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2141B1 - 지시 기록계 - Google Patents

지시 기록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2141B1
KR820002141B1 KR7800114A KR780000114A KR820002141B1 KR 820002141 B1 KR820002141 B1 KR 820002141B1 KR 7800114 A KR7800114 A KR 7800114A KR 780000114 A KR780000114 A KR 780000114A KR 820002141 B1 KR820002141 B1 KR 82000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frame
shaf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야 후지다
세쓰오 사또오
히로시 안도오
Original Assignee
요꼬가와 쇼오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요꼬가와 덴기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꼬가와 쇼오소오, 가부시기 가이샤 요꼬가와 덴기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요꼬가와 쇼오소오
Priority to KR780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2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시 기록계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계기의 외관도.
제2도는 제1도 계기의 문짝을 떼어낸 정면도.
제3도는 외함 유니트의 분해도.
제4도는 전원 유니트의 분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전원 유니트의 일부가 외함 유니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
제6도는 내부 프레임 유니트 전체의 투시도.
제7도는 일부를 분해시킨 부프레임의 구성 설명도.
제8도는 내부 피레임의 상부의 분해도.
제9도는 기록지 보지체의 종단면도.
제10도는 기록지 보지체의 작동설명도.
제11도는 타점기구의 외관도.
제12도는 타점기구의 측면도.
제13도는 타점기구의 정면도.
제14도는 타점기구의 평면도.
제15도는 타점기구의 평면 단면도.
제16도는 타점기구의 요부의 측면도.
제17도는 평형 전동기의 분해 투시도.
제18도는 기록 펜기구의 외관도.
제19도는 경보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투시도.
제20도는 구동기구의 일부의 분해도.
제21도는 구동기구의 다른 일부의 절환기구의 분해도.
제22도는 구동기구의 설명도.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기 계측기나 공업계기에도 디지탈화하는 경향이 있으며 여러가지의 디지탈형 계기가 출현되고 있다.
한편 수년전까지 계속된 세계적인 석유공업의 발전으로 플랜트가 대규모로 되고 중앙 제어실내의 패널계장이 고밀도화되어서 종형 기록계와 같은 소형인 계기를 생산하게 되었다. 특히 계기의 소형화는 그후의 대규모 접적회로의 출현에 따라 일층 박차가 가해지게 되었다. 그리고 다음 세대의 기록계는 이들 "디지탈화''와 "소형화"를 겸비하는 것이 의무적으로 되게 되었다. 그렇지만 아날로그 계기는 측정량의 변화나 제어 대상의 상황을 직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디지탈형 계기에서 발견할 수 없는 특징이있다. 이 특징은 기록폭이 큰 대형 기록계에 있어서 특히 유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계기에 대한 수요가 계속적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계기에 있어서 대형과 소형을 구획하는 특별한 규정은 없으나 기록계에서는 그 유효기록폭에 있어서 대략 150mm를 경계선으로 하여 그 이상을 일반적으로 대형 기록계라고 부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대형 기록계에 관한 것이며, 우선 계기전체가 견고하고 내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보수 점검에 편리한 계기를 실현함을 제1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계기를 수용하는 외함 유니트와, 전원 계통등으로 구성된 전원유니트와, 내부 프레임을 취부하고 상기한 외함 유니트에서 인출할 수 있는 내부프레임 유니트의 3개의 부분으로 계기를 구성하였다. 이 경우 외 함유니트는 프레스 가공이 가능한 얇은 금속판 등으로 된 요소를 서로 결합시켜서 요부를 보강하도록 하였다. 또, 내부 기구 전체의 구성부분은 고장율이 낮고 또 중량이 무거운 전원 트랜스와 같은 부분과 그외의 부분의 두개로 분류되어 잔자를 전원 유니트에 포함시키고 후자를 내부프레임 유니트로 구분되도록 구성한다. 이 결과 외함 유니트는 얇은 금속판이므르 가공이 용이하고 재료비가 싸고 또 보강재에 의해서 견고하게 된다.
또한 조정이 불필요하고 또 무거운 전원 유니트와 독립적으로 내부프레임 유니트를 외함유니트에서 인출할 수 있게, 설계가 합리적이며 고장 발생도 적다.
그런데 상술한 석유공업과 같이 진전된 공업기술중의 하나에 알루미늄의 건축자재를 성형하는 알루미늄의 건축자재를 성형하는 알루미늄의 성형기술이 있다.
알루미늄 성형품은 알루미늄의 원주상 원재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고 이 원재를 다이(die)라고 불리우는 초경(招硬)금형을 통해서 콘베어 벨트상에 압출하여 성형되어 만들어진다. 따라서 성형품은 그 길이가 길고, 이것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해서 여러가지의 제품에 사용한다. 이 성형품의 절단면이 좌우 또는 상하 다른 형성으로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형재(異形材)라고 불리운다.
본 발명은 이 이형재를 계기의 외함이나 프레임 부재 또는 치차용 케이스등에 교묘하게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형재는 상기와 같은 성형 공정을 취하므로 원형구멍의 형성은 곤란하지만 개구형의 단면이 Ω형인 개구의 가공은 용이하다. 이 개구에 셀프탭(self-tapping)스크류우를 사용하면 그대로 나사 고정방식으로 된다. 또 요상의 절결부를 형성하면 부품들의 위치를 정하면서 취부할 수 있는 취부구로 될뿐만 아니라 배선류를 독립적으로 수용하는 덕트를 겸하게 된다. 따라서 이 이형재를 이용해서 조립이 용이하며 제작공수가 격감되는 계기를 만들 수 있다. 또 이형재는 단면형상이 일정한 장척재이기 때문에 이것을 예를들면 내부프레임의 횡 프레임제등으로 사용하면 절단 길이를 변경시켜서도 기름폭이 다른 기종의 계기에도 사용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기종에 무관계한 재료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작비가 저렴한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들 이형재는 알루미늄 이형재이기 때문에 합성수지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른 영구변형도 없고 계기의 정도의 저하나 고장도 생기지 않는다. 물론 계기의 전체 중량은 경량으로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에 의한 특징적 구성이나 작용효과는 이하에 기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자연적으로 명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계기의 외관도, 제2도는 제l도 계기의 문짝을 떼어낸 정면도로서,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HU는 계기의 외함 유니트이다. 외함유니트 HU는 제3도의 분해도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의 문짝(11), 앞틀(I2), 동부(Shell)(I3), 저판(14), 중간판(15) 및 배판(16)으로 구성된다. 문짝(11)은 다이 캐스트로 만든 4각형 프레임(111)에 투명창(112)를 끼우고, 그것의 뒤쪽은 팩킹(113)을 취부, 를내어 화장단(style strip)(114)이나 기록지 카드(115)가 취부된다. 상기한 팩킹(113)은 문짝(11)을 닫을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또 기내를 밀폐해서 먼지등의 침입을 방지하기도 하고 공기정화용 폐쇄 수단으로 이용된다. 번호 117은 문짝의 지지핀, 118은 프레임의 측변에 설치된 요부로 구성된 손잡이이다. 또 앞틀(12)의 상하에는 L자형으로 절곡시킨 프랜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뒤는 외형이 작아져서 네구석이 절취되고 각변(122)이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있다. 보강판(123)는 절취부(124)를 매몰시킨 보강판인데 삼각형의 판을 수선을 따라서 직각으로 절곡시켜서 만들어졌다. 앞틀(12)의 구석은 절취되어 있으므로 프레스에 의한 절곡가공이 용이하다. (131)과 (141)은 동부(13)와 저판(14)의 후부에 형성된 타출부(打出部)이고 이 부분에는 각기 4개의 함몰원(陷沒圓)(132)와 (142)가 설치되어 있다. 함몰원(132)(142)는 외측에서 힘을 가하면 간단하게 타발할 수 있으며 이 구멍에 도관을 사용하면 외부 배선을 밀봉구조로 할수있게 구성된다. 또 이들 함몰원의 사용수는 외부 배선에 따라서 결정된다. 부호 (151-156)은 중간판(15)에 설치된 단자판용의 구멍이다. (156)은 전원용의 단자판의 구멍, (151)(152)는 입력 단자판의 구멍, (153)-(155)는 조절신호나 전송신호용 단자판의 구멍이다. (161)은 중간판(15)의 상내면에 고정된 금구이고 같은 것이 저판(14)의 상면에도 설치되고 이들의 금구(161)는 배판(16)의 취부용으로 이유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외함유니트 HU는 앞틀(12), 동부(13), 저판(14), 중간판(15) 및 배판(16)을 각기 얇은 금속판에서 프레스로 형발(型拔)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것을 만든다. 그리고 앞틀(12), 동부(13), 저판(14), 중간판(15)는 스포트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이어서 앞틀(12)의 절취부(124)에 보강판(123)을 매몰해서 보강하고 그 좌측(제2, 3도)의 상하에는 블록상의 지지편(144),(145)를 고정시킨다.
또 우측의 아래 구석에도 동일한 계지편(146)을 고정시킨다. (제2, 7도). 따라서 외함의 본체(10)는 전방에 앞틀(12)가 끼워져 있으며 네 구석에는 보강판(123)이 매몰되고 그위에 블록상의 지지편(144), (145)를 고정한다. 또 타방의 하면구석에도 동일한 계지편(146)을 고정시킨다(제2, 7도).
따라서 외함의 본체(10)의 앞틀(12)는 다소의 외력이 가해진 정도로는 변형되지 않는다. 또 중간판(15)은 타출부(131), (141)의 내측에 접촉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저판(14)의 절결부(147)에 협지되어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으며 외함유니트 HU전체를 견고하게 할수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결합된 본체(10)에 화장판(114)등을 취부한 문짝(11)의 아래의 지지핀(117)을 프랜지(121)의 구멍에 삽입시키고 위의 지지핀(117)을 압압하면서 위의 구멍에 넣어서 이것을 본체(10)에 취부한다. 또 (17)은 취부금구로 계기를 패널 전면에서 삽입한후, 이 금구의 프랜지(171)와 상기한 프랜지(121)과의 사이에 협지시키면 경사공(172)에 의해서 패널의 두께에 관계없이 계기를 패널에 고착시킬 수 있다.
계기내 부프레임(계기를 구성하는 부품은 지금까지 기술해온 외함 유니트 HU내에 모두 수용된다)은 그것이 취부되는 위치에 따라서 고정부분과 인출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고장율이 낮고 또 중량이 무거운 전원 트랜스 등은 고정부분에 포함되어 있고 상술된 외함유니트 HU내의 안쪽으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또 가동부분에는 기록지나 잉크등의 보충, 교환 혹은 점검 조정을 필요로 하는 지시기록기구 등이 포함되고 이들은 추후 설명하는 내부프레임에 취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지극히 합리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내부프레임에 가해지는 중량이 작으며 또 보수, 점검에도 편리하다. 이하 고정부분을 구성하는 전원유니트에 대해서 제4도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유니트 EU는 100V등의 상용전원 공급용의 배선과 그 단자판, 각 측정점에서 보내지는 측정신호용의 배선과 그 단자판, 그리고 각 전자분품, 구동용의 전원을 취출하는 전원 트랜스외에, 증폭회로나 레인지(range)회로용의 프린트판 등을 포함하고 있다. 번호 21은 전원 유니트 EU의 후 프레임, 그리고 22는 이 프레임에 연결된 횡 프레임이다. 후 프레임(21)은 금속판을 절곡하여서 만들어지고, 후면에 구멍(211)-(214) (번호 213은 다른 것보다 작은 동전형이며 도시되어 있지않다)가 설치되어 있다. 구멍(211), (212), (213)은 상기한 중간판(15)의 공(151), (152), (156)에 대향되고 구멍(214)은 놀고 있는 구멍이며 조립시의 배선등은 이구멍을 통해서 되어질 수 있어서 취급하기 편리하다. 번호 (23)은 입력 신호용의 단자판 기구이며, (231), (232)는 단자판, (233), (234)는 평행으로 배치된 2장의 프린트판이다. 단자판(231)은 측정점 1-6번 째용의 것, (232)는 측정점 7-12번째용의 것으로, 측정 개소에서의 입력 신호용 도선이 제각기 접속된다. 이들 단자판(231), (232)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면에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의 스크류 단자에 결합되어 있는 단자 편군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을 프린트판(233)의 구멍에 삽입시켜서 직접 납땜으로 접속 고정된다. 배선(235), (236), (237)은 프린트판(233), (234)에 접속된 가요성의 배선이다. 또 단자판 (231)과 (232)도 직접 접속되어있다. 번호 (238)은 코넥터핀,(239)는 프린트판의 안내부이다. 이 단자판기구(23)가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고 난후, 프레임(21)에 전면측에서 나사로 고정되며 그 위에 카버(230)가 장착된다. 카버(230)내에는 안내부(239)를 이용해서 제5도에 도시한 앰프 및 레인지용의 2장의 프린트판(216), (217)이 삽입된다. 그리고 코넥터 핀(238)에 의해 이들 2장의 작은 프린트판(216), (217)이 큰 프린트판(234)상에 접속된다. 카버(230)에는 덮개(218)가 덮여진다.
번호 (24)는 트랜스 기구이다. 트랜스 기구(24)는 전원 트랜스(241)와 4개의 고정나사(242), 정, 부 2장의 프린트판(243), (244)로 되어있다. 트랜스(241)는 후 프레임(21)의 하부에 나사(242)에 의해 고정된다. 4개의 고정나사중 2개는 약간 길게 만들어져서 스터드(stul)를 형성하고 이들의 선단에 정 프린트판 (243)이 취부된다. 정 프린트판(243)에는 상하 좌우의 간격이 일정한 핀홀 군(246)을 포함한 도전 패턴과 하나의 창(247)이 설치되어 있다. 또 부 프린트판(244)에는 핀홀군(246)중의 몇개와 대응하는 핀(248)이 고정되어 있으며 동시에 전원 전압(예를 들면 100V, 112V, 120V 및 200V, 및 240V)의 수치가 표시된틀 (249)이 설치되어 있다. 각틀은 창(247)과 같은 크기로 된다. 그리고 그때에 사용할 전원에 따른 숫자(예를들면, 100V이면 숫자의 "100")를 틀(249)내에서 선택된 창(247)에서 표출되도록 부 프린트판(244)를 정 프린트판(243)에 중첩시켜서 핀(248)을 핀홀(246)에 감합시키면 표시 전원에 따른 배선이 자동적으로 선택된다. 사용 전원이 120V일때는 창(247)에서 "120"이 표시되도록 부 프린트판(244)를 정 프린트판(243)에 중첩시키면 된다. 여하간 프린트판(243)의 2차 권선의 각 단자에서는 동일한 전압을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트랜스로 수종의 전원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배선작업도 용이하고, 또 사용전원을 창(247)에서 한눈에 볼수있다. (227)은 이 트랜스의 카버이며, 이것에도 상기한 창(247)에 대응하는 창(2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횡 프레임(22)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이형재로 만들어지고 상기한 외함 유니트 HU내의 측면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 횡 프레임(22)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부(221)는 전원 유니트 EU내의 전원용 도선이나 신호용 도선등을 그 레벨이나 기능에 따라서 분리하면서 수용해서 절연한 배선이 되게함과 동시에 각 배선 상호간에 발생되는 노이즈등의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덕트의 기능을 다한다.
25는 스위치 기구이고, 이 기구(25)는 2조의 절환 접점을 가진 스위치 본체(251), 기판(252), 표시판(253), 교체 가능한 퓨즈(254) 및 피복판 (255)가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251)의 위의 노브(256)는 기록용, 아레의 노브(257)는 전원용으로 사용되고, 다같이 위로 압상시키면 on으로 되고, 아래로 압하시키면 off로 된다. 번호 26은 배선용의 보지체,(27)은 2장의 프린트판(271)(272)로 된 조정용 프린트판 기구이다. 보지체(26)는 염화 비닐 또는 폴리플로필렌 같은 합성수지의 판재의 양측에 교대로 일정한 간격의 절결홈을 넣고, 이 홈을 이용해서 지그재그상으로 절곡시킨 것이다. (262)-(264)는 보지체(26)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삽통공(265)은 이들 삽통공간을 연결하는 절단선이다. 각 삽통공(261)-(264)에는 전원용 단자판(245) 스위치기구(25), 트랜스기구(24)를 연결하는 전원용의 배선이나 신호용의 배선(235)(236)(237)이 삽통된다.
이 경우의 배선의 삽통은 보지해야 될 배선을 보지체(26)의 한쪽면에 붙여놓고 절단선(265)를 배선과 함께 반대측으로 압출시키면 이 부분이 보지체(26)의 다른쪽으로 이동된다. 이결과 배선이 삽통공에 교대로 방향을 변경시켜서 삽통되고 봉사상(縫系狀)으로 되어서 보지체(26)에 보지된다. 배선을 교한시킬때에는 절단선(265)을 타측으로 이동시켜진 배선과 함께 이쪽으로 밀면 배선이 보지체(26)의 이쪽으로 바꾸어서 이송된다. 따라서 보지체(26)의 절단선(265)을 이용하면 그때 마다 배선을 보지체의(26) 삽통공(261)-(264)에 삽통시킬 필요가 없어서 취급하기에 편리하다.
또 조정용의 프린트판 기구(27)에는 상기한 도선(237)이 접속되고 개인 조정회로나 0-스팬조정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변 저항기가 취부되어있다. 그리고 이 프린트판 기구(27)는 내부프레임 유니트 FU의 하부공간(R3)에 배치되고 상기한 가변 저항기의 조정 소자가 전면에 노출되어서 계기의 전면에서 조정되도록 되어있다. (273)은 이 기구(27)의 뒷덮개, (274)(제2, 6도)는 GAIN, ZERO, SPAN의 조정 대상을 명시한 확장판이다. 이와 같이 후 및 횡 프레임(21), (22)를 토대로 해서 이것에 단자판 기구(23), 트랜스기구(24), 스위치기구(25), 배선 보지체(26) 및 조정용 프린트판 기구(27)를 일체로 취부해서 전원 유니트 EU가 구성된다. 이 전원유니트 HU는 상기한 외함 유니트 HU의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서 몇개의 나사로 고정된다. 그후 배선 보지체(26)의 타단을 내부프레임 유니트 FU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조정용 프린트판 기구(27)를 소정 위치로 취부조립이 완료된다. 이 경우, 각단자(231)(232) 및 (245)가 후프레임(21)에 취부된 채로 나사단자측을 상기한 중간판(15)의 구멍(152),(153) 및 (15I)의 구멍을 통해서 각기 이면측으로 노출되도륵 되어있다. 그리고 고정된 이 전원 유니트 EU와 가동의 내부프레임 유니트 FU를 접속하는 배선은 보지체(26)를 개재해서 연결된다. 내부프레임 유니트 FU를 외함유니트 HU에 수용된 상태로는 이들의 배선은 보지체(26)와 함께 지그재그 상으로 긴밀히 중첩되고 내기를 유니트 FU를 인출하면 직선상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여유가 있는 배선이 수하되던지 옆으로 삐쳐나오던가 하지않으므로 단선사고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선을 소형으로 할수 있다.
계기의 주요부품은 이미 설명을 한 외함 유니트 HU내에 수용되며 그 외함 유니트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내부프레임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하면 계기의 작동중에라도 이 부분을 외함 유니트HU에서 외부로 인출해서 작동상태를 관찰 하기도 하고 점검 조정할 수 있다. 제6도는 내부프레임 유니트FU의 전체도, 제7도 이하는 그 구성소자의 분해 설명도이다.
번호 30은 내부프레임, (31)과 (32)는 내부프레임의 측판이다. 이들 측판 (31), (32)은 알루미늄 합금의 다이캐스트로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다. (301)과 (302)는 좌측의 측판(31)의 상하에 형성된 지지부이고, 상기한 외함 유니트 HU의 지지편(144), (145)와 함께 축(303)(304)를 결합시키며 경첩을 형성하고 내부프레임(30)의 인출지점으로 된다. (33)과 (34)는 양측판 (31)과 (32)간을 연결하는 하부비임, (35)는 이들 두 비임사이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Y자상으로 된 기록지 보지체이다. 상하의 비임(33),(34) 및 기록지 보지체(35)는 상기한 전원 유니트 EU의 횡 프레임(22)과 같이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된 이형재로 만들어진다. 이 형재에 있어서의 Ω자형의 홈은 나사의 개방형 타공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탭핑스크류를 사용하면 그대로 나사 고정이 되고 기계가공 공수가 많이 감소된다. 또 이형재는 단면 형상이 일정한 길이의 선형의 압출재이기 때문에 이들을 기록지의 지폭의 종류에 따라서 절단하므로써 공통부품을 사용한 다기종형의 계기를 구성할 수 있고 호환성이 있으며 다량 생산형의 지시기록계를 실현할 수 있다.
번호 (331)과 (332)는 상부비임 (33)에 두장 겹쳐서 고정되고 얇은판 스프링으로 된 기록지 압압부이다. 기록지 압압부(331), (332)는 공히 기록지 C를 원활하게 송치하는 것이고, 기록지 C를 후술한 스프로켓의 외주에 따라서 송치시킴과 동시에 스프로켓의 양측의 송치치 부근에 동출한 좁은 원호형의 두 개의 압압부(333)에 의해 기록지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비임(33)의 상방에 형성된 공간 R1은 타점기구나 기록펜기구와 같은 기록소자 등을 배치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고, 배면측에는 평형전동기나 절환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한편 하부비임(34)과 기록지 보지체(35)로 형성된 전방의 공간 R2는 기록이 다된 기록지를 격납하는 격납실을 구성한다. 또 하부비임(34)의 후부공간 R3에는 상기한 전원 유니트 EU의 조정용 프린트판 기구(27)가 배치된다. 또 하부비임(34)과 외함 유니트 HU의 저판(14)으로 형성되는 공간 R5는 계기에 필요할지도 모르는 부가기구를 격납하게 형성되어 있다.
기록지 보지체(35)는 제8, 9, 10도에 도시한 것처럼 좌우에 대칭형의 횡판(351), (251)이 고정되며 내부는 사용되지 않은 절곡된 기록지 C를 넣는 수용실 R4를 형성하고 있다. (352)는 취부판, (353)은 그 취부판(352)과 상기한 하부비임(34)의 사이에 배치되며 그 취부판(352)에 상방으로 향한 힘을 가하는판 스프링이다. 취부판(352)의 좌우는 축(354), (354)를 개재하고 측판(31)과 (32)에 회전될 수 있도록 취부되어 있다. (36)은 횡판(351), (351)사이에 설치된 스프로켓이다. 스프로켓 (36)은 양측에 송치부를 설치한 송치차(362)가 고정되어 있다. 번호(362)과 (364)는 스프로켓의 축이고 좌측의 축은 길게만들어져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않은 감합부분에 일방향 전동형의 로울러 클러치와 환상의 스프링을 이용한 마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 축(363)의 횡판(351)에서 돌출된 부분에는 후술할 구동기구 에있어서의 두 개의 치차 G23과 G231이 고정된다. 상기한 클러치는 전동축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될때는 클러치가 결합되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는 이것을 해제한다. 또 마찰기구는 일정치 이상의 외력에 따라서 구동, 피구동계의 결합을 풀수있다. 따라서 기록지의 장전시 스프로켓(36)을 수동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던지 약간 강한 힘으로 역향방으로 회전 시킬수 있고, 기록지의 늘어짐이 없어지고 동시에 기록초기에 늦게 보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스프로켓(36)은 기계 가공후 수지액에 침지하던지 혹은 수지액으로 도포하여 원통부의 표면에 박막이 형성되어서 수분이 튀겨진다. 따라서 기록용 잉크의 침투나 오염이 방지되고 타점침의 흔적이 선명하며 기록펜의 이행도 원활히된다.
번호 (365)는 스프로켓(36)에 평행으로 배치된 압압 로울러이다. 로울러(365)의 한편의 축단은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전장이 신축되고 양횡판(351)간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된다. 번호 (355)는 상기한 측판(31), (32)의 내측에 고정된 핀(311), (321)에 대향하고 좌우의 횡판(351)에 설치된 깊고 얕은 두개로 된 2단 원호형의 절결부이다. 또 (356)은 작은 요철로 형성된 지궤부(finger grip)이고, (357)은 수용실 R4내를 외부에서 들여다볼수 있는 동전형의 구멍이다.
제9도는 보지체(35)가 내부프레임(30)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전면에서 지궤부(356)에 손가락을 걸어서 판 스프링(353)의 힘에 대향하여 보지체(35)를 하부로 압압하면 절결부(355)의 끼은 원호가 핀(311), (321)에서 벗겨지고 다음에 얕은 원호가 계합되어서 록크된다.
이때의 상태가 제10도의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기록소자가 기록지에서 이탈된다. 보지체(35)를 아래로 더욱 압압하면 판 스프링(353)의 힘을 받은 취부판(352)이 스토퍼 핀(358)에 당접되어서 그 이하는 보지체(35)가 자유상태로 되어서 축(35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보지체(35)의 공간 R4내에 있는 기록지 C를 취출해서 새것과 교환할 수 있다.
교환후, 보지체(3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록소자와 기록지가 직접 접촉하기전에 점선의 위치에서 스톱된다. 여기서 기록지의 기록편(기록소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또 보지체(35)를 압압시키면 보지체(35)는 위의 스토퍼핀(359)에 당접되어 지나쳐가는 일이 없어지며 절결(355)이 핀(311), (321)에 당접해서 실선의 위치에 수납되고 기록지의 기록준비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기록지 보지체(35)는 인출 직후와 수납직전에 자동적으로 한번 로크되어서 정지하며 그후 기록지 측을 강하 또는 상승해서 기록 가능한 상태로 세트된다. 따라서 기록펜과 기록지와의 접촉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번호 (37)은 스케일, 번호 (371)은 그 스케일을 보지하는 보지판이다. 보지판(371)은 단면이 ㄷ자형으로 만들어지고 양단이 측판(31)과 (32)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으며 내부에 후술할 경보기구의 배선을 수납함과 동시에 상, 하변의 상면에서 경보기구와 타점기구의 일부를 보지한다.
(38)은 내기틀(30)을 외함 유니트 HU에 로크하는 로크부재이다. 로크부재(38)는 베어링(381)을 가진 파지판(382)과 가늘고 긴 스프링 판을 도중까지 절단해서 절곡시킨 압압 스프링(383)과 돌기를 비치한 조판(瓜板)(384)과, 로울러 (385)로 구성되어 있다. 압압스프링 (383)의 한편의 절단편의 선단은 파지판(382)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내기틀(30)의 하단에 돌설된 취부축(386)에 파지판(382)에서 도시(제7도)된 순으로 감합하고 나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링이 취부된다.
한편 외함 유니트 HU의 내부의 우측하부 구석에는 제2도에 도시된 것 같은 블록상의 계지편(146)이 고착되어 있으며, 조판(384)는 이 계지편 반에서 저쪽축으로 또 로울러(385)는 앞축에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되어 있던 내기틀 유니트 FU를 외함 유니트 HU에 수납하면 로울러(385)가 계지편(146)의 이쪽측의 평면상에 접촉되어서 회전한다. 또 조판(384)은 저쪽측의 경사면에 접촉하면서 깊숙히 안으로 진행, 조단부가 계지부(146)를 넘으면 약간 회전되어서 로크된다. 로크상태에 있어서는 내기틀 유나트 FU는 로울러(385)에 따라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축(303)등으로 구성된 경첩 기구를 보호함과 동시에 내기틀(30)에 취부된 정밀한 타점기구 등에 가해지는 외부 진동에 따른 악영향을 없앨 수도 있다.
파지판(382)의 상단을 앞으로 당기면 압압 스프링(383)의 절단편의 자유단이 돌기에 힘을 가해서 조판(384)을 돌려서 로크를 풀기 때문에 내기틀 유니트 FU를 외함 유니트 HU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39)는 장착판이다. 이 장착판은 동형으로 2매 1조로 만들어지고 다같이 좌, 의우 측판(31)과 (32)의 우측면에 나사로 고정시킨다. 장착판(39)에는 다음에 기술하는 지시 기록 기구의 구동축이나 보지축 등을 축수해서 보지한다.
타점기구(40)의 구성을 제11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다. 번호 (41)은 타점 틀이다. 타점틀(41)은 후벽과 후벽을 일체로 성형한 것 같은 기틀(411)과 좌측의 측판(412)와 이들의 전부를 연결하는 연결축(413)으로 구성된다. 번호 (414)는 타점틀(41)의 좌우에 압입된 축수, 번호(410)은 양측에 돌출된 조사용의 취부편이다. 번호 (435)는 기틀(511)의 전부에 고정된 금속부재이다. 금슥부재(415)에 있어서의 상방에 돌츨된 부분에는 합성수지의 로울러(416)가 설치되어있다. 번호 (417)은 후술한 슬라이드 저항기의 브러시나 경보기구의 작동 돌기등을 취부하기 위한 취부원이다. 부호 (42)는 상기한 장착판 (39)에 지지되고 길이방향에 키이슬릿(421)을 설치한 구동축(43)은 이 구동축(42)에 느슨하게 고정되고 키이슬릿(421)에 계합되는 핀(431)을 설치한 원통상의 접동축이다.
실린더형 접동축(43)은 좌우의 축수(414)에 회전되도록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축(42)은 타점틀(41)의 두개의 축수(414)와 접동축(43)에 감입되어 있으며 타점틀(41)은 이 구동축(42)상을 접동하면서 접동축(43)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 경우 타점틀(41)의 전부는 상기 보지판(371)의 하변에 접한 로울러(416)에 의해서 낙하되지 않도록 보지되었 있다.
또 접등축(43)에는 3개의 요부를 설치한 요상 캠(432)파 3개의 핀을 측면에 돌출시킨 제내버(geneva) 캠 (433)과 3개의 급준한 삼각 독기를 비치한 돌기캠(434)이 일체로 취부되어 있다. 돌기 캠(434)은 필요에 따라 구성되는 타점스캡으로 이용된다. 번호 (44)는 제1 가동판, 번호(441)은 제2 가동판이고, 이들 양 가동판(44),(441)의 일단을 각기 베어링(414)의 내측부분에 느슨하게 고정되고, 도중에는 요동축(442)이 고정듸어 있다. 요동축(442)에는 제네버캠(435)과 치차(436)에 유감되어 있다.
번호 (45)는 새모양의 요동 레버이며, 복부가 요동축(442)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요동레버(45)의 주둥이부(451)는 접동축(43)상의 요상캠(432)에 대접되고, 미부(尾部)(452)는 연결축(413)상에 접촉한다. 번호 (443)과 (444)는 각기 제1 가동판(44)에 삭설된 축(445)과 (446)에 감합되는 치차이다. 번호 (46)은 제1 가동판(44)에 고정된 타점축(461)에 치차(462)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타점륜이다. 타점륜(46)에는 12개의 타점 침(463)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의 타점침(463)의 옆에는 등수의 거치(鋸齒)를 가지고 경사면에 숫자를 표시한 문자차(464)가 취부되어 있다. 번호 (467)은 제1 가동판(44)에 일단 고정시킨 클릭크 스프링이고 자유단에는 반구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이 돌기가 타점륜(46)의 측면의 동일 원주상에 설치된 12개의 요부(468)에 순차로 계합하도록 되어있다. 번호 (47)은 잉크패트(pat)기구이다.
잉크 패트기구(47)는 스톱핀(471) 및 장착축(472)을 가진 주형(鑄形)상의 홀더(473)와 장착축(472)에 꺼낼 수 있도록 감합된 패트차(474)로 되어있다. 패트차(473)에는 다른색의 잉크를 포함하고 타점침의 수에 대응한 잉크패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473)의 주형상의 개방단은 요동축(442)의 원주에 설치된 홈에 착탈자재로 감합하고, 핀(471)이 타점틀(4l)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 경우, 패트차(474)의 측면에 설치된 짧은 계합핀(475), 치차(444)의 계합공(447)에 계합되어있다. 번호 (48)은 타점틀(41)의 전면에 취부된 지침이다. 지침(48)은 투명한 프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중앙부에 적색의 지표선(481)이 형성되며 그 지표선(481)은 상기 스케일(37)의 눈금에 대향한다. 또 점선으로 도시된 번호(449)는 기틀(411)의 내측에 따라서 배치된 스프링판이고 양단이 요동축(442)과 결합축(448)에 고정되고 분지(分枝)된 부분을 홀더(473)의 선단에 접촉시킨다. 이 스프링판에 의해 패트차(474)가 타점침(463)에 접촉된다.
번호 (49)는 풀리(pulley)기구이다. (제6, 11도). 풀리 기구(49)는 큰 구동 풀리(491)와 작은 4개의 유동 풀리(492)와 스트링(string) (493)으르 된다. 4개의 유동풀리중 전면측의 2개의 풀리(492)는 상기 좌우의 장착판(35)에 취부된다. 또 후측의 2개의 풀리(492)는 제17도에 도시된 것처럼 한편이 취부판(494)에 의해 타편은 일측부를 빗살상으로된 취부판(495)과 가느다란 스프링판(496)에 의해 모두 상부량(上部梁)(35)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판(496)의 중간 영역은 빗살에 대향되어 있어서 스프링의 과도의 만곡이 제한된다.
그리고 스프링(493)의 일단은 타점틀(41)의 한판의 취부편(410)에 고정 되어서 2개의 풀리(492)에 걸려서 도중이 구동풀리(451)의 둘레에 2, 3회 권회되며 타단은 다른 2개의 풀리(492)를 개재해서 타방의 취부편(410)에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타점기구)에 급격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이 스프링판(496)이 완충작용을 한다. 따라서 스트링(493)에 큰 장력이 가해지는 일없이 스트링의 단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취부판(494)의 나머지의 빗살은 한번, 두번시에 이용된다. 번호 (51)(제6, 17도)은 평형 전동기, 번호(511)은 취부 프레임, Gm1-Gm4는 전동기(51)의 출력치차 Gm1을 함유한 치차열, 번호 (512)는 도선, 번호 (513)은 코넥터이다. 치차열의 종단치차 Gm4는 상기한 구동 풀리(491)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 코넥터(513)는 상기한 실(室) R3의 이개 (backlid) (273) (27)의 공을 통해서 프린트판 기구(27)의 플러그에 감합된다.
번호 (52)는 저항기구이다. 저항기구 (52)는 제6도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내부틀(30)위에 있는 개장판(521)을 가지고 있다. 개장판(521)은 이형재에서 만들어지고 이측에복수의 평행한 칸막이(522)에 의해서 박아진 일정한 폭의 평면부(5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장판(521)은 후방이 내부틀(30)의 상단부 후방에 2개의 축핀(524)으로 지지되며 통상은 전방을 나사(525)로 호울(526)에 고정시켜져서 내부틀(30)의 상면을 덮고 있으나, 이 나사를 빼면 축핀(524)를 지점으로 회전시켜서 개방할 수 있다. 번호 (53)은 미끄럼저항기이며 절연재로된 기판(531)과 미끄럼 저항선(532), 복귀선(533), 도선(534) 및 코넥터(535)로 구성된다.
미끄럼 저항선(532)은 표면을 절연시킨 심선상에 저항선을 대충 감은 기선을 사용하고 복귀선(533)은 금속선을 기선으로 하고 공히 이들의 기선상에 도전성 프라스틱의 박층을 형성하고 소위 하이드리드(hyd-rid)저항을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미끄럼 저항기에 따르면 기선상에 저항선을 권부시킨 보통 미끄럼저항기에 비교해서 접촉면에 산화막의 발생도 없고, 내식, 내마모성을 가지며 또 분해 능력도 지극히 높일 수 있다. 미끄럼 저항기(53)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니트를 구성하여서 상기한 하나의 평면부(523)에 나사에 의해 제외하고 자재로 장착된다.
번호 (54)는 브러쉬이다(제6, 11, 18도). 브러쉬(54)는 V자상의 보지 스프링(541)과 V자의 선단에 1개의 축핀(542)으로 지지된 각형의 절연대(543)와 이 대상에 착탈 가능한 코일 접점(544)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 접점(544)은 양단과 중앙이 절연대(543)에 접해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544)이 상기 미끄럼지지기(53)에 대향하도록 타점기구(40)의 취부아암(417)상에 취부된다. 접점(544)은 탄성력으로 상하동되는 보지 스프링(541)의 정점에서 핀(5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543)상에 이것과 항상 균일한 압력으로 미끄럼 저항기(53)에 접촉된다. 특히 접점(544)은 코일상이고, 또 3점의지지점의 중간의 변위 가능한 부분을 각기 저항선(532)와 복귀선(533)에 대향시키고 있으므로 일층 접촉이 확실하게 된다. 또 상기한 스프로켓(sprocket)(36)을 함유하고 기록지 C를 장착한 기록보지체(35), 스케일(37), 타점기 구(40), 평형전동기 (51)등은 지지 기록기구를 구성한다. 이 지지 기록구체의 지지 기록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후술하는 동기 전동기의 회동력은 직접 스프로켓(36)에 송치되는 기록지 C를 일정 속도로 송출시킨다.
또 타점기구(40)의 구동축(42)에는 같은 동기 전동기의 회전이 일반 제네바기구에서 간헐 회전으로 변경되며 이 간헐회전이 공급된다. 또 이 간헐회전은 아직 설명되어 있지 않은 측정점 절환용의 절환스위치에도 공급되어 있다. 구동축(42)이 회전되면, 접동축(43)이 동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간헐회전은 또 제네바기구(433)와 (435)에 의해서 더욱 기는 간헐회전으로 되며 치차(436), (443), (444), (462)를 개재해서 타점륜(46)을 1/12회전시켜서 타점침(463)을 절환시킨다. 타점륜(46)의 절환에 동기해서 하나전의치차(444)의 계합공(447)과 핀(75)의 계합에 의해 패트차(474)로 1/12회전하고 타점침(463)과 패트가 접해서 잉크부착이 시행된다. 다음 순간 간헐 회전이 일단 중단된다. 한편 측정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저항기구(52)의 미끄럼 저항선(532)의 일단과 브러쉬(54)상의 접점(544)의 접촉 위치와의 사이에서 입력전압과 귀환전압이 비교된다. 평형 전동기(51)는 상기한 양전압의 편차를 없애도록 정역회전된다. 이 회전은 치차열 풀리 기구(49)를 개재해서 타점기구(40)를 구동축(42)상에 이동시키고 입력신호에 대응된 위치에 평형 정지시킨다. 이 결과 지침(48)이 측정량에 대응한 스케일(37)상의 눈금을 지시한다. 한편 상기한 중단중의 간헐회전이 재개되어 있으며, 요동레버(45)의 주둥이부(451)가 요상 캠(432)의 요부에 낙하되고 이 요동 레버(45)가 미부(45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제16도). 요동 레버(45)의 회전은 제1가동판(44)을 개재해서 타점륜(46)을 축수(414)를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강하시긴다. 그리고 타점침(463)이 기록지 C에 접해서 측정량이 기록된다. 더욱 구동축(42)가 회전되면 타점륜(46)이 상승되고 상술한 절환스위치에 따라서 측정점이 절환됨과 동시에 상술한 것과 꼭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순차로 12개소의 측정량이 지시 기록된다.
측정개소가 하나일때에는 상술한 타점기구(40)를 대신하여 기록소자로서 잉크를 사용한 펜 서식의 기록펜 기구가 적용된다. 기록 펜기구(60)의 구조를 제18도에 도시한다. 번호 61은 펜틀이고 그 펜틀(61)은 좌우의 측판(611)과 (612), 전판(613) 및 후판(614)로 구성되어 있다. 번호 (615)와 (616)은 공히 원통상의 전축수와 후축수이다. 이 펜기구(60)의 경우는, 기구(60)가 이들의 축수(615), (616)에 유동 감삽되는 2개의 축(62)(63)에 보지된다. 단 전축(62)은 비교적 가벼웁게 감합되고 추축(63)은 꼭맞게 감합되어 있다. 또 양축(62)(63)은 공히 장착판(39)에 양단이 축수되어 있다. 번호 (617)과 )618)은 선단에 테이퍼부를 가진 지지핀이고 한편의 핀(617)은 측판 (611)에 나사감합되어 있으며 선단위치가 축입 가능하고 소망의 위치에서 로크된다. 번호 (64)는 펜이다. 펜(64)은 전체틀 L자형으로 절곡시킨 얇은 판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펜 홀더(641)와 금속의 잉크 파이프(642)와 역 V자상의 조정 스프링(643)으로 되어있다. 펜 홀더(641)의 후부는 지지핀(617)(618)에 회전자재로 보지되어 있다. 잉크파이프(642)는 홀더(641)의 상면에 고착되어서 절곡된 자유단을 사향 상방에 장출되어 있다. 번호 (65)는 측판(611), (612)의 팁부를 교락한 보지판이다. 보지판(65)의 선단에는 나사(6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선단은 조정 스프링(643)에 계합되어있다. 그리고 펜(64)은 지지핀(617)(618)을 지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잉크파이프(642)의 선단에 장착되는 펜선단(644)을 기록지 C상에 접촉시킨다. 이경우 나사(651)를 틀어넣으면 스프링압이 강해져서 펜압이 커지고, 되돌리면 펜압은 약해진다. 번호 (48)과 (417)은 상술한 타점기구(40)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과 기능을 가진 지침과 취부아암이다. 지침(48)은 펜틀(61)의 저면에 고정되고 취부아암(417)에는 브러쉬(54)가 취부되어 있다.
또 제18도의 하방에 도시된 펜은 계기내에 2개의 기록펜을 장비하는 2펜형의 기록계기를 구성할때에 채용되는 제2 기록펜 기구이다. 제2 기록펜 기구는 상술한 기록펜 기구(60)를 제1펜으로 하고 그 전축(62)과 후축(63)의 아래에 배치되는 동일 구성의 2개의 축(621),(631)상에 장착된다. 이 제2기록펜 기구(60')에 있어서는 제1 기록펜 기구(60)에 있어서의 지침(48)과 전판(613)이 제거된 것이고, 후판(614)대신에 돌출부가 높이 뻗어나온 후판(614')를 사용한다. 또 펜(64')은 홀더(644')의 얇은 것이 사용되며 그 전면은 지표로 기능하는 녹색의 착색도료등으로 도포되어 있다. 제18도의 우하편에 도시된 번호 (66)은 잉크용기이다. 번호 (661), (661')는 2개의 잉크용기의 본체, 번호 (662)는 대판, 번호 (663)은 홀더이다. 홀더(663)는 얇은판으로 만들어지고 상측은 3방으로 포위판(664)이 설치되며 하방에 아아치형의 슬릿(665)을 가진 격부(66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잉크 용기(66)는 도면에 표시된 것처럼 내부틀(30)의 외측에 아아치형 슬릿(665)을 이용해서 나사(667)로 취부된다. 본체(661), (661')내에 저장된 잉크는 도출 파이프(668), (668')에 접속되는 잉크튜우브(601), (601')를 통해서 펜의선단(664), (664')에 송치된다. 단일의 펜형일 경우에는 잉크용기 대신에 스페이서(spacer)가 홀더(641)내에 장착된다.
홀더(641)의 아아치형 슬릿(665)을 이용한 잉크용기(66), (66')를 기울이면, 계기를 경사 취부하였을 때의 펜의 선단과의 상대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잉크헤드를 대략 일정하게 보유할 수 있다. 번호 602는 평면부에 접착제를 붙인 훅크이고 잉크 튜우브나 배선 등을 보지하기위한 것인데, 이 실시예에서는 잉크 튜우브(601)가 보지된다. 도면의 프라임(1)기호는 제2기록펜 기구에 속하는 각 소자의 참고번호를 나타낸다. 또 1펜형의 계기를 구성한 경우는, 단자판(232)이 생략되던지 후술의 절환 스위치가 제거되는 등의 구성사의 변화가 있다. 또 2펜형으로는 측정 회로의 증가에 따른 트랜스(241)의 증설이 요구된다.
제19도는 경보기구(70)의 구성설명도이다. 이 경보기구(70)는 상한용과 하한용의 설정기(71), (71')를 가진다. 하한용과 상한용은 오로지 대칭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분해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상한용에 대해서만 그 구성을 설명한다. 번호 72는 상한용의 설정기의 샤시이다. 샤시(72)의 후방의 U자형부에는 취부공(721)이 설치되어 있다. 번호 722는 고무의 깔판, 번호 73은 L자형의 작동편이다. 작동편(73)은 나사축(731)에 지지되며 스프링(732)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힘을 받고 있다. 번호 74는 요동자이며 샤시(72)의 상축(74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요동자(74)의 갈매기형의 사면부(742)는 작동편(73)의 자유단에 접촉되고 타단은 포크(fork)(743)를 형성하고 있다. 번호 75는 단자(751)-(753)을 가진 마이크로스 위치이고 도면의 다른쪽에는 작동기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작동편(73)의 도중에 접촉되어 있다. 번호(754)는 절연카버, 번호 76은 상판이다. 상판(76)에는 정지 나사(761)가 취부되며, 선단에는 나이프상의지표(762)가 형성되어 있다. 번호 77은 양단을 상기한 장착판(39)에 보지된 보지봉, 번호 771과 772는 스토퍼와 장착용의 원통축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설정기(71)는 취부공(721)을 이용해서 접동 가능하게 보지용 바아(77)상에 취부된다. 그리고 상판(76)의 U자형의 절곡부(763)와 돌출부 사이에 상기 스케일의보지판(371)의 상변부가 개장되고, 지표(762)는 스케일(37)의 눈금에 대향된다. 정지나사(761)를 조이면 이나사(761)와 돌출부(764)와의 사이에 보지판(371)이 협지되어서 설정기(71)가 고정된다. 정지나사(761)를 늦추면 설정기(7l)가 보지용 바아(77)에 따라서 이동한다. 한편 타점기구(40)와 기록펜 기구(60)에 있어서의 취부아암(417)의 수직부에 작동돌기를 가진 급구가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타점기구(40)나 기록펜 기구(60)가 측정량의 크기에 따라서 이동되어 설정기(71)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작동돌기가 요동자(74)로 요동시킨다. 요동자(74)가 요동하면 작동편(73)이 축(73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작동기를 변위시켜서 마이크로스위치(75)를 개폐한다. 따라서 이 마이크로 스위치(75)에 의해 경보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를(30)의 후방에 경보용의 스케일을 설치해서 이 부분에 경보기구를 배치할 수 있다.
제20, 21도에 도시한 번호 8은 동기 전동기(80)를 회전 동력원으로 하는 구동기구이고, 그 외관도를 제20도와 제21도에 표시하였다. 이 구동기구(8)를 대별하면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그 하나는 내브틀(30)의 후방에 취부된 1쌍의 보지판(81)내에 배치된 치차 그룹이다.
또 다른 하나는 내부틀(30)의 측면을 따라 수직공간에 위치한 전원용스위치 기구(25)의 위에 설치된 치차 상자(82)내의 그룹이다. 이들 양 그룹의 전치차 계열의 구성을 제22도에 도시한다. 도면에서 G1은 동기전동기(80)의 출력치차이다. 이 치차 G1에 2개의 치차를 연결한 2중형의 치차 G2, G3, G4, G5, G6, G7이 접촉되어 있다. 치차 G6에는 핀(811)이 설치되어 있다. G6l은 핀(811)에 계합되는 제네버 치차, G62와 G63은 제네버치차 G6l과 동작하는 치차이다. 치차 G63은 다음의 절환스위치(91)의 입력 치차G64와 교합된다.
G62l은 치차 G62와 교합된 장축(812)상의 치차이고 타단의 베벨(bevel)산 치차 G622는 상기한 타점기구(40)에 있어서의 구동축(42)상의 산치차 G623과 교합된다. G62l은 치차 G62와 교합되는 장축(812)상의 치차이고 타단의 베벨치차 G622는 상기한 타점기구(40)에 있어서의 구동축(42)상의 산치차 G623과 교합된다. 그리고 타점 기구(40)의 구동축(42)에 120도의 간헐 회전이 전달된다.
상기한 치차 G1-G7, G61-G64 및 G621은 상술한 제1치차 그룹에 속하고 타점기구(40)와 절환기구(91)과의 간헐 회전을 일정한 관계로 선정함과 동시에 양자의 동작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번호 821, 822는평행한 2개의 축이고, 축(821)에는 치차 G7에 교합되는 축고정의 치차 G8과 G9, 4련치차 G12, 13, G131, G132가 장착되어 있다. 또 축(822)에는 유감된 2련 치차 G10, G11 및 G14와 고정치차 G15가 취부되어 있다. 번호 823은 치차 G14와 축82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 기구이고 여기에서는 원통부에 감겨진 나선상의 스프링클러치가 사용된다.
G141, G142는 축(822)의 홈에 계합되어서 전동되는 치차이다. 치차 G141은 G131에 대응되며 G142는 G132에 대응된다.
그리고 이들 어느 하나가 교합되면 축(822)의 회전이 빨라지고 클러치(823)가 느슨해져서 전동계의 회전속도가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이들의 절환치차 G13→G14간의 회전비를 1로 하면, G131→G14l일때에는 4배, G132→G142일때에는 2배로 된다. G16과 G161은 치차 G 15와 교합되는 병렬 치차이다. 치차Gl6은 1쌍의 나선 치차 G17과 G18에 연결되고, 치차 G161은 워엄과 워엄치차 G171과 G181에 연결된다. 치차 G17, G171에 의해서 후속되는 치차열의 진동방향이 직각방향으로 변동되고 나선 치차축은 그대로 회전수가 전해치나, 워엄축은 1/60으로 감속된다.
G19와 G191을 치차 G18과 G181에 각기 고정되고, 치차 G20은 이들의 치차(G19, G191)와 절환되도록 축(824)상에 이동되는 치차이다. 축(824)에는 치차 G21이 고정되어 있다. 치차 G22, G221 및 G23, G231은 공히 2련의 치차이고, 치차 G22는 치차 G21과 G23에 교합되어 있다. 치차 G23, G231은 상기스프로켓(36)의 축 (363)에 상호 교환 가능하게 고정되어있다. 전원주파수가 60Hz일때에는 G211, G231측을 교합시키고, 50Hz에서는 도시된 조합이 채용된다. 또 치차 G22와 G221은 전단의 치차 G21과 동심적으로 회동되는 가동판(825)상에 취부되고 이 가동판(825)에는 도면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스프링판이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스프링판에 의해 치차 G22와 G221에는 반시계 방향의(제20도의 좌측에서 보아서)힘이 가해지고 이 리이프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일정한 변위가 되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치차 G23과 함께 시작하는 이들의 그룹은 치차케이스(82)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치차 케이스(82)는 제20도에 도시한 것처럼 U자형의 케이스틀(827)을 비치하고, 이것에도 상술한 이형재가 사용되고 있다. 번호828은 케이스틀(827)의 개방면을 피복하는 취부판이고 정면핀(83)은 수직 2단 노치를 지닌 호올(831)(832)을 지니고 있다. 정면판(83)에는 상하 2단의 절결부분을 가진 절환공(831), (832)이 설치되고, 여기에 절환 레버(833)(83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절환레버(833)는 상술한 치차G20을 G19와 G191로 절환하고 하부의 레버(834)는 치차 G141과 G142를 접동시킨다. 이 결과 정면판(8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기록지 C를 1시간 및 일분간의 단위시간당 25mm, 50mm, 100mm의 6단계로 절환시킬 수 있다. 번호 813은 보지판(81)의 U자형의 카버, 또는 814는 동기 전동기(80)의 코넥터이다.
번호 90은 절환기구, 번호 91은 그 주요부를 하고 있는 절환 스위치이다. 절환스위치(91)는 보지판(81)에 취부된다. 이 절환 스위치(91)는 2단 구성(6타점일때는 1단)으로 만들어져 있다. 양단의 스위치는 대략 동일하고 상기한 치차 G64릍 고정시킨 절환축(911)을 비치한다.
절환축(911)에는 가동접점이 취부되고, 그 가동접점에서 방사선으로 프린트된 다수의 절환 접점과 그 내측의 공통 접점을 단락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판과 계부와의 취부면 및 상, 하(우, 좌)양단의 중첩면에는 내부의 가동 및 고정접점에 접속된 가요막상의 도선(912), (913)이 도출되어 있다. 또 상기한 중첩면에는 D링이 설치되어서 밀봉되고, 내부에 기름을 넣은 유입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다. 유입스위치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절환동작이 확실하고 절연성도 높으며 마모도 적다. 번호 92, 93은 접속등의 프린트판이고, 상기한 전원유니트 Eu에 있어서의 도선(235), (236)에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판(92), (93)은 도선(912),(913)과 같은 도선면으로 만들어져 있다. 번호 941은 같은 구조의 대판, 번호 942는 탄성판, 번호944는 나사 스터드이다. 또 번호 945는 도선(912), (913)도전면 부분을 중점적으로 힘을 하도록 만든 불균일한 가압 용수철(943)을 비치한 고정틀, 번호 946은 카버이다. 그리고 대판(941), 프린트판(92), 도선(912), 탄성판(942)……, 고정블록(945)의 순으로 나사스터드(944)를 이용해서 적층적으로 보지판(8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지금까지 기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기구(8)에 기록치 송치속도가 1: 2: 4의 3단계형의 절환방식과 1: 60의 2단계형의 절환방식을 승산적으로 조합시켜서 합계 6단계형의 것을 예시해서 설명하였으나, 어느 한편단으로서 구동기구를 구성해도 되고 단일로도된다. 또 측정점이 1-3이고 지시기록 기구에 펜형의 기록펜기구를 적용한 때에는 상기 치차 G61-G64와 치차 G62, G621-G623의 치차 계열은 생략된다. 또 내기틀 유니트 FU에 있어서의 개장판(521)에 1개의 저항기구(52)를 장착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개장판(521)상의 5열로 병렬한 평면부(523)과 동일한 저항기구(52)를 장착함과 동시에 기록소차(타점기구40, 기록 펜기구(60)측에 브러쉬(54)를 장착해서 이들에 의해 조절동작을 하는 지시기록 조절계나 카스케이드(cascade)형의 동형계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부틀(30)의 하방의 공간으로 만들어진 실R5(제2도)를 이용하여 여기에 비례, 미분, 적분용의 조작, 파지부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외이 경보기구용의 경보 램프나 다수범위 기록계의 절환파지부 등의 부속기구용 조작부품이 상기 실R5내에 배치되고 문짝(1l)을 개방해서 조면 조작하기로 하고 문짝(11)의 투명창을 통해서 램프등을 투시할수 있다. 이때 기록지 카드(115)는 화장판(114)의 돌기에 따라서 문짝의 중단에 이동시켜져서 보유되며 실R7의 앞을 개방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함은 물론이고 상기한것같은 각종의 효과가 얻어지는 자동 평형형의 지시기록계가 실현된다.

Claims (1)

  1. 전면이 문짝을 설치하여 전체가 각을 이룬 형상으로 만들어진 외함을 설치한 외함유닛과,
    이 외함 유닛내의 한쪽의 측부에 따라 상하에 지지부를 가지고 이 지지부를 중심으르 회전하며 외함에 외측이 인출할 수 있도록 이 외함 유닛내에 수용되고, 좌우의 측판간에 배치된 횡방향 부재중의 상부부재하부부재, 위덮개 및 기록지보지체가 각각 이형재로 만들어져 있는 지시기록기구 및 저항기구를 포함하는 계기내의 주요부를 취부한 내부틀을 가진 내부를 유닛과,
    이 내부틀 유닛을 제외한 외함 유닛내에서 만드는 공간부에 배치되며, 이 외함 유닛에 고정되는 유닛프레임을 갖추고 전원 트랜스 및 단자판 기구를 포함하는 전기 계기내부의 다른 부분에서 구성되는 전원유닛을 구비한 지시기록계.
KR7800114A 1978-01-18 1978-01-18 지시 기록계 KR820002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114A KR820002141B1 (ko) 1978-01-18 1978-01-18 지시 기록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114A KR820002141B1 (ko) 1978-01-18 1978-01-18 지시 기록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2141B1 true KR820002141B1 (ko) 1982-11-15

Family

ID=1920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114A KR820002141B1 (ko) 1978-01-18 1978-01-18 지시 기록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214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4250A (en) Indicating recorder
EP0146154B1 (en) Device for feeding electronic components packed in tape to a pick-up position
US3713170A (en) Strip-chart recorder with paper supply in replaceable cartridge
KR820002141B1 (ko) 지시 기록계
US2924499A (en) Recording devices
US3066299A (en) Recorder
GB2170778A (en) Positioning ink-ribbon cassettes
DE69019926T2 (de) Zubehör zur Verbindung mit elektronischen Anlagen.
EP0271320A2 (en) Ribbon protectors for printers
US4649399A (en) Pen recorder
US4384794A (en) Printer
US1898124A (en) Measuring and control apparatus
US3778842A (en) Printer
US3071772A (en) Recorder marker and marker operator
US3999189A (en) Graphic recording device
US2952501A (en) Multiple pen recording apparatus
GB2043358B (en) Measuring instrument containing a printed-circuit assembly
US3192534A (en) Indicating apparatus
US3864694A (en) Recording instruments
US3363257A (en) Recorder with edge-lighted scales and fluorescent indicator
US2254649A (en) Recording apparatus
GB2077982A (en) Cassette base for a tape recorder
US2262520A (en) Recording instrument
DE3039875C2 (de) Höhenmeßeinrichtung mit digitaler Anzeige
CN210295589U (zh) 一种教学式液体折射率测量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