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207Y1 - 유연탄 난로 - Google Patents

유연탄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207Y1
KR820002207Y1 KR2019810003727U KR810003727U KR820002207Y1 KR 820002207 Y1 KR820002207 Y1 KR 820002207Y1 KR 2019810003727 U KR2019810003727 U KR 2019810003727U KR 810003727 U KR810003727 U KR 810003727U KR 820002207 Y1 KR820002207 Y1 KR 820002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hole
fuel
bituminous co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3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백
Original Assignee
유인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백 filed Critical 유인백
Priority to KR2019810003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2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연탄 난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공기조절구의 발췌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1차 연소통의 발췌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하부공기 조절판의 일부 절제사시도.
본 고안은 유연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연탄 난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난로에는 주로 석유나 무연탄 등을 사용하였는데, 이들 연료는 값이 비쌀뿐 만 아니라 현금에 이르러 에너지 고갈현상이 뚜렷해지면서 값이싼 대체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난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값이 샌 유연탄을 연료로 하여 이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난로 등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고, 따라서 유연탄을 기준무연탄 난로 등에 그대로 사용하는 사례도 있으나 유연탄의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아 열효율이 저하될 뿐 만 아니라 연기가 대량 발생하여 심각한 공해 문제까지 유발시키는 등 불합리한 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석유나 무연탄등의 값 비싼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값싼 유연탄을 사용케하므로서 연료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거의 완전연소를 시키므로 열효율이 우수하고 매연이 거의 없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판(1)의 상면에 내통(2)과 외통(3)을 중첩하되 외통(3)의 중상부에는 흡기공(3′)을 횡설하고 흡기공(3′) 보다 약간 상부의 배면에 배기관(4)을 부착하며 하단 정면에는 결여홈을 두어 기판(1)상면을 미끄러지는 미닫이식 재받이판(5)을 삽설한다.
외통(3)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 내통(2)과 외통(3)과의 사이에 통로(6)가 형성되고 내통(2)의 중간에는 비교적 큰 배기공(2′)을 횡으로 천공하며 거의 상단부에는 흡기공(2″)을 횡적으로 천공하고 흡기공(3′)과 배기공(2′) 사이에는 격판(3″)을 형성한다.
상기 배기공(2′)의 직하부에는 사발형 안내구(7)를 내통(2)의 내주벽에 부착하는데 안내구(7)의 하면에는 수개의 통공(7′)이 천공되고 이의 중앙 하단부에는 걸림턱(8)을 형성하며 이 걸림턱(8)에 걸려 회동하도록 손잡이(10)가 부착되고 통공(9′) 천공된 개폐판(9)을 유설한다.
손잡이(10)는 내통(2)과 외통(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있어 개폐판(9)을 임의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내·외통(2)(3)의 상단에 재치판(11)을 재치하고 그 상면에 다공망통(12)을 재치한다. 다음, 상면에 통공(13′)을 가진형의 연료통(13)을 재치판(11)의 중앙에 재치하는데 직경이 큰 상반부는 다공망통(12)의 상부로 노출되며 연료통(13)의 하단보다 약간 위에 흡기공(13″)을 천공하고 이 흡기공(13″)이 내접되도록 링상의 개폐구(14)를 유설하며, 개폐구(14)에는 흡기공(13″)과 일치하는 통공(14′)을 천공하며 이의 손잡이(15)는 연료통(13)과 다공망통(1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16은 1차연소통으로서 하면에 지지구(16″)를 형성한 차폐판(16′)을 내통(2)에 착설하고 이의 내부에는 중앙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7)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17)의 하단주연에 다수의 통공(17′)을 천공하고 돌출부(17)의 하단에 고정구(17″)를 설치하여 이를 내통(2)에 지지하고 타측에는 손잡이(17″)를 내통(2)과 외통(3)을 관통하여 형성한다.
18은 3차 연소통으로 다공망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1차 연소통(16)의 후단에 삽설된다. 19와 20은 내·외망통으로서 이것이 결합하여 4차 연소통이 되며 상기 3차 연소통(18)의 하방에 위치하되 그 사이에 통공(21′)을 가진 격판(21)을 게재시키고 4차 연소통의 하단에는 차폐판(22)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배기공(2′)은 4차 연소통의 중간위치에 있게되고 내통(2)의 흡기공(2″)은 내통(2)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외통(3)의 배면에 위치한 제치대(23)의 내부에 미닫이식으로 된 예열판(21)을 형성 구성하며 미설명부호 25는 덮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에 손잡이(15)와 손잡이(10)를 조정하여 흡기공(14′)과 통공(7′)(9′)을 열어 놓고 연료층(13) 내의 돌출부(17) 상에 적당한 연료(유연탄)을 넣은 다음, 예열판(24)에 약간의 알콜 등으로 예열한 후 돌출부(17)상에 유입된 연료를 종이·나무토막 등으로 착화시킨다.
착화가 끝나면 연료통(13)에 가득히 연료를 채운다.
이렇게 해 놓으면 1차연소통(16)에서 발화된 화염은 차폐단(16′)의 지지구(16″) 사이를 통해 하향 배출되면서 외통(3)의 흡기공(3′)과 내통(2)의 흡기공(2″)을 통해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와 맞부딛쳐 2차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며 이 2차 연소된 화염은 화살표와 같이 3차연소통(18)으로 흡입되어 3차 연소가 되고 다시 화염은 격판(21)의 통공(21′)을 통하여 내·외망통(19)(20)으로 된 4차 연소통에 유입되어 4차 연소가 된다. 4차연소를 마친 화염은 배기관(4)의 흡인력에 의해 4차연소통의 내·외망통(19)(20)의 다공으로 빠져나와 배기공(2′)과 통로(6) 및 배기관(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다공망통(12)은 고열의 연료통(13)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개폐구(14)는 화염조절 및 소화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 연료통(13)의 상면 통공(13′)은 연료통(13)의 상부로 부터 공기를 흡입시켜 연료통(13) 내에 내재된 연기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착화 후 잠깐 동안의 시간이 지나면 1차 연소통(16), 3차 연소통(18) 및 내·외망통(19)(20)의 4차 연소통이 화염에 의해 빨갛게 달아오르는데 1차연소통(16)에서 배출된 미연소가스는 빨갛게 달아오른 3차연소통(18) 및 내·외망통(19)(20)에 의해 효과적으로 재연소되며 배기공(2′)이 4차 연소통의 중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화염을 하향 유도시킨 뒤 통로(6)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게 되어 화염의 유통이 매우 자연스러워 열효율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유연탄 등의 값싼 재질의 연료라도 거의 완전 연소시킬 수 있어 난방에 있어서 연료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불완전 연소등에 의한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 상면에 내통(2)과 외통(3)을 중첩한 것에 있어서, 내·외통(2)(3)의 상단에 재치한 재치판(11) 상부에 연료통(13)의 흡기공(13″) 내측에 개폐구(14)를 유설하며 지지구(16″)를 가진 차폐판(16′)을 내통(2)의 상단에 착설하고 연료통(13) 하단에 돌출부(17)를 가진 1차 연소통(16)을 부착하며 다수의 통공을 천공한 3차 연소통(18)과 내·외 망통(19)(20)으로 구성되고 하단에 차폐판(22)을 부착한 4차 연소통을 격판(21)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여 이들을 1차 연소통(16)에 삽입연결하며 안내구(7)의 하면에는 수개의 통공(7′)을 천공하여 이를 개폐판(9)의 통공(9′)으로 개폐토록 구성하며 내통(2)의 상단과 중간에 흡기공(2″)과 배기공(2′)을 천공하여 조합구성된 유연탄 난로.
KR2019810003727U 1981-05-22 1981-05-22 유연탄 난로 KR820002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727U KR820002207Y1 (ko) 1981-05-22 1981-05-22 유연탄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3727U KR820002207Y1 (ko) 1981-05-22 1981-05-22 유연탄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207Y1 true KR820002207Y1 (ko) 1982-10-13

Family

ID=1922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3727U KR820002207Y1 (ko) 1981-05-22 1981-05-22 유연탄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2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20002207Y1 (ko) 유연탄 난로
JPH0444609Y2 (ko)
KR830001104Y1 (ko) 유연탄 난로
EP0162112A1 (en) Solid fuel heating appliances
CN216591805U (zh) 一种双层燃烧室的火炉
CN215336496U (zh) 柴油掺水气化燃烧节能环保炉
KR840000633Y1 (ko) 고체연료용 난로
CN217843947U (zh) 一种多燃料取暖炉
CN215112576U (zh) 一种燃油灶用燃烧器
US20240023754A1 (en) Oven
KR200249584Y1 (ko) 다중 연소식 벽난로
JPS6126730Y2 (ko)
KR800001112Y1 (ko) 야외용 개방형 오일난로
KR890004196Y1 (ko) 구멍탄 연소기의 재연소 덮개
JPH0616256Y2 (ja) ロースター
JPS6039609Y2 (ja) 表面燃焼バ−ナ
EP1651907B1 (en) Afterburner device for fireplaces
JPS6012961Y2 (ja) 石炭スト−ブ
JPH023041Y2 (ko)
KR790001620Y1 (ko) 구멍탄보일러의 구멍탄 주입장치
CN2354033Y (zh) 可调式气化节柴炉
KR810002637Y1 (ko) 오일버어너의 연소장치
JPH0129441Y2 (ko)
JPS5924954Y2 (ja) 熱風乾燥機の制御装置
KR900002049Y1 (ko) 구멍탄가스 연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