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1192Y1 -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192Y1
KR790001192Y1 KR7902894U KR790002894U KR790001192Y1 KR 790001192 Y1 KR790001192 Y1 KR 790001192Y1 KR 7902894 U KR7902894 U KR 7902894U KR 790002894 U KR790002894 U KR 790002894U KR 790001192 Y1 KR790001192 Y1 KR 790001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gear
recording
shaf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게후미 하세베
아라다 다기사와
세쓰오 사도우
Original Assignee
마쓰이 도시노리
가부시기가이샤 요고가와덴기세이사구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이 도시노리, 가부시기가이샤 요고가와덴기세이사구쇼 filed Critical 마쓰이 도시노리
Priority to KR7902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192Y1/ko

Links

Landscapes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를 적용한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의 수평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계기의 문을 열고 기록지 지시체를 꺼낸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에 사용된 치차기구의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우측면도.
제5도는 기록지 이송기구의 전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단면도.
제7도는 기록지 이송기구의 동작설명도.
본 고안은 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지 이송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첩형의 기록지를 사용한 대형기록계의 기록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대규모의 프랜트의 출현은 계기장치 패널의 고밀도화를 촉진하여, 패널용의 계기전반이 소형화하게끔 되었다.
이와 같이 패널용 계기가 전반적으로 소형화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의 대형계기, 특히 대형기록계와 같은 것은 종전과 같이 높은 수요율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기록계가 최종적으로는 기록지상의 기록에서 측정치를 알아내는 계기이고, 가는 눈금의 큰 기록지를 사용하고 있는 대형의 기록계를 사용함으로써 기록이 보기 쉽고, 판독의 정도(精度)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종류의 기록계를 설계하는 경우에는, 단지 형태를 작게 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기록지의 크기와의 상대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 일반적으로 대상(帶狀)기록지를 사용하는 기록계에서는, 계기의 전면상부에 수평으로 스플키트(spoolkit)를 배치하고, 미사용의 기록지를 이 스플키트보다 하방의 안쪽에 수납하고 있다.
미사용자의 기록지는 스플키트에 의해서 계기의 안쪽에서 위를 향해서 인출되고, 스플키트의 상부에서 기록편에 의하여 측정치가 기록된다. 기록이 끝난 기록지는 스플키트의 앞으로 늘어져 그 자중에 의해 접혀진 자국에 따라 접혀진다.
즉, 미사용 기록지의 수용위치와 사용된 기록지의 격남위치가, 모두 스플키트보다 아래 쪽에 위치하고 있어, 기록지는 기록을 위하여 일단 스플키트의 위치까지 올라갔다가 기록이 끝나면 다시 아래로 되돌아 오는 길고도 복잡한 이송경로를 갖고 있었다.
한편, 이종류의 기록지 이송장치는 보통 동력원으로서 동기 전동기가 사용되고 있고, 이 동기전동기의 회전출력은 변속수단을 가진 치차 기구를 거쳐서 스플키트에 전하여 기록지가 이송되게금 되어 있다. 종래의 기록지 이송용의 동기 전동기는 타점기구의 구동용의 것을 겸용하고 있어서, 동기 전동기가 하나로 된다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하나의 전동기로 타점기구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기록지를 이송하여야 하므로, 부하가 커지고, 그만큼 출력터어크가 큰 전동기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대형으로 제적되어야 했다.
그 뿐만 아니라, 전동기의 회전출력을 2계통으로 나누어서 전동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한 일면이 있었다.
또 다른 면에서는 절환단수(段數)가 상이한 치차기구마다 별개의 것을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고, 치차기구를 유니트화 하는 것을 방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록지 이송장치의 각 결점을 개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록계를 소형화 하는데 적함하고, 또한 취급이 간편한 기록지 이송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절첩기록지의 이송방식을 개량하였다.
즉, 본 고안은 미사용 기록지의 수용실과 사용된 기록지의 격납실을 계기전면의 상, 하에 배치하고, 그 중간 격납실 입구 가까이에 스플키트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스플키트에 의해서 기록지를 위의 수용실에서 아래의 격납실로 일방향적(一方向的)으로 이송하게 한 것이다.
이 결과, 기록지 이송기구가 좁은 용적으로 구성되고, 계기를 소형화한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 상기의 미사용 기록지의 수용실을 계기의 전면으로 인출되게금 하여, 기록지를 계기에 장전하기 용이한 구조로 하였다.
또, 본 고안은 기록지 이송용의 절환수단을 가진 치차기구를 유니트로 구성했다.
즉 기록지의 이송절환단수(段數)(예로서 2단절환이나 6단절환)의 상이한 치차기구를 모두 동일한 형상의 케이스 내에 수용하고, 이것에 동력원으로서 동기전동기를 취부하여 유니트화 하게금 하였다.
그리고 이들 유니트화된 치차기구는 내기틀(內器틀) 측면의 정위치에 불과 3개의 나사로 고정된다.
이 결과, 유니트화 된 치차기구를 미리 제작하여 두고, 필요에 따라 소망의 절환단수의 기록지 이송장치를 조립할 수 있다.
치차기구가 고장났을 때에는 유니트화 되어 있기 때문에, 교환이 용이하고, 취급에도 간편하며 다량 생산에도 적합하다.
본 고안 기록지 이송장치엔는, 이외에 여러 가지 구성상의 특징이 있고, 이들 각 구성상의 특징에 대응된 효과도 생기며, 이들에 관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설명에서 자연히 명백해진다.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에 장치를 적용한 자동평형 기록계의 수평단면도, 제2도는 제1도 계기의 문을 열고 기록지 지시체를 빼낸 상태의 사시도이며, 이들 도면에서 설명에 불필요한 부분은 도시를 생략했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1)은 상자형의 계기의 외갑, (2)는 문이고, 문(2)에는 폭이 좁은 테를 두른창틀(21)의 내부에 투명창(22)을 부착하고, 전면에서 보아 좌측이 측(23)으로 축지(軸支)되어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내기틀(3)은 수평단면이형의 것이며, 제2도에 표시된 상하 2개의 경첩( 31),(32),〔(32)는 도시되지 않았음〕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외갑(1)에서 전면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이 내기틀(3)에는 계기 내기가 취부되어 있다.
A는 내기틀(3)의 측면에 고정된 변속수단을 가진 치차기구, (40)은 이 치차기구 A에 취부된 동기전동기이다.
동기전동기(40)는 그 내부에 클러치기구를 이용한 변속치차(도시 생략)을 장착하고 있으며, 점환레버(42)의 조작에 의해 출력회전수를 1 : 60으로 변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차차기구 A는 이 실시예에서는 기록지의 이송속도를 2단으로 절환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그 구성은 제3도와 제4도에 표시하였다. 제3,4도에 있어서, (41)은 케이스, (42)는 절환레버, (g1)∼(g9)는 치차이다.
치차(g2)는 케이스(41)의 밖에서 동기전동기(40)의 출력치차(g1)와 교환되고 있으며, 다른 치차(g3)∼(g9)는 케이스(41)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치차(g9)는 다음에 설명하는 전동(傳動)축상의 치차(g10)와 교합하고, 치차기구 A에 있어서 출력치차로 된다.
케이스(41)의 전면판(43)에는 요(凹)형의 창공(44)이 형성되고, 이 부분에서 절환레버(42)가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절환레버(42)는 축(45)에 지지되고, 케이스(41) 내의 절환레버(42) 단부는 소형 스위치(46)를 개폐하는 작용가(47)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절환레버(42)의 완부는 스프링판으로 제작되어, 제4도의 우측 방향으로 향하는 약한 힘이 가해져 있다.
그리고 절환레버(42)는 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창공(44) 위측의 교환부 내에 있을 때는 기록지의 이송속도가 빨라지고, 전화레버(42)를 아래측의 교합부 내로 이동하면 작용간(47)이 위로 올라가서 소형스위치(46)가 절환된다.
이 절환레버(42)의 절환동작에 의해서 동기전동기(40)의 회전방향이 역으로 됨과 동시에 기록지의 이송속도가 늦어진다.
여기에 예시된 2단 절환형의 치차기구 A에서는, 절환레버(42)를 위로 하면 기록지가 25㎜/S로 이송되지만, 절환레버(42)를 아래로 보내면 25㎜/min으로 기록지가 봬진다.
또한, 치차기구 A는 상술의 2단 절환형의 것 외에도, 모두 같은 외형형상의 무다(無段)(기록지의 이송속도가 일정한 것)의 것이나 6단절환의 것 등이 마련되어 있어서, 이것들은 어느 것이나 3개의 나사(48)로 내기틀(3)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치차기구 A의 구성은, 이것을 유니트화 하고, 조립이나 교환등에 있어서 편리할 뿐마 아니라 다량 생산에도 도움이 된다. 치차기구 A는 상기와 같이 내기틀(3)에 3개의 나사(48)로 고정되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 케이스(41)에는 내기틀(3)측의 측판에 제3도의 2점 쇄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구멍(49)이 천공되어 있고 이 구멍(49)이 전동축(51)의 원형축수(58)(제5도 참조)의 외주와 밀접하여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치차기구 A의 내기틀(3)에 대한 고정위치가 자동적으로 정해지고, 치차기구 A의 출력치차(g9)와 저동축(51)에 고정되 치차(g10)와의 교합간극이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도와 제2도로 되돌아가, B는 스플키트 구동기구이다.
스플키드 구동기구 B에 있어서, (51)과 (52)는 내기틀(3)에 지지된 전동축과 스플키드 축이다.
전동축(51)의 좌단에는 치차(g9)에 교합되는 치차(g10)가 고정되고, 우측에는 2개의 치차(g11),(g12)가 취부되어 있다.
(53)과 (54)는 스플키트축(52)의 양측에 고정되고, 외주에 다수의 이송핀(531)…(541)…부착한 한 쌍의 스플키트이고, (g13),(g14)는 치차(g11),(g12)에 대응하는 2개의 치차, (55)는 회전손잡이 이다.
한 쌍의 스플키트(53),(54)에 원통축(56)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 원통축(56)은 나사(561)를 풀면 스플키트축(52)위를 접동한다.
또 치차(g13),(g14)는 원통축(56)에 고정되어 있지만, 이 원통축(56)은 나사(561)를 풀면 스플키트축(52)위를 접동한다.
원통축(56)의 우단이 우측의 스플키트(54)에 닿은 위치에서 치차(g12)와 치차(g14)가 교합되고, 원통축(56)의 좌단이 링(57)에 닿은 위치에서 치차(g11)와 치차(g13)가 교합한다.
치차(g11)와 치차(g13)와의 치수비는 1 : 1이고, 또 치차(g12)와 치차(g14)와의 치수비는 다음의 2개의 주파수의 비례한 치수비, 5 : 6으로 선정하였다.
상용(商用) 전원의 주파수가 50㎐일 때에는 원통축(56)을 좌측으로, 60㎐일 때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전원주파수가 다른 지역마다 원통축(56)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상시 기록지의 이송속도를 일정하게 된다.
이 절환조작은 계기의 전면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취급이 편리하다.
또, 이 원통측(56)의 내부에는 나선모양의 스프링으로 된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치차기구 A에서는 톨크가 전달되었을 때는, 이 클러치가 권입(卷oJ)되어서 원통측(56)과 스플키트축(52)이 일체로 되어서 회전하여, 동기전동기 (40)의 정지 중에는 회전손잡이(55)를 앞방향으로 수동으로 돌리면, 클러치가 풀려서 스플키트(53), (54)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지 교환시 등에 매우 편리하고, 계기의 가동 중에도 기록지가 풀리는 일은 없다.
스플키트(53),(54)와 회전손잡이(55)에는 금속체의 심(芯)이 삽입된 합성수지의 주형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58)은 상술한 절동축(51)의 한 쪽을 지지하는 원형의 축수이다.
제5도는 기록지 이송기구 C의 정면도, 제6도는 그 우측면도이다.
제5,6도 (제1도 참조)에 있어서, (7)은 축(71)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내기틀 (3)에 취부되는 기록지 지지체이다.
지지체(7)은 얇은 판재로 제작되고,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절곡된 안내판( 72)과 좌, 우의 측판(73), (74) 및 중간판(75)의 각 부로 제작되어 있다.
안내판(72)에 있어서 상면과 중간판(75)의 공간부분은 2점쇄선으로 표시함과 같이, 미사용의 기록지(70)를 넣어두는 수용실(76)을 구성하고 있다.
축판(73),(74)의 외측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졌고, 그 일측에 조면(組面)을 형성한 걸림편(77),(78)이 첨착(添着)되어 있다.
(722)는 안내판(72)의 표면에 형성된 융기부이다.
또 안내판(72)의 전면의 좌, 우에는 절결부(723),(724)가 형성되고, 이들의 절결부(723)과 (724)에서는 상기 스플키트(53), (54)의 표면을 나타내고 있다.
(81), (84)는 제1에서 제4의 로울러이고, 이들 중, 제2로울러(82)는 내기틀 (3)측에 취부되어 있으며, 다른 3개의 로울러(81),(83),(84)는 지지체(6)에 장착되어 있다.
내기틀(3)측에 취부된 제2로울러(82)는 스프링(821),(822)을 구비한 요동아암(823),(824)에 지지되어 있으며, 일정 범위내를 요동할 수 있게 만들어졌다.
스프링(821),(822)은 제7도의 화살표로 표시함과 같이, 제2로울러(82)에 아래로 향하는 힘을 가하고 있다.
또 제4로울러(84)는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주판알 모양의 로울러이다.
이 제4로울러(84)와 같은 로울러를 사용하면, 기록지(70)가 정지한 기판(72)에 붙어서 보내질 때에 이 기록지(70)가 받는 마찰을 적게 할 수 있다.
(85)는 눌림판이다.
이 눌림판(85)는 스프링판으로 제작되고 그 자유단(自由端)은 원호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의 제2로울러(82)와 대략 비슷한 동작을 한다.
(86)은 판재를 역L자형으로 절곡한 받침판이고, 이 받침판(86)의 상방의 공간은, 사용후의 기록지(70)가 접어져서 격납되는 격납실(87)을 구성한다.
(9)는 기록펜, (10)은 이 기록펜(9)을 취부한 계기의 가동부, (11)은 지침, (12)는 스케일, (13)은 밸런스유니트, (14)는 조사()(15)를 거쳐서 가동부(1 0)를 구동시키는 풀리, (16)은 배선속(配線束)(17)은 단자상자이다. (제1도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기록지 이송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1. 기록지의 장전(裝塡)
기록지 이송기구 C의 지지체(7)의 양측면에 부착된 걸림편(77), (78)을 양손으로 잡고 앞으로 당기면, 지지체(7)는 축(7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도 및 제7도의 파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계기의 전면으로 빠져 나온다.
앞으로 빼낸 지지체(7)의 수용실(76)내의 접어져 있는 미기록의 기록지(70)를 접기 시작한 부분을 손앞으로 하여 삽입한다.
그 다음 이 기록지(70)의 접기 시작한 부분을 적당한 길이만큼 꺼내고, 제1로울러(81)의 외주를 맞쳐서 접어 들리고, 제3로울러에 접촉시켜서 안내판(72)앞으로 늘어 뜨리고, 그대로 지지체(7)를 시계방향(제6-7도)으로 돌려서 다시 내기틀 (3)내에 압입한다.
이때 제2로울러(82)는 제1로울러(81)와 제3로울러(83)와의 사이에 감입하여, 지지체(7)를 내기틀(3)에 잠기게 함과 동시에 안내판(72)의 위에 펼쳐진 기록지(70 )에 일정한 장력을 주어서 후술한는 기록펜의 기록을 정확하고 원활하게 한다.
또 늘림판(85)은 그 선단이 제3로울러와 안내판(72)의 단부와의 사이로 떨어지고, 그 원호상자유단(圓弧狀自由端)의 탄성적 변위에 따라 상술한 제2로울러(82)와 동일하게 기록지(70)를 팽팽히 하다.
그리고 지지체(7)의 전면에 늘어진 기록지(70)를 안내판(72)과 제4로울러(84 )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스플키트(53), (54)에 걸리게 하고, 그 시단(始端)을 격납실(87)내에 배치하면, 기록지(70)를 걔기에 장전하는 조작이 끝난다.
2. 기록지의 이송동작
동기전동기(40)가 회전하면, 이 전동기(40)의 회전은 출력치차(g1)에서 치차(g2)를 거처 치차기구 A에 전달된다.
치차기구 A의 내부에서는, 회전력이 치차(g2)에서 치차(g9)로 전달되고, 출력치차(g9)가 치차(g10)에 교합되어서 전동축(51)을 회전시킨다.
이 전동축(51)의 회전은 다시 치차(g11)와 치차(g13)(전원주파수가 50㎐일 때)를 거쳐서 스플키트축(52)에 전달되어 축(52)이 회전한다.
스플키트축(52)에 의해서 스플키트(53),(54)가 회전하면, 수용실(76)내의 미기록의 기록지(70)는 제7도의 2점쇄선으로 표시함과 같이 접은 것의 윗부분부터 순차적으로 한겹씩 인출되어 제1에서부터 제3의 각 로울러(81)∼(83) 및 눌림핀(85)에 접촉되어 안내판(72)을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 수납부(75)에서 나온 기록지(70)은 소경(小經)의 제1로울러(81)에 의해서 원호형상의 굽은
자국이 생겨나지만, 이 굽은 자국은 이 부분을 통과한 기록지(70)에 서로 역방향으로 상쇄시키는 원호형상경로의 제2,3로울러(82), (83) 및 눌림판(85)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고정된다.
안내판(72) 위로 보내진 기록지(70)는 기록펜(9)에 의해 측정치가 기록되어, 안내판(72)의 앞을 하강하여 스플키트(53), (54)로 향한다. 기록지(70)가 안내판 (73)의 전면에서 수직상태로 있을 때, 측정치를 표시하는 기록선(線)은 문( 2)의 투명창(22)을 통하여 계기의 앞으로 관측된다.
또, 이 기록지(70)는 안내판(72)과 제4로울러(84)와의 사이를 통과하여, 이 로울러(84)와 융기부(722)에 의해서 일단 외측〔문(21)의 방향〕에 강제적으로 보내진다.
이 결과, 기록지(70)는 그 철(凸)상의 주름〔접은 기록지를 펼치면, 주름은 지면의 한쪽에서 볼 때 교호(交互)로 철(凸)상과 요(凹)상으로 된다〕(70a)이 격납실(87)의 전면부로, 또 요(凹)상의 주름(70b)은 격납실(87)의 후부로 보내지고, 다시 기록지(70) 자신의 접은 자국이 가해져서, 기록이 끝난 기록지(70)는 격납실 (87) 내에 강제적으로, 또한 정연하게 접혀진다.

Claims (1)

  1. 동기전동기(40)에 의해서 회전되는 치차기구(A)를 거쳐서 연결된 스플키트 기구(B)의 스플키트(53), (54)를 회전하여, 절첩되어서 수용된 미사용의 기록지를 인출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측정치를 기록하고, 사용 후의 기록지를 다시 접어서 수납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플키트(53),(54)의 한쪽에는 미사용의 기록지를 수용함과 동시에 다른 한 쪽에는 사용 후의 기록지를 격납하도록 구성한 기록계의 기록지 이송장치.
KR7902894U 1979-05-21 1979-05-21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KR790001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894U KR790001192Y1 (ko) 1979-05-21 1979-05-21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894U KR790001192Y1 (ko) 1979-05-21 1979-05-21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192Y1 true KR790001192Y1 (ko) 1979-07-28

Family

ID=1921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894U KR790001192Y1 (ko) 1979-05-21 1979-05-21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1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4998A (en) Copying machine with removable photosensitive drum
US5230576A (en) Printer
JPS61187156A (ja) テ−プレコ−ダ
JPS5746576A (en) Magnetic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incorporating camera
KR790001192Y1 (ko) 기록계(記錄計)의 기록지 이송장치
US4897744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loading small or large tape cassettes
US3690531A (en) Tape feed apparatus for use in electro-motive tape cutter
US4050809A (en) Compact visualizer
US3650489A (en) Gear drive for a camera and film cartridge
US2213746A (en) Film winding and gate opening mechanism
US4136472A (en) Readout cassette
JPS6344736Y2 (ko)
JPH04153126A (ja) 給紙シート材積載装置
CN211990188U (zh) 一种用于钢琴的防尘装置
JPS61182658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US4043648A (en) Film counter for use with a portable cine-camera
KR820002033B1 (ko) 자동평형기록계(自動平衡記錄計)
JPH067419B2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S6344734Y2 (ko)
JPH0325317Y2 (ko)
JPS6432449A (en) Tape recorder driving device
JP261467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942914U (ja) 記録装置
JPS6343672Y2 (ko)
US3322367A (en) Roll film hol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