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170Y1 - 스테이터 요크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요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0170Y1 KR830000170Y1 KR2019820009703U KR820009703U KR830000170Y1 KR 830000170 Y1 KR830000170 Y1 KR 830000170Y1 KR 2019820009703 U KR2019820009703 U KR 2019820009703U KR 820009703 U KR820009703 U KR 820009703U KR 830000170 Y1 KR830000170 Y1 KR 8300001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or yoke
- thickness
- magnetic flux
- insulating layer
- sta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2—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stators axially facing the rotor, i.e. with axial or conical air g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편평형 무브러시(brushless) 모터의 개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일부 확대도.
제3도는 자속누설 계수에 대한 회전자마그네트와 스테이터요크 사이의 갭(gap) 거리 관계를 도시한 곡선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각기 다른 부분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테이터 요크의 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무 브러시모터 등에 적당한 새로운 스테이터 요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편편형 무 브러시모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 요크(1) 상에 구동 권선(2)가 설치되어 있어 회전자 마그네트(3) 및 (3')가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회전자 마그네트(3)에서 생긴 자속은 한번 스테이더 요크(1)로 유도되고 다시 대향극의 회전자 마그네트(3')로 유도된다. 따라서, 회전자 마그네트와 스테이터 요크 사이의 갭 거리 ℓ이 작으면 작을수록 자속로(磁束路)의 자기 저항은 작게되고 구동권선이 배치되어 있는 갭에서의 자속밀도가 높아지며 마그네트의 이용효율이 높아진다.
갭거리 =ℓ1+ℓ2+ℓ3으로, ℓ1은 구동권선과 회전자 마그네트가 회전중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크리어런스(clearance : 간극)이며, ℓ2는 소망 권선회수의 구동 권선 두께치수이고, ℓ3은 스테이터 요크(통상적으로 철판, 규소강판등의 고투자율 재료로 이루어진)에 대하여 구동권선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재료의 두께치수로 결정된다. 그런데, 이 절연재료의 두께는 안전 규격등의 면에서 보아도 0.1mm 정도이면 양호하지만, 종래는 예를들면, 제2도에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재료로 성형된 권선보빈(4)에 플랜지(5)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5)를 절연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절연층의 두께 ℓ3은 보빈의 성형성등을 고려하면 통상 0.5mm가 되고, 엷게 하였다고 하여도 0.3mm정도이었다. 갭의 거리 ℓ과 자속누설 계수 L사이의 관계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되고, 갭이 커지면 급격한게 자속의 누설이 커져서 코일에 작용하는 자속이 감소한다. 종래와 같은 절연층의 두께이면 누설계수 L1과 같이 상당히 커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결점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절연기재를 접착재에 의하여 모터의 자로제(磁路材)에 접착하여 스테이터요크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6)은 포리에스텔시트 등의 두께를 확대하기 위한 절연 기재로서, 이 기재의 하면에는 포리아미드등의 접착재(7)를 도포하여 규소강판등의 자로재(8)에 접착시키므로서 스테이터 요크를 형성시킨다. 혹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크로스형절연기재(9)에 에폭시계의 접착재(10)를 함침시켜 자로재(8)에 접착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절연층을 만들면 접착재의 도포시에 얼룩이 생기는 등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고 0.1mm 정도의 안정한 두께의 박막 절연층을 간단하게 얼을 수가 있다. 따라서, 회전자 마그네트와 스테이터 요크 사이의 갭을 감소시켜서 자속누설계수를 L2와 같이 종래에 비해상당히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절연층(12)위에 동박(銅箔)등을 동시에 접착하여 두면 단지 에칭공정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구동권선 또는 회전자 위치 검출소자에 대한 배선패턴(11)을 스테이터 요크위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더우기, 자로재인 규소강판을 분할하여 복수매를 접착적층하여 형성하면 와전류손도 적어지고 기계적인 노이즈 발생도 제거되는 등 극히 유효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자 마그네트와 스테이터 요크 사이의 갭을 감소시켜서 마그네트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가 있고 또, 그 제조단가도 저렴해지며 전체적인 구조를 소형으로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Claims (1)
- 전기 장치용 스테이터 요크에 있어서, 두께를 확보하기 위한 절연기재(6)와 접착재(7)로 이루어진 절연층이 두장의 강판을 접착적층하여 이루어진 자로재(8)에 접착되게 하고, 상기 절연층에 배선용프린트 패턴을 형성시킨 스테이터 요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20009703U KR830000170Y1 (ko) | 1978-10-04 | 1982-12-03 | 스테이터 요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003026 | 1978-10-04 | ||
KR2019820009703U KR830000170Y1 (ko) | 1978-10-04 | 1982-12-03 | 스테이터 요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780003026 Division | 1978-10-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0170Y1 true KR830000170Y1 (ko) | 1983-02-10 |
Family
ID=2662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20009703U KR830000170Y1 (ko) | 1978-10-04 | 1982-12-03 | 스테이터 요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0170Y1 (ko) |
-
1982
- 1982-12-03 KR KR2019820009703U patent/KR830000170Y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4540B1 (ko) | 정류화 dc 모우터 | |
JPH1189130A (ja) | モータ構造 | |
KR830000170Y1 (ko) | 스테이터 요크 | |
JPS6112462B2 (ko) | ||
JPH01315244A (ja) | アキシャルフラックス型ブラシレスモータ | |
JP2002136091A (ja) |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 | |
US6603635B1 (en) | Motor structure for use with optical disks | |
JPH028541Y2 (ko) | ||
JPS6028759A (ja) | ブラシレスモ−タ | |
JPH0130856Y2 (ko) | ||
JPH07108084B2 (ja) | 外転型ブラシレスdcモータ | |
JP3214913B2 (ja) | ラジアル型アウターロータ方式ブラシレスモータ | |
JPS61196750A (ja) | ブラシレスモ−タ | |
JPS6176055A (ja) | ブラシレスモ−タの回転子 | |
KR870003597A (ko) | 편평형 무브러쉬 모우터 | |
JPH09224338A (ja) | モータ | |
JPS62236351A (ja) | 偏平形ブラシレスモ−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JPS6130927A (ja) | 小型直流モ−タ | |
JPH0548291Y2 (ko) | ||
JP2001309591A (ja) | ギャップワインディングモータ | |
JPH0130857Y2 (ko) | ||
CA1121435A (en) | Stator yoke for electrical apparatus | |
JPS62236350A (ja) | 偏平形ブラシレスモ−タの製造方法 | |
JPH0638440A (ja) | モータ | |
JP2001275329A (ja) | ブラシレスモー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