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263B1 -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263B1
KR820002263B1 KR7901691A KR790001691A KR820002263B1 KR 820002263 B1 KR820002263 B1 KR 820002263B1 KR 7901691 A KR7901691 A KR 7901691A KR 790001691 A KR790001691 A KR 790001691A KR 820002263 B1 KR820002263 B1 KR 820002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transistor
capacito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이찌 오가와
요시아끼 오오가와라
겡이찌 오오쯔까
Original Assignee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to KR790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접속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그 설명을 위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한예의 접속도.
제7도 및 제8도는 그 설명을 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다른 예의 접속도.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좌우의 핀쿠숀 비틀림 보정회로에 있어서, 특히 휘도가 변화하여도 그 보정이 행하여지도록 하고저 하는 것이다.
좌우의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로서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즉 궤환트랜스(1)의 입력코일(1A)과 접지와의 사이에 스윗치용 트랜지스터(2)의 콜렉터에미터 사이와 댐퍼용 다이오드(3)와 공진용 콘덴서(4)가 병렬로 접속됨과 동시에 수평편향코일(5)과 S자 보정용 콘덴서(6)와 코일(11)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 코일(11)에 큰 용적의 콘덴서(12)와 사이리스터(13)의 애노드 캐소드와의 사이의 직렬회로가 병렬접속됨과 동시에 사이리스터(13)에 다이오드(14)가 병렬접속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2)의 베이스에 수평발진회로(16)에서 수평펄스가 공급된다. 또, 트랜지스터(1)의 궤환코일(1C)에서 얻어지는 수평궤환펄스 Pn가 위상변조회로(17)에 공급됨과 동시에 그 변조출력이 사이리스터(13)의 게이트에 공급된다. 또 트랜스(1)의 고압코일(1B)에 다이오드(7)이 접속되어 직류고압 HV가 수상관(도시않음)에 공급된다. 또 다시 코일(1B)의 어스측에 저항기(8) 및 콘덴서(9)가 접속되어 ABL전압이 취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콘덴서(6)와 코일(11)과의 접속점이 접지되어 있다고 하면 이것은 일반의 수평편향회로와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동작이 행해진다. 즉 발진회로(16)로부터의 수평펄스에 의하여 기간 T1에는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2)가 온이 되므로 그 콜렉터의 전압 Vf는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0이다. 그러나 이 기간 T1이 되면 콘덴서(6)에 충전되어 있었던 전압이 콘덴서(6)→편향코일(5)→트랜지스터(2)→콘덴서(6)의 라인을 통하여 방전하고 편향코일(5)에는 제2d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전류 Id가 역방향으로 점차로 크게 흐른다. 이때 전류 Id가 코일(5)을 흐르는 것으로서 코일(5)에, 전자 에너지기가 축적되어 간다. 그리고 기간 T2이 되면 트랜지스터(2)가 오프가 되므로, 기간 T1에 코일(5)에 축적된 에네르기에 의하여 코일(5)→콘덴서(4)→콘덴서(6)→코일(5)의 라인에 전류 Id가 흐름과 동시에 이 전류 Id는 점차로 감소하여 간다.
또 이 전류 Id에 의하여 콘덴서(4)는 충전되어 전압 Vf는 상승하여 간다.
그리고 기간 T3이 되면 코일(5)에 축적되어 있던 에네르기는 0이 되므로 Id=0이 되지만 이번에는 콘덴서(4)에 충전되어 있었던 전압 Vf가 콘덴서(4)→코일(5)→콘덴서(6)→콘덴서(4)의 라인을 통하여 방전하고 전압 Vf가 저하하여 감과 동시에 전류 Id가 증가하여 간다.
그리고 기간 T4가 되면 기간 T3에 전류 Id가 코일(5)를 흐르므로서 축적된 에네르기에 의하여 코일(5)→콘덴서(6)→다이오드(3)→코일(5)의 라인에 전류 Id가 흐른다.
따라서 기간 T1∼T4의 동작을 1싸이클로 하여 편향코일(5)에는 제2d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톱니형태 파전류 Id가 흐르므로 여기에 의하여 수평편향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경우 제1도의 회로에서 사자(11), (14)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하여 핀쿳숀 비틀림이 보정된다. 즉 제2c도에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전압 Vg가 기간 T3의 비교적 늦은 시점에 입상하는 경우에는 기간 T3의 대부분의 기간에는 사이리스터(13)은 오프이르모 이 기간 T3에 있어서의 콘덴서(4)의 방전전류로에 비교적 임피단스의 큰 코일(11)이 직렬접속되므로서 그 방전전류는 작아지므로 수평편향전류 Id는 제2d도에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진폭(레벨)이 작아진다. 또 제2c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전압 Vg가 기간 T3의 비교적 빠른 시점에 입상할 경우에는 기간 T3의 대부분의 기간은 사이리스터(13)가 오프이므로 이 기간 T3에 있어서의 콘덴서(4)의 방전전류로에 비교적 임피단스가 작은 콘덴서(12)가 접속되는 것만으로 되고, 따라서 그 방전전류는 커지므로 수평편향전류 Id는 제2d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진폭이 커진다.
따라서 전압 Vg의 입상의 위상을 변화시키면 여기에 따라 수평편향전류 Id의진폭이 변화하게 된다.
한편 변조회로(17)에 있어서는 수평궤환펄스 Ph에서, 여기에 동기한 톱니형상파전압 Vh가 형성되고 이 전압 Vh가 수직파라보전압 Vp와 Vh와의 중첩전압 Va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 전압 Va가 레벨 Vs로 스라이스된다. 따라서 화면의 상 및 하에서는 제3b도의 좌측에도 표시한 바와 같이 스라이스레벨 Vs에 대하여 전압 Vh가 낮아지므로 제3c도, 제3d도의 좌측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입상의 위상이 늦은 전압 Vg가 얻어지고 또 화면의 중앙에서는 제3b도의 우측에도 표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스레벨 Vs에 대하여 전압 Vh가 높아지므로 제3c도, 제3d도의 추측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압 Vg의 입상위상은 빨라진다.
따라서 화면의 상 및 하에서는 수평편향회로 Id의 진폭이 작아지고 화면의 중앙에서는 전류 Id의 진폭이 커지므로 화면의 좌우의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에서는 펄스 Ph 및 파라보라전압 Vp에서 제3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전압 Vg를 얻는 것으로서는 화면의 휘도가 변화하였을 때, 핀쿳숀 비틀림 보정을 적절하게 행할 수가 없다.
즉 화면이 비교적 어둡고 트랜스(1)의 부하전류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궤환펄스전압 Vf는 제4b도에 굵은 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반싸이클의 정현파(正弦波) 형상이지만 화면이 비교적 밝고 트랜스(1)의 공진주파수의 변화등에 의하여 펄스전압 Vf는 제4b도에 세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비틀어져 버린다.
따라서 제4a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중앙에 대응하여 전압 Vg가 빠른 시점 t1에 입상할 경우에는 밝은 화면 때의 시점 t1에 있어서의 전압 Vf의 레벨이 어두운 화면 때의 시점 t1에 있어서의 전압 Vf의 레벨보다도 작아지므로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중앙에서는 밝은 때의 편향전류 Id의 진폭(세선 도시)이 어두울 때의 편향전류 Id의 진폭(굵은 선으로 도시)보다도 작아지고 핀쿳숀 비틀어짐의 보정은 부족해진다.
또 화면의 상 및 하에 대응하여 전압 Vg가 늦은 시점 t2에 입상할 경우에는 밝은 화면 때의 시점 t2에 있어서의 전압 Vf의 레벨보다도 커지므로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상 및 하에서는 밝은 때의 편향전류 Id의 진폭이 어두운 때의 편향전류 Id의 진폭보다도 커지고 핀쿳숀 비틀림 보정은 과다가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에 감하여 화면의 휘도가 변화하여도 적절한 핀쿳숀 비틀림 보정을 할 수 있는 보정회로를 제공하고져 하는 것이다. 이하 그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수직편향회로(18)에 수직편향코일(21), 적분용콘덴서(22) 및 궤환용 저항기(23)가 접속되고 편향코일(21)에 수직편향전류가 공급됨과 동시에 이때 콘덴서(22)와 저항기(23)와의 접속점에 수직톱니형상파전압 Vv가 취출되고 이 전압 Vv가 편향회로(18)에 궤환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31), (32)에 의하여 차동앰프(30)가 구성됨과 동시에 코일(21)과 콘덴서(22)와의 접속점이 저항기(34), (3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2)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22)와 저항기(23)와의 접속점이 저항기(37), (3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또 저항기(34), (35)의 접속점이 다이오드(39)를 통하여 저항기(38)에 접속된다.
또 전원단자(41)와 접지와의 사이에 저항기(42), (43) 및 콘덴서(44), (45)가 직렬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44)와 (45)가 직렬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44)와 (45)와의 접속점이 트랜지스터(3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저항기(42), (43)의 접속점과 접지와의 사이에 트랜지스터(46)의 콜렉터 에미터 사이가 접속된다.
또 궤환트랜스(1)의 코일(1C)이 지연회로(50)을 통하여 트랜지스터(46)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또 트랜스(1)의 코일(1B)과 저항기(8) 및 콘덴서(9)와의 접속점이 필터(52)를 통하여 다시금 저항기(53)을 통하여 저항기(43)과 콘덴서(44)와의 접속점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기(5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또 트랜지스터(32)의 콜렉터가 에미터접지의 트랜지스터(61)을 통하여 사이리스터(13)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편향코일(21)과 콘덴서(22)와의 접속점에 수직파라보라전압 Vp가 얻어지고 이 전압 Vp가 저항기(34), (3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2)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또 트랜스(1)의 코일(1C)에는 제7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궤환펄스 Pn가 얻어지고 이것이 지연회로(50)에 공급되어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기간만큼 지연시킨 지연펄스 Pd로 되게 하고, 이 펄스 Pd가 트랜지스터(46)에 공급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46)는 제7c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 Pd마다 오프로 되게 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46)가 오프의 기간에는 주로 전원단자(41)→저항기(42)→저항기(43)→콘덴서(44)→콘덴서(45)→접지의 라인을 통하여 콘덴서(45)는 충전되고 또 트랜지스터(46)이 온의 기간에는 주로 콘덴서(45)→콘덴서(44)→저항기(43)→트랜지스터(46)→콘덴서(45)의 라인을 통하여 콘덴서(45)는 방전(放電)한다. 따라서 콘덴서(45)의 라인을 통하여 콘덴서(45)에는 제7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Pd)에 동기한 톱니형상파전압 Vh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 전압 Vh가 트랜지스터(32)의 베이스에 공급되므로 트랜지스터(32)에는 수직파라보라전압 Vp와 수평톱니형상전압 Vh와의 중첩전압 Va(제3a도)가 공급되게 되고 그 콜렉터에는 위상변조전압 Vg(제3c도)가 얻어진다.
이 경우 콘덴서(22)는 궤환용 저항기(23)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파라보라전압 Vp에는 수직톱니형상전압의 성분이 함유되어버리지만 저항기(23)에 얻어지는 수직톱니형상전압 Vv가 저항기(37), (38)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1)에 공급되므로 파라보라전압 Vp에 함유되는 수직톱니형상파전압의 성분은 상쇄된다. 또 이때 파라보라전업 Vp의 일부가 다이오드(39)에 의하여 스라이스되어 트랜지스터(32)에 공급되고 파라보라전압 Vp의 파형이 보정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32)에 얻어진 전압 Vg가 트랜지스터(61)를 통하여 사이리스터(13)의 게이트에 공급되므로 수평방향의 핀쿳숀 비틀림이 보정된다.
그리고 이 경우 화면의 휘도에 대응하여 전압 Vh의 진폭이 변화되어서 화면의 휘도가 변화하여도 적절한 핀쿳숀 보정량으로 되게 된다.
즉 저항기(12), (43)을 통하여 콘덴서(45)의 충전전류가 흐를 때 그 충전전류의 일부는 저항기(53)을 통하여 분류한다. 그러나 화면이 비교적 어두운 경우에는 ABL 전압 Vy가 부의 비교적 작은 전압이 되어 필터(52)의 출력단의 전위는 부의 비교적 작은 전위가 되므로 저항기(53)에 흐르는 분류전류는 작고, 따라서 콘덴서(45)에 얻어지는 수평톱니형상파 전압 Vh의 진폭은 커진다. 따라서 제3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또 제8도에 굵은 실선 및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관계로 전압 Vg가 얻어진다.
또 화면이 비교적 밝은 경우에는 ABL 전압 Vy가 부의 비교적 큰 전압이 되어 필터(52)의 출력단의 전위는 부의 비교적 큰 전위가 되므로 저항기(53)를 흐르는 분류전류는 커지고, 따라서 콘덴서(45)에서의 충전전류가 작아지므로 콘덴서(45)에서 얻어지는 수평톱니형상파전압 Vh의 진폭은 제8도에 가느다란 실선 및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작아진다. 따라서 화면의 중앙에서는 전압 Vg의 입상의 위상의 시점 t11까지 진행하고 화면이 밝은 경우의 시점 t11에 있어서의 전압 Vf의 레벨에 동일(혹은 약간 크게)하게 되므로 편향전류 Id의 진폭도 동일해진다.
또 화면의 상 및 하에서는 전압 Vf의 입상의 위상이 시점 t12까지 늦어지고 화면이 밝을 경우의 시점 t12에 있어서의 전압 Vf의 레벨은 어두운 경사의 시점 t2에 있어서의 전압 Vf의 레벨에 동일(혹은 약간 크게)하게 되므로 편향전류 Id의 진폭도 동일해진다.
따라서 화면의 휘도가 변화하여도 적절한 양의 핀쿳숀 비틀어짐의 보정이 행해진다. 또 화면의 휘도의 변하에 의하여 고압 HV가 변화하면 수평편향폭이 변화하지만 ABL 전압 Vy가 필터(52) 및 저항기(54)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1)에 공급되고 여기에 의하여 레벨 Vs가 변경되므로 편향전류 Id의 진폭이 변화하여 고압변동에 의한 수평편향폭의 변화가 보정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의 휘도가 변화하여도 항상 적절한 핀쿳숀 비틀림 보정을 행할 수가 있다.
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회로에도 전혀 동일하게 적용된다.

Claims (1)

  1. 수평편향코일과 이 수평편향코일을 직렬인 S자 보정용 콘덴서와, 이 콘덴서와 직렬인 코일과 이들 직렬회로를 병렬로 접속한 트랜지스터, 공진용 콘덴서 및 댐퍼다이오드를 가지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를 거쳐서 직류전원에 접속되고 이 에미터는 접지되고 이 베이스는 수평발진회로에 접속되어 이 트랜지스터는 스위칭되어 상기 수평편향요크에 수평편향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코일과 병렬로 스위칭 소자를 접속하고 이 스위칭 소자를 수평귀선 기간내에 도통하는 위상변조회로를 설치하며 이 회로의 출력신호의 위상을 수직주기의 파라보라파로 변조한 좌우 핀쿳숀 비틀림의 보정을 행하는 회로에 있어서, 수상관의 화면의 휘도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1), (8), (9), (52)를 설치하고 이 출력으로 상기 위상변조회로(17)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화면의 밝기에 무관계하게 일정한 핀쿳숀 비틀림 보정을 행하도록한 핀쿳숀 비틀림의 보정회로.
KR7901691A 1979-05-25 1979-05-25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KR820002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691A KR820002263B1 (ko) 1979-05-25 1979-05-25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691A KR820002263B1 (ko) 1979-05-25 1979-05-25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263B1 true KR820002263B1 (ko) 1982-12-08

Family

ID=19211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691A KR820002263B1 (ko) 1979-05-25 1979-05-25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503A (en) * 1983-01-17 1986-02-25 Cho Myung Ho Pivotal skipping rope handles having spring resist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2503A (en) * 1983-01-17 1986-02-25 Cho Myung Ho Pivotal skipping rope handles having spring resi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97798A (en) High-voltage regulation system
US2926284A (en) Sawtooth wave generator
JPS6313394B2 (ko)
KR0137213B1 (ko) 래스터 사이즈 조절 회로
KR820002263B1 (ko)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US3863106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3881134A (en) Raster centering circuit
US2096982A (en) Deflecting voltage generator, more particularly for television receivers
US2555832A (en) Cathode ray deflection system
US2543304A (en) Circuit for maintaining aspect ratio constant
KR820002262B1 (ko) 핀쿳숀 비틀림 보정회로
US4794307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for a deflection circuit
EP0266997B1 (en) Raster corrected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US4238714A (en)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US2297522A (en) Generation of saw-tooth synchronized voltages
US4118655A (en) Line sawtooth deflection current generator
NO770325L (no) Anordning til styring av overlapning i et fjernsynskineskop.
US4338550A (en) Circuit for obtaining saw-tooth current in a coil
US3435282A (en) Self-oscillating deflection generator
US6320332B1 (en)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JPS6244464B2 (ko)
KR0137275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US3693043A (en) Pulse regulator controlled from voltage multiplier
JP3840648B2 (ja) ビデオ表示装置
EP0266996B2 (en) Raster correction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