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98Y1 - 병주입밸브 - Google Patents

병주입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98Y1
KR830000398Y1 KR2019820006762U KR820006762U KR830000398Y1 KR 830000398 Y1 KR830000398 Y1 KR 830000398Y1 KR 2019820006762 U KR2019820006762 U KR 2019820006762U KR 820006762 U KR820006762 U KR 820006762U KR 830000398 Y1 KR830000398 Y1 KR 830000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valve
liquid
injection
sni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6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다오 노구찌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야노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야노 다까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20006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8Flow-control devices, e.g. u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06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using counterpressure, i.e. filling while the container is under pressur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병주입밸브
제1도는 종래의 커운터 압력식 병주입밸브의 일례를 표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곡관을 끌어 올린 상태의 단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제1도의 병주입밸브에 의한 병주입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 병주입밸브를 사용한 병주입기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A-A단면도.
제9도는 제8도와 다른 작동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B방향에서 본 도면.
제11도는 동 병주입중의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곡관의 끌어내림 및끌어올림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1도 및 제2도에 의해 종래의 병주입밸브에 대하여 설명하면, 밸브개폐레버(외부)(1)와 축(2)을 개재해서 일체가 되어 있는 밸브개폐 레버(내부)(3)가, 피일러보울(4)의 축벽(도시생략)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의 a는 닫힌 위치이고, b는 열린위치이다. (5)는 충전밸브이고, 밸브본체(상부)(5a), 밸브본체(하부)(5b)와 이들에 끼어들어간 패킹(6)으로 되어 있으며, 밸브본체(하부) (5b)는 축(7)와 접동자재한 관계에 있음과 동시에 스프링(8)이 축(7)과 밸브본체(하부)(5b)사이에 걸처져 있으며, 이에 의해 충전밸브(5)는 스프링(8)으로 축(7)위에 또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5c)는 금은 구멍이고, 또 상기 충전밸브(5)와 패킹(6) 및 축(7)으로 공기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축(7)에는 칼라(9)가 고정되어 있으며, 동 칼라(9)는 스프링(10)에 의해스프링케이스(11)속에서 위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 축(7)의 하부에는 패킹(12)이 내장되어 있으며, 동패킹(12)과 스니프트블록(13)에 의해 주액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스니프트블록(13)내에는 캡너트(14), 스니프트축(15), 패킹(16), 스프링(17)으로 이루어진 스니프트밸브와, 스니프트구멍(18)을 내장하고 있다. 또 스니프트블록(13)의 하부에는 센터링컵(외부)(19), 센터링컵(내부)(고무제)(20)을 착설하고, 이들을 부착금속구(21)로 패킹(22)을 개제해서 피일러보울(4)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축(7)의 하부에는 곡관(23)이 나착되어 있으며, 동곡관(23)에는 스프레더(24)가 부착됨과 동시에, 동 스프레더(24)의 하방에는 굽은구멍(25)이 천설되어 있다.
(26)은 병이고, 에어실린더(27)에 의해 하방에서 압상되므로서 의해, 병구는 센터링컵(내부)(20)에 밀어붙여져서, 동 병구와 센터링(컵내)(20)부과의 사이에는 새는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11a)는 스프링케이스(11)의 액통로이다.
제2도는 밸브개폐레버(외부)(1) 및 밸브개폐레버(내부)(3)가 b위치의 상태로, 상기주액밸브, 공기밸브를 함께 열리게 한 병주입상태를 나타내고, 제1도에 대해 곡관(23)과 축(7)은 c치수분만 상승하고 있으며, 충전밸브(5)는 d치수분만 상승하고 있어서 이들 사이에는 c<d의 관계가 있다.
다음에 제1도~제6도에 의해 병주입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에어실린더(27)에 의해 병(26)을 압상하면 제1도의 상태가되나, 아직 주액은 병에들어가 있지 않다.
제1도에 있어서 밸브개폐레버(외부)(1), 밸브개폐레버(내부)(3)를 a위치 b에서위치로 움직이면 충전밸브(5)가 상승하여, 동 밸브(5)의 위치만이 제2도의 상태가 된다.
이어서 피일러보울(4)내의 카운터압력(통상 2~4kg/c㎡G)이 화살표(28)(29)(30)의 반대방향으로 흘러서 병(26)내로 피일러보울(4)내와 동일한 압력이 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10)이 축(7) 및 곡관(23)을 압상하여 제2도의 상태가 된다.
여기서 주액은 화살표(31)(32)(33)(34)(35)(36)와 같이 유입해서, 병(26)내의 기체는 화살표(30)(29)(28)와 같이 피일러보올(37)내에 되돌아오며, 이것으로 병주입이 진행된다.
이어서 병내 액면(37)이 상승해서 굽은구멍(25)을 막으면, 화살표(30)의 기체의 흐름은 정지한다.
이 순간 주액의 흐름도 스니프트블록(3)의 상단부 화살표(33)의 곳에서 끊거나, 화살표(34)(35)부를 흐르고 있던 주액은 병(26)내에 떨어져 들어가서, 병(26)내 액면은 제1도의(38)의 위치가 된다. 동시에 주액은 축(7)의 내부에도 들어가서(39)의 위치까지 주액이 된다. 여기서제1도에 있어서 밸브개폐레버(외부)(1), (내부)(3)를 a의 위치에 되돌리면 꼭 제1도의 상태가 되어, 병주입 후 주액밸브, 공기 밸브를 닫게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축(7)상부의(40)위치와 병상부의 (41)위치에는 카운터압력이 있다.
또 스니프트축(15)을 화살표(42)의 방향에 밀면, 스니프트밸브가 열려, (41)(40)위치의 카운터압력은 스니프트구멍(18)에서 좁혀지면서 대기속에 방출된다.
즉, 스니프르하하므로, (40)(41)위치는 대기압으로 서서히 되돌아간다. 다음에 에어실린더(27)를 내려서 병(26)을 병주입밸브에서 떼어낸다. 종래의 병주입밸브에서는 이상의 병주입공정을 반복하게 되지만, 이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즉, 상기 공정에 있어서(40)위치의 기체가 굽은구멍(25)을 지나서 나올 때, 제3도와 같이 병(26)내의 액속을 기포가 되어서 통과하므로, 이스니프트 충격으로 주액속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의 주액으로부터의 분리를 촉진하고, 제4도와 같이 상기병(26)을 병주입밸브에서 떼어내는 공정에서, 분리된 탄산가스의 거품이 넘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주수(90℃전후로 가열하여 병주입하는 것이 보통으로, 탄산가스는 주액속에는 들어가 있지 않다)의 경우에는, 병주입 직후의 내용물액면은 제6도의 h치수로 5mm정도로 할필요가 있으나 제1도의 (40)위치의 작용에 의하여 이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내용물액면을 5mm정도로 하면 전술과 같이 병내벽액의 낙하, 스니프트시의(39)위치 까지의 액의 낙하에 의해 액면위치는 병구상면 이상이 되어버려 센터링컵(내부)(20)과 병구가 떨어진 순간에 약은 병밖으로 쏟아져 버려정 상전인 병주입은 불가능하게 되고, 주스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탄산가스 음료와 탄산가스가 없는 주스음료와의 겸용이 불가능)
또 제1도에 표시한 종래의 병주입밸브에서는, 제6도의 내용물액면치수 h의 최소치는 15~20mm이었다.
그 이유는 상기 병내액면(37)이 상승해서 굽은구멍(25)을 막는 공정에 있어서, 제2도의 화살표(34)(35)부를 흐르고 있던 액의 병내의 낙하와 상기 스니프트축(15)을 밀어서 스니프트밸브가 열리는 공정에 있어서 제1도의 축(7)내의 (39)위치의 주액도 병(26)내에 낙하하므로, 동 공정종료후의 병내면액의 최고상태는 제5도의 액면(43)정도가 된다. (액면(43)이 스프레더(24)보다 위로 올라가면, 다음 공정에서 병(26)을 내렸을 경우 주액이 스프레더(24)로 휘둘러지므로, 액이 쏟아지는 일이 발생한다)
즉, 병주입밸브에서 병내에의 액의 유입이 정지한다는 상태는 병내상부간격 압력과 낙하우체의 상부압력이 균형을 이룬 상태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병내액면이 상승해서, 굽은구멍(25)까지 도달하여 병내공기의도피로가 막히면 병내압력이 상승하여, 액을(39)위치정도 까지 압상하여 균형을 이똥다.
단, 이상태인 때 이미 병의 벽면을 흐르고 있던 액은 병내에 낙하한다. 그러나 그 후 공기밸브, 액밸브를 모두 닫고, 병구상부를 스니프트하면 병구상부는 대기압에 개방되어, 당연히(39)위치에서 밸브본체(상부)(5a)까지의 압축공기도 대기압이 되고, 이 때문에(39)위치까지의 액은 병내에 낙하하여, 최고상태는 제5도의 액면(43)정도가 된다. 다음에 병을 내렸을 때 곡관(23)의 체적분 만큼 액면(38)이 내려가고, 결국 제6도와 같이 h는 15~20mm가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스니프트 충격이 없고 안정된 병주입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산가스가 들어 있거나, 들어있지 않는 음료에 대하여 겸용이 가능한 병주입밸브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다음 도면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7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한 병주입밸브를 가진 병주입기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A-A확대단면도 이다.
도면에 있어서 피일러보올(44)은 압력용기로서, 그 속에는 주액(45)이 공지의 제어장치에 의해 규정액면까지 들어가 있으며, 동 규정액면보다 상부의 공간에는 카운터압력(46)(공기 또는 탄산가스)이 가해져있다. 또 피일러보울(44)에는 피일러보울 커버(47)가 패킹(48)을 개재하여 보울트(49)에 의해 체결되어있으며, 피일러보울(44)을 밀폐해서 새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피일러보울(44)에는 그 외주에 병주입밸브(50)를 제7도와 같이 다수 배치되어 있다.
또 제8도에 있어서 피일러보울(44)에는 병주입밸브(50)와의 액연통 구멍(51), 액콕(52) 및 카운터압력연통구멍(53), 카운터압력 콕(54)을 동병주입밸브(50)와 대응시켜서 착설되어 있다.
병주입밸브(50)는 피일러보울(44)의 밸브부착면(55)에 위치결정판(56)으로 위치를 결정하고, 주설방지용 0링(57)(58)을 개재해서 보울트(59)(제7도)로 부착하고 있다.
다음에 병주입밸브(50)의 구조를 설명하면, 동 밸브는 밸브본체(60)를 중심으로 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동 밸브본체(60)의 하부에는 스니프트블록(61)은 패킹(62), 위치결정핀(63)을 개재하여 크램프(64)로 고정되어 있다.
동시에 밸브본체(60)내부의 스프링케이스(65)로 고정하고, 상기스니프트블록(61)의 하부에는 병구시일패킹(66)을 병뚜껑(67)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병주입시에는 병(68)을 병뚜껑(67)으로 센터링하고 병구시일패킹(66)으로 밀봉한다.
또 스니프트블록(61)의 좌측에는 스니프트구멍(69)을 가지고, 또한 스니프트블록(70)을 캡너트(71)로 스니프트축(70)이 좌우로 접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또 스니프트축(70)에는 패킹(72)이 부착되어, 스프링(73)으로 누설을 밀봉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케이스(65)의 내측에는 밸브축(74)이 상하로 접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며, 동 밸브축(74)의 하부에는 패킹(75)이 부착되어, 동패킹(75)과 스니프트블록(61)상부의 돌기부(76)로 액밸브(77)를 구성하고 있다.
또 밸브축(74)은 스냅링(78)으로 동 밸브축(74)에 고정한 칼러(79)를 개재해서 스프링(80)에 의해스프링케이스(65)의 내부에서 상향의 힘을 항상받고 있다.
밸브본체(60)의 중앙부에는 액밸브(77)개폐용의 레버기구가 있으며, 또한 밸브본체(60)에는 보스(81)가 착설됨과 동시에, 동 레버기구를 구성하는 밸브레버(외부)(82), 밸브레버(외부)(83)가 스프링(84), 마찰판(85)를 개재해서 부착되어 있으며, 동 밸브레버(내부)(82) 및 밸브레버(외부)(83)의 고정에는 핀(86)을 사용하여, 0링(87)에 의해 누설방지를 하고 있다.
제10도는 제8도의 B방향에서 본 도면으로, 밸브레버(외부)(83)는외부에서 도시되지 않는 기구에 의한 조작으로 화살표(88)(89)와 같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있다.
화살표(88)의 방향으로 조작된 상태가 제8도의 상태이고, 화살표(89)의 방향으로 조작된 상태가 제9도이다. 또한, 제10도에서는 액밸브(77)는 닫힌상태로 되어 있다.
또 밸브본체(60)의 상부에는 위뚜껑(90)이 크램프(91)로 고정되어 있으며, 동 밸브본체(60)와 위 뚜껑(90)으로 형성된 실린더 내에는 굿은측(92)이 피스톤으로서 착설되고, 또한 굽은측(92)을 압하하도록 스프링(93)이 착설되어 있다.
또 굽은측(92)은 아래쪽으로 뻗어서 밸브측(74)의 내경에 접동자재케 지지되고, 또한 밸브측(74)의 하단에는 곡관(94)을 나사로 접합되어 있다.
곡관(94)에는 스프레더(95)가 착설되고, 또한 동곡관(94)의 하단에는 굽은구멍(96)이 천설되어 있다.
굽은구멍(96)은 곡관(94) 및 굽은측(92)의 내경구멍을 통하여 굽은 구멍(97)에 연통하고 있으며, 동 굽은측(92)에는 밀봉용의 0링(98)(99)(100)을 착설하고, 밸브본체(60)에는 굽은측(92)과의 시일용에 0링(101)이 착설되어 있다.
또 굽은측(92)은 상하로 접동할 수 있도록 밸브본체(60)의 내경에 지지되어 있으며, 실린더(102)에 카운터압력이 가압되면 굽은측(92)은 위쪽으로 접동해서 스프링(93)을 압축하고, 곡관(94)로 높은위치(제8도의 상태)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 경우 스프링실(108)의 엑소오스트용으로 구멍(104)이 필요하다.
또 굽은측(92)의 상부에서 위뚜껑(90)과의 결합부는 4각형의 단면이 되어 있어서, 곡관(94)을 나합할경우의 선회스토퍼 구조로 되어있다. (105)는, 실린더(102)에 카운터압력을 송입배출하는 밸브블록으로, 보올트(106)와 핀(107)으로 밸브본체(60)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밀봉에는 0링(108)(109)이 착설되어있다. (110)은 송입밸브로 밸브블록(105)에 접동할 수 있게 착설됨과 동시에, 0링(111), 패킹(112)을 결합하여, 스프링(118)으로 통상은 카운터압력을 밀봉하고 있다,
또 송입밸브(110)를 외부로 부터의 조작기구(도시생략)에 의해 조작해서 화살표(114)의 방향으로 밀면, 카운터압력의 통기구멍(115), (116), (117)을 거쳐 실린더(108)에 카운터압력이 가해지고, 굽은측(92)이 상승해서 제8도의 상태가 된다.
(118)은 배출밸브이고, 밸브블록(105)에 접동할 수 있도록 착설됨과 동시에, 패킹(119)을 결합하여 스프링(120)으로 통상은 밀봉하고 있으나 배출밸브(118)를 도시되어 있지 않은 기구에 의해 외부로 부터의 화살표(121)의 방향으로 밀면 통기구멍(117)(122)을 거쳐 실린더(102)의 카운터압력을 배출한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하면, 제8도에 있어서 주액(45)은 액 연통구멍(51) 및 액콕(52)을 거쳐 밸브본체(60)의 내부에 들어가고, 카운터압력(46)은 연통구멍(53) 및 콕(54)을 거쳐 밸브본체(60)내부에도 가해저 있다. 또 병주입 종료공정에서 카운터압력(46)은 송입밸브(110)를 화살표(114)방향에의 조작에 의해 통기구멍(115), (116), (117)을 거처 실린더(102)에도 가해진다.
그리고 병(68)은 공병인 상태로 아래 쪽에서 공급되어, 제8도와 같이 시일(66)로 병구가 밀봉된다.
다음에 병주입공정을 순차설명하면, 밸브레버(외부)(83)를 외부로 부터 조작으로 제10도 화살표(89)의 방향에 움직이면, 밸브레버(내부)(82)로 동시에 움직여서 동 레버(내부)(82)가 칼러(79)에서 떨어진다. 동시에 외부로 부터의 조작으로 배출밸브(118)는 화살표(121)방향으로 밀면, 실린더(102)의 카운터압력이 통기구멍(117)(122)을 거처서 외기속에 방출되어, 굽은측(92)이 스프링(93)에 밀려서 강하하므로곡관(94)은 점선으로 표시한(94')의 위치가 된다.
이 결과 굽은 측(92)에 형성되어 있는 굽은구멍(97)이 카운터압력(46)에 연통된다.
또한, 상기의 실린더조작은 탱크내의 탄산가스를 사용하지만, 이 경우의 조작에 있어서는 실린더(102)내의 탄산가스가 방출된다.
그러나 원래 병주입주에는 병내의 공기분 만큼 탱크내에 되돌려지므로, 탱크내의 카운터압력(46)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그만큼 의식적으로 대기중에 방출하고 있다. (즉, 탱크에서 착설된 플로우르가 탱크액면을 감지해서 일정레벨로 유지하기 때문에, 탱크내의 압력을 조정하게 되어, 통상운전에 있어서는 병내의 공기가 탱크내에 되돌려지는 분은 플러스분이고, 스니프트시대기중에 방출되는 분이 마이너스분이며, 체적적으로는 플러스분이 많으므로 탱크내의 공기는 대기중에 방출해 줄 필요가 있으며, 이것을 의식적으로 방출한다고 함)
또 카운터압력(46)은 굽은구멍(97)에서 굽은측(92), 곡관(94)의 내경구멍을 지나서 굽은구멍(96)에서 병내에 방출되어서 가압한다. 병내의 압력이 카운터압력(46)의 압력과 동일하게 되면, 스프링(80)에 스냅링(78), 밸브측(74), 패킹(75)을 압상해서 액밸브(77)가 열려, 제9도의 상태가 된다.
제9도에 있어서 주액(45)은 화살표(123)(124)(125)(126)(127)(128)(129)(130)와 같이 흘러서 병(68) 내에 유입한다. 동시에 병내의 카운터압력은 화살표(131)(132)(133)(134)와 같이 흘러서 카운터압력(46)에 되돌아온다.
이것에 의해 병주입을 진행한다.
이어서 병내 액면이 상승해서 굽은구멍(96)을 막아버리고, 또한 곡관(94), 굽은측(92)의 내경에 주액이 들어가서 주액(45)의 액며(185)과 대체로 동일수위(186)에 도달하면, 화살표(128), (129)부를 흐르고 있던 주액은 상기 종래의 경우에 같이 병내에 낙하하여, 제11도의 상태에서 흐름은 멈춘다.
다음에 밸브레버(외부)(83)를 외부로 부터의 조작으로 제10도의 화살표(88)방향으로 움직이면, 밸브레버(내부)(82)도 동시에 움직여서 동 레버(내부)(82)가 칼러(79)를 눌러, 칼러(79), 스냅링(78), 밸브측(74), 패킹(75)이 압하되어서 액밸브(77)가 폐색된다.
또 외부로 부터의 조작으로 제8도의 화살표(114)의 방향에 송입밸브(110)를 누르면, 카운터압력(46)이 통기구멍(115), (116), (117)을 거처 실린더(102)에 들어가, 스프링(93)의 힘을 이겨내서 굽은측(92)을 압상한다. 굽은측(92)에 부속된 곡관(94), 스프레더(95)도 동시에 압상되어 제8도의 상태가 된다.
즉, 굽은측(92)을 압상할 때는 탱크내의 탄산가스를 송입밸브(110)를 누르므로서 배출시켜 그 후 송입밸브(110)를 원위치로 되돌리면 실린더(102)내는 압력이 걸려있는 채이므로, 굽은측(92)을 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굽은측(92)을 압하할때는, 배출밸브(118)를 눌러서 실린더(102)내의 압력을 대기에 해방하면, 스프링(93)의 힘에 의해 굽은측(92)은 압하된다.
또 굽은측(92)을 끌어올릴 때 주액은 끌어올려지나, 병구는 시일패킹(66)에 밀봉된채이므로 문제는없다. 또한, 송입밸브(110)를 누르는 기구는 특히 어려운 것은 아니다, 종래의 병주입밸브에 있어서의 스니프트공정에서의 스니프트보턴을 누르는 작용과 동일하다.
즉, 병주입기는 일반적으로 회전기구의 것으로 병이 연속적으로 밸브에 공급, 배출되기 때문에 송입밸브(110)를 누르는 적정위치, 즉 상기스니프트 공정전에 굽러주면 좋은 것으로, 회전기구의 원주상에서 고정된 프레이트가 있으면 된다.
다음에 외부로 부터의 조작으로 제8도의 화살표(137)의 방향에 스니프트측(70)을 누르면, 병의 상부간격(138)에 있는 카운터압력 및 굽은측(92)내경구멍의 수위(136)(제9도)보다 상부에 있는 카운터압력은 스니프트구멍(69)를 거처 패킹(72)의 개구면에서 방출되고, 천천히 상부간격(138)은 대기압까지 감압된다. 이로서 병주입은 종료되므로, 다음에 병을 하방에 공지의 장치로 배출한다.
또한, 제12도에 표시한 곡관(94a)과 같이 짧게하여 두고, 액밸브(77)가 폐색될 때 스프레더(95)보다 위로 병내 액면이 오도록 해두면 주스(90℃)전후로 가열하여 병주입하는 것이 보통이고 탄산가스는 주액중에는 들어가있지 않다)의 경우에도 병주입직후의 내용액면을 제13도와 같이 h를 5mm정도로 하는 것이가능하고, 액이 쏟아지는 일이 없다.
즉, 곡관을 짧게하여 두면, 병구가 시일패킹(66)에서 떨어지기 전에 곡관(94a)을 끌어올려 버렸으므로, 병외에의 액이 쏟아지지 않는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병주입을 종료하고 주액밸브 폐색 후 곡관을 끌어올리고, 동 곡관이 병내 액위로 나온 후 스니프트하도록 하였으므로, 곡관을 끌어올릴 때 병내에 액이 유입하는 일은 없이 내용액면이 안정됨과 동시에 제3도와 같이 카운터압력이 병내액속을 기포가 되어서 통과하는 일은 없고, 주액중에 용해되어 있는 탄산가스의 주액으로 부터의 분리를 촉진하는 것과 같은 액면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내용액면의 변화나 스니프트 충격이 없는 안정된 병주입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탄산가스가 들어있는 혹은 들어 있지 않는 음료에 대하여 겸용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병주입밸브는 병주입기, 병주입 타전기 등에 응용할수 있다.

Claims (1)

  1. 곡관 상하동장치가 붙은 카운터압력식의 병주입밸브에 있어서, 병공급시는 곡관(94)을 피일러보올(44)의 압력(46)을 사용한 에어실린더(102)를 사용해서 위쪽으로 올려두고, 병공급 후 병주입 위치까지 상기 에어실린더(102)의 카운터압력(46)을 방출하므로서 동 실린더(102)실내의 스프링(93)의 탄력으로 곡관을 내려서 병주입함과 동시에, 병주입을 종료하고 주액밸브(77)를 폐색 후 병이 밸브에 압착밀봉된 상태인채로 곡관(94)을 끌어올리고, 동 곡관(94)이 병내 액위로 나온뒤 스니프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주입밸브.
KR2019820006762U 1977-04-19 1982-08-26 병주입밸브 KR830000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6762U KR830000398Y1 (ko) 1977-04-19 1982-08-26 병주입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70000934 1977-04-19
KR2019820006762U KR830000398Y1 (ko) 1977-04-19 1982-08-26 병주입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0934 Division 1977-04-19 1977-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98Y1 true KR830000398Y1 (ko) 1983-03-25

Family

ID=2662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762U KR830000398Y1 (ko) 1977-04-19 1982-08-26 병주입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26A1 (ko) * 2015-03-19 2016-09-22 디에스플랜트(주) 압력센서를 구비한 고속 유체 회전 충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26A1 (ko) * 2015-03-19 2016-09-22 디에스플랜트(주) 압력센서를 구비한 고속 유체 회전 충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2496A (en) Tap for compressed or liquefied gases
US4089353A (en) Filling valve for carbonated liquid bottling machines
EP0080774B1 (en) Container actuated counterpressure filling valve
US4265374A (en) Pressure liquid dispenser
US4313477A (en) Liquid transfer assembly
US3886982A (en) Apparatus for effecting the rapid filling of containers with liquid
US41240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ttling
US2066977A (en) Liquid dispenser
US3381723A (en) Apparatus for filling beer bottles and the like
US2676742A (en) Filling head
KR830000398Y1 (ko) 병주입밸브
US4487237A (en) Apparatus for combining first and second liquids in a vessel to achieve a precise dosage of the second liquid and a precise final height of the combined liquids
JP2001139095A (ja) ガス詰め充填機
JPH0744740U (ja) 炭酸入り液体を圧力下で吐出する吐出コック
US3252486A (en) Filling apparatus for liquids
JP4044650B2 (ja) 炭酸飲料注出方法および炭酸飲料注出装置
JPH07267297A (ja) 充填バルブ
JPH0718626Y2 (ja) 容器の注出器
KR820001380B1 (ko) 병 주 입 밸 브
US2348480A (en) Filling valve
JP2601167B2 (ja) ポンプ注液式液体容器
US1901335A (en) Bottle filling machine
SU1595792A1 (ru) Емкость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и отпуска напит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е наполнени
JPS5811758Y2 (ja) 充填装置
ES482411A1 (es) Valvula llenadora de envases con liquido carbonata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