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557Y1 -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 - Google Patents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557Y1
KR830000557Y1 KR2019810008705U KR810008705U KR830000557Y1 KR 830000557 Y1 KR830000557 Y1 KR 830000557Y1 KR 2019810008705 U KR2019810008705 U KR 2019810008705U KR 810008705 U KR810008705 U KR 810008705U KR 830000557 Y1 KR830000557 Y1 KR 830000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logic
dial
mfc
click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정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주식회사
구두희
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주식회사, 구두희, 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10008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2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04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
제1도는 기존의 전화기 회로, 키이 보오드(key board) 및 본 고안이 실시된 MFC다이얼 회로를 통합적으로 구성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MFC 다이얼 회로 및 키이 보오드를 상세하게 표시한 단면.
제3도는 제2도에 표시한 MFC다이얼 회로의 중앙 처리장치를 예시 목적상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화기 회로 200 : 다이얼 장치
300 : 키이 보오드 108 :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
230 : 토운 발생기 109 : 유도코일 : 뮤트회로
110 : 송화갑 : 클릭음 감쇄회로 114 : 전원 공급회로
본 고안은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전자식 교환용 전화기의다중음 발생기기(MFC Dial)에서는 다이얼 입력장치로 공통접점으로된 다이얼 키이패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런 전화기에서, 가입자가 상대방을 호출할 목적으로 다이얼링을 행하여 호출신호를 송출시킬때에 신호확인음 레벨과 다이얼 키이 버튼의 "온""오프"시의 전기적 과도현상으로 인한 불쾌한 클럭음이 송화자에게 들리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클릭음을 감쇄시키기 위해서 기구적인 금속 공통접점의 동작시간을 이용하였다. 즉, 키이 버튼을 누를때는 정보 신호 내지 클릭음이 발생되기 이전에 금속 공통 접점이 떨어져서 감쇄용 저항기를 통하여 수화갑에 전달되고 키이버튼을 놓을 때는 신호음 내지 클릭음 발생이 종료된후 공통접점이 복귀되어 통화 상태의 전화기 회로망이 구성되는 것이었다. 이런 장치에 있어서는 장시간 사용에 따라 금속 공동접점의 스프링의 장력이 약해지게되고 이에 반하여 사용자의 키이버튼의 "온""오프"절환시간이 아주 빠르게되면 상술한 클릭음 감쇄작용이 불안했거나 불능이었다. 이에 연유해서 금속 공통접점을 형성하는 재질의 성능을 개선시키거나 공통접점의 동작시간을 적절하게 추어야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MFC다이얼장치의 과도 전류에 기인한 수화갑에서의 클릭임 발생을 감쇄시키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할 목적으로, 토운발생기, 전원공급회로, 송신회로, 토운출력회로 및 뮤트(mute)회로된 기준 MFC다이얼장치에 있어서, 토운 발생기의 뮤트단자 및 뮤트회로의 다이얼링시 수화갑 뮤트용 디바이스 사이에 트랜지스터 등으로된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여 키이버튼을 눌렀다. 놓을시의 과도전류 발생기간 동안에 전기 수화갑 뮤트용 디바이스를 계속 작동시켜 클릭음의 원천인 과동전류(임펄스)를 상쇄시켜 버리는 회로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을 실시한 MFC다이얼 장치는 다이얼링 시에 전술한 클릭음의 영향을 받지 않게되는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기존의 전화기 회로(100), 키이보오드(300) 및 본 고안이 실시된 MFC다이얼 장치의 회로군(200)을 통합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전화기 회로(100)의 현재의 구성 상태는 송화갑(110) 및 수화갑(114)으로된 핸드셋을 내려놓은 상태인데, 라인(L1)(L2)을 통해 신호 호출이 있게되면 벨(105)이 울게되고 이때 핸드셋을 들게되면 접점(106)이 절환되어 라인(L1)(L2)을 통한 통화회로는 다이오드 브릿지 정류기(108)유도코일(109)결합 커패시터(117)를 거쳐 수화갑(114)에 전달되고 송화갑(110)으로 응답하게 된다. 전화기 회로(100)에서 미 설명된 저항기(101)(102)는 라인(L1)(L2)신호 조절용이고, 제너다이오드(107)는 과도 신호방지용, 유도코일(109) 저항기(11)(113), 커패시터(112)는 송수신 분리기능을 수행하며, 다이액(115), 저항기(116)는 수화갑(114)에 전달되는 음성신호 조절용이며, 커패시터(117)는 수화갑(114)에의 음성신호 결합용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MFC다이얼 장치의 회로군(200)와 키이보오드(300)를 표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MFC다이얼장치(200)는 MFC다이얼용 토운 발생기(230)(제3도 참조)를 중심으로, 이 토운 발생기(230)의 뮤트단자(10)에 연결되어 다이얼링시 수화갑(114)에 클릭음 전달을 제거시키는 작용을 행하는 다이오드(210), 저항기(205)(206)(207), 커패시터(208), 트랜지스터(204)의 클릭음 감쇄회로(B)와 이에 의해 제1도의 수화갑(114)을 뮤트시키는 트랜지스터(201), 저항기(202)((203)의 뮤트회로(A)와, 토운 발생기(203)의 송신단자(2)에 연결되어 다이얼링후 통화회로를 구성케하는 저항기(213)(214), 트랜지스터(211)(212), 다이오드(209)의 송신회로(C)와, 토운 발생기(230)의 토운 출력단자(16)에 연결되어 토운 출력을 제1도의 라인(L1)(L2)로 송출시키는 스위칭 기능을 행하는 저항기(216) 트랜지스터(217) 저항기(218)의 토운 출력회로(D)와, 그리고 제1도의 라인(L1)(L2)로부터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108)단자(D1)(D3)를 거쳐 토운 발생기(230)에 바이어스 전원을 공급하는 저항기(215), 제너 다이오드(219), 커패시터(220)의 전원공급 회로(E)로 구성된다. 또한 제3도의 블록 다이어그램은 단일 칩인 기존의 토운 발생기를 본 고안의 설명 목적상 표시한 것이다.
가입자가 송화갑(110)수화갑(114)으로된 핸들 셋을들면 제1도의 접점(106)의 접촉상태가 전환하여 라인(L1)(L2)의 전류가 다이오드브릿지 정류기(108)에서 극성이 정해진후 MFC다이얼 장치의 회로군(200)의 단자(D1)(D3)를 거쳐 저항기(215), 제너 다이오드(219), 커패시터(220)로 된 전원 공급회로(E)에서 일정전압이 형성됨과 동시에 토운발생기(230)의 전원공급단자(1)(6)에 걸리게된다. 이때의 입력은 제2도에 표시한 다이얼 버튼(300)인데 현재의 상태는 이들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이므로 토운 발생기(230)의 발진기(232)분주기(233), 횡렬 키이보오드 로직(234), 프로그램 가능한 분주기 로우 그룹(235), 종렬 키이보오드로직(237), 프로그램 가능한 분주기 하이그룹(238), 사인파합성기(241)의 8단계존손 카운터(241a)(214b), 제자형 저항기 회로망(241b)(241e), 기준 신호발생기(241c)가 디스에이블(disable)상태도 되어 가산기(242)의 출력은 논리적으로 "로우"레벨, 이에따라 트랜지스터(243)가 "턴 오프"됨으로서, 토운 출력단자(16)의 논리수준은 "로우"가 되고 제2도에 표시된 토운 출력회로(D)의 트랜지스터(217)의 베이스에도 논리적으로 "로우"레벨이 걸리게되어 이 트랜지스터(217)도 "턴 오프"된다. 이에 따라 전화기 회로(100)에는 아무런 토운 신호 변동이 없게된다. 이때 횡렬 키이보오드 로직(234), 종렬 키이보오드 로직(237)의 출력으로 인해 인히비트 로직(inhibet logic)(236)의 논리가 송신 뮤트 로직(239)의 논리를 인에이블 시키게되는데(이때의 송신 논리는 "하이", 뮤트논리는 "로우")이에 따라 트랜지스터(240)가 통전되어 송신단자(2)는 논리적으로 "하이"레벨이 된다.
이 "하이"레벨의 신호가 송신회로(C)의 저항기(213)를 거쳐 NPN트랜지스터(212)의 베이스에 인가됨으로서 트랜지스터(212)(211)는 "턴온"되고 송화갑(110)에 연결된 단자(D2)가 다이오드(289)트랜지스터(211)를 거쳐 접지점단자(D3)에 연결되어 전화기회로(100)의 통화회로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송신 논리가 "하이"일때 인히비트 로직(236)의 출력으로 인해 송신 뮤트 로직(239)의 뮤트로직이 논리적으로 "로우"가 됨으로 인해서(단자 10)클럭음 감쇄회로(B)의 다이오드(210)는 역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오프"되고 트랜지스터(204)는 "오프", 이에따라 뮤트회로(A)의 트랜지스터(201)도 "오프"됨에 따라 수화갑(114)용 뮤트회로(A)는 동작하지 않게된다. 결국, , 통화회로(C)가 동작하게 됨으로 인해서 라인(L1)(L2)의 대부분의 전류는 유도코일(109)의 단자(T) : 단자(D2), 송화갑(110), 다이오드(209), 트랜지스터(211)를 경유해서 접지점으로 흐르는 한편 그 일부가 유도코일단자(T), 단자(D1), 저항기(215)를 경유해서 토운 발생기(230)로 흘러서 토운발생기(230)의 바이어스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셈이다.
그후 전화기 사용자는 핸드 셋을 들은 상태로 신호송출을 위해서, (1)다이얼버튼(300)의 키이버튼을 누르는 순간, (2)키이 버튼을 누르고 있는동안, 그리고 (3)키이버튼을 놓을때의 상태 동작을 분설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이얼버튼(300)의 키이버튼을 누르는 순간
가입자가 핸드셋을 들은 상태로 전자식 교환기로부터 다이얼 토운을 듣고서 다이얼버튼(300)의 키이버튼을 누르면 토운 발생기(230)의 횡렬 키이보오드 로직(234) 및 종렬 키이보오드 로직(237)이 발진기(232) 및 분주기(233)의 논리를 인에이블 상태로 두게되므로 클럭 신호가 발생한다. 이 분주기(233)에서 나오는 클럭신호, 횡렬 키이보오드 로직(234) 및 종렬키이 보오드 로직(237)의 논리에 의해 프로그램 가능한 분주기로우그룹(235), 인히비트로직(236), 프로그램 가능한 분주기 하이그룹(238)이 인에이블 상태로되어, 이들 회로의 논리가 사인파 합성기(241)의 8단계 존슨카운터(241a)(214b) 및 송신 뮤트 로직(239)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사인파 합성기(241)는 복합 주파수의 토운을 발생시키게되고 이 토운신호가 가산기(242)를 통해 트랜지스터(243)의 베이스 전극으로 들어감에 따라 트랜지스터(243)가 통전하게 되는데, 이때 콜렉터에 걸린 VDD전압이 키이 버튼 누름에 따른 순간적인 변화전압에 기인한 임펄스(impulse)성분이 토운신호와 함게 토운 출력단자(16) 저항기(216), 트랜지스터(217), 단자(D1)(D3),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기(108)를 거쳐 라인(L1)(L2)으로 송출된다. 이런 일련의 송출과정에서의 임펄스 성분(다이얼 버튼을 누르는 순간의 클릭음 발생원인은, 첫째 트랜지스터211이 "오프"되면서 유도코일단자 T에 나타나는 전압변화와, 둘째 토운 발생기 230의 VDD전압공급되는 전압변화에 기인함)이 단자(D1)(D3), 유도코일단자(T)(N)(R), 결합 커패시터(117)를 거쳐 수화갑(114)에 전달됨으로 인해서 클릭음이 생성될 수 있으나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같은 본 고안의 클릭음 감쇄회로(B) 및 뮤트회로(A)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이 모우드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토운 발생기(230)의 동작이란 전술한 횡렬키이 보오드 로직(234), 종렬 키이보오드로직(237)의 논리신호를 받은 인히비트 로직(236)의 논리가 변화하여 키이버튼을 누르기전의 송신뮤트 로직(239)의 논리상태(이때는 송신 로직은 논리적으로 "하이"레벨이었고, 뮤트 로직은 논리적으로 "로우"레벨이었음)를 반전시킨다는 것이다. 이에의거 토운 발생기(230)의 트랜지스터(240)는 "오프", 이에 연결된 송신회로(C)의 트랜지스터(212)(211)도 "오프"되어 전화기 회로(100)의 송화갑(110)은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한편, 송신 뮤트로직(239)에 연결된 뮤트 신호출력단자(10)의 논리는 "하이"가 되어 제2도의 다이오드(210)를 통전시키고 이에 연유해서 동작하는 트랜지스터(204)도 "온"(이와 동시에 커패시터(208)에 충전이 이루어짐), 뮤트회로(A)의 트랜지스터(201)의 베이스 바이어스 전류가 저항기(203)트랜지스터(204)의 콜렉터에 미터를 거쳐 접지점으로 흐르게 됨으로 인해서 수화갑(114)뮤트용 트랜지스터(201)도 "온"되어 앞서 언급한 클릭음이 수화갑(114)에서 생성되지 않는 것이다.
부언하면, 키이 버튼을 누르는 순간에는 임펄스가 전화기회로(100)의 유도코일(109)의 단자(T, N, R)를 지나 수화갑(114)으로 흘러야하므로 유도코일(109)에 자기에너지를 축적하는데 필요한 시간지연이 발생된다. 따라서 임펄스가 수화갑(114)에 도달되기 이전에 이 전술한 일련의 회로동작에 따라 뮤트회로(A)의 트랜지스터(201)가 "온"상태에 있게되는 연유로 앞의 임펄스가 트랜지스터(201)를 통해 흡수됨으로 인해 수화갑(114)에는 불쾌한 클릭음이 들리지 않게된다.
(2)키이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이 모우드는 상술한(1)항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동작이 행하여지는데, 즉 송신출력단자(1)의 논리 수준이 "로우"이고 뮤트단자(10)는 "하이", 그리고 토운 출력단자(16)에서 듀얼토운(dual tone) 즉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클릭음 감쇄는 전기(1)항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3) 키이버튼을 놓을때
이때는 횡렬 키이보오드 로직(234), 종렬 키이보오드 로직(237)의 논리가 발진기(232), 분주기(233), 프로그램 가능한 분주기 로우그룹(235), 프로그램 가능한 분주기 하이그룹(238), 사인파합성기(241)의 8단계 존슨카운터(241a)(241b), 제자형 저항기 회로망(241b)(241e), 기준 신호발생기(241c), 가산기(242)를 디스에이블시켜 트랜지스터(243)가 "오프", 토운 출력(16)이 로우레벨이 됨에따라 토운출력(D)회로의 트랜지스터(217)가 "오프"되고 이에따라 전화기회로(100)의 전류방향이 갑자기 변화함으로서 회로에 임펄스가 발생된다. 이와 동시에 토운발생기(230)의 인히비트 로직(236)의 횡렬 키이 보오드 로직(234) 및 종렬 키이보오드 로직(237)에 의거 송신 뮤트 로직(239)의 출력단자를 변화시키게 됨에 따라 전술한 제1, 2항의 경우와 반대로되고, 즉 초기상태로됨)뮤트단자(10)의 레벨은 논리적으로 "로우", 그리고 송신단자(2)의 레벨은 논리적으로 "하이"가 되어 제2도의 클릭음 감쇄회로(B)뮤트회로(A)를 부동작시키고 송신회로(C)는 동작할 것이라고 생각될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전화기의 통화회로가 이루어지는 반면, 후술하는 바와같이 일정시간동안 후술하는 바와같이 일정시간도안 클릭음 감쇄회로(B)는 계속동작하여 뮤트회로(A)를 동작시켜 키이버튼을 놓을때에 발생되는 임펄스가 수화갑(114)에 전달될지 않게한다.
키이버튼을 놓는 순간에 토운발생기(230)의 뮤트단드(10)는 논리적으로 "로우"레벨이 되어 다이오드(210)가 "오프"되고, 이때 전술한(1)(2)항의 모우드에서 커패시터(280)에 충전되었던 전류가 다이오드(210)에 의해 토운 발생기(230)로의 흐름은 차단되지만 저항기(270)(280)를 통해 방전하면서 트랜지스터(204)(201)의 "턴 오프"시간을 지연시키게 되어, 클릭음의 원천인 임펄스를 트랜지스터(201)를 통해 흡수시킨다. 따라서 전화기 사용자는 키이 버튼을 놓을시에 불쾌한 클릭음을 듣지않게 된다.
공통접점 MFC다이얼에서와 같이 기구적으로 클릭음을 감쇄시키는 방법이 아닌 단일 접촉 MFC다이얼에서의 클릭음 감쇄는, 상술한 바와같이 수화갑(114)뮤트용 트랜지스터(201)의 통전기간을 조절하는 본 고안의 클릭음 감쇄회로(B)를 구성함으로써 효울적으로 이루어진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같이 MFC다이얼장치(200)에 있어서, 토운 발생기(230)의 뮤트단자(10) 및 수화갑(114)뮤트용 트랜지스터(201)의 베이스 저항기(203)사이에 다이오드(210), 저항기(205)(206), 트랜지스터(204)를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다이오드(260)와 저항기(205)간의 접합점과 접지점 사이에 저항기(207), 커패시터(208)를 직렬 연결하여 구성된 MFC다이얼장치의 클릭음 감쇄회로.
KR2019810008705U 1981-12-19 1981-12-19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 KR830000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705U KR830000557Y1 (ko) 1981-12-19 1981-12-19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705U KR830000557Y1 (ko) 1981-12-19 1981-12-19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57Y1 true KR830000557Y1 (ko) 1983-04-13

Family

ID=1922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705U KR830000557Y1 (ko) 1981-12-19 1981-12-19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5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3844A (en) Hold circuit for telephone system
JPS5830783B2 (ja) デンワ ニ カンスル カイリヨウ
US3064084A (en) Telephone substation apparatus
USRE31643E (en) Hold circuit for telephone system
KR830000557Y1 (ko) Mfc다이얼의 클릭음 감쇄회로
US3454726A (en) Key dialling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special signals over a loop in the call condition
US3284577A (en) Substation apparatus employing a multi- frequency signaling arrangement
US4199664A (en) Telephone line circuit
US3617646A (en) Multifrequency oscillator employing solid-state device switching for frequency selection
EP0082749B1 (fr) Terminal télématique raccordé à deux lignes téléphoniques et à téléalimentation partielle
US4442322A (en) Electronic common switch having an improved receiver mating arrangement
GB2037128A (en) Electronic telephone on a chip
KR890004369Y1 (ko) 톤, 펄스 겸용다이얼 송출회로
KR860002227Y1 (ko) 홈 키폰(Home Keyphone)의 대기음악 송출회로
US4529844A (en) Pulse output telephone system with ring tap elimination
KR890003187B1 (ko) 아웃펄스 및 톤 겸용 방식의 전화기 회로
IE55828B1 (en) Telephone exchange
US3526724A (en) Key-controlled two-frequency af generator
KR790001918Y1 (ko) 톤 다이얼(Tone Dial) 발생장치
JPS58123265A (ja) 押釦ダイヤル電話機
KR960010574Y1 (ko) 음소거 기능을 가진 전화기회로
KR0145481B1 (ko) 전원잡음 제거기능을 갖는 전자식 교환시스템
JPH0153951B2 (ko)
JPS6342256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50004456Y1 (ko) 전화기의 링 신호 검출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