selec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lected time clock signal. It is.

제32도, 제33도 및 제34도는 각각 어택, 디케이, 리리스상태에의 엔베로우브 계수치의 경사면화에 대하여 예시한 것이다. 이어서 전술한 키조작 타이밍 검출회로 114에서 출력되는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타이밍신호(8ø0의 타임폭)은 키 입력동기 F/F 107-1에 입력되며, 그 출력은 앤드게이트 107-3에 인가된다.32, 33 and 34 exemplify inclined planes of envelope count values in the attack, decay, and lease states, respectively. Subsequently, a timing signal (time width of 8 ° 0 )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play key output from the above-described key operation timing detection circuit 114 is input to the key input synchronization F / F 107-1, and the output thereof is the AND gate 107-3. Is applied to.

이 앤드게이트 107-3은 체트링 방지용 플립플롭 115-21의 셋트 출력에 동기하여 출력되며, 인회빗트 게이트 107-4에 공급됨에 따라 키온신호를 발생한다.The AND gate 107-3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t output of the chattering prevention flip-flop 115-21, and generates a key-on signal as it is supplied to the inbit bit gate 107-4.

즉, 인히빗트 게이트 107-4는 후술할 것이나, 연주키의 수(이 경우 48개)에 대응한 48빗트의 시프트레지스터 107-5의 출력이 "0"일때의 최초로 완셧트의 신키 조작에 의한 키온 신호를 얻어 앤드게이트 107-6에 공급한다.That is, the inhibit gate 107-4 will be described later, but when the output of the 48-bit shift register 107-5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playing keys (48 in this case) is 0, The keyon signal is obtained and supplied to the AND gate 107-6.

이 앤드게이트 107-6은 제6도(a) 도시한 인히빗트 게이트 68에서 출력될 리셋트신호(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중의 크리어 되어 있는 공(空) 라인 메모리를 표시)에 응답하여 공 라인 메모리에 신 키의 응고 입력데이터 및 엔베로우브 어택 상태의 셋트를 하는 전술한 입력지시 신호를 발생한다.The AND gate 107-6 is an empty line memory in response to a reset signal (indicated by a cleared empty line memory in the envelope register 54) to be output from the inhibit gate 68 shown in FIG. The above-described input instruction signal for setting the solidification input data of the new key and the envelope attack state is generated.

더욱이, 중주 지시상태에 맞추어 복수라인 메모리를 지정하는 입력지시 신호가 된다.Moreover, it becomes an input instruction signal for designating a plurality of line memories in accordance with the quintet instruction state.

즉, 제7도(a)의 인히빗트 게이트 68에서 출력될 리셋트 신호는 입력제어 회로107의 앤드게이트 107-7, 인히빗트 게이트 107-8에 공급된다.That is, the reset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inhibit gate 68 of FIG. 7A is supplied to the AND gate 107-7 and the inhibit gate 107-8 of the input control circuit 107.

앤드게이트 107-7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107-9, 인히빗트 게이트 107-10을 개하여 보지됨과 동시에 전술한 인히빗트 게이트 107-8에 의하여 출력금지가 될 인히빗트 게이트 107-11-입력 결합된다.The output of the AND gate 107-7 is held by opening the ORA gate 107-9 and the inhibit gate 107-10 and is coupled to the inhibit gate 107-11-input which is to be prohibited by the above-described inhibit gate 107-8. .

또 앤드게이트 107-7, 인히빗트 게이트 107-8에는 제어타이밍 발생회로 102에서의 출력 ⓒ, 즉 2중주지정, 4중주지정의 제28도(a)의 (c), (d)도시한 신호 및 중주지시가 없는 지정은 상시「1」신호, 8중주 지정 제28도(a)의 (b) 도시한 신호가 게이트 신호로서 인가되어 있다.The AND gate 107-7 and the inhibit gate 107-8 output the signal from the control timing generation circuit 102, i.e., the signals shown in Figs. 28 (a) (c) and (d) of the double and quadruple specifications. In the designation without a middle note, the " 1 " signal and the signal shown in (b) of FIG. 28 (a) are applied as the gate signal.

다시 제28도(a)의 (b)에 도시한 신호는 출력 ⓐ에서 인서빗트 게이트 107-12를 개하여 인히빗트 게이트 107-10 출력을 금지하고 보지를 해제한다.Again, the signal shown in (b) of FIG. 28 (a) opens the insert gate 107-12 at the output? To inhibit the output of the inhibit gate 107-10 and releases the holding.

따라서 전술한 인히빗트 게이트 107-11에서는 각 중주지시에 맞춘 출력 ⓒ신호에 동기한 신호를 발생하고, 앤드게이트 107-6에서 키온 신호의 발생시에 출력하게 된다. 이리하여 앤드게이트 107-6의 출력신호는 인히빗트 게이트 107-14에 공급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inhibit gate 107-11 generates a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output? Signal matched to each of the mid-commands, and outputs the key-on signal at the AND gate 107-6. Thus, the output signal of the AND gate 107-6 is supplied to the inhibit gate 107-14.

앤드게이트 107-14는 제어 타이믹 발생회로 102의 출력 ⓓ의 신호에 동기하여 출력되며, 오아게이트 107-15를 개하여 1빗트 지연(1ø0이 지연시간)하는 플립플롭 107-16에 입력되며 그 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107-17을 개하여 제차 오아게이트 107-15에 공급되어 순환 가능하게 된다.The AND gate 107-14 is output in synchronism with the signal of the output ⓓ of the control timing controller 102, and is inputted to the flip-flop 107-16 having a 1-bit delay (1 ø 0 is a delay time) by opening the OA gate 107-15. The output is supplied to the secondary oragate 107-15 through the inhibit gates 107-17 to be circulated.

즉, 인히빗트 게이트 107-17이 제어 타이밍 발생회로 102의 출력 ⓐ에서의 출력신호(제28도(a) (b)참조)로 게이트 출력이 금지 될때까지 보지된다.That is, the inhibit gates 107-17 are held until the gate output is inhibited by the output signal (see Fig. 28 (a) (b)) at the output? Of the control timing generation circuit 102.

따라서 인히빗트 게이트 107-13에서의 출력신호는 앤드게이트 107-6 출력 발생시에서 인히빗트 게이트 107-17의 출력으로서 게이트 금지될때 까지의 사이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the output signal from the inhibit gates 107-13 is generated from the occurrence of the AND gate 107-6 output until the gate is inhibited as the output of the inhibit gates 107-17.

따라, 인히빗트 게이트 107-13에서는 키온신호의 8ø0타임 폭 사이에 중주지시에 맞추어, 1ø0타임폭(중주지시 없을 경우), 2ø0타임폭(2중주 지시의 경우) 4ø0타임폭(4중주지시의 경우), 8ø0타임폭(8중주 지시의 경우)의 입력지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inhibit bitteu gate 107-13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quartet between 0 8ø time width of the key-on signal, 1ø 0 time width (quintet indicated the absence), 2ø 0 time width (in the case of two directions quartet) 4ø 0 time width ( In the case of a quartet instruction), an input instruction signal with an 8 ° 0 time width (in the case of a quartet instruction) is generated.

이 경우, 2중주 지시는 라인 메모리 L0와 L1, L2와 L3, L4와 L5, L6와 L74개를 조합 4중주 지시에서는 L0~L3, L4~L72개의 조합, 8중주 지시로는 L0~L7의 1개 조합이 되며, 제7도(a)의 음계 코오드레지스터 20,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의 복수라인 메모리에 같은 음고 입력코오드가 입력됨과 동시에 제7도(d)의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도 복수라인 메모리가 어택상태에 놓여, 각 레지스터는 복수의 라인메모리가 작동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uplex instruction combines four line memories L 0 and L 1 , L 2 and L 3 , L 4 and L 5 , and L 6 and L 7. In the quartet instruction, L 0 to L 3 and L 4 to L 7 Two combinations, the octet is one combination of L 0 ~ L 7 , and the same pitch input code is input to the multi-line memory of the scale co-register 20 and the octave code register 21 of FIG.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line memories of the envelope register 54 degrees of FIG. 7 (d) are in an attack state, and the plurality of line memories are operable in each register.

이리하여, 앤드게이트 107-6 출력은, 전술한 1빗트 지연 플립플롭 107-16 출력과 동시에 오아게이트 107-18을 개하여 다시 시프트 레지스터 107-5의 출력신호가 입력될 오아게이트 107-19를 개하여 앤드게이트 107-20에 인가된다.Thus, the AND gate 107-6 output opens the oragate 107-18 at the same time as the 1-bit delay flip-flop 107-16 output described above, and again the oragate 107-19 to which the output signal of the shift register 107-5 is input. And is applied to the endgate 107-20.

오아게이트 107-18은 입력지시신호에 동기하여 취출하는 것으로, 그 출력신호는 앤드게이트 107-20에서 오아게이트 107-21에서 출력되는 압압된 키에 대응한 타이밍 신호로 시프트 레지스터 107-5에서 입신호로서 공급된다.OAGATE 107-18 is taken o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put instruction signal, and its output signal is a tim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key output from OAGATE 107-21 at ANDGATE 107-20. Supplied as a signal.

시프트 레지스터 107-5는 「1」신호가 서입되면 제어타이밍 발생회로 102의 출력 ⓐ에서의 타이밍신호(제28도(a)의 (b)참조)에 동기하여 순차시프트되며, 연주키를 압지하고 있는 사이는 순환보지되나 연주키를 해리하면 해제된다.The shift register 107-5 is sequentially shifted in synchronism with the timing signal (see (b) in Fig. 28 (a)) of the output timing of the control timing generation circuit 102 when the " 1 " signal is written therein. While it is in circulation, it is released but released when the key is released.

앤드게이트 107-20 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107-22에 게이트 금지 신호로서 공급된다.The AND gate 107-20 output is supplied as a gate inhibit signal to the inhibit gate 107-22.

한편, 연주키가 눌러짐에 따라 인히빗트 게이트 107-4에서 출력될 키온 신호는 오아게이트 107-23을 개하여 플립플롭 107-24를 셋트하고, 그 셋트출력은 인히빗트 게이트 107-25를 개하여 순환 보지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key is pressed, the keyon signal to be output from the inhibit gate 107-4 is set to flip-flop 107-24 by opening the oragate 107-23, and the set output is the inhibit gate 107-25. Circulation is seen.

그리고 이 순환 보지는 동기신호 발생회로 109의 출력 ⓔ타이밍(제29도(f) 참조)와 캐리용 플립플롭(F/F) 107-2 출력과의 논리적(論理積)을 취할 앤드게이트 107-26 출력의 발생에 동기하여 해제된다.The circular hold is an AND gate 107-26 which takes a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 timing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109 (see FIG. 29 (f)) and the carry flip-flop (F / F) 107-2 output. Clear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generation of the output.

즉, 플립플롭 107-24의 셋트 출력은 각종 클록시간 발생회로 115중의 인히빗트 게이트 115-22에 인가되며 시프트레지스터 115-1의 제3계수부를 계수동작을 개시하게 되며, 따라서 이 제3계수부에 의하여 보지 시간을 구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시스템에서는 연주키를 눌으고 약 45ms가 되도록 되어져 있다.That is, the set output of the flip-flop 107-24 is applied to the inhibit gates 115-22 in the various clock time generation circuits 115, and the third coefficient portion of the shift register 115-1 starts counting operation. The holding time can be calculated by using the system. In this system, it is about 45ms after pressing the performance key.

이리하여 플립플롭 107-24의 셋트 출력신호는 전술한 음계, 음적, 음량 지정하는 스위치 0A와 같이 오아게이트 107-27을 개하여 전술한 인히빗트 게이트 107-22에 인가되며, 그 출력은 앤드게이트 107-28에 공급된다.Thus, the set output signal of the flip-flop 107-24 is applied to the above-mentioned inhibit gate 107-22 by opening the oragate 107-27 as in the above-described switch 0 A for specifying the scale, volume, and volume. Supplied to gates 107-28.

앤드게이트 107-28에는 다시 일차회로 121의 일치 검출신호가 인가되여 있고 앤드게이트 107-28의 출력에서는 하이리리스 셋트(리셋트)신호를 취출하게 되며 제7도(d)에서의 오아게이트 92를 개하여 하이리리스 동기 셋트 레지스터 91에 셋트 되는 것이다.The coincidence detection signal of the primary circuit 121 is applied to the AND gates 107-28 again, and the high-release set (reset) signal is outputted from the output of the AND gates 107-28, and the oragate 92 in FIG. It is set in the high-order sync set register 91.

일치회로 121은 카운터 108, 111의 01, 02, 01, 02, 04, 08의 각단에서 출력되는 음고 음력 코오드와 제7도(a)도시의 음계코오드 레지스터 20 및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에서 출력되는 음고 출력 코오드와의 일치를 보게 되는 것이다.The coincidence circuit 121 is a high pitched lunar code output from each stage of 0 1 , 0 2 , 0 1 , 0 2 , 0 4 , 0 8 of counters 108 and 111, and scale code register 20 and octave code shown in FIG. You will see a match with the pitch output code from register 21.

즉, 스위치 0A가 오프 지정인 경우에는 플립플롭 107-24의 보지시간(약 45ms)사이에, 기히 음계코오드레지스터 20 및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의 라인 메모리에 음고 코오드가 입력되어 있어 연주키가 해리되어 있는 것은 앤드게이트 107-28에서 하이리리스 셋트 신호가 출력되어 하이리리스 상태에 놓이게 된다.That is, when switch 0 A is set to OFF, pitch codes are input to the line memories of the scale coregister 20 and the octave code register 21 during the holding time of the flip-flop 107-24 (approximately 45 ms). In this case, the high release set signal is output from the AND gates 107-28 and placed in the high release state.

전술한 바와같이 하이리리스 상태는 연주키가 해리 되었을 시에 급속하게 음이 소멸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또, 스위치 0A가 온 지정의 경우에는, 연주키가 해리될 경우(앤드게이트 107-20 출력없음)에 해리된 연주키와 같은 음고 출력 코오드의 라인메모리를 하이리리스 상태로 셋트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release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note is rapidly extinguished when the playing key is dissociated. In addition, when switch 0 A is set to ON, the line memory of the same pitch output code as the dissociated play key is set to the high-release state when the play key is dissociated (without output 107-20).

이에 따라서 크릭크음을 없이한 연주키의 오프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off state of the playing key without a creek.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계주기 제어장치는, 음계에 대응하여 계수 수단의 주기를 설정하는 주기 설정 수단 주기설정 제어치를 복수라인 메모리(이경우 8본)의 다이나믹한 시프트 1순환을 고려하면서, 조수와 미수로 분할하여 디지탈 적인 음계에 맞추어 계수진(+)제어를 할수 있고, 또 매트릭스 회로에 의하여 그 제어치를 기억하여 있음으로 극히 간단한 회로로 LSI화하여 호적한 음계 제어장치가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scal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ycle setting means cycle setting control value for setting the cycle of the coun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scale, taking into account the dynamic shift 1 cycle of the multiple-line memory (8 copies in this case). By dividing into, it is possible to perform counting control (+) according to the digital scale, and the control value is memorized by the matrix circuit. Therefore, LSI is converted into a very simple circuit to be a suitable scale controller.

+ 본 발명 구성은, 복수 파형을 동시적으로 지시하여 합성할 수 있고 또 각기 파형간에는 음량의 입상입하를 달리할 수 있음으로 변화를 원만하게 하는 효과적인 음색 악음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aveforms can be simultaneously indicated and synthesized, and the granularity of the volume can be varied between the respective waveforms, so that an effective tone musical sound can be obtained.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량 곡선형식을 α, β별 2종에 각각 지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2개이상의 파형 합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Of cour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olume curve type can be specified for each of the two types of α and β, but this is not limited to two, but two or more waveforms can be synthesized.

다시 본 발명 구성은 복수파형을 동시적으로 지시하여 합성하고 각기 파형간은 음량 입상, 입하를 달리할 수 있고, 또 합성음이 상이한 파형간 주기를 M : N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 배음 구조의 변화를 여러 가지로 작출할 수 있어 극히 변화효과를 갖는 음색, 악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aveforms can be simultaneously instructed and synthesized, and each waveform can have different granularity and arrival of the volume, and can change the period between waveforms with different synthesized sounds by controlling M: N. Can be produced in a variety of ways to obtain a tone, a sound with an extremely variable effect.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량 곡선 형식 α, β별 2종에 각각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개 이상의 파형합성으로 할수도 있는 것이다.Of cour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pecify each of the two types for each of the volume curve types α and β,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wo, but may be made of two or more waveform compositions.

한편, 전술한 제7도(a) 블록마다 파형 프로그램 지정부 35도는 제16도시와 같이 스위치 지정으로 하였으나 미리 필요한 지시상태를 정해 둠으로서 예 : ROM(리이드온 메모리)등의 고정 기업장치에 기억시켜 두어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waveform program designation unit 35 degrees for each block of FIG. 7A is designated as a switch as shown in FIG. 16, but is stored in a fixed enterprise device such as a ROM (lead-on memory) by setting a required instruction state in advance. You may let it do.

또 필요한 지시내용을 자기 카아드에 기업시켜 두고 사업시에 이를 독출하여 플립플롭등의 메모리에 법버(Buffer)기어 시키도록 하여도 좋은 등의 여러가지 방법을 추고 할수 있다. 음량 곡선형식을 α, β별 2종으로 각각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2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vise various methods such as having the necessary instructions be incorporated in the own card, and reading them out in business, and allowing the buffer gear to be flipped into a memory such as flip-flop. The volume curve type can be designated as two types for each of α and β, but this is not limited to two types.

또 악음파형 1주기의 블록수도 1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록마다 미분계수치로 「1」, 「2」, 「4」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임의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Also, the number of blocks of one sound wave waveform is not limited to 16. The differential coefficients are not limited to only "1", "2", and "4" for each block, and the design can be changed arbitrarily.

다시, D/A 변환회로 후단에 필터 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예 : 디지탈 필터를 복수로 준비하여 스위치로 임의 선택하여도 좋고, 이에 따라 : 관악기나 아코스텍등을 갖는 악기의 공명성 및 잔향특성 혹은 관악기의 전송 특성등 상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gain, a filter circuit may be formed after the D / A conversion circuit, and in this case, for example, a plurality of digital filters may be prepared and arbitrarily selected by a switch. Accordingly, the resonance of an instrument having a wind instrument or an acostech, etc. Different effects can be achieved, such as reverberation characteristics o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wind instruments.

또, 음계코오드 레지스터 20, 옥타브 코오드 레지스터 21, 주기계수 레지스터 34, 엔베로우브 레지스터 54는 RAM(렌덤악세스 메모리)로 구성하여도 좋다.The scale code register 20, the octave code register 21, the period coefficient register 34, and the envelope register 54 may be constituted by random access memory (RAM).

기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회로 구성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various circuit configurations can be adopt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전자식 계수 수단의 계수 보진에 따라서 악음파형을 발생시키고, 그 계수 수단의 주기를 연주 키 각음계에 대응하여 설정함에 따라 음계 주기를 구하는 주기 설정 수단을 갖는 전자악기에 있어서, 주기 설정 수단의 주기 설정치를 미수와 조수로 분할, 미수에 대하여는 소정 계수치를 연주키에 대응 선택하여 계수의 전진, 또는 지체에 의한 주기 제어를 하며 또 조수에 대하여는 전기(前期)계수 수단의 연주키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소정 계수치 상태의 복수 타이밍에 있어서 계수의 전진 또는 지체에 의한 주기제어를 하게 함으로서 화음 연주 가능한 복수 연주키에 대응한 계수치 기억용 라인 메모리를 복수 형설하여 다이나믹한 순환사이클 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하나의 주기 설정 수단으로 각 라인 메모리마다 각각 독립적인 입계 주기 제어가 효과적으로 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a period setting means for generating a sound wave waveform in accordance with the coefficient progression of the electronic counting means, and for determining the period of the musical scale by setting the period of the coun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key rhythm. In this case, the cycle setting value of the cycle setting means is divided into the number of numbers and the number of tides, and for the number of numbers, the predetermined coefficient value is selected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key, and the period control by the advancement of the coefficient or the delay is performed. At the plural timings of the predetermined count value state determi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aying keys, the cycle control by the advancement or delay of the coefficients is performed, and a plurality of count value memory line memori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 playing keys capable of playing chords can be formed, thereby allowing a dynamic circulation cycle. Even in this case, each line memory is docked by one cycle setting means. The boundaries of periodic control can be effective.

또 디지탈제어 기술로서 음계주기 제어를 하는 간이화된 회로로 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s a digital control technology, it becomes possible to use a simplified circuit that performs scale control.

또 본 발명은 전자악기에 있어서, 악음음파 1사이클을 복수 스텝으로 계수하는 주기 계수회로를 구유하고 특정 스텝수를 단위로 하는 블록을 정하여 1사이클을 m블록으로 분할하며 각 블록마다 악음파형의 입상, 입하를 디지탈적인 음량 제어수단의 음량 제어치 정수배의 「+」또는 「-」로 지시토록 한 것임으로 악음파형을 블록마다에 지시로 임의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임과 동시에 음량제어도 하는 디지탈 기술을 사용한 악음설정 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피아노, 기타 등과 같은 음량의 입상, 입하 곡선이 상이한 음량제어도 디지탈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 cycle counting circuit that counts one cycle of acoustic sound waves in a plurality of steps is selected, and a block in which a specific number of steps is determined is divided into m blocks. The digital sound technology allows digital sound volume control to set randomly the sound wave waveform by instruction for each block, while the volume control value of digital volume control means is set to "+" or "-".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d sound setting method, and digitally control the volume control in which the granularity and the arrival curve of the volume such as piano and guitar are different.

이에 따라 출력음 발생부를 제외하여 메인(main) 제어부분을 LSI로 구성할 수 있어 신뢰면(信賴面) 간소화의 면으로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어 범용성(汎用性)이 있는 전자악기로 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main control part can be composed of LSI except for the output sound generator, so that it can exert great power in terms of simplification of reliability and can be used as a general purpos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ll be.

다시, 본 발명은 디지탈적 수법을 사용, 악음파형 1사이클을 복수 스텝으로 계수하며 또, 그 특정 스텝수를 단위로 한블록을 정하여 사이클을 블록으로 분할하여서 되며, 복수의 상이 파형을 이 블록마다 임의로 지정하고 블록마다 파형의 입상, 입하를 디지탈적 음량 제어의 정수배(「+」, 「-」포함)로 지시할 수 있게 되었음으로 상이한 파형간에는 음량의 입상, 입하 곡선을 달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파형의 상위뿐만 아니라 음량 변화를 임의 설정가능하여 현저한 배음구조의 경시 변화를 부여, 효과적인 음색을 갖는 악음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탈 기술로 회로를 구성하였음으로 LSI화에 호적하여, 화음 연주에서도 공통회로 같이 제어되어 극히 단단한 전자악기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igital method to count one cycle of acoustic wave waveforms into a plurality of steps, and by dividing a cycle into blocks by setting one block based on the specific number of steps, and dividing a plurality of different waveforms into each block. Since the granularity and arrival of the waveforms can be specified arbitrarily (including "+" and "-") of digital volume control for each block, the granularity and arrival curve of the volume can be changed between different waveforms.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set the volume change as well as the top of the waveform to give a remarkable change in overtones structure over time, and to obtain not only a musical sound having an effective tone, but also a circuit using digital technology, which is suitable for LSI. It is controlled like a common circuit and has the effect of being an extremely hard electronic instrument.

또,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 파형을 동시적으로 지시하기 위하여 악음파형 1사이클을 복수 블록(각블록은 1이상의 특정 스텝수로 된다)마다 그 파형 하나를 지정하고, 이를 합성함과 동시에 그 합성음의 상이한 파형간의 주기 관계를 M : N으로 주기 제어할 수 있음으로 합성하는 파형 각기에 배음구조의 변화 및 이들이 합성하여서 얻어진 상승효과에 의한 배음구조의 변화에 의하여 보다 자연감을 갖는 경시변화를 갖는 효과적 악음을 얻을 수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imultaneously indicate a plurality of different waveforms, the present invention designates one waveform for each cycle (one block becomes one or more specific step numbers) for one sound wave waveform, and synthesizes the same waveform. Periodic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waveforms of the synthesized sound can be controlled by M: N, so that each of the waveforms to be synthesized has a more natural change over time due to the change of the overtone structure and the overtone structure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btained by synthesizing them. Effective musical notes can be obtained.

또 파형 합성 및 주기 제어등은 디지탈기술로 구성되어 LSI화에 호적한 것이며, 또 상이한 파형도 정수 관계로 임의로 주기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극히 효과적인 악기가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aveform synthesis and periodic control are suitable for LSI by digital technology, and different waveforms can be arbitrarily changed in integer relations, making it an extremely effective instrument.

Claims (1)

연주키의 조작에서의 시간경과에 대응하여, 연주음량의 증대 혹은 감소를 디지탈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음량제어장치를 생성하는 음량곡선 작성 카운터(7)와 디지탈적으로 악음 파형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 악음파형의 1주기를 복수스텝으로 카운트하는 주기계수 수단(3, 34-1, 34-2, 36, 40, 41)과 이주기 계수 수단에 접속되여 상기 악음파형의 1주기를 m 블록으로 분할하는데 코오더(4)와, 상기 악음파형의 각 블록 마다에 상기 악음파형의 입상, 입하의 폭을 상기 음량제어치를 정수배한 정치(正直) 또는 부치(負直)에 의하여 지시하는 악음파형 지시수단(5, 35)등을 구비하고, 상기 악음파형의 1주기를 m블록으로 분할하여 임의로 지정하고, 또 음량제어도 동시에 할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Corresponding to the passage of time in th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key, the volume curve creation counter 7 for generating a volume control device for digitally controlling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performance volume and the musical sound wave for digitally generating the sound waveform. It is connected to the period counting means (3, 34-1, 34-2, 36, 40, 41) for counting one cycle of the waveform in plural steps and two cycle counting means to divide one period of the acoustic waveform into m blocks. Sound wave waveform indicating means (5) for instructing the order and the width of the sound wave waveform to each block of the sound wave waveform by the order 4 or the sum of the sound volume control values being an integer multiple of the order. And 35).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omprising one or more cycles of the sound wave waveform divided into m blocks to be arbitrarily designated, and the volume control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KR1019790001312A 1979-04-25 1979-04-25 Electronic instrument KR830000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312A KR830000609B1 (en) 1979-04-25 1979-04-25 Electronic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312A KR830000609B1 (en) 1979-04-25 1979-04-25 Electronic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09B1 true KR830000609B1 (en) 1983-03-17

Family

ID=1921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312A KR830000609B1 (en) 1979-04-25 1979-04-25 Electronic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609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0838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029959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4785706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musical tone signal with tone color variations independent of tone pitch
KR830000609B1 (en) Electronic instrument
JPH0756592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A115650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042958B2 (en) Scale period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JPS61204698A (en) Tone signal generator
CA115145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093492A (en) Sound source unit
JPS6042956B2 (en) Musical sound waveform genera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CA116425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939756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GB2102611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243199B2 (en)
GB210178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GB2102612A (en) Tone genera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5930275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NL8204851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48-note keyboard - has digital programmed circuits to select the waveform of sounds produced
JPS6042948B2 (en) Musical sound waveform generato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JPH0522918B2 (en)
JPS6035077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JPS6239744B2 (en)
JPS6123559B2 (en)
FR2473173A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rogressive digital counter - has volume control and period counter dividing period into blocks with stages and accumulates volume and tone signals for output loudspe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