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77Y1 -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77Y1
KR830000277Y1 KR2019810004890U KR810004890U KR830000277Y1 KR 830000277 Y1 KR830000277 Y1 KR 830000277Y1 KR 2019810004890 U KR2019810004890 U KR 2019810004890U KR 810004890 U KR810004890 U KR 810004890U KR 830000277 Y1 KR830000277 Y1 KR 830000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fuel tank
burner
fue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4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율
구자풍
Original Assignee
김종율
구자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율, 구자풍 filed Critical 김종율
Priority to KR2019810004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77Y1/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도.
제2도는 제1(a)도, 제1(b)도 부분의 확대단면도.
본 고안은 석유 버어너의 연료 탱크로부터 랜턴에 연료를 공급하여 버어너의 연소와 랜턴의 점들을 동시에 겸용할 수 있게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연료탱크 하나를 가지고 버어너와 랜턴을 겸용하는 장치가 공지되고 있는바 이것은 취사시 버어너를 단독으로 사용하다가 랜턴을 사용코저 할때에는 버어너의 연료 탱크상에 나착된 스토우브를 돌려 빼고 그 스토우브를 나착하였던 자리에 랜턴의 기존 밸브체를 나착하여 사용하였으며, 다시 버어너로 사용코저 할때에는 랜턴을 돌려빼고 그 자리에 스토우브를 갈아끼워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해 왔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불편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지의 석유 버어너의 연료탱크에 나착하는 마개체의 측면에 통상의 기압 조절밸브를 나설하는 동시에 그 마개체의 중앙에 튜우브를 관통 용접하고, 랜턴에 부착되 기존 밸브체에 형성되 암나사에는 패킹판을 선단에 용접한 튜우브를 관설한 나비너트를 나착하여 그 튜우브와 상기한 버어너의 마개체의 튜우브를 호우스로 연결하여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그 호오스를 따라 랜턴에 공급되게 하므로서 버어너와 랜턴을 각각 독립시킨 상태에서 연소와 점들을 동시에할 수 있게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야간취사시 버어너와 랜턴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둘중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장비를 제공코저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야외용 석유 버어너(A)의 연료탱크(1)에 설치되 주입구(1')에 공지의 기압조절밸브(13)를 가진 마개체(2)를 나착한 것에 있어서, 그 마개체(2)의 중앙에 튜우브(5)를 관통 용접하여 그 튜우브(5)의 하단에 연료탱크(1)의 바닥면에 이르는 호우스(6)를 연결하고, 랜턴(B)에 있어서는 그 저면에 착설되 기존 밸브체(3)의 암나사(8)에 나착하는 나비너트(12)에 통공(11)을 뚫고 그 통공(11)에는 패킹판(9)을 선단에 용접한 튜우브(10)를 관설하여 그 튜우브(10)와 상기한 튜우브(5)사이를 호우스(4)로 연결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7은 보울트이고, 14는 연료 상승 튜우브이며, 15 및 20은 예열접시, 16 및 19는 조절스핀들 17은 스토우브, 18은 압축펌프, 21은 예열상승관, 22는 심지 주머니이다.
이와같이 구성도니 본 고안에 있어서 버어너(A)는 주지의 사용방법과 같이 압축펌프(18)로 연료탱크(1)내의 압력을 조성한 후, 예열접시(15)에 예열용 연료를 주입하여 이에 점화하면, 점화되 열이 스토우브(17)를 예열하는데 따라 조절스핀들(16)를 열면 연료가 상승관(14)으로 상승하여 노즐로 분사되면서 스토우브(17)로 분출 연소되고, 랜턴(B)은 역시 예열접시(20)에 예열용 연료를 주입하고 이에 점화하면 연료 상승관(21)이 가열되는데 따라 조절스핀들(19)을 열면 압력하에 있는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호우스(6)와 마개체(2)의 튜우브(5) 및 호우스(4)를 통하여 기존밸브체(3)에 진입하고 예열상승관(21)으로 진입할 때 여기에서 기화되어 도시하지 않은 공기 혼합관에서 공기와 혼합되어 연소 주머니(22)에 이르러, 연소되는 것인바, 버어너(A)에 의하여 취사를 끝내고 그 버어너(A)의 불을 끌때에, 종래에는 기압 조절밸브(13)를 열어서 연료탱크(1)내의 압력을 배출하면 상승관(14)으로 상승하였던 연료의 공급이 중단되면서 불이 꺼졌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는 그와같은 방법을 택하면, 연료탱크(1)내의 압력이 떨어지는 고로 랜턴(B)으로의 연료공급을 할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기압조절밸브(13)를 체착한 상태에서 화력조절 스핀들(16)을 잠그면 상승관(14)으로 상승하던 연료의 공급이 차단되어서 불이 꺼지게되는반면, 랜턴(B)에만 호우스(4)를 통하여 연료가 공급된다.
또한 랜턴(B)만을 소등코져 할때에 그 조절스핀들(19)만 잠그면 연료의 공급이 중단되어 즉시 꺼지게 되므로 이때에는 버어너(A)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 버어너(A)와 랜턴(B)의 불을 동시에 끌때에는 종래와 같이 마개체(2)의 기압조절밸브(13)만을 열면, 연료탱크(1)내의 압력이 떨어지게되므로 버어너(A)와 랜턴(B)으로의 연료공급이 함께 중단되면서 동시에 불이 꺼지게된다.
그리고 랜턴(B)만을 단독으로 사용할때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압축펌프(18)에 의하여 연료탱크(1)내의 압력을 높인 상태에서 랜턴(B)의 예열접시(20)에 예열용 연료를 주입하고 이에 착화하면, 예열상승관(21)이 가열되므로 이때에 조절스핀들(19)을 열면 연료가 호우스(4)를 따라진입 증발되어 심지주머지(22)에 이르게되므로 여기에 착화하면되고, 이들 소동할때에는 조절스핀들(19)을 잠그거나 기압조절밸브(13)로 연료탱크(1)내의 압력을 배출하면 력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 장치를 분해코저 할때에는 버어너(A)측의 마개체(2)를 돌려뺀 다음, 도시하지 않은 별개의 예비 마개로 주입구(1')를 막고, 또 랜턴(B)의 밸브체(3)에 나착한 나비너트(12)를 돌려빼면 각각 별개체를 분리되어 휴대에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장치에 의하면 어떠한 종류의 석유버어너라도 본 고안 장치를 실시함에 따라 랜턴과 함께 동시에 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실시되는 본 고안은 전술한 공지의 겸용 버어너와는 그 사용개념이 다르고 또 버어너와 랜턴을 각각 독립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연료탱크로 공급하는 연료에 의하여 용이하게 양용할 수 있는 실용적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존의 석유버어너(A)의 연료탱크(1)에 기압조절밸브(13)를 가진 마개체(2)를 나착하고, 랜턴(B)의 기존밸브체(3)에 형성한 암나사(8)에는 나비너트(12)를 나착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한 마개체(2)에 튜우브(5)를 관통용접하고, 나비너트(12)에 뚫은 통공(11)에는 튜우브(10)를 관설하여 그 튜우브(10)와 마개개(2)에 관통용 접한 튜우브(5)사이에 통상의 호우스(4)를 연결한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KR2019810004890U 1981-07-09 1981-07-09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KR830000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4890U KR830000277Y1 (ko) 1981-07-09 1981-07-09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4890U KR830000277Y1 (ko) 1981-07-09 1981-07-09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77Y1 true KR830000277Y1 (ko) 1983-03-02

Family

ID=1922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4890U KR830000277Y1 (ko) 1981-07-09 1981-07-09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961A (en) Multifuel burner with pressurized fuel-holding tank
KR830000277Y1 (ko) 버어너의 연료탱크를 이용한 랜턴의 동시 점등장치
CA2255639C (en) Multi-fuel burner with adjustable metering valve
US2321034A (en) Liquid fuel stove
KR100840535B1 (ko) 액체연료용 버너 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너
KR890001272Y1 (ko) 암석 절단용 젯트 분사식 오일 버어너
KR820000091Y1 (ko) 가스 겸용 석유 버너
CN2166345Y (zh) 合成液体燃料灶具
CN2156412Y (zh) 气液磁化红外线节能灶具
KR820001250Y1 (ko) 펌프가 없는 석유버너
CN208475388U (zh) 一种用于醇基燃料炉灶燃烧装置
KR890007152Y1 (ko) 화염분사기의 예열장치
CN115823611A (zh) 一种分体炉免预热加压气泵及其供油方法
KR910001836B1 (ko) 오일버어너
KR200153990Y1 (ko) 오일연소기의 연소장치
SU1477993A1 (ru) Жидкотоплив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KR910009131Y1 (ko) 누유 방지용 오일버너
US1852846A (en) Valve for carbureting and starting
KR910008865Y1 (ko) 석유 버어너용 자동공기 주입장치
KR800002156Y1 (ko) 야외용 석유버너의 예열장치
KR200266788Y1 (ko) 복합연료의 연소 버어너의 구조
JP3019479U (ja) 酸素バーナ
KR810000629Y1 (ko) 버 어 너
KR200158425Y1 (ko) 석유연소기
CN2176504Y (zh) 合成液化气炉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