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033B1 -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 Google Patents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033B1
KR820002033B1 KR7601053A KR760001053A KR820002033B1 KR 820002033 B1 KR820002033 B1 KR 820002033B1 KR 7601053 A KR7601053 A KR 7601053A KR 760001053 A KR760001053 A KR 760001053A KR 820002033 B1 KR820002033 B1 KR 82000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cording
pen
ink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야 후지다
노부오 가이에다
세쓰오 사도우
Original Assignee
요고가와 쇼오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요고가와덴기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고가와 쇼오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요고가와덴기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요고가와 쇼오소오
Priority to KR760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38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each recording being produced by controlling the recording element, e.g. stylus, in accordance with one variable and controlling the recording medium, e.g. paper roll, in accordance with another vari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 기록계의 외관도.
제2도는 제1도 계기에 사용되는 외부케이스의 분해도.
제3도는 외부케이스에 있어서의 배판(背板)의 부근의 조립도.
제4도는 내기틀의 분해사시도.
제5도와 제6도는 외부케이스에 내기(內器)를 고정하는 고정기구의 구성 설명도.
제7도는 걸림금속부품의 사시도.
제8도는 내기를 부착한 내기틀의 앞면 사시도.
제9도는 그 후면 사시도.
제10도는 전기회로부분의 구성 설명도.
제11도는 타점기구의 상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측면도.
제13도는 일부를 생략한 제12도의 A-A선 단면도.
제14도는 잉크통 기구의 분해도.
제15도와 제16도는 타점기구의 동작 설명도.
제17도는 지침의 구성 설명도.
제18도는 접동저항기의 가동부의 설명도.
제19도는 회전능률 전달기구의 구성 설명도.
제20도는 제19도의 측평면도.
계21도는 제20도의 B-B 단면도.
제22도는 제20도의 상평면도.
제23도는 종이 이송기구의 단면설명도.
제24도는 종이 이송기구의 일부의 분해사시 설명도.
제25도는 손잡이판의 사시도.
제26도는 본 실시예 계기에 적용되는 제1펜의 구성 설명도.
제27도는 제26도에 있어서의 펜틀과 기록펜의 분해 사시도.
제28도는 잉크통의 상면도와 단면도.
제29도는 잉크통의 부착대와 스페이서의 사시도.
제30도는 제2펜의 사시도.
제31도는 손잡이 기구와 다리(腐)기구를 부착한 계기의 측면도.
제32도는 다리기구의 사시도.
제33도는 고정용 금속부품의 사시도.
근래에 공장배수(排水)나 매연(媒煙)등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의 발생에 수반해서 공해기기에 기록계를 부설하여 검출된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기록시킬 필요가 생겼다.
이러한 종류의 목적에 사용하는 기록계에 대규모 계장용(計裝用)으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대형의 자동평형기록계를 사용하는 것은 불근형하게 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종래의 대형 자동평형기록계는 많은 부속품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중에서 염의 선택적으로 부속기구를 부설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이들의 부속기구를 이용하여 복잡한 경보동작이나 조절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기록계를 공해기기로서 사용하는 것은 너무 고급스러운 것이 된다. 또 마땅한 소망의 장소에 계기를 휴대하여 다니면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공해기기로서는 이 계기는 대형으로 중량도 너무 무거워 부적당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대형 자동평형기록계만큼 다면적(多面的)이 아니고, 그위에 염가이고 또한 소형으로 휴대해서 다니기 쉽고, 더우기 보수(保守)에 편리한 기록계의 출현을 바라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망에 응하기 위하여 이루워진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부품점수를 적게하는 등에 의해 소형이고 경량(輕量)인 자동평형기록계를 실현한 것이다.
본 발명 기록계에 의하면, 종횡의 길이가 어느 것도 14cm 깊이 약 33cm의 길쭉한 각형(角形)으로, 내용적 약 650cm2라는 소형의 자동평형 기록계가 실현될 수 있었다.
또, 사용하는 기록지는 10cm의 대상(帶狀)의 절첩기록지로, 계기의 외형이 소형인 것에 비해 기록지 폭도 넓게 되어 있어서 데이터도 읽기 쉽다.
표준사양의 계기의 무게는 약 5kg 정도로, 경량이고 또한 가지고 다니기에도 편리하다.
또 본 발명의 다음 목적은 보수에 편리한 기록계를 제공함에 있다.
이 목적달성을 위한 하나의 구성으로서 모판이라고 불리우는 하나의 프린트판을 계기내기(計器內器)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모판을 등골(背骨)로 하여 이것에 입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카아드나 측정레인지를 정하는 레인지 카아드와 같은 서브프린트판을 결합하였다.
이들 서브프린트판의 결합은 기계적으로는 삽입에 의해, 또 전기적으로는 콘넥터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또 서어보 모우터를 구성하는 평형전동기나 기록지 이송용의 동기 전동기로 상기 서브프린트판과 마찬가지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만일 이들의 부품이 고장이 나서 점검, 조정 혹은 교환 등을 필요로 할 때는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어서 보수에 극히 편리하다. 한편, 기록계의 기능은 그 이름을 말하는 바와같이, 측정된 값을 기록하는데 있다.
기록을 정확히 하려면 기록기구를 원활히 동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잉크를 사용한 기록계에서는 잉크의 공급을 원활히 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기록펜을 사용한 경우, 잉크통 장치에 특징이 있고, 펜촉을 2층구조로 하여 기밀을 유지하면서 펜촉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잉크내의 기포를 없애고, 더욱이 펜촉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또, 펜의 압력을 스프링으로 정하는 스프링식으로 하여 스프링으로 펜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펜의 압력을 스프링식으로 한 경우는 원리적으로 펜 본체의 무게 등에 관계가 없게 되고, 펜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잉크 용기의 높이를 적당히 바꾸워서 잉크통과 펜촉간의 높이, 즉 헤드차(差)를 조종할 수 있게 구성 하였다.
헤드차가 바꾸워지면, 잉크압을 기록상태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으므로 기록을 선명하게 그릴 수가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에 의해서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의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서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 계기의 외관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옆으로 긴 각상자형의 계기의 외부 케이스다. 외부케이스(1)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ㄷ자형의 동판(胴板)(11)과 저판(12)과 배판(背板)(13)과 앞면틀(l4)로 된 4각통상의 본체(10)와, 이 본체(I0)의 앞면에 착설된 문짝(l5)으로 구성된다.
본체(10)를 구성하는 동판(11)등은 대략 같은 두께로 얇은 철판을 푸레스로 타발(打拔)하고 이것을 판금 가공에 의해 소망대로 절곡하여 만들어지고, 또 문짝(15)의 추체는 추형성형의 합성수지재(材)로 이루워진다.
(101),(102)는 동판(11)의 안쪽에 압출된 유극(遊際) 제거용의 압출부이다,
(111),(112) 및 (121),(122)는 동판(11) 및 저판(12)의 대향위치에 관설(貫設)된 부착구멍,(113),(114)는 동판의 절곡부, (115)는 동판에 고착되는 스프링판으로 이 스프링판(115)의 선단은 ㄴ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126),(127)은 저판(l2)의 양측에 첨착(添着)된 슬라이딩 테이프이다.
(131)과 (132)는 배판(13)에 천설된 단자판의 장착구멍이다.
앞면틀(14)의 상하에는 문짝(15)을 덮을 돌출부(141),(142)가 형성되고, 좌단의 대향위치에는 구멍(143)(144)이 천설되어 있다. 또 앞면틀(14)의 내주면에는 돌출부(141),(142)와 반대인 방향에 직각으로 절곡된 복수의 절곡편(145)이 형성되어 있어서 동판(11)과 저판(12)과를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각통(角筒)의 내주면에 감합되게 되어 있다.
(151),(152)는 문짝(15)의 축부에 착설된 상하의 축(軸)핀이고, 특히 위쪽의 축핀(151)은 일정한 범위에 이동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해 항상 위쪽으로 향하는 힘이 주어져 있다.
(153)은 문짝을 열때에 손가락을 거는 고리부, (154),(155)는 좌우의 화장판,(156)은 철사로 만든 기록지 안내이고, 이 안내(156)는 기록색(色)과 측정점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정용 카아드를 투명창(157)과의 사이에 끼워서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기능도 겸비한다.
(16)은 합성수지제로 되는 배면커버이고 배판(13)에 부착되는 단자판(133),(134)을 덮기 위한 것이다.
단자판(133),(134)이 장착되는 배판(13)의 분해도를 제3도에 표시한다. 배판(13)은 작은 구멍(131)을 개재하여 배판(13)이 부착되는 단자판(133)은 상용전원용의 것이다.
또, 구멍(132)을 통하여 배판(13)에 부착되는 단자판(134)중, 좌측은 6개소의 측정점으로부터의 입력신호용도선(導線)이 접속되고, 우측은 경보신호용으로서 사용된다.
(135)는 배판(13)에 고착된 암통이다.
제3도의 (19)는 접속체로, 이 접속체(19)는 프린트판(191)과 이 프린트판(191)에 일단을 고정하여 2매의 필름의 사이에 도전박(導霓箔)을 형성한 가요선(192) 및 위 가요선(192)의 타단에 결합된 콘넥터(193)로 구성되어 있다.
콘넥터(193)는 후술하는 내기틀(2)에 고정되는 모판에 결합되고, 외부케이스(1)과 내기틀(2)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같은 접속체(l9)에 의해 외부케이스(1)와 내기틀(2)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지그재그상(狀)의 가요선(l92)이 자유로 굴신(屈伸)하여 내기틀(2)의 인출, 수납이 원활하여, 콘넥터(193)를 벗기면 내기틀(2)이 외부케이스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고 점검, 조정에 있어서도 편리하다.
다시 제2도에 되돌아가, 외부케이스(1)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동판(11), 저판(12) 및 앞면틀(14)은 통상(筒狀)으로 결합되고, 이 결합에 의해 한쪽의 절곡부가 다른 쪽으로 겹처저서 이들의 겹처진 부분을 국부용접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 각통(角筒)의 배후에서 배판(13)을 삽입하고, 동판(11)과 저판(12)의 절곡부(113),(114)과(I23)에 천설된 나사구멍을 이용해서 배판(13)이 이 각통에, 필요에 따라 나사로 분해할 수 있게 조립된다. 문짝(15)의 본체(10)에의 장착은 아래쪽의 축(軸)핀(152)을 하부의 돌출부(142)의 구멍(144)에 감합한 뒤, 위쪽의 축판(151)을 구멍(143)에 삽입하여 행하여진다.
문짝(15)은 축핀(151),(152)을 중심으로 대략 120도의 회전각으로 개폐할 수 있고, 문짝을 닫는 것은 스프링판(115)의 절곡부가 요부(158)에 결합되서 잠겨진다.
또 배면커버(16)는 양측의 돌기(161),(162)를 저판(12)의 구멍(124),(125)과 이들에 겹쳐진 동판(11)의 구멍(118),(119)의 양자에 감합하여 본체(10)에 회전가능케 장착된다.
돌기(161),(16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결합돌기(163),(164)를 동판(11)의 구멍(116),(117)에 결합하여 배면커버(16)를 닫을 수가 있다.
배면커버(I6)의 내면에 단자판(133),(134)의 접속방법 등이 표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외부케이스(1)에 있어서의 본체(10)의 부분은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적당한 강도로 내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비교적 경량으로 할 수 있다.
그 위에 각통상의 본체(10)의 앞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다른 쪽에서는 내기틀(2)을 꺼냈다 넣었다 하므로 변형되기 쉽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 부분에1매의 판재(板材)를 절곡하여 만든 앞면틀(14)을 고착하도록 하였다.
이 결과, 앞면틀(14)이 본체(10)의 개방단(端)의 주위를 보강하여 견고하게 되고, 외부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점검이나 초정시에 문짝(15)이 방해가 될때는 가동(可動)할 수 있는 축핀(151)을 이용하여 간단히 분해할 수도 있다.
(2)는 계기의 래기(內器)를 부착하기 위한 내기틀이다.
이 내기틀(2)의 구성을 제4도에 표시한다.
제4도에 있어서, (21),(22)는 좌우의 저간(底桿)(23)은 저판(底板)(24)와 (25)는 저판(23)의 위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중간판과 후부판, (26)은 약간 판 두께가 두꺼운 상부판, (27),(28)은 대칭구조의 좌우의 측판(測板)으로, 이들은 서로 나사로 결합된다.
좌우 2개의 저간(21),(22) 및 상부판(26)은 알루미늄의 압출재로 만들어지고, 단면형상이 어디에서도 변하지 않는 긴 재료의 일부를 소망의 길이로 절단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이형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부판(26)등은 길이방향에 연하는 구멍이나 홈 공작기계의 절삭에 의한 가공이 생략할 수 있다는 제작상의 이점이 있다.
예를들면, 후부판(25)을 상부판(26)에 나사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용의 구멍을 상부판(2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Figure kpo00001
형의 홈(261)을 그래로 이용하거나, 후술하는 모판이나 좌우의 복판(覆板)(201),(202)을 저간(21),(22)과 상부판(26)에 형성한 구형홈(212),(222)이나 (262)에 삽입하게금 한 것이다.
(255)는 후부판(25)의 배면측에 돌출된 내기틀(2)을 안내하기 위한 숫봉(雄捧)이다.
그래서 내기틀(2)에는 계기내기가 부착되고, 내기틀(2)이 책상의 서랍과 같이 외부케이스(1)에서 빼냈다 넣었다 할 수 있게 되는 내기 인출형의 계기가 구성된다.
이 내기틀(2)의 외부케이스(1)에의 인출과 수납에 따른 내기틀(2)의 고정과 정지는 저판(23)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고정기구(3)에 의해서 수행된다.
고정기구(3)의 구조를 제5도내지 제7도에 표시한다.
제5∼7도에 있어서, (31)과 (32)는 상기 저판(23)의 앞부분에 고착된 L자형의 스페이서, (33)은 스페이서(31),(32)의 사이에 배치된 인출레버, (34)는 얇은 스프링판의 연결판(35),(36)은 정지핀이다. 인출레버(33)의 선단(331)은 내기틀(2)을 인출할 때에 밑에서 손가락을 걸 수 있게 절곡되어 있다.
또, 인출레버(33)에는 4각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구멍(332),(333)이 형성되고, 이들의 구멍(332),(333)의 후방에는 1개의 각공(角孔)(334)과 길쭉한 홈구멍(335),(336)이 형성되어 있다.
홈 구멍(335),(336)에는 정지핀(35)과 (36)의 동부(胴部)가 느슨하게 감합되어 있고, 이 홈 구멍(335),(336)의 길이의 범위내 만큼 인출레버(33)를 접동할 수 있다.
또, 각공(334)은 저판(23)에 형성된 각공(231)과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판(34)은 2본의 나사(341),(342)에 의해 그 후단부를 저판(23)의 상부면에 고정하고, 도중은 2개의 각공(231),(334)을 통과해서 자유탄(自由端)은 인출레버(33)의 밑에 노출하고 있다.
(343)은 연결판(34)에 형성된 원호부, (344)는 팽출부이다.
내기틀(2)을 외부케이스(1)에 수납하고, 이 내기틀(2)의 고정된 상태가 제5도와 제6도이다.
홈 구멍(335),(336)의 접동에 의해 인출레버(33)의 안쪽(도면의 우측)으로 압입(押入)된 상태이면 도시와 같이 저판(23)과 연결판(34)의 사이에 인출레버(33)가 끼어들어가서 연결판(34)의 자유단이 밑으로 압하된다.
이 결과, 팽출부(344)의 단(端)부가 앞면틀(14)의 접곡편(145)(점선으로 표시함)에 연결되어서 내기틀(2)이 외부케이스(1)에 고정된다.
다음에 인출레버(33)의 선단(331)에 밑에서 손가락을 걸어서 제5,6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인출레버(33)를 빼내면 연결판(34)의 원호부(343)가 탄성력에 의해서 복원되어 각공(334)에 들어가고, 상기한 팽출부(344)와 절곡판(145)과의 결합을 푼다. 따라서 내기틀(2)을 외부케이스(1)에서 빼낼 수가 있다.
내기틀(2)을 외부케이스(1)에서 무제한으로 빼낼 수 있게 하면, 내기틀(2)이 외부케이스(1)에서 벗겨진 순간에 낙하해서 내기가 파손되면 큰 일이다.
그래서 내기틀(2)의 일부가 외부케이스(1)내에 어느 정도 남아있는 상태에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역할을 맡는 연결금속부품(37)을 제7도에 표시한다.
연결용 금속부품(37)은 연결판(34)의 재료와 거의 같은 재료이고, 그 위에 모양도 대략 동일하게 만들어져 있어서, 그 후단을 2개의 관통공(371),(372)에 의해 구멍나사(233),(234)에로 저판(23)의 이면에 고착되어 있다.
금속부품(37)의 선단은 원호부(373)가 형성되고, 중앙에 대략 H상(狀)의 구멍(374)에 뚫려저 있다.
구멍(374)의 내측면에는 아래쪽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3각형의 걸림각부(375)와 (37)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각부(375),(37)가 연결판(34)과 마찬가지로 상기 앞면틀(l4)의 밑의 절곡편(145)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 결과, 내기틀(2)의 외부케이스(1)에서 완전히 빼내기 전에, 외부케이스(1)내에 일부를 남겨서 잠겨진다.
내기틀(2)을 외부케이스(1)에서 완전히 빼낼 경우는 이 금속부품(37)의 원호부(373)를 밑에서 부터 눌르면, 걸림각부(375),(37)가 절곡편(145)보다 위가 되어서 결합이 벗겨진다.
이것으로 내기틀(2)을 외부케이스(1)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가 있다. 내기틀(2)을 외부케이스(1)에서 꺼냈다 넣었다 할 때에 저판(12)의 양측에 첨부된 슬라이딩 테이프(126)와 (127)의 위에 저간(21)과 (22)의 하부면이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므로, 내기틀(2)의 빼냄이나 수납이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내기틀(2)은 슬라이딩 테이프(126),(127)나 압출부(101),(102) 혹은 앞면틀(14)의 각 절곡편(145)등에 의해서 외부케이스(1)와의 사이의 유극(遊隙)이 제거되므로, 잘 조화되게 외부케이스(1)내에 들어간다.
내기틀(2)이 외부케이스(1)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외부케이스측의 암통(暗筒(135)에 내기측의 숫봉(雄捧)(255)이 테이퍼 구멍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감합하고 있으므로, 내기틀(2)이 외부케이스(1)의 중심에 수용되어서 동요되는 일이 전혀 없다.
또 내기틀(2)에 부착되는 내기는 다음에 설명하면 구성단위로 된다. 대기를 수용한 내기틀(2)의 앞면으로부터의 사시도를 제8도에 표시하고, 후면사시도를 제9도에 표시한다.
되 내기틀(2)내의 후방부 공간에 배치되는 주요 구성소자의 분해도가 제10도에 표시되어 있다.
(41)은 내기틀(2)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전기회로부(4)에 있어서의 주요부인 모판이다.
모판(41)은 위가 상부판(26)의 홈(262)에, 아래가 저판(23)에 착설된 2쌍의 평행인 부각(浮刻)(232)에 삽입되고, 후판(25)에 고착된 L형 금속부품(253),(254)에 나사로 고착된다.
(411)은 모판의 접촉부로, 이 접속부(411)는 후부판(25)의 구멍(251)에 노출되고 상기 콘넥터(193)가 후부판(25)의 뒤로부터 삽입된다. (412)는 복수의 접속핀을 모은 플러그부이다.
(43)은 후부판(25)에 고정된 전원트랜스이고, 이 트랜스(43)는 구멍(252)을 이용하여 후부판(25)에 부착된다.
(44)는 앰프카아드, (45)는 레인지 카아드, (46)은 기록이송용의 절환 스위치이다.
양 카아드(44)와 (45)는 상부판(26)과 저판(23)에 열 융착된 단면 凹자형의 합성수지호울더(203)에 삽입된다.
상술한 앰프카아드(44), 레인지카아드(45), 트랜스(43) 및 스위치(46) 등은 모두 모판(41)으로 중심에서 칸막이된 내기틀(2)의 우측 반쪽(제8도)의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 도면에서는 측정점이 6개소가 있는 다점(多點) 기록계를 예시하였으나, 2개의 상이한 측정대상을 동시 기록하는 것과 같은, 소위 2펜 기록계를 구성할 경우는 전술한 나머지 반쪽의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내기틀(2)의 충심부에 모판이라고 불리우는 프린트판을 배치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내기의 구성소자를 부수적으로 배치하였다.
또, 구성소자의 전기적인 접속은 가요선이나 콘넥터 등을 채용하여 행할 수 있게 하였다. 이 결과 전기적인 오접속이 없어질 뿐 아니라, 착탈이나 분리도 간단히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5)는 내기틀(2)의 앞면부에 설치된 지시기록기구이다.
지시기록기구(5)에 있어서 (51)은 평형전동기,(52)는 이 전동기(51)의 출력축(511)에 연결된 치차기구, (53)은 풀리기구, (54)는 리일줄이다. 리일줄(54)은 풀리기구(53)의 구동풀리(531)에 수회 감겨진 후 4개의 아이들 풀리(532)∼(535)에 걸어서, 그 도중을 다음에 설명하는 타점(打點)기구(또는 펜기구)에 고정한다. 그리고 리일줄의 양단은 세밀하게 감은 나선스프링(541)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일줄(54)은 스프링(541)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항상 일정한 장력(張力)이 부여되어 이완되지 않고 긴장(綿張)되어 상기의 타점기구 등을 헛돌지 않고 구동할 수가 있다.
또 리일출(54)은 스프링(541)으로 자유로이 신축하므르, 이것을 풀리(531)등으로 부터 분리하기에도 용이하고, 점검조정에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 전동기(51)는 상부판(26)의 하면에 고정되고, 관통공(265)을 통하여 출력축(511)을 그 상부면에 돌출시키고 있다. (55)는 측판(27),(28) 사이에 착설된 축군(乾群)으로, (551)은 구동축, (552)는 지지축이다.
구동축(551)은 전장에 걸처서 측방향의 홈(553)이 형성되어 있다. (6)은 구동축(551)과 지지축(552)에 지지된 타점기구이다.
타점기구(6)의 구성을 제11도부터 제14도에 표시한다.
타점기구(6)에 있어서, (61)은 타점틀, (62)는 요동틀, (63)은 캠레버이고, 캠레버(63)는 요동틀(62)에 설치한 축(621)에 유감(遊嵌)한다.
(64)는 타점틀(61)의 양측에 착설된 2개의 베어링(611),(612)에 끼워져 있어서 이들의 베어링(611),(612)과 동심적(同心的)으로 회전 가능케 축지(軸支)된 구동통이다.
구동통(64)에는 내면에 돌출하는 반경방향의 핀(641)이 고착되어 있다. 핀(641)은 구동통(64)에 감합하는 구동축의 홈(553)에 결합한다. 그래서 구동통(64)은 구동축(551) 위를 축방향으로 접동하면서 회전력이 전달된다.
(65)는 구동통(64)에 고정된 캠이다.
캠(65)은 중앙의 원판부(651)와 우측의 캠부(652)와 좌측의 간헐부(653)로 된다.
캠부(652)에는 120도 간격의 3개의 함몰부(654)와 이들 사이에 원주 원호부(655)가 있다.
또 간헐부(653)에는 3개의 간헐핀(656)이 등간격으로 착설되어 있다.(66)은 간헐기구이다.
간헐기구(66)는 상기 축(621)에 회전가능케 부착되어 있다. 이 간헐기구(66)는 6개의 홈과 역(逆) 원호를 갖고 간헐부(661), 교합(嘴合) 원판(662) 및 치차(663)로 구성되어 있다.
(67)은 타점체(打點體), (671)은 치차(663)와 교합하는 치차이고, 이들(67)과 (671)은 요동틀(62)의 요동단(端)에 착설된 요동축(622)에 일체로 유감(遊嵌)한다·
타점체(67)의 외주에는 6개의 타점침(67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들의 타점침(672)에는 1에서 6까지의 숫자기호가 붙혀저 있다. (68)은 잉크통 기구이다.
잉크통 기구(68)는 부착아암(681)과 이 부착아암(681)의 축(682)에 삽착되는 패드바퀴(683)를 구비한다. 패드바퀴(683)는 방사상의 패드실이 있고, 내부에 상이한 잉크를 함침한 잉크통이 수용된다.
또 부착아암(681)에는 제14도에 표시함과 같이 2개의 둥근구멍(684)과 (685)가 형성되고 이들의 구멍의 중심을 지나가는 갈라진 홈이 도중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부착아암(681)의 개방단은 탄성적으로 개폐한다. 그리고 외측의 구멍(684)을 상기 베어링(61l)에 탄성적으로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 잉크통기구(68)가 베어링(611)에 착탈가능케 구성된다.
이 잉크통기구(68)의 장착상태에 있어서는 패드바퀴(683)의 타단에 형성한 돌기(686)가 대향하는 교합원판(662)에 착설한 감합구멍(664)에 결합됨과 동시에 핀(687)이 요동틀(62)의 상부면에 접촉한다. 이 결과, 패드바퀴 (683)는 간헐기구(66)와 동일축상에 병설되어, 회전적으로도 결합된다.
제11,l4도의 (673)은 스프링 판이고, 이 스프링판(673)은 요동틀(62)의 기둥(623)에 고정되고, 일단(674)은 밑에서 부착아암(681)의 단부에 접촉해서 이 부착아암(681)에 구멍(684)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력(제14도의 시계방향)을 부여한다.
또 스프링판(673)의 타단(675)에는 철부(676)가 형성되고, 이 철부(676)를 타점체(67)의 측면에 형성된 요부(677)에 결합한다. 철부(676)와 요부(677)의 결합은 타점체(67)의 클릭동작을 준다. 또한 캠(65), 간헐기구(66), 타점체(67) 및 잉크통바퀴(683)에는 마모하지 않는 합성수지의 주형성형품이 사용되고 있다. (610)은 타점틀(61)에 부착된 재치(載置)핀이다.
이제 구동축(551)을 개재하여 구동통(64)이 회전하면 간헐핀(656)이 1개의 홈에 결합되고, 간헐부(661)가 60도 회전한다.
간헐부(661)의 회전은 2개의 치차(663),(671)를 개재하여 타점체(67)를 60도 회전시켜, 측정점에 대응한 타점침(672)을 기록지에 대향시킨다.
한편, 캠레버(63)는 미부(尾部)(632)를 타점틀(61)의 재치핀(610)에 올려서 다른쪽 갈고리(631)를 캠부(652)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구동통(64)이 회전하면 캠레버(63)가 미부(632)를 지점으로 위를 항한다.
캠레버(63)는 요동틀(62)과 축(621)을 개재하여 회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요동틀(62)의 자유단이 베어링(611),(612)를 지점으로 하여 자중(自重) 또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낙하한다.
제15도는 간헐핀(656)이 간헐홈에서 빠저나와서 타점침(672)의 절환이 끝난 후의 캠레버(63)와 캠부(652)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16도는 캠레버(63)의 갈고리(631)가 빠지는 홈(654)에 빠저 들어가서 요동틀(62)이 타점체(67)와 일체로 낙하된 상태도이다.
이어서 다음의 간헐핀(656)이 다음의 홈에 들어가면, 다시 타점체(67)가 60도 회전하여 다음의 타점침(672)을 기록지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재차 요동틀(62)이 낙하한다. 마찬가지로 해서, 타점체(67)의 간헐회전에 따른 타점침(672)의 절환동작과 요동틀(62)의 낙하에 따른 타점동작의 일정간격을 두어서 순차 반복해서 실시된다.
6개의 타점침(672)을 가진 타점체(67)의 이들 절환동작과 타점동작은 구동통(64), 즉 구동축(551)이 2회전하는 사이에 한바퀴 돈다. 이와 같이하여 타점침(672)을 기록지에 접촉시켜서 이 기록지상에 6개의 측정점에 대응한 측정치를 색구분하여 타점기록 할 수가 있다. 기록색이 얇아저서 불선명하게 되었을 때에는 패드바퀴(683)를 부착아암(681)째로 꺼내서 잉크통에 잉크를 주입하면 된다. 잉크의 보충은 타점기구(6)에서 패드바퀴(683)만을 분리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잉크색의 혼합도 일어나지 않는다.
(60)은 리일줄(54)의 고정나사, (69)는 타점틀(61)의 선단에 부착된 지침이다.
지침(69)은 제17도에도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크릴 수지로 만들어져, 앞면에는 적색의 지표(691)가 형성되어 있다. 지침(69)은 상기 측판(27)과 (28)사이를 걸저지게 한 눈금(20)에 대향하고, 지표(691)에 의해 측정치를 지시한다.
백지에 흑색눈금을 판눈금(20)과 붉은 지표(691)가 있는 투명지침(69)을 결합한 것으로, 측정치의 지시를 보기 쉽게 할수 있다. 제18도는 접동저항기(57)에 있어서의 가동부(57a)의 구성설명도이다. 이 접동저항기(57)는 상기 타점기구(6)와 일체의 가동부(57a)와 고정부(57b)로서 되어 있다.
가동부(57a)에 있어서, (571)은 각주상의 부착체, (572),(573)은 상하의 가동접편이다. 부착체(571)는 절연재로 만들어져, 그 양측에 첨축(尖軸) (574)과 (57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체(571)는 이들의 양 첨축에 의해 타점틀(6l)의 후부에 착설된 고정베어링(604)와 U자형의 스프링베어링(605)에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있다. 또 가동접편(572)와 (573)은 1매의 인청등(燐靑鉤)과 같은 도전판을 사용해서, 상부측이 짧고 하부측이 길어지도록 도중을 ㄷ자형으로 절곡하고, 이 절곡부분을 부착체(571)에 고착한 것이다. (576)과 (577)은 가동접편(572)와 (573)의 선단의 위와 아래에 고착된 접점이다.
양 접점(576),(577)은 어느 것도 내식성(耐蝕性)이 높고 더우기 마모되지 않는 금속선을 나선상으로 같은 코일접점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양 접점(576),(577)의 양단은 가동접편의 일부를 직각으로 절곡한 절곡편에 고착하여 그 중간부가 자유롭게 직경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 고정부(57b)에 있어서(578)은 저항선, (579)는 도출선(導出線)으로, 서로 평행이 되게 상기 좌우의 측판(27)과 (28)사이에 걸쳐져 있다. (제8도)
저항선(578)은 금속봉을 심지로 하여 그 위에 절연선을 단단히 감아서 그 나선의 함몰부에 저항선을 감은 것이다.
또 도출선(579)은 단면 3각형의 금속봉의 일개정각(頂角)을 어느정도 둥글게 하여, 이 부분에 귀금속을 원호상으로 고착한 것이다. 도출선(579)은 이 귀금속 부분을 가동접편상의 접점(576)에 접촉한다. 여기서 저항선(578)의 좌단에서 저항선(578)과 접점(577)과의 접촉점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전압강하가 위치귀환 전압이 된다.
한편, 상기 배판(13)상의 단자판(134)에서 도입된 측정량에 대응한 측정전압은 도출선(579), 접점(576), 가동접편(572),(573) 및 접점(577)을 개재하여 저항선(578)상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귀환전압과 마주치게 한다.
양 전압의 편차는 변환증폭되어서 평형전동기(51)의 제어코일에 가해지고, 그 극성에 따라서 출력축(5l1)을 정역(正逆)회전한다. 전동기(51)의 회전은 치차기구(52)와 리일줄 (54)을 개재하여 타점기구(6)를 구동축(551)과 지지축(552)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편차를 없애도록 자동평형시켜서, 타점기구(6)를 양축(551)과 (552)에 정지시킨다.
이 결과, 타점기구(6)의 평형정지위치에 있어서의 눈금(20)상의 지침(69)의 지시와 전술한 바와 같은 타점기구(6)의 타점기록에서, 상기 측정량을 알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귀환슬라이드 [접동저항기(57)]를 타점기구(6)와 직결적으르 구성하였으므로, 리일줄의 미끄럼 등에 의한 측정오차는 전혀 생기지 않는다. 또, 저항선(578) 뿐만 아니라 도출선(579)의 양쪽에 코일접점을 접촉하도록 하였으므로, 접촉이 다목적이 되어서 접촉저항을 작게할 수가 있다.
또한, 제8도와 제9도의 (50)은 상한용의 경보기구이다. 경보기구(50)는 축판(27)과 (28)에 지지된 지지축(556)과 (557)에 접동가능케 지지되어 있다.
이 경보기구(50)는 본체(500)와 지시부(501)가 있고, 본체(500)에는 후술하는 타점기구의 결합축에 결합되는 요동자와 이 요동자로 개폐동작을 하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손잡(502)이를 풀어서 눈금(20)상의 소망의 위치에 지시부(501)를 맞추어서 경보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하한 경보기구도 대칭적으로 만들어져 있으나, 같은 구성의 것으로서 설명은 생락한다.
제19도 내지 제22도는 회전능률 전달기구(7)의 구성설명도이다. 회전능률 전달기구(7)에 있어서, (70)은 동기전동기, (71)은 주(主) 프레임, (72)는 부착판, (73)은 ㄴ자판, (74)는 L자판 (73)에 부착된 측정점 절환용의 절환스위치이다.
(S1)∼(S5)는 주프레임(71)과 부착판(72)과의 사이에 지지된 양단 지지의 제1 내지 제5의 지지축, (G1)∼(G26)은 이들 지지축 (S1)∼(S5)이나 일단(一端)고정의 핀축상에 부착된 치차이다. 지지축 (S1)∼(S5)중 제4와 제5의 지지축 (S4)와 (S5)는 (S1)∼(S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특히 제2지지축 (S2)은 2부분으로 나누워져서 이 분할부분이 같은 직경으로 되어 있어여, 이기에 나선상의 스프링 클러치(C)가 감겨져 있다.
또 제3지지축(S3)에는 부착판(72)의 창(721)에 노출된 절환레버(722)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접동통(723)이 감장(嵌裝)되어 있다.
치차군 (G1)∼(G26)중, 치차(G5)는 치차(G4)상의 핀 Gp에 결합하는 간헐치차이다.
치차열 (G1)∼(G9)은 동기전동기(70)의 회전력을 간헐회전으로 바꾸어서 이 간헐회전을 절환스위치(74)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또 (G10)∼(G14)는 간헐치차(G5)의 간헐회전을 상기 타점기구(6)에 전하는 치차열이다. 또한, 치차열 (G15)∼(G2o)은 치차 (G7)의 회전능률을 후술하는 스프로킷에 공급하여 기록지 이송을 담당한다.
이 경우, 절환레버(722)가 창(721)의 상하방향의 중앙위치에 있을 때는 전술한 제2지지축 (S2)상의 스프링 클러치(C)가 감겨 들어서 이 축(S2)이 기계적으로 일체로 되어서 그대로 회전능률을 전달한다. 다음에 절환레버(722)가 아래의 쇄정 위치가 되면 제1지지축 (S1)상의 동접통(723)에 고정된 치차(G21)가 제2지지축 (S2)상의 치차(G22)와 교합한다.
또 절환레버(722)가 위의 쇄정 위치가 되면, 동일하게 접동통(723)이 이동하여 치차(G23)와 (G24)가 교합한다. 이 때문에 스프링 클러치(C)가 되감겨서 제2지지축 (S2)이 2분할되어, 회전능률이 제1지지축(S1)에서 접동치차(G21)→(G22) 또는 (G23)→(G24)를 경유하여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절환레버(722)를 상중하의 3개소에 옮기는 것에 의해 기록지의 이송속도를 3단계로 변속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기전동기(70)의 회전수가 250rpm일 때에 기록지를 시간당의 이송량이 20mm, 40mm 및 80mm로 되게 만들어져 있다. (G18)과 (G26)의 2개의 치차도 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대향하는 치차(G17)과 (G25)에 교호로 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치차의 절환에 의해, 전원주파수가 50Hz와 60Hz의 상위(相違)에 의한 기록지 이송속도의 변화가 보상되고, 항상 일정속도로 기록지를 보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소자를 갖는 회전능률 전달기구(7)는 제19도에 표시함과 같이, 주프레임(71)측을 상기 중간판(24)의 각공(241)에 삽입하여 측판(27)의 바깥에서 돌출부(711)∼713) (713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나합되는 나사로 내기틀(2)에 고정된다.
그리고 잭(701)과 (741)을 각각 모판(41)의 플러그부(412)에 접속해서 전기적인 접속이 달성된다. 회전능률 전달기구(7)가 주프레임을 토대로 하여 일체로 내기틀(2)에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점검이나 조정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더우기, 전동기(70)와 같은 형으로 회전축(702)에 직결(直結)되는 치차상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치차상자를 부설하면 전동기(70)의 회전방향을 정역으로 절환하는 것에 의해서 1대 60으로 변속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치차상자를 사용하면, 기록지의 이송속도를 6단계로 변속할 수 있다. (8)은 종이 이송기구로, 이 구성을 제23도 및 제24도에 표시한다. 양 도면에 있어서, (80)은 기록지, (81)은 상자체, (82)는 중간칸막이 이다. (83)은 스프로켓, (84)는 누름로울러이다.
스프르켓(83)은 상기 회전능률 전달기구(7)의 종단(終段)치차 (G20)를 마찰 결합하고 있다.
마찰결합의 수단으로서는 원환상(圓環狀)의 스프링판 등이사용된다. 또 누름로울러(84)에는 4개의 유동(遊動)로울러 (841)∼(84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상자체(81)는 중간칸막이(82)에 의해 앞과 속의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속의 공간은 미사용의 기록지(80a)의 수용실(R1)이 되며, 앞의 공간은 기록된 기록지(80b)의 격남실(R2)이 된다. 상자체(81)의 좌우에는 대향하는 원호부(811)가 형성되고, 이들의 원호부(811)에 형성된 구멍(812)에 스프로킷 (83)의 회전축(83I)이 축지(軸支)되어 있다. (813)은 원호부(811)의 부근에, 도중의 깊이까지 형성된 홈으로, 이 홈(813)에 의해 측변부(惻邊部)에서 일부를 분리하여 변위할 수 있는 탄성편(8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로울러(84)의 한쪽의 축단(軸端)을 우측의 구멍(815)에 삽입한 후, 탄성편(814)을 외측으로 열어서 누름로울러(84)의 좌측의 축단을 다른 쪽의 구멍(815)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하여 누름로울러(84)는 상자체(81)에 착탈자재케 되고, 장착상태에 있어서 스프로킷(83)와 평행으로 배치되어서 4개의 유동로울러 (841)∼(844)를 그 주면상(周面上)에 접촉시킨다. (816)∼(818)은 상자체(81)의 좌우면에 돌출시킨 3쌍의 핀이다. 아래쪽의 2쌍의 핀(817)과 (818)은 상기 측판(27)과 (28)에 형성한 긴 홈(271)과 (281)에 각각 결합한다.
또 위의 1쌍의 핀(816)은 측판(27)과 (28)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대체로 ㄴ자형의 잘라낸 부각부 (272)와 (282)에 결합한다. (85)는 손잡이 판이고, (851)은 이 손잡이판(85)에 천설된 손잡이 구멍, (852),(853)은 선단을 V자가 상으로 꾸부린 결합용다리, (854)는 접동홈(855)가 있는 부착용다리, (856)과(857)은 3각형의 압압편이다. (제25도)
손잡이판(85)는 접동홈(855)에 2개의 핀(858),(859)을 결합해서 상자체(81)의 하면에 접동가능케 부착되어 있다. 부착다리(854)은 기부(基部)부근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손잡이판(85)이 상자체(81)의 편편한 저면에 장착되었을 때에 결합용 다리(852)와 (853)에 위쪽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진다.
이들 상자체(81)나 중간칸막이(82)등으로 구성된 종이 이송기구(8)는 내기틀(2)에 있어서의 좌, 우의 측판(27),(28)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종이이송기구(8)의 장착상태가 제23도에 표시되어 있다.
즉, 손잡이판(85)이 상자체(81)의 저면에 압입되어서 결합용다리 (852),(853)의 V자형 돌기가 상자체(8l)의 저면에 천설된 뒤쪽의 장공(819)에 결합함과 동시에 압압편(856),(857)에 의해 종이이송기구(8)가 위쪽으로 압상되어 있다.
종이이송기구(8)의 압상한계는 위쪽의 1쌍의 핀(816)이 ㄴ자형의 부각(272)과 (282)의 팽출부에 결합되어서 규제된다. 이 상태로 스프로겟(83)의 외주에서 구성되는 기록면을 소정간격으로 상기 타점체(67)상의 타점침(672)에 대향시킬 수가 있다. 기록소자가 기록펜일 경우는, 종이이송기구(8)의 이 장치에 의해서 기록펜이 기록지(80)에 접촉하여 기록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제23도의 (284)는 측판(27)과 (28)사이에 고정된 칸막이판이다. 여기서 회전능률 전달기구(7)로 부터의 회전력이 치차(G20)를 통하여 스프로켓(83)에 주어지면, 격남실(R1)내에 절첩된 미사용의 기록지(80a)는 위족으로 향하여 인출되고, 스프로켓(83)에 도착하여 이 위치에서 상기 타점기구(6)에 의해서 측정치가 타점기록 된다. 기록된 기록지(80b)는 스프로켓(83)을 따라서 이 스프로켓(83)과 누름로울러(84)와의 사이를 지나서, 격남실(R2)내에 다시 절첩되어서 격남된다.
이 경우 기록지(80a)는 수용실(R1)에서 인출될 때에, 중간칸막이(82)의 양측에 형성한 2개의 돌기(821)(822)에 의해서 잡아당겨지므로 2중 끌어내기가 방지된다. 또 상자체(81)를 절곡하여 만든 1쌍의 절곡편(810)에 의해서 스프로켓(83)의 바로 앞에서, 기록지(80a)가 스프로켓(83)에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록지(80)의 이송과 절첩을 정확히 할 수가 있다. 기록지(80)에의 측정치의 기록이 끝나고 기록이 된 기록지(80b)를 문짝(15)을 열어서 격남실(R2)에서 직접 꺼낼 수가 있다. 또 기록중의 기록지(80)를 꺼내거나 새로운 기록지(80)를 교환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작에 의한다.
손잡이판(85)을 앞으로 당기면, 핀(858)과 (859)가 접동홈(855)을 접동하여 핀(859)이 접동홈(855)의 후단에 닿아서 손잡이판(85)의 인출이 정지한다. 동시에 결합용다리(852),(853)의 V형 절곡부가 앞쪽의 장공(8l9)에 결합한다.
손잡이판(85)의 일출에 의해서 압압편(856),(857)이 종이이송기구(8)의 밑에서 빠져 나오므로, 1쌍의 핀(816)이 부각(272),(282)의 팽출부에서 수평부에 떨어진다. 따라서 종이이송기구(8)의 앞부분이 낙하하여 기구(8)가 내기틀(2)내에 있어서 약간 앞으로 기울게 된다.
이 조작에 의해서 스프로켓(83)를 기록소자(타점기구나 기록펜)에서 떨어지게 함과 동시에 종이이송기구(8)의 인출태세가 완료된다. 여기서 손잡이구멍(851)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판(85)을 앞으로 당기면, 2쌍의 핀(817)과 (818)이 긴 홈(27l)과 (281)내를 접동하여 종이이송기구(8)의 전체가 내기틀(2)에서 인출된다. 핀(817)이 긴 홈(271),(281)의 전단에 닿아서 인출이 정지되면, 종이이송기구(8)자신의 무게에 의해서 이 기구(8)가 핀(81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뒤의 핀(818)이 원호옴(273),(283)에 진입하여 종이이송기구(8)가 경사된다.
이런 상태가 제23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도중의 기록이 된 기록지(80b)를 미사용의 기록지(80a)와 함께 격납실(R2)에서 꺼낼 수가 있다. 기록지(80b)의 꺼냄은 경사되어서 인출된 종이이송기구(8)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꺼내기가 쉽다.
새로운 기록지(80a)의 장전도 종이이송기구(8)를 인출한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할 수가 있다. 미리 누름로울러(84)를 상자체(81)에서 분리해 두고, 새로운 기록지(80a)를 수용실(R1)내에 넣는다. 수용실(R1)내에 넣어진 절첩기록지(80a)의 절첩된 처음부분을 일정길이만 인출하여 그 도중의 부분의 이송구멍(801)을 스프로켓(83)의 이송치(832)에 결합시켜, 단부를 격납실(R2)내에 둔다. 이 경우, 스프로켓(83)의 입구 부근에서는 기록지(80a)를 양측의 절곡편(810)으로 붙잡아 주도록 한다.
그후 누름로울러(84)를 전술한 요령으로 상자체(81)에 부착하여 기록지(80a)의 종이이송기구(8)에의 장전이 끝난다. 기록지(80a)의 기구(8)에의 장전이 끝나면 인출과 전혀 반대의 동작으로 종이이송기구(8)를 내기출(2)내에 밀어넣고, 다시 이 내기틀(2)을 외부케이스(1)내에 삽입한 후 문짝(15)을 닫아서, 기록준비가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제26도는 본 발명 실시예 계기에 사용되는 펜기구의 구성설명도이다. 펜기구(9)는 측정점이 단일의 경우에 적용된다. 펜기구(9)에 있어서, (91)은 펜틀, (92)는 기록펜, (93)은 고정판이다. 펜틀(91)과 기록펜(92)은, 다음의 제27도의 분해도에도 표시되어 있다. 펜틀(91)의 측변부(911)과 (912)에는 대향하는 3개의 구멍(913)∼(915)이 형성되어 (913)과 (915)에는 베어링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뒤쪽의 구멍(915)의 베어링에는 지지축(555)이 비교적 단단하게 감합되어 있어서, 유극(遊隙)이 없이 더우기 회전 또한 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앞쪽의 구멍(913)의 베어링에는 지지축(554)가 느슨하게 감합되어 있어서 펜기구(9)의 앞쪽의 무게가 이 지지축(554)상에 가해져 있다. 나머지 1쌍의 구멍(914)에는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은 짧은 장착축(916)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장착축은 구멍(914)에 단단히 감합되어 있어서 선단의 원주부와 이 원주부에 연속된 테이퍼부를 펜틀(91)의 내측에 노출하고 있다. (917)은 펜틀(91)의 일부로 구성된 받침부이고, 직각으로 된 2개의 구석이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한편, 기록펜(92)은 스테인레스파이프(921)와 이 파이프(921)에 착탈가능한 2중관 구조의 펜촉(922)과 얇은 금속판으로 만든 호울더(923)와 이 호울더(923)에 일단을 고정한 대략 V자형의 스프링판(924)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호울더(923)의 양측변에는 동일형상의 결합홈(9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홈(925)에 의해서 기록펜(92)은 장착축(916)에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호울더(923)의 양측변부는 뒤쪽으로 향하여 약간 폭이 넓어지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결합홈(925)의 부근의 폭은 장착축(916)의 테이퍼부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넓게 선택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펜(92)은 가로방향에 유격(遊隙)없이 장착축(9l6)사이에 장착된다.
고정판(93)은 약간 두꺼운 판재를 타박한 것으로, 홈은 연결부(931)에서 연결된 2개의 판편(板片)(932)와 (933)을 구비하고, 긴 축의 판편(932)은 선단이 위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고정판(93)은 판편(932)와 (933)의 각 부분에 천설한 2개의 구멍에 나사를 삽입하여 펜틀(91)의 상면에 고정되고, 긴쪽의 판편(932)의 선단은 스프링판(924)의 선단에 대향하고, 짧은 쪽의 판편(933)의 선단은 받침부(9l7)에 대향하고 있다.
판편(933)과 받침부(917)과의 사이에는 리이줄(54)의 도중이 압접고정되어 있다. 리일줄은 받침부(9l7)의 위쪽에 절곡된 구석에 의해서 동작이 제한되므로, 확실히 고정된다.
또 판편(932)의 선단에는 조정나사(934)가 착설되어서, 이 나사(934)의 선단은 스프링판(924)의 선단에 형성한 가느다란 홈에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나사(934)를 나입하면 스프링판(924)이 고정판(93)에 근접해 펜촉(922)과 기록지(80)와의 접촉압(接觸壓), 즉 펜압이 작아지고, 되돌리면 스프링판(924)이 고정판(93)에서 떨어져서 펜압이 크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펜압을 펜 자신의 무게에 의하지 않고, 스프링 압력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펜에 의한 측정치의 기록을 선명하게 행할 수가 있다. (94)는 기록펜(92)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합성수지제의 가느다란 잉크튜브이다.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병의 구조는 제28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것으로, 그 계기에의 장착상태가 제23도의 파선(破線)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잉크병(95)에는 잉크공급구(951)에 밸브(952)가 착설되어 있으며, 잉크를 공급할 때는 이 밸브(952)를 밀어 제쳐서 잉크를 넣는다. 잉크공급시 이외는 병(95)내를 외기로부터 차단하여 잉크의 고화(固化)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잉크병(95)은 제29도에 표시된 부착대(96)에 의해서 계기에 부착되어 있다. 부착대(96)의 다리(961)는 하단이 경사되어 있으며, 이 경사부(962)가 상기 칸막이판(284)의 면(面)에 접하게 되어 있다. 또 부착대(96)는 칸막이판(284)의 경사와 같은 경사의 경사홈(285)에 삽입된 나사에 의해서 측판(28)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차(差) (잉크병 내의 잉크액면과 펜촉의 높이의 차)에 의해서 부여되는 잉크압을 조정하고 싶을때는, 잉크병(95)을 경사홈(285)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여 잉크압을 조정할 수가 있다. 잉크병(95)은 부착대(96)과 일체로 이동하고, 부착대(96)는 다리(961)의 경사부(962)를 칸막이판(284)의 경사로된 표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잉크병(95)이 기울어져 잉크가 내부에서 엎질러지는 일은 전혀없다. 잉크병(95)의 교환이나 보급은 측판(28)에 착설된 3각형의 창(286)에서 행할 수가 있다.
또 이 창(286)을 통하여 잉크병(95)내의 잉크량을 감시할 수도 있다. 제28,29도의 (953)은 잉크가 통하는 파이프, (963)은 스페이서이다. 스페이서(963)는 부착대(96)에 1개의 잉크병(95)을 장착하였을 때을 공간을 메우기 위한 것이다.
제30도는 제26도와 제27도에 표시한 펜기구(9)와 병용되는 펜기구(9')의 사시도이다.
이 펜기구(9')용의 1조의 지지축(554')와 (555')는 상기 지지축(554)와 (555)와 같은 구조이고, 양 축(554)와 (555)에 대하여 측판(27)과 (28)의 사이에 비스듬한 아래쪽에 배치된다. 펜기구(9')는 이들의 지지축(554')와 (555')의 위에 지지되고, 다른 쪽의 펜기구(9)와 서로 섞여 엉클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펜기구(9′)는 (9)와 거의 같은 구조이다.
양자의 상위점은 기록펜(92)보다도 그 높이가 낮게 만들어지고, 투명 아크릴수지로 만들어진 지침(69) 대신으로서 기록펜(92′)의 앞면부에 녹색등의 형광도료를 각형(角型)으로 도포하여 지시부(927')를 구성하고, 이 지시부(927')의 중앙에 지표선(928')을 설치한 것이다.
펜기구(9')의 장착요령은 전술의 펜기구(9)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 펜기구(9)를 제1펜기구로 하고, 이 펜기구(9')를 제2펜 기구로 하는 2펜형의 자동평형기록계가 구성된다. 예를들면, 제1펜기구(9)는 로내(燼內)의 온도를 붉은 잉크의 기록선으로 측정치를 기록지(80)위에 기록하고, 제2펜기구(9')는 그 로(燼)를 태우는 연료의 유량을 파란 잉크의 기록선으로 동일한 기록지(80)위에 기록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제2 펜기구(9')에 대응하는 평형전동기, 치차기구, 앰프카아드 혹은 레이지카아드 등은 주로 내기틀(2)내의 좌반분의 공간에 배치된다. 또 잉크병은 스페이서(963)를 분리해서 부착대(96)위에 2개 나란히 부착된다. 또한, 제26도의 지침(69)과 접동저항기(57)는 전술한 것과 똑같은 구조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재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에 표시된(17)은 손잡이 기구, (18)의 다리(脚)기구이다. 손잡이 기구(17)는 제31도에도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고정부(171),(172)와 손잡이부(173)로 된다. 손잡이부(173)의 양측에는 단부가 J자 형의 연결판(174)와 (175)가 굴신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J자 형의 돌출부를 고정부(I71),(172)의 각틀(176),(177)에 감장하고 있다.
고정부(171),(172)에는 상기 본체 (10)의 부착구멍 (111),(112)에 대응하는 구멍 (178),(179)가 형성되어 있다. 또 (18)은 다리기구이고 제32도에 표시함과 같이, 취부축(181)과 연결봉(182)으로 연결된 거의 평행 4변 1쌍의 가동다리(183)와, 취부판(184)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착판(184)은 1매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뒤의 다리(185), 1쌍의 앞의 다리(186), 운호상의 연결편(187) 및 상술과 같은 구멍(l88),(189)이 천설되어 있다. 가동다리(183)는 부착축(181)을 개재하여 부착판(184)에 회전가능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손잡이 기구(I7)와 다리기구(l8)와는 외부케이스(1)측의 부착구멍(111),(112)와 (121),(122)을 구멍(178),(179)와 (188),(189)를 겹치게 해서 나사(103)에 의해서 외부케이스(1)와 고정된다. 그래서 평상상태에 있어서는, 다리기구(18)에 있어서의 가동다리(183)를 제31도의 2점쇄선의 위치에 쇄정해서 앞의 다리(186)와 뒤의 다리(185)를 책상 상면 등에 접촉시켜서 수평상태로 배치하여 계기를 조작한다.
가동다리(183)는 연결편(187)의 원호부와 외부케이스(1) [저판(2)]의 저면에 끼워져서 쇄정되어 있다. 손잡이기구(17)의 손잡이부(l73)를 쥐면, 계기를 소망의 곳에 가지고 다닐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계기를 경사되게 하여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는 가동다리(183)를 부착축(181)은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0도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인출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쇄정하면 된다.
이 가동다리(183)의 인출에 의해서 계기가 θ의 각도로 경사하므로, 계기의 조작이나 기록치의 관찰에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손잡이기구(17)와 다리기구(l8)를 분리하면, 보통의 패널용 계기와 같이 패널에 장착할 수도 있다. 점선으르 표시된 패널(P)의 패널커트에 패널 앞면으로부터 삽입하면 계기는 앞면틀(14)의 돌출부(141),(142)가 패널(P)의 표면에 접하여 패널계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금속부품이 제33도에 표시되어 있다.
금속부품(30)은 길쭉한 고정판(301)과 나사봉(302)으로 만들어져 있다. 고정판(301)은 양단을 직각으로 절곡하고, 한쪽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다른쪽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판(301)에는 상기 외부케이스(1)의 부착구멍(111),(112),(121),(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뒤쪽으로 향한 L자 형의 걸림(303),(30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판(301)과 나사봉(302)을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한다. 패널(P)에 삽입한 계기의 외부케이스(1)의 부착구멍(111),(112),(121)(122)에 상기 걸림(303),(304)을 결합한 후 나사봉(302)을 틀어 끼우면, 계기가 단단히 패널(P)에 장착된다.

Claims (1)

  1. 각통상의 본체(10)의 앞면에 착설된 문짝(15)으로 되는, 외부케이스(1)의 내부에 앞면에서 수납 및 인출할 수 있고, 중간판(24)과 후부판(25)을 개재하여, 저판(23)상의 후부에 저판(23)과 평행방향으로 배치된, 상부판(26) 및 저판(23)의 앞부분에서의 좌우의 측판(27)(2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판(26)과 저판(23)에 둘러쌓인 부분의 대략 중앙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서 공간을 좌우로 분할하는 프린트판(191)을 구비한 전기회로부와, 상기 중간판(24)과 고정되는 부착판(72)과, 이 부착판(72)의 한 쪽면에 설치되어, 치차군 (G1)∼(G26)을 배치한 주프레임(71)과, 이 주프레임(71)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출력축을 상기 치차군에 연결한 동기전동기(70)를 구비한 회전능률 전달기구(7)와 눈금(20)에 대향하는 지침과 풀리기구(53)에 걸처져서, 서어보모우터(51)에 의해서 이동하는 리일줄(54)과, 이 리일줄에 의해 상기 좌우의 측판사이에 배치된 축에 지지되어서, 이 축위를 접동저항기(57)의 가동부와 일체로 접동하는 기록소자(5)와, 회전능률 전달기구(7)에서의 회전능률에 의해 기록자(80)를 보내는 스프로켓(83)과, 이 스프로켓(83)을 부착하여 미사용의 기록지(80a)를 수용하는 수용실(R1)과 기록이된 기록지(80b)가 있는 격납실(R2)을 설치한 상자체가 있는 종이이송기구(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평형 기록계.
KR7601053A 1976-04-27 1976-04-27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KR82000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053A KR820002033B1 (ko) 1976-04-27 1976-04-27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1053A KR820002033B1 (ko) 1976-04-27 1976-04-27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033B1 true KR820002033B1 (ko) 1982-10-25

Family

ID=1920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1053A KR820002033B1 (ko) 1976-04-27 1976-04-27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03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2590A3 (en) Device for the output of sensors for the analysis of liquids
US2894700A (en) Portable dictation apparatus
US4214250A (en) Indicating recorder
KR820002033B1 (ko)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US4091389A (en) Self-balancing recorder
US3690531A (en) Tape feed apparatus for use in electro-motive tape cutter
US3950785A (en) Miniature tape cartridge with adaptor for use with eight track cartridge machines
KR870002578A (ko)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US2659653A (en) Record tape magazine
KR820002141B1 (ko) 지시 기록계
US3888431A (en) Removable interchangeable holder device for a recorder tape
CN206415839U (zh) 一种接线盒自动插铁扣机的测位调整装置
US3299435A (en) Measuring and recording instrument
KR790001192Y1 (ko)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AU5438380A (en) Lubricated magnetic recording media
CN112815974B (zh) 一种用于计量现场作业的工装
CN211176119U (zh) 一种多媒体信息引导与发布系统
JPS599089B2 (ja) 信号をテ−プ状担体に記録し、かつテ−プ状担体から再生するための装置
JPS5223903A (en)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device
JPH0327424Y2 (ko)
ES438506A1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cartuchos de transporte para ban- das de registros graficos y similares.
JPS5584082A (en) Information offering device
JPS57158068A (en) Magnetic recorder
DE3063037D1 (en) Strip chart recorder with a differential capacitor serving as position sensor in a position servo for the recording pen
US2869240A (en) sh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