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553Y1 - 전자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전자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553Y1
KR830000553Y1 KR2019830001699U KR830001699U KR830000553Y1 KR 830000553 Y1 KR830000553 Y1 KR 830000553Y1 KR 2019830001699 U KR2019830001699 U KR 2019830001699U KR 830001699 U KR830001699 U KR 830001699U KR 830000553 Y1 KR830000553 Y1 KR 830000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ub
frame
temporary fixing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1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오 이도오
가즈노리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아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아사꾸쇼, 무라다 아끼라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무라다 세아사꾸쇼
Priority to KR2019830001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을 유익하게 적용할 수 있는 VHF텔레비젼 튜우너의 1예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임시 고정구조의 1예를 도시한 도면.
제3a도 및 제3b도는 종래의 임시 고정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실시예의 평면도.
제6도는 프레임(frame)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것으로, 제6a도는 정면도, 제6b도는 좌측면도, 제6c도는 우측면도, 제6d도는 평면도.
제7a도-제7c도는 시일드 플레이트의 예시도.
제8도는 주기판의 예시도.
제9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개략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원통형 캐패시터 유니트의 1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0b도는 제10a도의 XB-XB선에서 본 단면도.
제11도는 연결단자의 1예시도.
제12도는 부기판의 1예시도.
제13a도-제13b도는 주기판과 연결단자, 원통형 캐패시터 유니트 및 부기판의 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4a도-제14d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우선적인 실시예의 조립단계를 그린 개략도.
제15a도 및 제15b도는 더 우선된 실시예의 도면.
제16a도 및 제16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1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추가된 실시예의 사시도.
본 고안은 전자 튜우너의 조립체안에 있는 임시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튜우너를 조립하는데 각각의 소자들을 연결상태에서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VHF텔레비젼 전자 튜우너의 1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상기 튜우너에 유익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전자 튜우너(100)은 시일드 케이스로 쓰이는 프레임(1)과, 주기판으로 쓰이는 회로기판(2)와, 외부연결단자(4)를 고정시키고 연결하며 시일드 기능을 가진 보조기판(3)과, 시일드 플레이트(51)부터 (53)은, 그곳의 주소자로서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6)을 구성하고 있다.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6)는 피이드쓰루(feed through)도체로서 외부연결단자(4)를 포함하는 소위 피이드쓰루 캐패시터라고 하는 것으로 성된다.
프레임(1)은 철과 같은 도전체의 플레이트로 만들어진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가늘고 긴 편평한 플레이트 부분(11)과, 상기 플레이트의 양모서리에 데체로 직각으로 교차하며 서로 평행으로 뻗어있는 측면 플레이트 부분(12) 및 (13)을 포함한다. 고정되어 있지않은 측면플레이트(12)의 끝부분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튜우너를 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되어 있지 않은 측면 플레이트(13)의 끝부분은 같은 목적으로 그와 유사한 핀(15)로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프레임(1)의 편평한 플레이트부분(11)은 각각의 시일드 플레이트(51) 및 (52)의 한쪽끝을 고정하기 위해 시일드 플레이트 고정부분(11a) 및 (11b)를 형성하고 있다. 측면 플레이트 부분(12)는 시일드 플레이트(53)의 한쪽끝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시일드 플레이트 고정부분(121)을 형성하고 있다. 부기판(3)은 프레임(1)의 고정되지 않은 끝부분에 즉, 측면 플레이트 부분(12) 및 (13)의 고정되지 않은 끝에 고정된다.
상기 부기판(3)은 제12도에서와 같이 그 한쪽면 전체에 구리박(copper foil)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써 시일드 효과가 이뤄진다. 부기판(3)은 각각 상기 시일드 플레이트 고정부분 111a 및 111b에 해당하는 시일드 플레이트 고정부분 31a 및 31b를 형성한다. 부기판(3)의 끝부분은 측면 플레이트 부분(12) 및 (13)의 고정되어 있지않은 부분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전자튜우너(100), 특히 프레임(1)과, 주기판(2) 및 부기판(3)과 같은 여러 소자를 완전히 조립하는데 있어서, 이것들이 완전히 결합되어 고정되기전 결합된 상태에서 이것들을 임시로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편의상 제2도와 제3a도 및 제3b도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것이 사용되었다.
특히, 제2도에서 보면 주기판(2)는 프레임(1)안으로 삽입되며 그리고 나서부기판(3)은 프레임의 측면 플레이트 부분(12) 및 (13)의 고정되지 않은 끝 가까이에 가져와지며 그리고 나서 이웃한 부분은 예를들어 땜납(7)에 의해서 임시로 고정된다. 제3a도 및 제3b도 보인시도는 프레임(1)의 측면 플레이트 부분(12) 및 (13)의 고정되지 않은 각끝에 한쌍의 돌기부(71)를 구성하고 있다. 부기판(3)이 그위에 위치하고 나서 돌기부(71)은 제3도에서와 같이 바깥쪽으로 구부리면 부기판(3)은 고정된다.
제2도, 제3a도 및 제3b도에서와 같은 시도 이외에 볼트를 사용하는 임시 고정구조가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임시 고정구조는 부수적인 작업을 요하게 되고 또한 이것은 비용이 많이들고 복잡한 제조과정을 필요로하게 된다.
특히 제2도에서와 같은 땜납을 사용한 시도는 제1도에서의 프레임(1), 주기판(2), 부기판(3), 외부연결단자(4), 시일드 플레이트(51)-(53), 피이트 쓰루 캐패시터(6)등 등은 부기판(3)을 경사지게 하지 않고도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임시로 고정시키기가 데단히 어렵다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더우기 죄는 방법(caulking)을 사용한 제3a도 및 제3b도와 같은 시도도 지그(jig)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떠한 소자, 특히 기판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와 같이 그와같은 소자들이 완전히 결합된 후 죄는 동작을 이행하는데는 굉장히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임시 고정구조를 구성한 것으로, 프레임의 측면 플레이트의 고정되지 않은 끝에는 맞무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맞무는 부분과 맞물리게 되는 부분은 부기판의 세로방향으로 양쪽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맞무는 부분과 맞물리게되는 부분을 둘다 측면 플레이트부부분의 적당한 탄성에 의해서 단단히 유지되게 함으로써 각 소자들은 결합방식으로 임시로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 기판의 프레임암으로 고정된후 부기판을 프레임안에 고정시키는데 있어서, 맞무는 부분과 맞물리는 부분은 측면 플레이트 부분사이의 거리를 넓혀서 맞물리게 되며, 이로써 결합된 상데는 측면 플레이트부분의 탄성에 의해서 단단히 유지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르면 임시 고정수단은 일반적으로 필요한 부수적 작업을 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결국 소자 및 공정수가 줄어지며, 조립비용이 감소되고 반면에 생산성이 증대된다. 특히 납땜이나 죄는 공정의 어려움이 완전히 제거되므로 전자 튜우너를 다량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의 각 맞물리는 부분들은 구멍을 들러싸고 V자모양과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반면에 부기판은 동기부의 양쪽끝에 V자모양과 구멍안으로 꼭끼이게 형성되어 있다. 제15도에서와 같이 구멍의 상측을 통한 선과 노취(notch)의 끝부분을 통해 있는 선사이에 거리는 두께보다 약간 크거나 작게, 부기판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선택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에 부기판을 임시 고정하는방법은 쉽게 행해지며, 임시 고정된 상태에서 재분리하는 방법도 또한 아주쉽게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개선된 튜우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자 튜우너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소자를 결합하여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신규의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도 확실하게 임시 고정할 수 있는 전자 튜우너를 조립하는 임시고정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임시 고정상태에서 쉽게 재분리시킬 수 있는 전자 튜에너의 임시 고정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장점과 특징 및 목적은 첨부한 도면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확실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의한 VHF텔레비젼 전자 튜우너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제4도 VHF텔레비젼 튜우너의 평면도이다. 실시예의 튜우너(100)은 제1도 일반적인 튜우너의 케이스내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소자(1), (2), (3), (4), (51)-(53), (6)을 구성하고 있다.
제6도는 시일드 케이스 혹은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 관해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1)은 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면판(11)과 상기 평면판이 양쪽끈에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측면판(12) 및 (13)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판(11)에는 제6도의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같은 방법으로 프레임(1)에 단단히 고정될때 회로기판 혹은 주기판(2)의 위치를 정하도록 돌기부 112a, 112b 및 112c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와 유사한 돌기부가 측면판(12) 및 (13)에 형성되어 있으며 122a, 122b, 122c 및 132a, 131b, 132c로 표시되어 있다. 더우기 돌기부 113a 및 113b는 시일드커버가 프레임(1)에 장착될때 시일드 커버의 훅(hook)으로 걸도록 하기 위해 평면판(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2)와 유사한 돌기부가 측면판(12) 및 (13)에 형성되어 있으며 123a,123b 및 133a,122b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2개의 시일드 커버(도시되지 않음)는 프레임(1)에 마지막으로 장착되며 이로써 전자 튜우너를 완성하게 된다. 제6도에서 시일드판 지지부분 111b,111a 및 (121)은 제1도에서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평판부분(11)은 시일드판 지지부분 111a 및 111b에 해당하는 시일드판(51) 및 (52)를 위해 구멍 115a 및 115b로 구성된다.
시일드판(51)은 제7a도에서와 같이 5개의 삽입돌출부(511),(512a)(512b),(513a) 및 (513b)를 구성하고 있다. 돌기부(511)은 구멍 115a에 끼이도록 되어있고 돌기부 513a 및 513b는 부기판(제12도)의 시일드판 지지부분 31a 및 31a'에 끼이도록 되어있다. 시일드판(52)는 6개의 삽입돌출부 521,522a,522b,522c,523a 및 523b를 구성한다.
돌출부(521)은 구멍 115b에 끼이도록 되어있다.
돌출부 523a 및 523b는 부기판(3)(제12도)의 시일드판 지지부분 31b 및 31b'에 끼이도록 되어있다. 시일드판(53)은 제7c도에서와 같이 4개의 삽입돌출부 531,532a,532b 및 533을 구성한다. 돌출부(531)은 시일드판 지지부분(121)에 삽입되며, 돌출부(533)은 시일드판(52)(제7b도)의 시일드판 지지부분 52a에 끼워진다. 제7a도에서의 시일드판(51)의 삽입돌출부 512a 및 512b는 제8도에서의 주기판의 구멍 혹은 낫취 23a 및 23b에 각각 삽입된다. 제7b도에서의 시일드판(52)의 삽입 돌출부 522a,522b 및 522c는 제8도의 주기판의 구멍 혹은 낫취 23c,23d 및 23e에 각각 마찬가지로 삽입된다. 더우기 제7c도의 시일드판(53)의 삽입돌출부 532a 및 532b는 주기판(2)의 구멍 혹은 노취 23g 및 23f안으로 삽입된다. 반면에 시일드판(53)의 구멍(534)는 제5도에서와 같이 증가 주파트랜스를 장치하기 위한 것이다.
회로기판 혹은 주기판(2)는 제8도에서와 같이 프린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기판(2)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프린트형의 선정된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도록 프린트 패턴에 연결된 회로소자로 작용하는 다수의 캐패시터(22)와 같은 수동소자칩으로 제공된다.
주기판(2)는 열팽창계수 및 열강도에 있어서 장점을 고려하여 알루미나 세라믹으로 만들어져 있다.
제8도에서 해치(hatch)부분은 저항필름이 수동소자로 작용하도록 형성된 것이며, 그 저항 필름은 전기적 접촉으로 프린트 패턴의 상기 부분들사이에 배치된다.
주기판(2)는 외부 연결단자 4a-4h의 삽입을 위해 또한 이들 외부 연결단자를 주기판(2)에 전기적 및 기계적 결합을 위해 제1구멍 21a-21h로 형성된다. 이들 구멍 21a-21h는 상기 외부연결단자 4a-4h가 연결되어 있는 프린트 패턴에 관련하여 그 부분에 형성된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제8도는 회로기판(2)의 배면도이다. 그러나 제8도는 제5도와 같이 능동 및 수동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을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다.
제9도는 제4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전자 튜우너의 개요도이다. 제9도에서 (201)은 하디패스 필터 HPF를 포함하는 입력동조단을 나타내고, (202)는 프리실랙터(preselector)단을, (203)은 RF증폭단을, (204)는 밴드 패스 실랙터단을, (205)는 믹서단을, (206)은 제1IF 단을, (207)은 국부발진단을 나타내고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인 외부 연결단자 4a-4h는 제9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소자에 연결된다. 원통형 패캐시터소자 6b,6c,6d,6e 및 6g는 각각 후미진부분을 통해 삽입되는 외부 연결단자 4b,4c,4d,4e 및 4g를 각각 갖는다.
시일드 플레이트(51), (52) 및 (53)는 상호 전자 튜우너(100)의 각 회로단을 전기적으로 시일드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그렇게 구조된 시일드 케이스 혹은 프레임(1)은 칸막이(101),(102),(103) 및 (104)를 포함한다. 제5도에서 보인 칸막이(101)은 하이패스 필터 HPF와 같은 제9도의 개요도에서 보인 입력동조단(201)의 회로소자를 수용하기 위해 합당되었다. 칸막이(102)는 트랜지스터 Q1등등과 같은 제9도 개요도에서 보인 RF증폭단(203)과 프리실랙터(202)의 회로소자를 수용하도록 할당된다. 칸막이(103)은 트랜지스터 Q2와 중간 주파트랜스와 같은 제9도 개요도에서 보인 중간주파수 제1단(206)과 믹서단(203), 밴드패스실랙터단(204)의 회로소자를 수용하도록 할당되었다. 중간 주파트랜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일드 플레이트(53)에 장착된다. 칸막이(104)는 트랜지스터 Q3등등과 같은 제9도 개요도에서 보인 국부발진기 단(207)의 이들 소자를 수용하도록 할당된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인 전자 튜우너(100)의 특정한 크기의 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한예에서 전자튜우너(100)의 두께 즉 평판부분(11)의 길이는 약 46mm이고, 각각 핀(14),(15)를 포함한 측판 부분(12) 및 (13)의 길이는 각각 33mm이며, 높이 즉 시일드 케이스(1)의 두께는 약 12mm이다. 반면에 프린트기판(2)는 길이가 약 43mm이고 두께가 약 25mm이다. 회로기판(2)의 21a-21h 각 구멍사이의 간격은 각각 약 5mm이다. 제7a도에서 보인 부기판(3)의 길이는 약 45mm이고 그 두께는 약 13mm 이다. 제2구멍32a-32h의 간격은 각각 약 5mm이다. 상기한 특정한 크기의 예에서 더 잘 알 수 있었던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자 텔레비젼 튜우너는 일반적인 것과 비교하여 매우 간단한 것이다.
따라서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은 일반적인 시도에 따라서 임시고정하는 것은 특히 작은 크기의 구멍의 경우에 있어서 매우 어려운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임시 고정구조는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사용될 수 있다.
다시 제6도에서 본 실시예에서 보인 특징을 설명하겠다.
제6b도 및 제6c도에서 볼수 있듯이, 임시 고정구조는 프레임(1)의 측면부분(12), (13)의 고정되지 않은 끝에 결합된다. 핀(14)는 측면판(12)의 맨끝에 형성되며 혓바닥모양의 부분(126)을 낫취(124) 및 (125)에 의해 형성된다.
혓바닥모양의 부분(126)은 구멍(127)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측판부(13)도 핀(15), 낫취(134) 및 (125), 혓바닥모양의 부분(136)과 구멍(137)로 형성된다. 이들 부분들은 그 기능에 따라 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0a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된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6)의 한예의 투시도이며 제10b도는 제10a도에서 XB-X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6)은 세라믹과 같은 유전물질(61)로 만들어졌으며 그 끝에 형성된 플렌지부(62)를 갖는 원통형의 부분(63)을 구성한다. 제10b도에서 잘 볼수 있듯이, 플렌지부분(62)은 요면체(66)으로 형성되며, 그렇게하므로 전극(64)와 (65)사이의 거리는 가능한한 최소로 만들어졌다. 전극 (64)와 (65)는 원통형의 부분(63)과 플렌지(62)의 외부 및 내부 표면에 각각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된 전극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그와같은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6)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먼저 플랜지부분(62)와 원통부분(63)을 포함하는 유전체부(61)이 조립된다. 그리고 나서 유니트(61)의 전체표면에 전극필름이 형성되도록 유니트(61)은 플레이팅통내에 잠기게 된다. 그후 플랜지부(62)의 끝표면과 원통형의 부분(63)의 끝 표면은 예를들어 연마기(grinder)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전극(64)와 (65)는 전기적으로 서로서로 격리된다. 해당외부 연결단자(4)의 다른쪽 끝은 원통형의 부분(63)의 후미진부분(631)안으로 삽입되며 전기적으로는 전극(65)에 연결된다.
제11도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외부 연결단자의 1예를 보인 도면이다. 외부 연결단자(4)는 대체로 F자형태로 구성되었고 이것은 (41),(42) 및 돌출부(45)를 포함하고 있다. (41)의 맨끝부분은 제9도에서 보인 구멍 21a-21h의 각각에 삽입되며 '다른부분(42)의 맨끝은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6)의 후미진 부분이나 혹은 부기판(3)의 구멍 32a,32f 및 32h의 각각에 삽입된다. (42)는 큰 두께의 (43)으로 형성되므로 (43)의 끝모서리(44)는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6)(제10b도)의 요면체(66)의 끝표면에 대해 근접해 있다. 그렇게하므로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6)을 부기판93)에 끼울수 있다. 돌출부(45)는 외부 연결단자(4)를 부기판(3)에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있어서 임시로 고정하거나 위치를 정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돌출부(45)는 제12도에서 보여준 기판(3)위에 형성된 구멍 33a-33h중 1/3에 해당하는 것이 삽입된다. 돌축부(45)의 끝은 3번째 구멍(33)안으로 밀어 삽입되도록하는 형태가 되도록 선택된다.
부 기판(3)의 구멍(33)안으로 돌출부(45)를 밀어 삽입시키므로 부 기판(3), 외부 연결단자(4) 및 원통형 캐패시터소자(6)의 조립체를 임시 고정할 수 있다. 더우기 돌출부(45)는 두번째 돌출부(46)가 해당구멍(33) 둘레의 부 기판(31)에 의해 인접하도록 두번째 돌출부 또는 플렌지(46)로 형성되며 이로써 돌출부(45)와 결합해 위치를 정하는 기능을 바람직하게 이행할 수 있다.
제12도는 부 기판(3)의 1예를 보인 도면이다.
부 기판(3)은 제12도에서 보인 해치부분을 제외하고는 구멍 32a,32f 및 32h를 둘러싸고 있는 도전막 34a',32f' 및 34h'와 34로 덮여있다. 부기판(3)은 각각 원통형 캐패시터 소자 6b,6c,6d,6e 및 6g를 위해 또한 구멍 32b,32c,32d,32e 및 32g와 외부 연결단자 4a,4f 및 4h를 위해 구멍 32a,32f 및 32h를 구성한다. 더우기 부 기판(3)은 낫취 또는 구멍 31a,31a',31b 및 31b'를 형성한다. 낫취 혹은 구멍 31a,31a',31b 및 31b'는 시일드 플레이트(51) 및 (52)의 고정과 연결을 위해 할당되어 있다.
더우기 부 기판(3)은 외부연결단자(4)와 결합하여 설명된 구멍 33a-33h로 형성된다. 부 기판(3)은 결합부분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돌출부 35a,36a,37a 및 35b,36b,37b의 양쪽끝에 형성된다. 이들 돌출부 35a 및 35b는 프레임(1)(제6도)의 노취(124) 및 (134)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 36a 및 36b는 구멍(121) 및 (137)안으로 끼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 37a 및 37b는 각각 낫취(125) 및 (135)에 끼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 기판(3) 및 상기한 주 기판(2)는 제11도에서 보여준 것과같이 연결단자(4)에 의해서 결합된다.
제13a도는 원통형 캐패시터소자(6)을 통해 조립된 연결단자(4)의 단면도이고, 제13b도는 원통형 캐패시터소자(6)이 없이 조립된 연결단자(4)의 단면도이다.
제13c도는 조립된 바와 같이 연결단자(4)의 연결방법을 보인 단편적인 배면투시도이다. 제13a도, 제13b도 및 제13c도에서 볼수 있듯이, 외부 연결단자(4)의 한쪽 (41)은 주 기판(2)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며 프린트형의 해당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동시에 외부 연결단자(4)의 다른 부분(42)는 부 기판(3)의 바깥쪽으로 뻗기위해 원통형 캐패시터소자(6)의 후미진부분을 통해 삽입된다.
그와같은 상태에서 원통형 캐패시터소자(6)의 전극(64)(제10b도)는 부 기판(3)의 도전막(34)에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부 연결단자(4)의 한부분(42)는 원통형 캐패시터소자(6)의 전극(65)에 고정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시일드 케이스(1)은 물론 부 기판(3)의 도전막(34)는 샤시와 같은 접지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 연결단자(4)는 원통형 캐패시터소자(6)의 정전기적 용량을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제13b도에서와 같이 원통형 캐패시터소자가 없을때 외부 연결단자(4)의 한부분(42)는 제12도에서 보여준 바와 같은 도전막 34a',34f' 또는 34h'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F문자형태의 외부 연결단자가 채택될때, 원통형 캐패시터소자(6)의 적절치 못한 방향설정은 돌출부(45)의 작용으로서 부 기판(3)의 조립에 있어 효과적인 기능을 하여 정확한 위치설정이 이뤄지게 된다.
비록 앞서 VHF텔레비젼 튜우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특징여 임시 고정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해 나가겠다.
제14a도-제14d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그 조립단계를 그린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실시예는 프레임(1)의 측면(12),(13)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의 구조 및 형태와 측면(12),(13)와 기하학적인 관계로 부 기판(3)의 가로방향의 양쪽끝의 형태로 특징을 이룬다. 제15a도 및 제15b도에서 프레임의 측면 플레이트(2),(13)의 고정되지 않은 끝 주요부분은 아래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5a도는 측면 플레이트의 고정되지 않은 끝부분의 측면도이고 제15b도는 제15a도에서 XVB-XVB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15도에서 보인 거리 d는 프레임안에 알맞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부 기판(3)의 두께보다도 약간 크게 선택된다. 구멍 127(137)의 크기는 프레임(1)을 형성한느데 있어서 눌려져서 야기되는 손상을 피하도록 하기위해 거기에 삽입된 돌출부 36a(36b)보다 약간 크도록 선택된다. 정방형 구멍127(137)이 너무 크면 그 부분을 통해 전자파의 간섭을 일을킬 수 있기 때문에 구멍127(137)은 상기한 압축성형을 고려하여 가능한한 가장 작은 크기로 선택해야만 한다.
한편 상기 거리 d는 부 기판(3)의 두께보다 더 적어도 좋다. 이것은 제15a도에서 두개의 점선의 과장된 방법으로 보여준 바와 같이 부 기판(3)을 구부리기에 알맞도록 한다. 그러므로 임시 고정하기가 더좋다. 결국 다음단계에서의 느슨함이 없어지고 부 기판(3) 뿐만아니라 회로 기판 및 시일드 플레이트가 안정하게 된다.
이제 전자 튜우너(100)의 조립단계의 1예를 설명하겠다. 무엇보다도 뒷면에 형성된 구리박 형태를 갖고 원하는 바의 프린트된 저항패턴을 갖는 주 기판(제8도)이 준비되었다. 그 다음 캐패시터칩등이 주 기판(2)의 뒷면에 점착성물질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코일, 트랜지스터, 다이오드등 등은 주 기판의 앞면 혹은 윗면에 삽입되며 그리이드선은 주기판의 뒷면에서 구부리거나 점착성물질에 의해 주기판에 고정되므로 그 상태에서 주 기판은 프레임(1)의 측면 플레이트(12),(13)사이에 삽입된다. 이 경우에 프레임91)의 돌출부 112a-112c,122a-122c 및 132a-132c는 삽입할때에 효과적 작용을 한다.
특히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된 피이드쓰루 캐패시터유니트 6b,6c,6d,6e 및 6g와 외부 연결단자 4a-4h를 가진 부 기판(3)의 단자 끝부분이 주 기판(2)에 고정되는 동안에, 부 기판(3)은 프레임(1)의 측면 플레이트(12)와 (13)사이에 고정된다. 그때 제14b도에서와 같이, 부기판(3)은 측면 플레이트(12) 및 (13)의 양쪽 바깥쪽에서 내미는 동안에 측면 플레이트(12) 및 (13)사이에 화살표 A방향으로 고정되게 된다.
경사진 혹은 혓바닥 모양의 부분(126) 및 (136)은 부 기판(3)의 양쪽끝을 아주 잘 조정하도록 작용한다. 부 기판(3)을 더 누르면, 부 기판(3)의 돌출부 35a,37a,35c 및 37b는 제14c도에서와 같이 각각 해당 노취와 구멍안에 끼이게 되며 돌출부 36a와 36b는 제14c도에서와 같이 극한 상태에서 각각 해당구멍(127)과 (137)안에 끼이게 된다.
그와같은 상태는 제14d도에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제14b도의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같이, 측면 플레이트(12)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제14c도에서와 같은 고정된 상태는 그 탄성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므로 결합된 상태에서 각 소자들의 임시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다음 피이드 쓰루 캐패시터 유리트(6)가 깨어지고, 중간 주파트랜스가 잘못 선택되거나, 주기판 혹은 회로 기판이 깨지거나, 잘못 장착된 캐패시터가 눈으로 검사될 동안, 시일드 플레이트(51) 및 (52)가 삽입된다. 만약 부적당한 소자들이 상기 시각적검사를 통해 발견되면 부적당한 소자들은 적합한 것으로 대치되며, 이 경우 상기 소자의 임시 고정된 상태는 부적당한 소자들을 쉽게 분해할 수 있다. 특히 고정시키는 과정에 반하여 프레임(1)의 측면 플레이트부(12) 및 (13)은 벌어지게 되어 거기서 부 기판(3)이 제거된다.
그리고 나서 주 기판(2)의 뒷면을 잠깐내렸다. 올리므로 시일드 플레이트(53)가 삽입된다. 부 기판(3)의 앞면을 잠깐내렸다. 올린다음, 그 끝에 형성된 발톱모양의 것을 틀어주어 상기한 바와같이 삽입된 시일드 플레이트(51) 및 (53)을 고정하도록 진행되고 잠깐내렸다. 올리는 동안에 열에 의해 부 기판(3)이 휘어지거나 형태가 변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16a도 및 제16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다음 사실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일반적인 것과 동일하다. 특히 핀(14')는 프레임(1)의 측면 플레이트(12)의 고정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핀(15')는 측면 플레이트(13)의 고정되지 않은 끝에 형성된다. 핀(14')와 (15')는 각각 경사진 혹은 혓바닥 모양의 부분(128)과 (138)로 형성된다, 반면에 부 기판93)은 핀914')와 (15')를 샌드위치시키기 위하여 그 가로방향 양쪽끝에 돌출부 38a,39a,38b,39b를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부 기판(3)은 측면 플레이트(12)와 (13)사이에 끼이게 되며, 한편 그를 둘다 바깥쪽으로 벌어진다.
제16b도에서 볼 수 있듯이 경사부분(128) 및 (138)은 고정된 기판(3)을 누르는 작용을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결합된 부분은 제14b도에서 화살표 방향 A와 B방향으로 뻗어진 측면 플레이트 부분(12) 및 (13)의 탄성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실시예가 채택되어져서 부 기판(3)이 측면 플레이트(12) 및 (13)의 앞면이나 고정되지 않은 끝면으로부터 끼워지게 된다면 임시 고정을 위해 제17도에서와 같이 측면으로부터도 같은식으로 이행될 수 있다. 그 목적을 위해 제17도의 실시예는 부 기판(3)의 돌출부 3a' 및 3b'를 안내하기 위해 측면 플레이트(12) 및 (13)에 형성된 정방형의 구멍(127)과 (137)의 반대편에 돌기부(129)와 (139)를 제공한다. 부기판(3)은 돌출부 3a'와 3b'가 구멍(127) 및 (137)과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부(129) 및 (139)사이안으로 제17도의 화살표방향으로 끼이게 된다. 위 실시예의 경우에서도 결합된 상태는 프레임(1)의 측면 플레이트(12) 및 (13)의 적당한 탄성에 의해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본문에 상술되고 도면에 도시되었지만, 도면이나 실예에 의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이 제한된다는 것을 명백히 제한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고주파장치를 위한 프레임, 특히 전자 튜우너에 있어서, 프린트회로의 주기판을 고정시키고 양측면에 차폐벽을 갖는 U자형 프레임과, U자형 프레임의 맨끝에 고정되어 차폐기능을 갖고, 주기판에 맞대어 세워진 부기판과, 그리고 프레임 맨끝에 노취부분 및 부기판 양끝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는 부분을 갖는 것으로 구성되고, 부기판(3)의 돌기부(36a,36b,3a',3b')가 프레임의 양측면(12,13)을 바깥으로 신축성을 가지고 밀어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게된 U자형 프레임(1,12,13)의 끝부분에 구멍(127,13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KR2019830001699U 1979-12-28 1983-02-25 전자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KR830000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1699U KR830000553Y1 (ko) 1979-12-28 1983-02-25 전자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700 1979-12-28
KR2019830001699U KR830000553Y1 (ko) 1979-12-28 1983-02-25 전자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700 Division 1979-12-28 1979-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53Y1 true KR830000553Y1 (ko) 1983-04-13

Family

ID=2662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1699U KR830000553Y1 (ko) 1979-12-28 1983-02-25 전자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5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5103A (en) Provisional fixing structure of electronic tuner
KR100313590B1 (ko) 튜너의구조체및이를사용한케이블모뎀튜너
US5559676A (en) Self-contained drop-in component
US4437140A (en) Printed circuit device
CA2029818C (en) Surface-mount filter
JP3745835B2 (ja) 電子部品のパッケージ構造
KR830000553Y1 (ko) 전자튜우너의 임시 고정구조
KR100349079B1 (ko) 표면 실장 구조 및 그에 이용되는 표면 실장형 전자 부품
EP1411756B1 (en) Radio frequency apparatus
KR0166431B1 (ko) 회로 모듈 제조방법
US6972720B2 (en) Antenn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frequency
JP2006245497A (ja) 高周波モジュール
GB2318690A (en) Mounting a printed circuit board in a frame
JP2003188571A (ja) プリント基板シールド装置
JPS6033604Y2 (ja) ストリツプ線路フイルタ
JPS6210056B2 (ko)
US4359701A (en) Construction of tuning circuit in tuner
KR830000552Y1 (ko) 고주파 수용장치
KR850000504Y1 (ko) 시일드 장치
GB2040589A (en) Printed circuit device
JPH04365396A (ja) 高周波用面実装モジュール
JP3119072B2 (ja) 高周波機器
JP3660117B2 (ja) 電子機器
JPS58104534A (ja) チユ−ナシ−ルド構造体
JPH03174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22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