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265Y1 - 무접점 스위치 회로 - Google Patents

무접점 스위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265Y1
KR820002265Y1 KR2019810003065U KR810003065U KR820002265Y1 KR 820002265 Y1 KR820002265 Y1 KR 820002265Y1 KR 2019810003065 U KR2019810003065 U KR 2019810003065U KR 810003065 U KR810003065 U KR 810003065U KR 820002265 Y1 KR820002265 Y1 KR 820002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turned
switch
relay
tou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3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10003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2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2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72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N junctions; having more than three electrodes; having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 H03K17/725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N junctions; having more than three electrodes; having more than on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ame conductivity region for ac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Landscapes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접점 스위치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본 고안은 무접점 스위치 회로에 관한 것으로, 교류 전원에 릴레이를 연결하고 터치 스위치에 의하여 무접점으로 릴레이를 온, 오프 시키므로서 교류 전원을 온, 오프 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접점 스위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스위치의 접촉단자와 스위치에 직접적인 힘이 가해지므로 접촉단자들은 쉽게 마모되게 되고, 수동 조작에 따른 힘이 균일하게 스위치 단자에 미치지 못함으로 인해서 접촉불량 들이 자주 발생하고, 스위치의 유동으로 인한 틈이 생겨 스위치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함으로 접촉단자는 얼마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갱년변화를 일으켜 스위치의 사용 수명이 짧은 결점이 있었다.
또한 신호 변환 기능에 쓰이는 무접접 스위치가 있었으나, 용도가 상이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수동으로 조작하는 스위치를 무접점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충전지와 트랜지스터, 터치 스위치등으로 릴레이 제어부를 구성 시키고, 릴레이 구동용 코일이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무접점인 터치 스위치로 온, 오프하여 릴레이를 무접점으로 온, 오프 시키므로서 부하에 교류 전원을 온, 오프 하도록 하여 수동 조작에 따르는 접촉 불량등으로 인한 갱년변화를 제거하고 스위치의 수명이 길게 되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과 부하가 연결된 통상의 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와 브릿지 정유회로(2)의 접속점(B)에 다이오드(D)와 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충전지를 접속하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2)을 통하여 터치 스위치(SW1)를 연결 시키고, 상기 접속점(B)에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연결된 터치스위치(SW2)를 접속시킴과 동시에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Q3)의 접속점(A)를 연결시키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C)와 상기(B)점 사이에 릴레이 구동용 코일(L)을 연결하여 릴레이 제어부(1)를 구성하고, 부하(5)와 병렬로 접속된 트랜스(3)의 2차측을 브릿지 정류회로 (2)를 통하여 상기(B)점에 연결 시키며 전원에 릴레이(4)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에 릴레이(4)가 오프 되어 있으므로 부하(5)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스위치(SW1)를 온(ON)하면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에 연결된 충전지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2)가 도통 (ON)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에서 콜렉터(B)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때 터치 스위치(SW2)가 오프(OFF)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 (Q3)가 오프되어 있어,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전류가 공급된다.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2)가 도통 (ON)되어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B)에서 릴레이 구동용 코일(L)을 거쳐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C)에서 에미터로 전류가 흐르므로 릴레이(4)가 온(ON)된다.
즉, 터치 스위치(SW1)가 온되면 트랜지스터(Q1)가 도통 되어 트랜지스터(Q2)를 도통 시키므로서 릴레이(4)를 온시키어 부하(5)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트랜스(3)에 전압이 유기되어 브릿지 정류회로(2)를 것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A)와 콜렉터(C)에 전류가 공급되므로 터치 스위치(SW1)를 잠시 온 하였다가 오프 하여도 릴레이(4)는 계속 “온”되므로 부하(5)에는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브릿지 정유회로(2)를 거친 전류가 다이오드(D)와 저항(R3)을 통하여 충전지에 공급 되므로 충전지는 항상 충전 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터치 스위치(SW2)를 온 하면 브릿지 정류회로(2)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저항(R4)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트랜지스터(Q3)를 도통 시키게 된다.
따라서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흐르던 전류가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A)에서 에미터로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키어 릴레이 구동용 코일(L)에 흐르던 전류를 차단 하여 릴레이(4)를 오프시킨다.
즉, 정상 동작중에 터치 스위치(SW2)를 온하면 트랜지스터(Q3)가 도통 되어 트랜지스터(Q2)를 오프시키므로서 릴레이를 오프하여 부하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본 고안은 무접점인 터치 스위치 (SW1,SW2)만 온, 오프 시키어 전원을 온, 오프 하므로서 터치 스위치를 온, 오프 하는데에 따르는 무리가 전연 없으며, 또한 터치 스위치는 순간적인 시간에 접속되었다가 오프 되므로 스위치의 접촉 불량등으로 인한 갱년 변화가 없어 고장을 배제하고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정류회로(2)와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를 연결 시키고 그 접속점(B)에 저항(R4) 및 터치 스위치(SW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를 연결 시키고, 접속점(B)에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 (Q2),(Q3)의 접속점(A)을 연결 시키고, 접속점(B)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C)사이에 릴레이 구동용 코일(L)을 연결시키고,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2), 터치 스위치(SW1)를 연결시키고, 접속점(B)에 다이오드(D), 저항(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와 충전지를 연결하여 구성된 릴레이 제어부(1)를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스위치회로.
KR2019810003065U 1981-04-29 1981-04-29 무접점 스위치 회로 KR820002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065U KR820002265Y1 (ko) 1981-04-29 1981-04-29 무접점 스위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065U KR820002265Y1 (ko) 1981-04-29 1981-04-29 무접점 스위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265Y1 true KR820002265Y1 (ko) 1982-10-15

Family

ID=1922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3065U KR820002265Y1 (ko) 1981-04-29 1981-04-29 무접점 스위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2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447276A (en) Electric source circuit
KR820002265Y1 (ko) 무접점 스위치 회로
US4401894A (en) Automatic uninterrupted D.C. power source switch
JPH07261860A (ja) 電源回路
KR800002151Y1 (ko) 타임 스위치
JPH0445361Y2 (ko)
JP2696168B2 (ja) 交流2線式無接点スイッチ
KR920002335Y1 (ko) 교류전원제어회로
JPS5776618A (en) Switching regulator
KR850002668Y1 (ko) 원격제어기기의 단일전원스위치 제어회로
KR850000211Y1 (ko) 원격 제어 기기의 단일 전원스위치 회로
KR830002247Y1 (ko) 무접 점식 전자 릴레이회로
KR890006035Y1 (ko) 원격제어기기의 전원제어 일원화 회로
KR900006483Y1 (ko) 전원스위칭 회로
JPH0631693Y2 (ja) 直流電磁石コイルの定電圧駆動回路
KR870000453Y1 (ko) 입력전원자동 절환장치
KR920002336Y1 (ko) 교류전원제어장치
KR890002552Y1 (ko) 배터리의 충전 제어회로
KR840001692Y1 (ko) 무접점 전원 스위치 회로
JPS6129042Y2 (ko)
KR200148401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전원공급장치
KR880001539Y1 (ko) 접지터치(Touch)를 이용한 소프트 스위칭회로
JPS55105840A (en) Interface circuit
KR850002760Y1 (ko) 초음파 가습기의 전원 제어장치
KR900003087Y1 (ko) 오프 타이머 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