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15B1 -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15B1
KR830000215B1 KR1019790004026A KR790004026A KR830000215B1 KR 830000215 B1 KR830000215 B1 KR 830000215B1 KR 1019790004026 A KR1019790004026 A KR 1019790004026A KR 790004026 A KR790004026 A KR 790004026A KR 830000215 B1 KR830000215 B1 KR 83000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passage
condui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오 야마우찌
요시시게 오오야마
마모루 후지에다
Original Assignee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야마 히로기찌,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시야마 히로기찌
Priority to KR101979000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04Injectors peculiar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
제1도는 단점 분사방식에 본 발명인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를 적용한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의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연료와 공기의 거동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흡기밸브와 연료 분사밸브 및 기관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타임챠트도,
제5도는 다점 분사방식에 본 발명의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를 적용한 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연료 분사장치를위한 연료 제어장치의 요부 종단면도,
제7,8,9도는 본 발명의 연료 제어장치를 연료 분사장치에 장착하는 경우의 흡기계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각각의 요부 종단면도,
제10도는흡기계 압력과 기관 회전각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연료를 공규하기 위한 내연기관에 장착되는 연료 분사장치에 관련한 것이며 특히 간헐 분사형 분사장치를 위한 연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헐 분사형 연료 분사장치는예컨대, 내연기관의 동작상태를 검출하여 전기적 펄스신호를 만들어 이 펄스신호를 전깆거 연료 분사밸브에 부여함으로써 시관 회전에 동기하여 간헐적으로 연료를 기관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래서 간헐 분사형 연료 분사장치의 방식에는 두가지 방식이 있는데, 그 하나의 방식으로서는 단점분사(single poing injection)방식이 있고, 또 하나의 방식으서는 다점분사(multi point injection)방식이 있다.
그리고 단점 분사방식은 1개의 연료 분사밸브에서 기관의 모든 기통 또는 절반의 기통에 연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다짐 분사방식은 기관의 기통에 대응한 연료 분사밸브에서 연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간헐 분사형 연료 분사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치 않으면 안된다.
(1) 연료 분사밸브에서 기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 연료 분사밸브의 밸브가 열려지는 시간은 고속운전시의 회전수를 기본으로 하여 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왜냐하면, 아이들 회전수를 600R.P.M으로 하여 연료 분사밸브의 밸브가 열려지는 시간을 2ms로 설정했을 때 3,000R.P.M에서는 연료 분사밸브의 밸브가 열려지는 시간은 10ms로 되어 흡기밸브가 열려지는 시간보다 길어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연료 분사밸브가 열려지는 시간은 고속 운전시의 회전수를 기본으로 하여 결정하는 셈이지만, 아이들 운전의 경우에는 연료 분사밸브의 연료 분사 간격이 길어져 기관의 회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3,000R.P.M에서 연료 분사 밸브의 밸브가 열려지는 시간을 5ms로 하면 아이들 회전수가 600R.P.M일 경우는 1ms가 된다. 그리고 이 아이들 운전시의 흡기밸브의 밸브가 열려지는 시간은 50ms로서 이 시간은 연료 분사밸브의 밸브가 열져지는 시간에 비하여 대단히 길다. 따라서 아이들 운전시 연료가 1회 분사된 후 상당히 오랫동안 공기만이 공급되기 때문에 모든 흡입공기와 연료가 평균적으로 혼합되지 않아 기관의 회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2) 연료 분사밸브에서 분사되는 연료는 그 입경(粒俓)이 작으면 그만큼 운전의 특성, 배기가스의 특성, 연료의 경제성이 양호해지는 셈이지남 현류(現流)의 분사밸브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입경은 거의 300μ정도로서 충분할 만큼 작은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기관의 기통내에 흡입된 연료의 일부는 기통의 벽면에 부착하여 미연소 된 채 배출되는 엔진 오일을 희석하여 연료의 소비량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제3,656,464호가 제안되어 있다.
(1) 그렇지만 이 방법에서는 단지 연료의 미세화 할 뿐이므로 아이들 운전시와 같은 경우 연료가 1회분사되면 그후 상당히 오랫동안 공기만이 기관에 공급되기 때문에, (1)항의 문제는 아무런 해결도 되지 않는다.
(2) 그리고 연료의 미세화의 정도인데, 이와 같은 방법등은 50-70μ정도까지 밖에 미세화되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미새화라고는 말할 수 없다. 특히, 석유 에너지의고갈이 염려되는 현재로서는 더욱 연료를 미세화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관의 회전 특히, 안정된 아이들 회전은 얻을 수 있는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를 보다 미세화하여 기관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연료가 방사형태로 퍼지는 토출공을 가진 연료 분사밸브의 토출공과 흡기통로 사이를 양단이 개구된 통로를 가진 다공질 도관으로 연통하여 다공질 도관의 외주부에서 다공질 도관의 통로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통로를 다공질 도관의 외주부에 개구시킨 점에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료 분사밸브에서 토출된 연료는 다공질 도관의 토로벽면에 부착하여 흐르지만 그 흐름중에 다공질 도관의 외주부에서 공기가 다공질 도관의 통로내에 분출하여 다공질 도관의 통로 벽면을 흐르고 있던 연료는 일거에 미세화하여 입경이 작은 연료입(燃料粒)이 되어 흡기통로에 흐르는 것이다.
따라서 연료 분사밸브에서 토출된 연료의 대부분은 다공질 도관의 통로의 벽면에 부착 시켜줌으로써 즉, 다공질 연료의 연료 부착 성능을 이용하여 아이들 운전시에 모든 연료가 단시간에 기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다공질 도관의 통로의 벽면에의 연료 부착에 의해 생기는 부작용 즉, 연료입의 조대화(祖大化)를 다공질 도관의 벽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에서 공기에서 공기를 다공질 도관의 통로내에 분출하는 것으로 방지했으므로 아이들 운전시에 모든 흡입공기와 연료를 평균적으로 혼합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연료 분사장치의 시스템은 주지의 것이므로 그 시스템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는 단점 분사방식의 겨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참조번호(10)는 드로틀보디로서 내부에 흡기통로(12)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통로(12)는 도중에서 격벽(62)에 의해 2통로로 분할되어 그 일방은 1차측 통로(14), 그 타방은 2차측 통로(16)로 되어 있다. 1차측 통로(14)에는 1차측 드로틀 밸브(18)가 설치되어 있고, 2차측 통로(16)에는 2차측 드로틀 밸브(20)가 설치되어 있으며 1차측 드로틀 밸브(18)가 소정각도 열려진 후 2차측 드로틀 밸브(20)가 열려지도록 각각의 드로틀 밸브(18),(20)는 연통되어 있다. 이 연동기구는 주지의 복식 기화기의 연동기구와 거의 같은 것이다.
드로틀 보디(10)에는 연료 분사밸브(22)가 고무시일(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분사밸브(22)에는 연료펌프에서 연료가 파이프(26)에 의해 보내지고 있으며 또 컨트롤 유니트(도시않음)에서의 전기신호가 케이블(28)로 부터 보내진다. 분사밸브 (22) 토출공(30) 근방에는 다공질도관(32)(이하, 도관이라 칭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관(32)을 통하여 분사밸브(22)으로 부터의 연료가 1차측 통로(14)의 1차측 드로틀 밸브(18)의 하류에 공급되지만, 이 도관(32)에는 공기통로(34)로 부터 공기가 보내져 들어가고 있다.
제2도에 제1도의 A부를 확대한 도관(32) 부근의 상세함을 나타내고 있다. 드로틀 보디(10)의 측부에는 도관(32)이 배치되어 제1의 취부공(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취부공(36)은 분사밸브(22)가 배치되는 제2의 취부공(38)과 연통되어 있다. 취부공(36)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된 중공형의 도관(32)이 0링(40)을 개재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0링과 취부공(36) 및 도관(32)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실(42)은 공기통로(34)와 연통되어 있다. 이 도관(32)은 소결(燒結)금속 또는 내 가솔린성이 우수한 다공질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도관(32)이 벽의 내부에 미세한 통로가 몇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실(42)의 공기는 도관(32)의 벽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거쳐 도관(32)에 만들어진 혼합기 통로(44)에 분출한다. 또 도관(32)은 분사밸브(22)와 밀착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분사밸브(22)의 토출공(30)이 도관(32)의 혼합기 통로(44)에 개구되어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도관(32)의 혼합기 통로(44)로 들어오는 공기는 방드시 도관(32)의 벽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거쳐야 한다. 그 이유는 도관(32)의 벽의 내부의 통로를 거치지 않고 공기를 공급하면 벽의 내부의 통로를 지나는 공기가 격감하기 때문이다.
다음에 이 도관(32)의 작용을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지금 케이블(28)에서 연료를 분사하도록 신호가 분사밸브(22)에 부여되면 분하밸브(22)는 토출공(30)으로 부터 연료(F)를 분사한다. 연료(F)는 그후 토출공(30) 부근에서 방사형태로 확대하여 도관(32)의 혼합기 통로(44)의 벽면에 충돌하여 그곳에 부착한다. 이 연료의 벽면부착도 중요한 요소임이 나중에 이해된다. 다음에 혼합기 통로(44)의 벽면에 부착된 연료는 벽면을 따라 흘러 혼합기 통로(44)를 흐른다. 그리고 그 도중에서 공기실(42)로 부터의 공기가 도관(32)의 벽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자나 혼합기 통로(44)내로 토출하므로 혼합기 통로(44)의 벽면을 흐르고 있던 연료는 일거에 미세화 되어 입경이 작은 연료입(粒)(B)이 되어 혼합기 통로(44)를 흘러 기관에 보내진다.
이와 같이 분사밸브(22)에서 토출된 연료를 제어함으로써 기관의 회전 특히, 아이들 회전을 안정화하여 원활한 아이들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이유는 다음에 설명한다.
발명의 배경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 운전시에는 흡기밸브의 열려지는 시간에 대하여 분사밸브의 밸브가 열려지는 시간은 대단히 짧다. 따라서 분사밸브에서의 모든 연료가 단시간에 기관에 공급된 후에는 상당히 오랫동안 공기만이 공급되므로 모든 공기와 연료가 평균적으로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분사밸브(22)에서 토출된 연료의 대부분을 다공질 도관(32)의 혼합기 통로(44)의 벽면에 부착시킴으로서 즉, 다공질 재료의 연료의 부착 특성을 이용하여 모든 연료가 단시간에 기과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혼합기 통로(44)의 벽면에의 연료부착에 의해 발생하는 부작용(副作用) 즉, 연료입의 조대화(粗大化)를 다공질 도관(32)의 벽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에서 공기를 혼합기 통로(44)내로 분출하는 것으로서 방지했으므로 모든 연료의 평균적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한 사실을 제4도에 의하여 다시 설명한다.
제4도는 아이들 운전시의 흡기밸브와 분사밸브의 밸브가 열려지는 시간 및 연료의 공급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흡기 밸브가 열려지는 시간, (b)는 분사밸브가 열려지는시간, (c)는 종래의 분사밸브에 의한 연료 공급시간, (d)는 본 발명장치에 의한 연료 공급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지금,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밸브가 열리면 분사밸브에는 연료를 분사하는 신호가 부여되며,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분사밸브가 열려져 연료를 토출한다. 이때 종래의 분사밸브는,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시간에 모든 연료가 기관에 공급된다. 따라서 분사밸브가 연료의 토출을 정지하면 그후에는 흡기밸브가 닫힐때까지 공기만이 공급되므로 모든 흡입공기와 연료가 평균적으로 혼합하지는 않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분사밸브는, (a)로 나타낸 “L”시간 사이에 흡입되는 공기만을 혼합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 장치에서는 (d)로 나타낸 바와같이 모든 연료르 단시간에 기관에공급 시키지 않고 흡기밸브가 열려져 있는 기간에 결쳐 연료를 공급하도록하고 있으므로 모든 흡입공기와 연료가 평균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장치에서는, (a)로 나타낸 “M”시간 사이에 흡입되는 공기와 혼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들 운전시에기관에 공급되는 연료와공기를 평균적으로 혼합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아이들 회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장치에 의하면 다공질 도관에 형성된 혼합기 통로의 벽면에 연료를 흘리는 한편 이 벽면을 흐르는 연료를 다공질의 특징인 공기의 흐름으로 미세화 하므로 연료임을 대단히 작게할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하면 종래 300μ이었던 연료의 입경이 5∼20μ로 개량되었다. 이로써 운전의 특성, 배기가스의 특성, 연료의 경제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연료 제어장치를 다점 분사방식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제5도는 4기통 기관의 경우를 나타내며 참조번호(46A),(46B),(46C)는 각각의 기통에 연통하는 흡기매니포울드이다. 흡기 매니포울드(46A)는 제1기통에 연통하고 흡기 매니포울드(46B)는 제2기통에 연통되며 흡기 매니포울드(46C)는 제3기통에 연통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4기통의 흡기 매니포울드는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매니포울드(46A),(46B),(46C)에는 연료 분사밸브(22A),(22B),(22C)가 취부되어 있으며 그 선단 부분에는 다공질 도관(32A),(32B),(32C)이 배치되어 있다. 다공질 도관(32A),(32B),(32C)은 0링(40A),(40B),(40C)과 협동하여 공기실(42A),(42B),( 42C)을 형성하고 있으며 공기실(42A),(42B),(42C)에는 공기통로(34A),(34B),( 34C)에서 공기가 도입된다. 이들의 구조는 제2도에서 설명한 것과 거의 마찬가지 이다.
이상에 있어서, 각각의 분사밸브(22A),(22B),(22C)에 연료를 분사하도록 신호가 순차적으로 부여되면 분사밸브(22A),(22B),(22C)는 연료를 순차적으로 토출하도록 작동한다. 연료가 토출되면 연료는 방사형태로 퍼저 도관(32A),(32B),(32C)의 혼합기 통로(44A),(44B),(44C)의 벽면에 충돌하여 부착한다. 이후의 연료 자체의 거동은 제3도에서 설명한 바와같다.
이와 같이 다점 분사방식의 경우도 아이들 운전시에 모든 흡입공기와 연료를 평균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한편 연료의 입경을 대단히 작게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 장치의 개량된 실시예를 제6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도관(32)의 선단 부분에는 히이터(48)가 밀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히이터(48)는 정은도 특성계수를 가진PCT 세라믹 히이터로서 취부공(36)에 감합하여 내부에 혼합기 통로(50)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혼합기 통로(44)를 흐르는 연료와 공기는 히이터(48)의 혼합기 통로(50)를 거쳐 기관에 공급되는 셈이다. 이 히이터( 48)의 역할을 하기와 같다. 지금, 분사밸브(22)의 토출공(30)에서 연료가 분사되면 연료는 도관(32)의 혼합기 통로(44)의 벽면에 부착하여 벽면을 따라 흐른다. 이 도중에 공기실(42)에서 공기가 혼합기 통로(44)내로 분출하여 혼합기 통로(44)의 벽면을 흐르고 있는 연료를 미세화 한다. 이 미세한 연료는 다시 흘러 히이터(48)의 혼합기 통로(50)에 다다르지만, 여기서 히이터(48)의 열에 의해 급속하게 연료의 입(粒)은 팽창하여 파열(破裂)하므로 더욱 미세화 된다. 그리고 팽창하여 파열하지 않은 연료의 입은 혼합기 통로(50)를 거쳐 흡기통로에 분출했을 때의 급격한 압력 강하에 의해 파열하여 더욱 미세화 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연료 제어장치를 연료 분사장치에 장착하는 경우에 흡기계의 바람직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료 제어장치는 다공질 도관을 사용하여 연료를 미세화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단점 분사 방식의 경우 드로틀 밸브바로 아래에 도관을 개구하고 있으므로 드로틀밸브에 의한 흡기류(吸氣流)의 혼란에 의해 모처럼 미세화된 연료가 다시 조대화하는 현상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도관에 의해 미세화한 연료의 흡기류에 잘 실어줄 필요가 있다. 제7도는 도관에서 미세화된 연료를 흡기류에 잘 실어주는 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관(32)의 상류에 배치되는 드로틀밸브(18A)는 단면형상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드로틀밸브(18A)의 단면을 유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드로틀 밸브(18A)의 표면을 통과하는 공기는 박리를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도관(32)을 나온 연료의 입(粒)은 조대화 하지 않고 흡기류에 실려져 연소실에 공급되는 것이다.
다음에 흡기관의 바람직한 형상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흡기관에는 각 기통에 분기하는 분기점과 드로틀 보디와의 사이에 관성관급(慣性관級) 효과를 가진 팽대부(膨大部)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 팽대분가 존재하면 공기의 유량이 적은 운전 영역에서는 공기의 유량이 적은 운전 영역에서는 공기의 유속이 작아져 공기와 함께 날아가려고 하는 연료의 입도 이 유속 저하의 영향을 받아 부분적으로 혼합기농도 가분산된다든가 또는 팽대부의 벽면에 연료가 다시 부착한다는 현상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 현상을 제거 하기 위해서느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것이 유효하다. 제8도에 있어서 팽대부(52)의 일단은 드로틀보디(10)에 연통되어 있고 그 타단은 매니포울드(54)에 의해 각각의 기통에 연통되어 있다. 팽대부(52)는 분리판(56)에 의해 1차실(58)과 2차실(60)로 분활되어 있다. 그리고 분리판(56)은 드로틀보디 (10)에 설치된 1차측 통로(14) 및 2차측 통로(16)를 격리하는 격벽(62)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1차측 드로틀밸브(18)가 작동하고 있을 때 공기는 팽대부(52)의 1차실 (58)만을 통해 흐르므로 공기의 유속은 비교적 커져 혼합기 농도의 분산, 팽대부의 벽면에의 연료를 재부착시키는 현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2차측 드로틀밸브 (20)가 작동한 경우에는 팽대부(52)의 1차실(58)과, 2차실(60)을 통해 공기가 흐르므로 관성 과급 효과는 아무런 손상이 없는 것이다.
다음에 기관이 저회전으로 회전하는 한편 드로틀밸브가 모두 열려있을 때의 연료의 미세화 수단에 관하여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기관의 회전수가 낮은 한편 드로틀밸브가 모두가 열려있게 한 운전상태에서는 드로틀밸브의 하류의 부압은 그다지 크지 않으며 분사밸브에서 연료가 분사되어도 드로틀밸브 하류의 부압이 작으므로 도관애에 들어오는 공기가 적고 충분히 연료가 미세화 되지 않는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없애주기 위해서느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이 유효하다.
제9도에 있어서 드로틀보디(10)의 흡기통로(12)는 에이크리너(64)와 연통되어 있다. 에어크리너(64)의 도중에는 리이드밸브(6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리이드밸브(66)는 공기통로(68)를 거쳐 드로틀보디(10)내의 혼합실(70)과 연통되어 있다. 혼합실(70)은 1차측 드로틀밸브(18) 하류에 1차측 통로(14)와 다공질 도관(3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 리이드밸브(66)는 스톱퍼(72), 밸브몸체(74) 및 밸브통로(76)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밸브몸체(74)는 밸브통로(76)를 상폐(常閉)하도록 부세(付勢)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기관의 회전수가 낮은 한편 드로틀밸브가 모두 열려있는 운전 상태에서는 에어크리너(64)하류부의 압력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관의 회전간에 따라 “정압(定壓)” 및 “부압(負壓)”의 맥동을 발생한다. 따라서 이 “정압”부분을 이용하여 공기를 혼합실(70)에 압입(押입)하여 주면 연료의 미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금, 기관의 회전수가 낮은 한편 드로틀밸브(18)가 모두 열려 있는 상태하에서는 리이드밸브(66) 부근의 압력은 제10도와 같이 맥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력이 “정압”인 때에만 밸브몸체(74)는 열려져 공기가 공기통로(68)를 거쳐 혼합실 (7 0)에 보내져 들어간다. 이 공기는 도관(32)을 거쳐 흘러들어온 연료를 미세화 하여 기관 연소실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압력이 “부압”이 되면 밸브몸체(74)는 자체적인 복귀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밸브통로(76)를 닫아 공기통로(68)에의 공기의 공급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드로틀밸브(18)가 모두 열려져 있음에 관계없이 기관의 회전수가 낮은 때라고 강제적으로 공기혼합실(70)에 보내지게 했으므로 이 상태하에서의 연료의 미세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9도에 있어서 공기톨로(68)와 공기실(42)을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연통함으로써 리이드밸브(66)에서의 공기를 공기실(42)에 급송하돌고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 제어장치를 연료 분사장치의 흡기 계통에 장착하는데 바람직한 개개의 형태를 나타냈으나 이들을 조합하여 구성하면 좋은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 제어장치는 양단이 개구된 중공형(中空형)의 다공질 도관의 일방의 개구단을 연료 분사밸브의 토출용 근방에 배치하여 토출되는 연료의 대부분의 도관내에 부착하도록 하는 한편 도관의 외주부에서 공기를 도관내에 공급하므로써 도관내에 부착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기관에 공급하도록 했으므로 아이들 운정의 흡기로 행정중에 기관에 흡입되는 모든 흡입공기와 연료를 평쥰적으로 혼합할 수 있으므로 안정된 기관의 회전을 얻을 수 있다.
또 다공질 도관의 내부통로에 연료를 부착하여 벽면류(流)로 하여 이 벽면류를 도관의 외주부에서만 공기를 도관의 내부통로에 미세한 공기 흐름으로 분출함으로써 연룔르 미세화하므로 기존의 분무기등에 비해 연료입(粒)을 대단히 작게할 수 있으며 배기가스의 특성, 운전의 특성, 연료의 경제성 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Claims (1)

  1. 내연기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통로와, 상기 흡기통로의 도중에 배치되어 상기한 흡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와, 상기의 흡기통로를 흐르는 공기량에 대응한 연료량을 흡기통로내에 간헐적으로 분사하는 연료 분사밸브등을 구비한 연료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연료 분사밸브는 연료가 방사형태로 퍼지는 토출공을 가지며, 이 토출공과 상기한 흡기통로 사이를 양단이 개구된 통로를 가진 다공질 도관으로 연통하여 다공질 도관의 외주부에서 다공질 도관의 통로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통로를 다공질 도관의 외주부에 개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장치를 위한 연료제어 장치.
KR1019790004026A 1979-11-16 1979-11-16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 KR83000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026A KR830000215B1 (ko) 1979-11-16 1979-11-16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4026A KR830000215B1 (ko) 1979-11-16 1979-11-16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15B1 true KR830000215B1 (ko) 1983-02-23

Family

ID=1921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4026A KR830000215B1 (ko) 1979-11-16 1979-11-16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5341A (en) Fuel control device for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409169A (en) Air-assist fuel injection system
JP2659789B2 (ja) 燃料噴射弁
US4271795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ual induction system and with fuel injection system to discharge fuel into secondary induction system
US5148788A (en) Air-assist fuel injection system
US6095437A (en) Air-assisted type fuel injector for engines
FR2465093A1 (fr) Soupape d'injection de carburant avec preparation dans la tubulure d'aspiration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u carburant a injecter
US4235210A (en) Fuel supply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694898A (en) Injector with fuel-dispersing skirt
US20030070659A1 (en) Intake pipe type engine
KR830000215B1 (ko) 연료 분사장치를 위한 연료 제어장치
US4674460A (en) Fuel injection system
JPS5877162A (ja) 電子制御燃料噴射内燃機関の気流噴射弁
KR100189458B1 (ko) 차량 고속시 에어 공급 시스템
JPS58107813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00230862B1 (ko) 엔진의 연료 분사장치
SU1537866A2 (ru) Карбюратор дл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JPH07167007A (ja) 燃料噴射弁
JPH0510224A (ja) 燃料噴射弁装置付き内燃機関
JPS58152168A (ja) 多気筒内燃機関の混合気供給装置
JP2003035210A (ja) 気化器
JPH07158522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JPH0544609A (ja) エアアシスト型燃料噴射装置
JPH01285657A (ja) 燃料噴射装置
JPH0544607A (ja) エアアシスト型燃料噴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