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319B1 -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319B1
KR830000319B1 KR1019790001597A KR790001597A KR830000319B1 KR 830000319 B1 KR830000319 B1 KR 830000319B1 KR 1019790001597 A KR1019790001597 A KR 1019790001597A KR 790001597 A KR790001597 A KR 790001597A KR 830000319 B1 KR830000319 B1 KR 83000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tape guide
guide element
stop member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바신스키 마리우쯔
Original Assignee
디. 제이. 싹커스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제이. 싹커스,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filed Critical 디. 제이. 싹커스
Priority to KR101979000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과 관련된 기록재생장치의 부분에 대한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설 Ⅱ-Ⅱ를 따라 절취한 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카셋트내의 2개의 회전가능한 스푸울(spool)상에서 이송되는 자기 테이프상에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텍크(deck)판과 이 텍크판상의 카셋트를 지지하는 장치와 카셋트내의 스푸울중 한쪽을 구동하여 그 스푸울상에 테이프를 감고 다른쪽의 스푸울에서 테이프를 푸는 장치와 ; 덱크판에 대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회전 자기기록 및 재생헤드와, 이 회전자기헤드의 회전축과 축이 일치하도록 덱크판상에 지지되어 있는 테이프의 안내드럼과, 스푸울간의 테이프의 일부를 카셋트로부터 잡아당겨 안내드럼의 원통면에 건다음에 이 안내드럼의 원통면의 일부를 순회하는 나선통로에 따라 테이프를 안내하여 그때 회전자게헤드가 테이프의 세로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트럭에 가지런히 놓여진 테이프상의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테이프 안내장치를 구비하는 그러한 유형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안내드럼”이라는 용어는 여러개의 개별동축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드럼을 포함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류의 한예가 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 제 2719746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은 테이프 안내소자의 제2위치를 덱크판상에 장착된 정지부재로써 규정한 것이다. 이 정지부재(stopmember)는 정지부재상에서 테이프 안내소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3개의 다른 스톱(stop)을 갖추고 있다. 이 스톱들은 테이프 안내소자의 대응하는 부분과 함께 덱크판에 대한 테이프안내소자의 높이와 각위치를 결정한다. 제1스톱은 V자형 리세스로 구성되고, 제2스톱은 자형리속스로 구성되고 제3스톱은 접촉면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지의 데이프 안내소자의 위치를 선정하는 장치는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정지부재에 장치되는 3개의 스톱이 서로에 대해 매우 정확하게 장착되어야만 한다는 결점을 갖는다. 테이프 안내소자가 제2위치로 이동되었을때의 테이프 안내소자의 위치 정확도는 일반적으로 대단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이 테이프 안내소자의 제2 위치에 의해 장치의 다른 부분, 특히 자기헤드에 대한 자기테이프의 위치관계가 결정되며, 자기테이프는 대단히 정확하게 규정된 방향과 각위치관계를 가지고 이 자기헤드의 주위를 주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결점을 제거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 안내장치가 테이프와 계합되는 테이프 안내소자를 구비하면, 이 테이프 안내소자가 덱크판상의 안내통로에 따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며, 테이프 안내장치의 동작시에는 테이프를 카셋트로부터 잡아당겨 안내드럼의 원통면에 걸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테이프 안내요소의 제2위치를 규정하는 정지부재를 텍크판상에 장치하고, 이 정지부재에 자형의 제1리세스(recess)와 원추형이나 구의 일부와 같은 제2리세스를 장치하며, 상기 테이프 안내소자에 원통형 또는 부분적으로 원추형이나 구의 일부와 같은 제2 리세스를 장치하며, 상기 테이프 안내소자에 원통형 또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볼록면을 가지며 정지부재의 제2리세스와 상호 동작하는 제1 부분 그리고 구형 또는 부분적으로 구형이 블록면을 가지며 정지부재의 제2소자와 상호동작하는 제2 부분을 장치하며, 제2 부분의 구형 또는 부분적으로 구형인 곡면의 중심을 제1부분의 원통형 또한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곡면의 중심축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및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원추형”이라는 용어는 원뿔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테이프 안내소자에 중심축을 장치하고 이 중심축상에 테이프 안내소자의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을 부착시켜, 또한 이 테이프 안내소자의 제1 부분에 단단히 연결하고 테이프 안내로울러에 장치하며, 이 테이프 안내 로울러를 중심축의 축선방향으로 위치조정 되도록하여 테이프 안내로울러에 장치하여, 이 테이프 안내 로울러를 중심축의 축선방향으로 위치조정 되도록하여 테이프 안내로울러와 상기 제2 부분과의 사이의 축선방향의 거리를 바꿀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는 테이프 안내소자의 테이프 안내 로울러와 상기 제2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중심축을 휘감듯이 압축스프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정지부재의 제2소자의 중심축선을 텍크판에 평행으로 연장시켜, 또한 정지부재의 한장의 판을 장치하고 이 판에 상기 제1 리세스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판을 텍크판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정지부재의 면상에 부착시켜 그때 이판이 상기 면상에서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2소자의 위치가 상기 제2소자에 대해 텍크판에 평행인 면내에서 임의의 방향을 취할 수 있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분기된 드러스트 부재의 중심을 선회할 수 있게 지지체에 연결하고 이 지지체에 연결하고 이 지지체가 테이프 안내소자가 제2 위치에 있을때 정지부재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프 안내소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또는 그 근방에서 분기부가 테이프 안내소자와 계합하고 테이프 안내소자에 드러스트를 걸어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정지부재내에 있는 각각의 제1 리세스와 제2 리세스에 밀어넣는 듯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테이프 안내장치가 2개의 이동 가능한 테이프 안내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본 발명기록 및 재생장치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도에 대해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기록 및 재생장치에 대한 본예에서는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가 덱크판(1)을 구비하고 이 덱크판(1) 위에 카셋트(2)가 울려져 있다. 이 카셋트(2)에는 자기테이프(3)이 장착되어 있지만 이 자기테이프(3)는 카셋트 (2)내의 서로 평행한 축의 주위에서 회전되는 2개의 스푸울(4) 및 (5)에 감겨져 있다. 스푸울(4) 및 (5)에서 플랜지를 장치해도 되고 장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작시에는 테이프가 한쪽의 스푸울로부터 풀려져 다른쪽의 스푸울에 감긴다. 카셋트를 사용치 않을때에는 테이프의 일부가 카셋트내의 2개의 안내로울러(6)과 (7)사이에서 제1도상의 점선(3a)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셋트 하우징의 개구(8)을 통과한다. 테이프(3)의 이 부분을 카셋트로부터 잡아당겨 덱크판(1) 위에 올려져 있는 안내드럼(9)의 원통면에 걸어야 한다. 이렇게한 후에 안내드럼(9)와 동축이며 또한 덱크판 (1)에 대해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회전하는 자기 기록 및 재생헤드(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장치의 동작시에 테이프(3)과 상호 동작하도록 안다. 테이프(3)를 카셋트 (2)로부터 잡아당겨 안내드럼(9)의 원통면에 걸기위해 2개의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을 장치한다.
이들의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는 각각 그것이 카셋트 하우징의 개구(8)의 위치에서 테이프(3)의 배후에 위치하는 제1(정지)위치로부터 관련 안내통로에 따라 제2(동작)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1도에서 이들 2개의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은 동작위치에서는 실선으로 도시하고 정지우치에서는 점선으로 도시했다. 카셋트(2)로부터 당겨져서 안내드럼(9)의 원통면에 걸려진 테이프의 부분은 실선으로 도시한다.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이 동작위치에 있을때에는 테이프(3)는 카셋트 (2)에의 안내로울러(6)로부터 나와 테이프 안내소자(10)을 돌아 소거해드(12)를 통과하고, 안내드럼과 회전하는 자기헤드를 돌아 테이프 구동캡스턴(13)과 재생헤드(14)를 통과하여, 테이프 안내소자(11)을 돌아 안내핀(15)를 통과하고 카셋트(2)내의 안내로울러(7)에 도달하는 그러한 식으로 연장된다. 이 테이프(3)을 구동하기 위해 핀치로울러(16)로써 테이프(3)를 캡스턴(13)에 가압한다. 테이프(3)이 감겨져야할 스푸울을 구동하기 위해 구동축(도시하지 않음)을 장치한다. 이밖에 도시하지 않은 장치로서 이 스푸울이 구동축과 동축이 되도록 바르게 카셋트(2)를 덱크판(1)상에 지지하기 위한장치를 설치한다. 안내드럼(9)와 캡스턴(13)과 재생헤드(14)와 테이프 안내소자(11)과 안내핀(15)를 덱크판(1)에 대해 경사지게 장치하고 테이프(3)이 안내드럼(9)의 원통면의 일부의 둘레를 나선에 따라 주행하고 그후에 카셋트(2)에 되돌아오도록 한다.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을 정지위치에서 동작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제각기 안내트럭(17) 및 (18)을 장치하지만 이들의 안내 트럭(17) 및 (18)은 덱크판(1)에 형성한 구이며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은 안내드럼(9)를 돌아 그 양측에 안내하는 안내통로를 형성한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은 각 안내트럭(17) 및 (18)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주행대(20)를 구비하는 지지체(19)에 의해 운반된다. 테이프 안내소자(11)은 선회가능한 아암(22)에 의해 움직이지만, 그때 각각의 테이프 안내소자의 주행대(20)에 연결되며, 각각의 아암(21),(22)의 슬롯(24),(25)에 계합하는 핀(23)를 구비하는 커플링(coupling)을 사용한다.
테이프(3)을 카셋트(2)와 안내드럼(9)상의 동작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제1도 참조) 핀치로울러(16)가 이 이동중 테이프 구동로에서 이탈되도록 지지된다. 이 핀치로울러(16)의 이동은 아암(21) 및(22)의 작동시 도시하지 않은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안내드럼(9) 둘레의 테이프(3)의 통로는 동작위치에 있는 테이프 안내소자 (10) 및 (11)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동작위치에 있어서 이들의 테이프 안내좌각의 소자(10) 및 (11)를 바르게 위치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테이프 안내요소(10) 및 (11)은 각각에 대해 덱크판(1)위에 제각기 정지부재(26) 및 (27)을 장치한다. 이들 정지부재(26) 및 (27)은 제2도를 참조하여 테이프 안내소자(10)에 대하여 설명할 바와같이 관련 테이프 안내소자(10)의 동작위치를 정확히 규정한다. 테이프 안내소자(11)의 위치설정도 동일한 방법으로 행해진다.
본 예에서는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 각각에(제2도로 테이프 안내소자 (10)에 대해 도시한 바와 같이)중심축(28)을 장치한다. 이 중심축은 테이프 안내소자 (10)의 주행대(20)상에 직립시킨다. 이 중심축(28)의 세로 방향 축선에 부호(28A)를 부착한다. 이 중심축(28)에 구상체(29)와 압축스프링(30) 및 테이프 안내 로울러 (31)을 부착한다. 이 테이프의 동작에 거슬러서 축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고 테이프 안내로울러(31)과 구상체(29)와의 사이의 축방향 거리를 조정한다. 테이프 안내로울러 (31)은 본체부가 거의 원통형이며 이것에 테이프(3)의 연부를 안내하기 위한 플랜지 (33) 및 (34)를 장치하고 있다. 구상체(29)에서 원거리의 종단에는 플랜지(34)의 상방향에 거의 원통형인 부분(25)가 있다. 이 테이프 안내로울러(31)은 몇개의 개별부품을 조립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이 테이프 안내로울러(31)을 전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중심축(28) 자체가 테이프(3)의 안내부로서 작동하며, 부분(35)에 대응하는 원통부도 중심축(28)로서 구성한다.
정지부재(26) 및 (27)은 제각기(제2도에서 정지부재(26)에 대해 도시한 것처럼) 덱크판(1)에 고정된 블록(36)을 구비한다. 이 블록(36)에는 중심축선(38)이 덱크판(1)에 평행으로 연정하는 구형 또는 원추형의 리세스(37)을 장치하고 이것에 의해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이 각각의 정지부재(26) 또는 (27)과 계합할때, 제각기 테이프 안내소자(10) 또는 (11)의 구상부(29)를 받아들인다.
본 예에서는 블록(36)의 상면(39)는 덱크판(1)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평면을 만들고 이 평평한 상면(39)상에 판(40)을 얹으며, 이 판(40)은 판(40)의 구멍(42)를 관통하는 나사(41)로써 블록(36)에 고정된다. 구멍(42)의 직경은 나사(41) 생크 (shank)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하며, 판(40)의 위치가 어느 범위로 표면(39)위에서 조절되며,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판(40)의 한 면부에는 V자형 리세스(43)을 장치하며 이 V자형 리세스(43)으로 테이프 안내소자(10)이 정지부재(26)과 계합할때 테이프 안내로울러(31)의 원통부(35)를 받아서 멈추게 한다(제1도 참조). 판 (40)을 표면(39)상에서 조정하므로써 V자형 리세스(43)을 상면(39)에 의해 규정된 면내에서 표면(39)에 대해 모든 방향으로 조정된다. 즉 표면(39)의 중심축선(38)의 방향애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하거나 수직인 방향으로 하든지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할수가 있다. 이렇게하여 덱크판(1)에 대한 테이프 안내소자(10)의 각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이 각위치의 조정이 불필요한 경우는 V자형 리세스를 블록(36) 자체의 일부를 장치할 수가 있다.
V자형 리세스(43)에 의해 결정되는 각위치에 테이프 안내소자(10)를 가져오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지지체(19)와 덱크판(1) 사이에서 덱크판(1)에 수직한 방향으로 틈새를 제공하고 또한 각각의 핀(23) 및 각각의 아암(21),(22)의 관련 슬롯(24),(25)의 측면사이에도 틈새를 제공하여, 지지체(19)를 덱크판(1)에 대해 액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각 테이프 안내소자의 부분(29) 및 (35)는 그것들이 테이프 안내요소의 중심축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한 원하는 바에따라 정지부재(26)에 대향하는 축만을 제각기 부분적으로 구형으로 하고 또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으로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안내소자(10)은 덱크판91)의 안내트럭(17)에 의해 규정되는 미리 정해진 안내통로에 따라, 정지부재(26)까지 주행한다. 테이프 안내소자 (10)를 정지부재(26)에 대해 단단히 압축시키기 위해 덱크판(1)상에 회전가능한 분기된 드러스트부재(44)를 장치한다. 이 슬라스트 부재(44)는 어느 범위로 회전할수가 있을뿐만 아니라 정지부재(26)의 방향으로 이동하든가 정지부재(26)에서 떨어지거나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 드러스트부재(44)는 2개의 아암(45) 및 (46)을 구비하며, 이들은 제각기 테이프 안내소자(10)의 구상부(29) 및 원통부(35) 또는 그 근처에서 테이프 안내소자(10)과 계합된다. 드러스트부재(44)는 이빨이 달린 래크(47)에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역회전 가능한 모터(48)에 의해 피니언(49)를 구동하므로써 래크(47)을 정지부재(26)의 방향으로 전진시키든가, 또는 역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한다(제1도 참조).
테이프 안내소자(10)의 지지체(19)를 안내트럭(17)에 따라 움직이게하는 아암(21)이 정지부재(26)에 인접한 종점에 도잘했을때 에 아암(21)이 스위칭 장치 (50)을 작동시켜 모터(48)을 활성화하며, 드러스트 부재(44)부착 태크(47)을 정지부재(26)의 방향으로 전진시킨다. 드러스트부재(44)가 테이프 안내소자(10)과 계합하면 이제 테이프 안내소자(10)이 정지부재(26)과 계합한다. 이때 드러스트부재(44)는 축방향으로 떨어진 2점이서 테이프 안내소자(10)이 평행된 드러스트를 주며 테이프 안내소자(10)의 구상부(29)와 원통부(35)를 제각기 정지부재(36)의 리세스(37)과 (43)에 가압시킨다. 테이프 안내소자(10)의 정지위치로의 복원 운동과 동시에 드러스트부재(44)를 그 비작동 위치로 돌아올 수있게 한다. 예를들어 테이프 안내소자(10)의 복원운동을 제어하는 한개 또는 여러개의 제어부재, 예를들어 푸쉬버튼(push button)을 조작하므로써 적당한 회로를 통과하여 모터(48)를 역회전시키는 것을 시작할 수가 있다. 또한 도면을 보기쉽게하기 위해 드러스트부재(44)는 제1도에서 비작동위치로 도시하였지만 물론 동작위치에 놓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 설명한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드러스트부재(44)를 정지위치(26)의 방향으로 전진시키든가 거기에서 후퇴시키든가 할수가 있다. 예를들어 레버로서 움직이게 할수도 있다. 제1도에서 알수있는 바와 같이 테이프 안내소자(11)을 정지부재(27)에 대해 위치설정 하기 위해서도 평형 드러스트 부재(44)를 장치한다. 그 대신 이들의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을 레버에 의해 정지부재(26) 및 (27)에 가압시킬수도있 다.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이 정지부재(26) 및 (27)과 계합할때, 각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의 구상부(29)와 원통부(35)가 제각기 관련하는 정지부재(26) 및 27)의 리세스(37) 및 (43)과 계합하지만 드러스트 부재(44)는 이때 저항을 받지 않고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을 정지부재(26) 및 (27)과 정확히 계합시키는 기능을 끝낸다. 구상부(29)와 리세스(37)는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의 높이를 결정하고 원통부(35)와 V자형 리세스(43)은 덱크판(1)에 대한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의 각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가지 위치조정은 상호간 독립해서 행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높이를 조정할때는 원통부(35)가 V자형 요소(43)내에서 자유롭게 작동할 수 있고, 각 위치를 조정할때는 구상부(29)는 리세스(37)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하여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의 매우 정확한 위치조정이 가능케되며, 또한 이것은 테이프 안내소자(10) 및 (11)을 움직여서 정지부재(26) 및 (27)과 계합시킬때면 언제나 재현된다.
이와 같은 조정수단은 위치조정을 정확히 또한 재현성 좋게 행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 동작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각종의 테이프 안내소자에 사용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

  1. 텍크판과, 덱크판상의 안내드럼과, 카셋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테이프가 안내드럼의 원주면상의 통로를 따라 안내되게금 정지위치로부터 동작위치로 이동되는 테이프 안내소자와, 테이프 안내소자의 동작위치를 규정하는 정지부재를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V자형의 리세스(43) 및 원추형의 리세스(37)를 정지부재에 설치하고, V자형 리세스(43)와 상호 협동하는 원통부(35) 및 원추형 리세스(37)와 상호 협동하는 구상부(29)를 테이프 안내소자에 설치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KR1019790001597A 1979-05-17 1979-05-17 기록재생장치 KR83000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597A KR830000319B1 (ko) 1979-05-17 1979-05-17 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597A KR830000319B1 (ko) 1979-05-17 1979-05-17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319B1 true KR830000319B1 (ko) 1983-03-02

Family

ID=1921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597A KR830000319B1 (ko) 1979-05-17 1979-05-17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3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4937A (en) Magnetic tape guide alignment device
EP0083932A2 (en)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3678213A (e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ystem having guide pins mounted on independently rotating plates for withdrawing tape from cassette
US4056833A (en) Turntable assembly for video cassette recorder/reproducer
KR830000319B1 (ko) 기록재생장치
JPH061584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495116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940009725B1 (ko) 자기기록 및 판독장치
US4729049A (en) Cassett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compact arrangement of magnetic heads
US4964002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pair of skew guide blocks
JPH0447372B2 (ko)
JPH024067B2 (ko)
US5315459A (en) Video cassette recorder device
US3355119A (en) Capstan and wind drive and activation mechanism therefor
JPS5935889Y2 (ja) 可動テ−プガイド装置
JPH03187059A (ja) 磁気記録再生機のテープ引出し装置
JPH08339595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記録又は再生装置
JP251256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プロ―ディング装置
JPH0356894Y2 (ko)
JPS5919963Y2 (ja) テ−プレコ−ダの切換装置
US4015293A (en) Cutaway tape guide for selectively cooperating with a capstan and guiding a tape
JPH0356895Y2 (ko)
GB1562404A (en) Web cassettes and web guiding members therefor
JPH0329505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35888Y2 (ja) 可動テ−プガイ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