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602B1 -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 Google Patents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602B1
KR830000602B1 KR1019790003430A KR790003430A KR830000602B1 KR 830000602 B1 KR830000602 B1 KR 830000602B1 KR 1019790003430 A KR1019790003430 A KR 1019790003430A KR 790003430 A KR790003430 A KR 790003430A KR 830000602 B1 KR830000602 B1 KR 83000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gloss
bottle
resin
plastic
dimensiona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3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스께 가이쥬
나오유끼 스즈끼
히로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나자와 슈조
미쓰비시 레이용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자와 슈조, 미쓰비시 레이용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자와 슈조
Priority to KR1019790003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본 발명은 진주 모양의 표면광택을 가지며, 또한 입체적 흐름 모양을 갖는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특히 열가소성 플리에스테르 수지를 소재로 하는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에 관한 것이다.
플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기계적 성질,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더우기 플리염화비닐과 같은 가소제나 잔존 모노머에 의한 인체에의 영향이 없고, 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에 비하여 산소, 탄산가스 등의 가스 투과율이 낮고, 투명성도 뛰어나므로 식료품, 음료품, 화장품 등의 용기에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특히, 내약품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내용물을 변질시키지 않는 특성을 가지므로 화장품용 병으로 사용하는 것이 주목되기 시작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투명성이 양호할 병뿐만이 아니라, 장식성도 뛰어난, 예를 들면 진주모양의 표명광택을 갖고 미관상으로도 뛰어난 병이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더우기 이들 종래의 평면적인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의 발현뿐만 아니라 종래와는 다른 독특한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이 발현된 화장품 병도 그 장식성, 기능성인 면에서 요구되고 있지만, 아직 충분히 그리고 만족할 만한 것이 얻어지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현설정을 감안하여 내약품성이 뛰어나고, 또한 종래의 진주모양의 표면광택과는 다른 독특한 입체적 흐름모양을 가지며, 또한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소재로 하는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을 얻도록 예의 검토한 결과,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열가소성 플리에스테르 수지에 특정량의 메타크릴계 수지를 배합한 후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가지며, 또한 입체적 흐름모양을 갖는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으로서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99.5~70중량%, 메타크릴계 수지 0.5~30중량%로서 된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가지며, 또한 입체적 흐름모양을 갖는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그것을 구성하는 반복단위의 75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서 이루어진 것이며, 공중합성분으로서는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세파신산, p─β─옥시에톡시안식향산, 디폐닐에테르─4,4'─디카르본산 디페녹시에탄-4,4'-디카르본산 등 또는 이들의 알킬에스테르 유도체 등의 디카르본산 성분,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글리콜류가 사용된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거쳐서 중축합을 행하는 방법, 혹은 직접 에스테르화를 거쳐서 중축합을 행하는 방법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고유점도[η]가 0.65∼1.4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유점도가 큰 폴리머는 상기한 보통의 중합법으로서 얻어지는 폴리머를 공지의 고상중합법에 의하여 얻을 수가 있다. 고유점도가 0.65 미만의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화장품용 병의 진주 모양의 표면 광택의 발현이 불충분하거나 내용불을 충전시켜 낙하시켰을 경우의 충격강도가 현저히 저하된다거나 내약품성이 저하된다. 또, 고유점도가 1.4를 넘을 경우에는 성형가공성이 현저하게 곤란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고유점도[η]는 페놀/테트라크르에탄=50/50(중량비) 용액중 250C에서 측정한 용액 점도에서 구한 값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타크릴계 수지란 메타크릴산메틸의 단독 중합체, 50몰% 이상의 메타크릴산메틸과 그 외에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시키는 다른 비닐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류, 아크리로니트릴, 메티크리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을 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타크릴산메틸의 단독 중합체 혹은 아크릴산메틸이나 아크릴산에틸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때에 특히 뛰어난 독특한 입체적 흐름모양을 가지며, 또한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갖는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메타크릴계 수지와를 블렌드하는 방법은 상기한 제각기의 수지 분말, 펠리트를 믹서로서 혼합한 후 압출기에 의하여 펠리트화하든지, 혹은 직접 이들 수지 분말 펠리트를 압출기에 공급하여 직접 성형하는 등 보통 방법을 임의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메타크릴계 수지로서 된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염안료,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핵제 등의 첨가물을 가하는 것은 임의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은 상기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99.5~70중량%, 메타크릴계 수지가 0.5~30중량%, 바람직하게로는 2~15중량%의 비율로서 배합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며, 이 범위를 일탈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입체적 흐름모양을 동시에 갖는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발현시키기가 어렵고, 더욱이 메타크릴계 수지의 배합량이 30중량%를 넘을 경우에는 성형품의 내약품성이 현저하게 저하하여 화장품용 병으로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된다. 더 나아가서는, 기계적 성질, 특히 내충격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기 않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의 입체적 흐름모양을 갖는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은 난운상(亂雲狀)의 깊이가 있는 진주 모양의 표면광택이며 종래의 평면적인 균일가 진주모양의 표면광택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서 장식성이 뛰어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의 입체적 흐름모양을 갖는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은 난운상(亂雲狀)의 깊이가 있는 진주 모양의 표면광택이며 종래의 평면적인 균일한 진주모양의 표면광택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서 장식성이 뛰어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의 입체적 흐름 모양을 갖는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은 상기한 특정조성의 수지 조성물을 보통의 압출성형이나 사출성형 또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얻은 중공(中空) 성형품으로 발현되는 것이지만, 더 나아가서는 보통의 압출성형 또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용융 성형하여 얻은 프리포옴을 연신온도 80~160℃, 전연신배열 1.3~2.0의 조건으로서 연신 블로우 성형했을 경우에는 얻어지는 중공 성형품의 기계적 성질을 가일층 향상시키며 더우기 중후감이 있는 입체적 흐름모양을 갖는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용 병으로서 사용하는데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연신블로우 성형법에 의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의 제법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프로포옴의 살두께는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병의 형태 및 연신 블로우 성형시의 전연신배율 등에 의해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지만, 성형 가공성의 면에서 1~1.2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단독중합체의 경우에는 그 살두께는 1~5mm,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1~12mm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온도는 연신블로우 성형하기 직전의 프리포옴의 바깥쪽 표면온도에 따라 정의되는 것이며, 그 프리포옴의 안쪽 표면온도도 상기한 온도범위에 들아가 있는 것이 필요하다. 80℃ 미만의 온도로서 블로우 성형할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연신이 행하여지며 불균일한 살두께로 되기 쉽고, 또 금형의 재현성이 나쁜 성형품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또, 160℃를 넘는 온도로서 블로우 성형할 경우에는 배향(配向)이 충분히 행하기가 어렵고, 또 낙하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낮은 성형품으로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프리포옴을 상기한 연신온도 범위로 유지시키자면, 용융성형하여 얻은 고온상태의 프리포옴을 방냉하거나, 또는 이 고온상태의 당해 프리포옴을 일단 실온 정도로 냉각한 후 먼 적외선히이터 등으로서 당해 프리포옴을 회전시켜가면서 균일하게 가열하는 방법 등을 알맞게 쓰면 된다.
여기에, 상기한 전연신배율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것이다. 즉, 연신블로우 성형된 중공성형품의 연신배향된 횡방향의 사이즈와 이 횡방향에 대응하는 프리포옴의 실질적으로 미배향인 횡방향의 사이즈와의 비율을 R1, 또 연신 블로우 성형된 중공 성형품의 연신 배향된 종방향의 사이즈와 이 종방향에 대응하는 프리포옴의 실질적으로 미배향인 종방향의 사이즈와의 비율을 R2로 하면,
전연신배율 = R1× R2
로서 나타내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라스틱제 화장품용 병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연신 블로우 성형법에 의한 경우에는 종래의 것과는 다른 장식성이 뛰어난 특이한 입체적 흐름모양과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또, 당해 성형품이 두께가 얇은 데도 불구하고 종래의 유리제 화장품용 병에 뒤떨어지지 않는 육후감과 도자기풍의 중후감을 주며, 종래의 유리제품에 대하여 하등 뒤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더우기, 경량으로서 또한 기계적 성질, 내약품성이 뛰어난 것이며, 헤어토닉, 모발용 기름, 화장크림, 화장수, 화장유액, 향수 등의 화장용 병, 그리고 샴푸, 린스 등의 토일릿터리 용기로서 잘 알맞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실시예 1]
고유점도가 1.2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이하 PET라 약칭함)와 25℃ 클로로포름 중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0.4인 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 단독 중합체(이하 PMMA라 약칭함)와를 중량비로서 PET/PMMA가 97/3, 94/6, 85/15의 비율로 되도록 각각 혼합하고, L/D가 26인 40mmψ 압출기를 사용하여 285℃의 수지온도로서 스트랜드 모약으로 압출하여 냉각한 후 4mm의 길이로 절단하고, 회전식의 진공건조기로서 1mmHg의 진공도, 150℃로서 5시간 건조하고, 조성비가 다른 3종류의 건조 펠리트를 얻었다.
각 펠리트를 오노기 세이사꾸쇼 제SJ-40C 사출 성형기로서 수지온도 280℃, 사출압력 35kg/㎠(게이지 압력), 성형사이클 45초, 다이렉트 게이트되는 조건으로 전장 137mm, 허리부분 외경 26mm(두께 3mm), 입나사 부분 외경 28mm(두께 1.5mm), 중량 36g의 나사가 붙은 프리포옴을 각각 성형하였다.
이들의 프리포옴은 어느 것이든지 간에 입체적 흐름 모양으로 또는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어서, 이들을 2축 연신블로우 성형기에 세트하고, 프리포옴을 회전시키면서 원 적외선 히터로서 30초에 걸쳐 표면온도가 130℃로 될때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표면온도가 100℃로 되기까지 방냉하고, 전술한 R1×R2가 각각 1.05×1.5, 1.3×2 및 2×3의 연신배율로서, 블로우 압력 20kg/㎠로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행하여 병을 얻었다. 얻어진 병의 외관 및 0℃의 물을 충전하여 마개를 한 다음 1m의 높이에서부터 시작하여 50cm씩 단계적으로 높히면서 병의 밑바닥을 아래쪽으로 하여 낙하시켜, 깨여지지 않는 최고의 높이를 구하는, 소위 낙하 테스트의 결과와, 다시 에탄올/물=75/25(중량비)의 비율로 조제한 액을 이들 병에 충전하여 마개를 한 다음 40℃로서 1개월간 방치하고, 방치전후의 외관변화를 조사하는 내용제성 테스트의 결과를 각각 제1표~제3표에 나타내었다. 비교예로서 연신배율 및 조성비를 제외한 것외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성형하여 병을 얻었다. 이들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를 제1표~제3표에 모두 나타내었다.
병의 외관
[표 1]
Figure kpo00001
그리고 제1표중 병의 외관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표시는 다른 실시예에도 공통이다)
◎ :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이 대단히 강하고 또한 입체적 흐름모양이 있는 것
○ :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이 어느 정도 강하고 또한 입체적 흐름모양이 있는 것
× :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
* : 표의 것은 형의 재현이 불충분한 것이다.
[표 2]
Figure kpo00002
[표 3]
Figure kpo00003
[실시예 2]
고유점도가 1.00인 PET와 메타메타크리레이트 92부 및 에틸아크리레이트 8부를 공중합시켜서 얻은 25℃ 클로로포름 중에서 측정한 고유점도가 0.45인 메타크릴계 수지와를 중량비로서 PET/메타크릴수지=95.5/45의 비율로서 혼합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건조 펠리트를 얻었다. 이 펠리트를 닛고오코우텍스 BI형 전자동 중공 성형기를 사용하여, 수지온도 275℃로서 외경 20mm, 두께 3mm의 파리슨을 압출하고, 전체높이 70mm, 외경 50mm, 나사부의 외경 23mm의 둥근 병을 성형하였다.
비교예로서, PET/메타크릴계 수지(중량비)가 99.7/0.3인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같은 사이즈의 둥근 병을 성형하였다. 이들 둥근병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 외관, 낙하강도, 내용제성 테스트를 평가한 결과를 제4표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kpo00004
[실시예 3]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건조 펠리트를 닛세이 IB-100으로서 인젝숀 블로우를 행하였다. 즉, 외경 18mm, 평균 두께 4mm, 길이 120mm의 나사가 붐은 파리슨을 사출 성형한 후 냉각이 완전히 행하여지기 전에 사출성형형으로부터 블로우 금형으로 옮기고, 블로우 직전의 파리슨 온도 155℃로서 블로우 성형하고 외경 45mm, 길이 120mm의 나사가 붙은 둥근 병을 얻었다.
비교예로서 PET/메타크릴계 수지(중량비)가 99.7/0.3인 조성물을 사용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같은 사이즈의 둥근 병을 성형하였다. 이들 둥근병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 외관, 낙하강도, 내용제성 테스트를 평가한 결과를 제5표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kpo00005

Claims (1)

  1. 주된 반복단위가 에틸렌테레탈레이트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 99.5~70중량부, 메타크릴계 수지 0.5~30중량부로서 된 진주모양의 표면광택을 가지며, 또한 입체적 흐름모양을 갖는 플라스틱제 화장품용병.
KR1019790003430A 1979-10-06 1979-10-06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KR83000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30A KR830000602B1 (ko) 1979-10-06 1979-10-06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3430A KR830000602B1 (ko) 1979-10-06 1979-10-06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602B1 true KR830000602B1 (ko) 1983-03-17

Family

ID=1921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3430A KR830000602B1 (ko) 1979-10-06 1979-10-06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6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2393B2 (en) Plastic formulat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lastic bottles in a two-stage stretch blow-molding process
EP1827796A1 (en) Bottles prepared from compositions of polypropylene and non-sorbitol nucleating agents
JP2004058565A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KR20080031438A (ko) 3가 양이온으로써 중화된 이오노머로부터 제조된블로우성형된 중공 물품 및 병
KR830000602B1 (ko) 플라스틱제 화장품용 병
JPS6139336B2 (ko)
JPS6142747B2 (ko)
JPS6254656B2 (ko)
JPH05278099A (ja) 黒色系ポリエステル中空成形体、ならびに、黒色系ポリエステル中空成形体用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着色ペレット
JPS6124253B2 (ko)
JP4202470B2 (ja) パ−ル光沢を有するブロ−成形品
RU2718057C2 (ru) Повышение ударопрочности при падении контейнера, изготовленного из ерет с помощью евм
JPH0343425A (ja) ポリエステル中空成形体
JPH028026A (ja) 耐熱性中空容器
Tharmapuram et 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PET/PEN blends, part 3: Injection molding and free blow studies
JPS6220888B2 (ko)
JPS6258974B2 (ko)
JP3090775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製フロスト調中空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5602B2 (ja) 黒色マット調延伸容器の製造方法
JPS6220889B2 (ko)
JP6782938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S6255498B2 (ko)
JPH0468055A (ja) ポリエステル製中空容器
US20090072427A1 (en) Process for varying the appearance of a container having a foamed wall
CN117621412A (zh) 一种聚酯容器制品及其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