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579B1 - 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579B1
KR830000579B1 KR1019770000677A KR770000677A KR830000579B1 KR 830000579 B1 KR830000579 B1 KR 830000579B1 KR 1019770000677 A KR1019770000677 A KR 1019770000677A KR 770000677 A KR770000677 A KR 770000677A KR 830000579 B1 KR830000579 B1 KR 830000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urned
channel
switch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7000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579A (ko
Inventor
미끼오 이이다
미쯔루 호소야
Original Assignee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to KR101977000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79A/ko
Publication of KR830000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79B1/ko

Links

Imag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
제1도는 종래 실시예의 회로도.
제2도는 종래 실시예의 조작부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 조작부의 정면도.
제5도는 선국장치의 다른 구체적인 회로도.
본 발명은 텔레비죤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텔레비죤 신호 또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VTR) 텔레비죤 카메라 등으로부터 방송 텔레비죤 신호 및 외부 비데오 신호를 선국하기 위한 절환장치를 가지는 텔레비죤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텔레비죤(이하 TV라 칭함)수상기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TV신호는 안테나(1)로 수신되어튜너(2)와 선극장치(3)에 의하여 선국되고 중간주파증폭기(4)에 의하여 증폭되어 비데오 검파기(5)로 검파된다. 이 비데오 검파기(5)로부터 TV신호는 절환스위치(8)의 절환단자(a) 및 외부 출력단자(01)에 인가된다. 절환스위치(8)가 단자(a)에 절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TV신호가 비데오 증폭기(6)를 경유하여 CRT(7)에 인가된다.
절환스위치(8)의 다른 절환 단자(b)는 외부 입력단자(02)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 외부 입력단자(01),(02)에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이하 VTR라 칭함)입력 및 출력단자가 개별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절환스위치(8)를 단자(b)에 절환하면 VTR등의 외부의 응용기로부터 신호가 비데오증폭기(6)를 경유하여 CRT(7)에 인가된다. 상기튜너(2)는 전압 제어형으로 내부의 리엑턴스소자(예를들면 바리갭)(20)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경시키므로써 소정 채널을 선국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선극장치(3)는 상기 가변 리액턴스소자(20)에 선택 채널에 따른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고 선국용 압압보턴 스위치(301),(302),…스위칭 트랜지스터(311),(312), …, 선국전압 프리세트용 가변저항기(321),(322)…, 선국 채널 표시용 네온 램프(331),(332),…,다이오드(341),(342),… 및 선극용IC(30)는 단자(C)에 소정전압(예를들면+BL전원전압)이 인가되고 있는동안 각 스위칭 트랜지스터(301),(302),…를 한 개씩 순차로 ON하여 가는 것이고, 실예를들면 펄스발생기(31), 카운터회로(32), 데크더회로(33)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선극용IC(30)는 펄스 발생기와 링카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TV수상기의 조작부의 실시예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채널 선택용의 조작보턴(201),(202)…,는 실예를 들면 자기 복귀하는 압압보턴이고, 제1도의 각 스위치(301),(302)…에 해당하고 있다. 즉조작보턴(201),(202),…중 소정의 어느 한 보턴만을 압압하고 있는 동안, 스위치(301),(302),…중에 해당하는 하나의 보턴이 ON되며 압압을 멈추면 자기 복귀하여 OFF가 된다.
또한 이 조작보턴(201),(202),…접촉 스위치의 접촉전극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채널 표시부(231),(232),…의 배후에는 제1도의 네온램프(331),(332),…가 배치되고 선국 채널이 발광 표시된다. 이들 조작보턴(201),(202),…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파워스위치 음량조절보턴 등은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TV수상기의 정면측부 등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사용의 빈도가 적은 보턴등은 뚜껑으로 덮어져 있거나, TV수상기의 측판이나 뒷판에 배치되는 일이 많다. 이것은 오조작을 방지하고 외관상의 미관을 높이는데 유효하기 때문이다. 제2도에서는 점선으로 둘러쌍인 부분(200)이 뚜껑에 의하여 덮어진다. 이 부분(200)에는 제1도의 선국전압 프리세트용 가변 저항기(321),(322),…에 해당하는 프리세트 손잡이(221),(222),…, 제1도의 절환스위치(8)에 해당하는 스라이드 스위치(28)등이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채널선택용 조작보턴(201),(202),…과, TV수신 모오드와, VTR재생모오드를 절환하는 스위치(28)에 분리되게 배치되고, 조작형태도 다르기 때문에 조작성이 불량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실예를들면 스위치(28)를 VTR측에 절환한 상태로는 채널 선택용 조작보턴(201),(202),…의 어느 것을 조작하여도 선택된 채널의 TV화상을 얻지 못하고 사용자가 TV수상기의 고장으로 오인하는 수가 있다.
또한 VTR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VTR재생 모오드에서 TV의 소망하는 채널 절환은 스라이드스위치(28)를 TV측으로 절환한 후, 조작보턴중 소망하는 하나의 보턴을 조작할 필요가 있어서 불편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에 감하여 된 것으로서 채널 선택과 모오드 절환이 동일 조작으로 행해지고, TV모오드의 소망하는 채널 선택과 VTR모오드와의 절환이 1회의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텔레비죤 수상기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찬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TV수상기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안테나(1), 튜너(2), 중간주파 증폭기(4), 비데오 검파기(5), 비데오 증폭기(6) 및 수상관(ORT)은 종래와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선국장치(3)도 종래와 거의 같으나 채널 선택용 보턴 스위치(301),(302)…의 ON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 출력(이것은 AFT데휘이트용, 혹은 사운드 용으로서 사용된다)을 단자(03)으로 경유케하여 다음에 기술되는 모오드 절환회로(10)에 인가되게 한다.
비데오 검파기(5)에서의 TV신호는 외부출력단자(01) 및 게이트회로(81)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외부출력단자(01)에는 VTR(9)의 입력단자가 접속되고 이 VTR(9)로부터의 재생출력은 TV수상기의 외부 입력단자(02)를 경유하여 게이트회로(82)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이들 게이트회로(81),(82)의 출력은 비데오증폭기(6)을 경유하여 CRT(7)의 영상신호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모오드 절환회로(10)에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게이트 회로(81),(82)의 어느 한 게이트만을 도통되게하여 TV수신 신호와 VTR재생신호를 선택적으로 CRT(7)에 전달한다.
모오드 절환회로(10)는 플립플롭(이하 FF라 칭함)를 가지고 있고 이 FF(11)의 서로 반전시킨 두 개의 출력을 다이오드(151),(152)로 경유케하여 상기 게이트회로(81),(82)의 제어단자에 개별적으로 인가한다.
TV수상기의 조작부는 제4도와 같이 구성된다. 여기서 채널 선택용 조작보턴(201),(202)… 채널표시부(231),(232)…및 동조손잡이(221),(222)… 등은 제2도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외에도 채널 선택용 조작보턴(201),(202)…에 인접하여 그와 동일한 조작을 하는 모오드 절환용 조작보턴(120)이 배열되어 있다.
이 조작보턴(120)의 근방에는 TV모오드 표시부(12) 및 VTR모오드 표시부(122)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표시부(21),(122)의 배후에는 제3도의 네온램프(141),(142)가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FF(11)가 리세트 상태로 될 때 게이트회로(81)는 도통하게 되고 소정 채널, 즉 제1번째의 채널이 선극되어 있을 때 선극장치3의 제1의 트랜지스터(311)만이 ON상태로 되게하고 다른 트랜지스터(312)등은 OFF상태로 되게 한다. 이때 각 가변저항기(321),(322)…의 출력전압은 가변저항기(321)만이 프리세트된 소정전압으로 다른 가변저항기(322)등의+BH전압보다 낮다. 따라서 다이오드(341)만이도통되고 그와 다른 다이오드(342)등은 비도통 상태로 된다. 결국 튜너(2)의 가변 리액턴스소자(20)에는 가변저항기(321)로부터의 소정의 프리세트 전압이 다이오드(341)인가를 경유하여 된다. 이때 네온 램프(331)만이 점등되고 다른 네온램프(332)등은 모두 소등된다. 또한 FF(11)가 리세트 상태에 있고 트랜지스터(143)가 ON상태로 있게되므로 네온램프(141)가 점등되어 TV표시부(121)를 조사한다. 이때 조작부의 조작보턴(120)을 압압하여 모오드 절환회로(10)의 스위치(12)를 on시키면 플립플롭(11)이 세트되게 하고 다이오드(152)를 경유하는 논리고 「H」출력이 게이트회로(82)로 인가된다.
따라서 게이트회로(82)가 도통되고 VTR(9)로부터의 재생신호를 비데오 증폭기(6)로 경유되게 한 후 CRT(7)에 인가한다. 이때 트랜지스터(145)가 ON되므로 네온램프(142)가 점등되고 VTR'표시부(22)가 조사된다.
그다음, 다른 소망의 채널, 실예를들면 제2의 채널스위치(302)를 ON되게하면, 트랜지스터(312)가 상태 OFF로 되기 때문에+BH전원전압은 가변 저항기(322) 및 스위치(302)를 경유하여 점 A에 인가된다. 이점(A)는 저항(35), 다이오드(36)을 경유하고+BL전원(+BL<+BH)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C)점에는 대략+BL전원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선국용 IC(30)이 동작하여 스위칭트랜지스터(311), (312)…를 순차로 한계씩 ON시킨다. 이 ON 동작의 추이 시간은 약 0.7ms 정도이고 조작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압압보턴(202)를 압압하고 스위치(302)를 ON되게하는 시간보다도 충분히 짧으므로 모든 트랜지스터(311), (312)…가 적어도 한번이상되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스위치(302)를 ON하고 있는 사이에 트랜지스터(311)등이 순차로 ON되고 스위치(302)에 병렬 접속된 트랜지스터(312)가 온하였을 때 점 A의 전압이 영이되고 점(C)의 전압도 영이된다. 따라서 선국용 IC(30)의 동작은 정지하고 트랜지스터(312)가 ON의 상태로 유지되고 제2의 채널이 선택되게 한다
그런데 선국용IC(30)의 단안점 멀티 바이브데이터(이하 MM라 칭함)(34)는 스위치(302)가 ON되어(C)점에 전압(+BL)이 인가되었을 때 한개의 펄스를 발생시키고 그로부터 이 펄스가 단지(03)를 경유하여 모오드 질환회로(10)의 트랜지스터(13)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따라서 FF(11)는 리세트되며 논리고 「H」신호는 다이오드(151)를 경유하여 게이트회로(81)의 제어단자에 인가되게 한다. 따라서 게이트 회로(81)가 도통되고 비데오 검파기(5)로부터의 TV신호가 비데오 증폭기(6)을 경유하여 CRT(7)에 인가된다. 이때 FF(11)의 다이오드(152)측의 출력은 논리저 「L」로 되어 게이트회로(82)가 비도통되고, 네온 램프(142)가 소등되게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동일한 방법이 조작으로 VTR재생모오드에 의하여 수신모오드에 대한 소정의 채널 선택을하도록 하고 그 조작은 용이하게 한다.
이와같은 선국장치(3)에서 특정한 채널선택을 하도록 보턴을 조작한 경우, 실예를 들면 보턴(201), 보턴(120)을 조작한 후 다시 보턴(201)을 조작한 경우에는 트랜지스터(311)가 이미 ON상태로 있기 때문에(C)점에는 +BL전압이 나타나지 않고 단자(03)에 펄스출력이 인가되지 않는다는 좋지못한 현상이 있었다. 이 때문에 다음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선국장치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5도는 선국장치의 다른 구체적 회로를 도시한 것인데 이의 구성은 제3도와 같기 때문에 동일부호의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우선 소정의 채널, 즉 제1의 채널이 선국되어 있는 경우에는 트랜지스터(311)만이 ON이되고 프리세트된 가변저항기(321)에서의 소정전압은 다이오드(341)를 경유하여 상기튜너(2)의 가변 리액턴스소자에 인가된다. 이때 (A)점에는 저항(353),(354), 다이오드(356)을 경유하는 전원단자(04)의 +BL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저항(353),(354) 및 다이오드(356)를 흐르는 전류는 영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351)의 베어스에미터간 전압은 영이되고 트랜지스터(351)는 OFF된다. 또 B점의 전위도 +BL이고 트랜지스터(352)의 베이스에미터간 전압이 영으로 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352)로 OFF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단자(C)는 소정의 저전위(실예를 들면 영)로 된다.
다음에 현재 수신중의 채널이외의 소량의 채널, 실예를 들면 제2의 채널의 압압보턴 스위치(302)를 으로한 경우에는 전원단자(05)의 +BH전압이 가변저항기(322) 압압보턴스위치(302)를 경유하여 점(A)에 인가된다 이 때 전압은 +BH>BL이 되므로 트랜지스터(351)는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트랜지스터(351)를 되게 한다.
이 트랜지스터(351)의 콜렉터에는 +BL전압이 발생하고 점(C)에 인가되기 때문에 MM(34)가 펄스를 발생하고 이것을 단자(03)에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제3도의 동작과 동일하다.
한편 현지 수산중의 채널과 동일한 채널, 예를 들면 제1의 채널의 압압보턴 스위치(301)를 ON한 경우에는 트랜지스터(311)이 ON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A)점은 스위치(301), 트랜지스터(311)를 경유하여 접지되어 전위는 +BL에서 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단자(04)에서의 전원전류는 다이오드(356)등을 경유하여 흐르고 이 때 콘덴서(357)에 충전이 행해진다. (B)점은 +BL의 전압을 저항(353), (354)로 분합된 전위로 되고 단자(04)에서는 트랜지스터(352)의 에미터-베이스와 저항(359)으로 형성시킨 병렬회로를 경유하고 콘덴서(352)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트랜지스터(352)는 ON되고 콜렉터에는 대략 +BL의 전압이 나타난다. 이 전압은 점(C)를 경유하여 MM(34)에 인가된다. 다른 동작은 제3도의 회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5도의 회로에서 스위치(301) 개폐시의 신호는 저항(354), 콘덴서(357)으로 구성시킨 적분회로에 의하여 소음이나 잡음 등이 제거되고 다음에 콘덴서(358)를 경유하여 차동 신호로서 트랜지스터(5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또한 트랜지스터(351),(352)의 베이스 및 에미터가 소정채널의 TV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BL전원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트랜지스터는 튜너회로등의 비데오 신호장치의 고저압부하 변동 등에 의한 전압원의 변동에 대하여 극히 안정하다. 저항(353)은 콘덴서(357)의 방전시정수를 결정하며 그 값은 소음을 제거할 것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를 저항(353), 콘덴서(357)의 병렬회로에서 역방향으로 충전된 전압은 저항(359)을 경유하여 콘덴서(358)를 방전시킨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해진 바와 같이 VTR재생과 소정채널의 TV수신을 동일 조작으로 더우기 한개의보턴 조작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조작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고 오조작의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만에 한정되지 않고, 실예를들면 스위치(12)가 FF(11)에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를 원격지에서(리모톤 조작부등에 의하여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

  1. 본문에 설명하고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죤 수상기의 조작부에 배열된 채널선택용 조작보턴 및 모오드절환용 조작보턴과, 상기 채널 선택용 조작보턴의 조작에 따라 세트되는 플립플롭 및 그에 연결시킨 스위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모오드 선택회로와 이 플립플롭의 출력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상관에 전달하는 게이트 회로로 구성시킨 텔레비죤 수상기.
KR1019770000677A 1977-03-21 텔레비젼 수상기 KR830000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0677A KR830000579B1 (ko) 1977-03-21 텔레비젼 수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0677A KR830000579B1 (ko) 1977-03-21 텔레비젼 수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79A KR830000579A (ko) 1983-03-14
KR830000579B1 true KR830000579B1 (ko) 1983-03-1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5490A (en) Receiver with a channel swapping apparatus
US5815088A (en) RF switching with remote controllers dedicated to other devices
US3503018A (en) Tuning of receivers such as radio or television receivers using trigger devices for selection
US3821651A (en) Scanning control circuit for use in signal seeking radio receiver
US4151557A (en) Television receiver operating mode selector
US4139865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video changeover switch responsive to channel selector
US4860380A (en) Autoprogramming tuner apparatus
US4167704A (en) Channel selecting apparatus
KR830000579B1 (ko) 텔레비젼 수상기
US3839681A (en) Unused channel skip system
US4710737A (en) Band switching circuit tuner
US3890574A (en) Time-sharing scanning receiver
KR810002159Y1 (ko) 텔레비죤 수상기
KR830000304B1 (ko) 텔레비죤 수상기
JPS5827583Y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820001697B1 (ko) 선국 장치
US3777288A (en) Plural band channel selector having selector knobs controlling respective ones of a plurality of tuners
JPS5821261Y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S5853817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820002170Y1 (ko) 선국 장치
JPS6031337Y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選局装置
KR820000442B1 (ko) 전자동조 튜우너를 갖춘 컬러텔레비전 수신기의 동조전압 표시장치
US4530005A (en) AFC circuit for television tuner
JPS5932034B2 (ja) 録画装置付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00034496A (ko) 텔레비젼 채널 저장 및 바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