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371Y1 - 안전벨트 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371Y1
KR820002371Y1 KR7903824U KR790003824U KR820002371Y1 KR 820002371 Y1 KR820002371 Y1 KR 820002371Y1 KR 7903824 U KR7903824 U KR 7903824U KR 790003824 U KR790003824 U KR 790003824U KR 820002371 Y1 KR820002371 Y1 KR 820002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ulum
inertial sensing
seat belt
sensing membe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3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마기시마
Original Assignee
반쇼오야 준이찌
에누 에스케이 워어너어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쇼오야 준이찌, 에누 에스케이 워어너어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반쇼오야 준이찌
Priority to KR7903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371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벨트 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 진자(振子)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를, 1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제2도는 제1 실시예에서 진지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제1도와 같은 도면.
제3도는 제2 실시예에서 진자가 정상(正常) 상태인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를, 1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개략적 정면도.
제4도는 제2 실시예의 개략적 좌측면도.
제5도는 제2 실시예의 관성 감지장치부분을 절결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제6도는 제2 실시예의 진자가 기울어진 상태인 제3도와 같은 도면.
승용(乘用) 물체의 소정속도의 변화 또는 경사를 감지하여 탑승원(搭乘員)을 구속하기 위해 정상상태의 제1 위치와 승용물체의 소정속도의 변화 또는 경사진때의 제2 위치를 잡을 수 있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연속적으로 변위하는 관성감지(慣性感知) 부재와 이 관성감지 부재가 제2 위치에 이른때에 벨트의 인출을 저지하는 고정수단을 비치한 안전벨트 권취장치는 관성감지부재가 제1 위치에서 소정량 만큼 변위한때에 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제2 위치에 도달되게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승용물체의 소정속도의 변화 또는 경사를 감지하여 탑승원을 구속하기 위해 안정상태의 제1 위치와 승용물체의 전기한 소정속도의 변화 또는 경사진 때의 제2 위치를 설정하고 전기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관성감지 부재를 비치한 안전벨트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충돌등에 의한 승용물체의 급격한 속도의 변화 또는 언덕길등의 승용물체의 경사를 직접으로 감지하여 탐승원을 구속하기 위해 안전벨트 권취장치에서의 벨트인출을 저지하는 고정기구에서 승용물체의 속도 변화 또는 경사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관성감지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이와 같은 관성감지부재로서는 진자의 진동을 이용하는 진자형인것과 보울체의 변위를 사용하는 보올형인것 또는 관성체를 직립시켜 놓고 그것을 넘어뜨리는 직립형인것등 주지하는 바이다. 그런데, 직립형의 관성감지부재의 경우 넘어질때의 임계치(臨界値)가 분명하고, 또 넘어지는 작용에 의한 작동력이 크다는 이점이 있으나, 진자형 또는 보올형의 경우에는 전자의 진동작용(즉, 변위) 또는 보울의 변위는 연속적이어서 작동의 임계치를 결정하기 어려움과 동시에, 변위량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작동력이 적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진자형 또는 보울형과 같이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관성감지부재의 상기한 결점을 시정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승용물체의 소정한 속도의 변화 또는 경사를 감지하여 탑승원을 구속하기 위해서 정상상태의 제1 위치와 승용물체의 전기한 소정 속도의 변화 또는 경사질때의 제2 위치를 설정하고 전기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에 연속적으로 변위하는 관성감지부재를 비치한 안전벨트 권취장치에서 전기한 관성감지부재가 전기한 제1 위치에서 소정량만큼 변위한때에 자석의 흡인력에 의하여 전기한 제2 위치에 도달되게 구성되여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상태에 관해서는 이하에 본 고안의 적의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1)에는 벨트(2)의 권취축(3)이 주지하는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하게 권취방향으로 작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권취축(3)에는 고정용 주치차(4)와 보조치차(5)가 고설되어 있다. 권취축(3)의 하방 베이스(1)에는 관성감지장치(7)가 착설되어 있다.
관성감지장치(7)는 베이스(1)에 고설된 플라스틱등 비자성체(非磁性體)의 케이스(8)를 가지고 이 케이스(8)의 상면(8a)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8b)을 관통하여 관성감지부재인 진자(10)가 요동이 가능하게 드리워져 있다. 진자(10)는 수직중심 축선에 대칭인 형상으로 상방에 돌출하는 봉(10a)이 케이스 상면(8a)의 중앙구멍(8b)을 관통하여 이 케이스상(8a)의 상측에 플랜지 형상인 접시형부재(11)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진자(10)는 승용물체의 속도변화에 대응하여 제1도의 안정위치에서 베이스(1)에 대하여 경동(傾動)한다. 케이스(8)의 상방에는 레버(12)가 축(13)을 지점으로 베이스(1)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12)의 거의 중앙부 하측에는 하향돌기(下向突起)(1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하향돌기(12a)가 진자(10)의 접시형부재(11) 위에 재치되어 있다.
레버(12)의 선단부(12)의 약간 상방에는 래칫레버(14)가 핀(15)에 의하여 베이스(1)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래칫레버(14)는 그 하면이 전기한 레버(12)의 선단부위에 재치되어 있으므로 진자(10)의 진동에 따라 움직이는 접시형 부재(11)의 경동에 의하여 레버(12)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래칫레버(14)는 핀(15)을 지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때에 래칫레버(14)에 형성된 래칫포올(14a)은 전술한 권취축쪽의 보조치차(5)와의 치합위치에 도달한다.
래칫레버(14′)의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열리는 큰구멍(14b)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구멍(14b)을 베이스(3)에 축방향으로 설치된 주포올부재(17)가 관통한다.
주포올부재(17)는 권취축(3) 쪽의 주치차(4)와의 치합위치와 비치합위치를 이룰수있게 베이스(1)에 형성된 부재형 구멍(18) 안에 재치되어 있어서 보통으로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또는 자중에 의하여 제1도에 나타내는 비치합 위치에 놓인다.
이상 기술한 구조만의 경우, 진자(10)는 승용물체의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서서히 경동 변위하고, 그외의 변위량이 크게됨에 따라서 레버(12)를 들어올려 회동시키는 것은 감소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본 실시예에서 비자성체의 진자(10)의 저부에는 영구자석 원판(20)이 고설되어 있고, 일방으로는 케이스(8)의 저부에는 철성(鐵性) 링(21)이 수직상태인 때의 진자(10)의 중심축선을 중심선으로 크게 고설되어 있다.
영구자석(20)의 자력의 강도는 승용물체가 충돌 급브레이크등에 의하여 소정한 속도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과성체인 진자(10)가 소정량만큼 변위한때에 자력에 의하여 진자(10)를 변위시켜서 레버(12)를 개재하여 래칫포올(14a)를 보조치차(5)와의 치합위치에 도달하는데 충분하다.
즉, 자석(20)은 진자(10)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진자에 영구자석을 착설하는 대신 자성체를 착설하여 철성링을 자석으로서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나위 없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진자형의 관성감지 부재에 관하여 예시하였으나, 보울형의 관성감지 부재라도 무방하다.
제3도 내지 제6도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 내지 제6도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만을 도면에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제1 실시예와 서로 다른 구조부분에 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진자(100)는 자성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일방적으로 케이스(108)의 저부에는 원통상의 영구자석(121)이 수직상태인 때의 진자(100)의 중심축선을 중심선으로 할 수 있게 고설되어 있다.
영구자석(121)의 자력의 강도 및 진자(100)의 형상은 승용물체가 충돌 또는 급부레이크등에 의하여 소정속도가 변화하는 것으로서 관성체인 진자(100)가 소정량만큼 변위한때에 자력에 의하여 진자(100)를 다시 변위시켜서 레버(12)를 개재하여 래칫포올(14a)를 보조치차(5)와의 치합위치에 도달하는데 충분하다. 즉, 영구자석(121)은 진자(100)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진자전체를 자성체로 하는 대신에 진자의 저부에 링형상등 적절한 형상인 자성체를 착설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진자의 관성감지부재에 관하여 예시하였으나, 보울형의 관성감지부재라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자석의 사용에 의하여 종래의 진자형 또는 보울형의 관성 감지부재의 결점을 없게하고, 소망하는 소정속도의 변화값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음과동시에 보다 큰 작동력의 관성 감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승용물체의 소정속도의 변화 또는 경도를 감지하여 탑승원을 구속하기 위해 제1 위치와 승용물체의 상기한 소정속도의 변화 또는 경도할때의 제2 위치를 설정하여서 상기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에 연속적으로 변위하는 관성 감지부재(7)를 구비한 안전벨트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관성 감지부재(7)는 상기한 제1 위치로 부터 소정량만큼 변위한 때에는 자석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한 제2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KR7903824U 1979-07-02 1979-07-02 안전벨트 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KR820002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824U KR820002371Y1 (ko) 1979-07-02 1979-07-02 안전벨트 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3824U KR820002371Y1 (ko) 1979-07-02 1979-07-02 안전벨트 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371Y1 true KR820002371Y1 (ko) 1982-11-13

Family

ID=1921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824U KR820002371Y1 (ko) 1979-07-02 1979-07-02 안전벨트 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3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3512A (en) Independent redundant clutchless retractor
CA1087706A (en) Locking sensor for seat belt retractor
US4164337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pivoted locking mechanism
KR960010406A (ko) 관성에 민감한 시이트 벨트 띠 신축 기구
JPH01307671A (ja) 加速度感応装置
JP2003517962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CA2196504C (en) Acceleration sensor for a vehicle for detecting an accelera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KR820002371Y1 (ko) 안전벨트 장치용 관성 감지장치
JPS5847185B2 (ja) カンセイセイギヨソウチ
US4238087A (en) Safety seat belt retractor
SE7607640L (sv) Sperranordning
US5149926A (en) Acceleration sensor
JP2009274613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3921931A (en) Vehicle sensitive retractor with gap in ball sensing unit
US4046332A (en) Support for safety belt retractor inertia mechanism
US3926384A (en) Locking mechanism for automobile safety belt retractor
US3733448A (en) Inertia type switch with adjustable selective seating surface for movable contact
JP5019066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10137630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US5145123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vehicle sensitive locking mechanism
JPS5822759Y2 (ja) 安全ベルト装置用慣性感知装置
JPH01266041A (ja) 加速度センサ
US4244537A (en) Adjustable sensor responsive to vehicle acceleration
JPS6478950A (en) Winder for safety belt
SU652879A3 (ru) Аварийно-запирающеес вт г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мн безопасно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