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90Y1 - 가동 수장고 - Google Patents

가동 수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90Y1
KR820001790Y1 KR7803070U KR780003070U KR820001790Y1 KR 820001790 Y1 KR820001790 Y1 KR 820001790Y1 KR 7803070 U KR7803070 U KR 7803070U KR 780003070 U KR780003070 U KR 780003070U KR 820001790 Y1 KR820001790 Y1 KR 820001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addle
frame
wheel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시 다니와끼
Original Assignee
겐시 다니와끼
공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겐시 다니와끼, 공고오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겐시 다니와끼
Priority to KR7803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동 수장고
제1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 제1도 일부 절단 우측면도.
제3도 제1도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 프레임에 구등기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정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우측면도.
본 고안은 가동 수장고(收藏庫)에 있어서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복수단위의 수장고 저부에 차륜을 축장(軸裝)하고, 등차륜을 상상(床上)에 부설한 레일상에 실음으로서, 수장고를 레일에 연하여 주행 자재롭게한 가동수장고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동수장고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서 수장고를 움직여서 물품을꺼내고 넣으려하는 수장고의 전면에 만통로를 마련, 다른 수장고는 밀접시켜 둘 수 있으므로 실내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가동수장고는 가동기구를 내장하는 프레임과 물품의 수장부가 동시에 설계되어 가동기구를 내장하는 프레임이 물품의 수장부에 대하여 전용의 것으로 되고 있었기 때문에 수장고의 크기, 특히 정면폭 칫수가 다른 각종 규격의 것을 만들고자 하면 프레임도 새로이 재 설계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동일규격 수장고의 경우일지라도 프레임에 사용하는 부품의 종류가 많아져서, 생산성이 나쁘고 부품관리도 거추장 스러웠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 구성부재의 형상을 통일화하여 종류를 적게하고, 정면폭 칫수가 다른 각종 규격의 수장고에 대하여는 프레임 구성부재를 증감함으로써 적용할 수도 있도록 하여 프레임구성부재의 호 환성을 가지게 하며, 이로인하여 생산성이 좋고, 부품관리가 용이하며 저(低)코스트의 가동수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역 U의 채널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양측면에 차륜의 측공을 가짐과 동시에 수장고의 앞쪽에서 뒤쪽방향으로 배설된 북수의 새들과, 상호 인접하는 새들의 전단면 상호간 및 후단면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가동수장고의 프레임을 구성한데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고안에 의하면, 수장고의 프레임의 주요 구성부재는 동일형상의 새들과 동일형상의 연결부재의 종류로 족하고, 그외는 새들과 연결부재의 결합부품으로서, 예컨데 널리 쓰이는 볼트와 너트를 준비하는 것으로 좋다. 또 정면폭 칫수가 다른 각종 규격의 수장고에 대해서는 새들과 연결부재의 연결수를 증감하는 것만으로 족하고, 프레임 구성부재인 새들과 연결부재의 호환성을 갖게할 수가 있으므로, 생산성이 좋으며, 부품관리가 용이하여, 저코스트의 가동수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밖의 본 고안의 목적, 구성상의 특징 및 효과를 첨부 도면에 따라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물품의 수장고(1)는 저부 프레이(2)을 가지고 있고, 프레임(2)의 전단연상과 후단연상과 앞쪽에서 뒤쪽방향의 중심선상에는, 적당수의 지주(3)가 수장고를 정면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별되도록 세워져 있다.
인접지주(3)의 상단부 상호간은 상판(上板)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들 상판(4)과 지주(3)와 프레임으로 수장고(1)의 프레임체를 구성하고 있다. 인접지주(3)의 상호간에는 적당수의 선반(5)이 걸쳐져서 적당 단수의 물품재치선반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선반(5)중에 최하위의 선반은 지주(3)상호간에 고착되어 있어 상기 수장고(1)의 프레임체의 보강을 겸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다른 선반(5)은 지주(3)의 측면의 파선상 구멍중 하나에 괘지된 앵글판(6)상에 걸쳐지도록 하여 선반(5)의 높이를 자유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장고(1)의 양측면에는, 동 양측면에 배설된 각 3본의 지주(3)와 프레임(2)의 측면을 입히도록, 그리고 이들 지주 및 프레임의 측면과의 사이에 적당한 공간이 있도록 하여 측판(7)이 프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장고(1)는 전단면 및 후단면으로부터 물품을 넣고 꺼내는 일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프레임(2)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장고의 앞쪽에서 뒤쪽방향으로 배설된 복수의 새들(8)과 상호 인접하는 새들 전단면 및 후단면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9)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이루어져 있다. 새들(8)은 역 U의 채널상으로 형성되고, 전후단면에는 각기 각이진 모서리부에 구멍(10)을 가지는 금구(11)가 예컨대 용접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새들(8) 상면의 양단연부와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지주(3)의 부착구멍(12)이 천설되어 있다.
새들(8)의 양측면에는 제3도에서 오른쪽으로 부터 차례로 구동륜의 축공(13)과 중간축공(14)과 종동륜(從動輪)의 축공(15)이 천설되어 있으며, 축공(13 및 14)을 양측으로 부터 협지 하도록 각각 축수부착공(16 및 17)이 천설되어 있다.
연결부재(9)는 채널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원칙적으로 상호 인접하는 새들(8)의 폭방향의 중심선 상호의 간격과 같은 길이로 제조 되는데, 수장고의 정면폭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연결부재는, 체재상 제3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새들 폭의 1/2만큼 길게 만들어지고, 정면폭방향 양단의 새들의 단면을 모두 입히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9)는 채널의 개방부를 새들(8)의 전단면 및 후단면쪽으로 향하고, 동시에 채널의 절곡양측면이 새들(8)을 그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협입 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수납고의 정면폭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연결부재(9)의 상면의 외단부 및 인접하는 연결부재의 접합부 상면에는, 새들(8)의 지주부착공(12)과 중합하는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재(9)의 전면, 즉 채널의 저면에 상당하는 면의 양단부에는 새들(8)과 일체의 금구(11)에 있어서의 구멍(10)과 중합하는 구멍(19)이 천설되어 있어서, 이들 구멍(10 및 19)에 통해진 볼트(20)(제1도, 제5도 참조)에 너트(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됨으로써 프레임체가 구형되어 있다. 이 프레임 체가 수장고의 프레임(2)으로 되는 것으로, 새들(8)의 지주부착공(12)과 연결부재(9)의 지주부착공(18)과 지주(3)의 하단에 고착된 단판(端板)을 관통한 볼트에 너트를 결합함으로서, 프레임(2)상에 있어서 각 지주(3)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새들(8)은 수장고의 정면폭 방향에 있어서의 지주(3)의 열수와 동수이며, 또한 정면폭방향의 지주간격과 같이 배설된다. 따라서, 정면폭방향의 지주열수를 증감하여 수장고의 정면폭 칫수가 다른 각종 규격의 수장고를 만들고저 할때는, 정면폭방향의 지주열수에 따라 새들(8)과 연결부재(9)의 수를 증감하는 것만으로도 족하며 칫수가 다른 새들(8) 및 연결부재(9)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제3도 내지 제6도에서, 각 새들(8)의 양측면에는 축수부착공(16)을 이용하여 축수(21)가 나착되어 있다.
각 축수(21)는 그 내륜의 중심공이 새들(8)의 축공(13)과 중합되도록 위치가 정해지고, 각 새들에 있어서의 한쌍의 축수(21)의 내륜의 중심공에는 각 한쌍의 축수(21)를 관통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새들(8)의 축공(13)을 헐겁게 끼워진 차륜측(22)이 결합되어 있다.
각 새들(8)에 의하여 한쌍의 축수(21)를 통하여 지지된 각 차륜측(22) 상호간에 연결파이트(23)에 의하여 동축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각 차륜축(22)에는 채널상의 각 새들(8)의 안쪽에서 지지되도록 하여 주행차륜(24)이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데 수장고의 양측단쪽의 차륜(24)은 플랜지 부착으로 되어 있다. 또 수장고의 우측단측의 차륜측(22)에는 프레임(2)의 안쪽에서 스프로킷 바퀴(25)가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 새들(8)의 축공(15)에는, 각 새들(8)을 폭방향으로 관통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진 차륜축(26)이 헐겁게 관통되고 적당한 축수를 통하여 회전자재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차륜축(26)에는, 채널상의 각 새들(8)의 안쪽에 지지되록 하여 주행차륜(27)이 이동심적으로 고정되는데, 수장고의 양측 단쪽의 차륜(27)에는 플랜지가 부착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우단의 새들(8)의 양측면에는 축수부착공(17)을 이연하여 한장의 축수(28)가 나착되어 있다.
각 축수(28)는 그 내륜의 중심공이 새들(8)의 축공(14)과 중합되도록 위치가 정해지고, 한쌍의 축수(28)의 내륜의 중심공에는, 이들 한쌍의 축수를 관통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새들(8)의 축공(14)을 헐겁게 관통한 감속전동 중간축(29)이 결합되어 있다. 중간축(29)에는, 프레임(2)의 바깥쪽에서 스프로킷바퀴(30)가 또, 프레임(2)의 한쪽에는 스프로킷바퀴(31)가 각기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스프로킷바퀴(30)와 상기 스프로킷바퀴(25)는 대략 같은 직경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대하여, 스프로킷바퀴(31)는 소경으로 만들어져 있다. 스프로킷바퀴(31)와 스프로킷바퀴(25)와의 사이에는 무단의 체인(32)이 걸어져 있다.
제2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장고(1)의 측판(7)의 바깥쪽에는, 수동적으로 회전가능한 핸들(33)이, 측판(7)과 그 안쪽의 지주(3)와의 사이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핸들축에 동심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에는, 측판(7)과 지주(3)와의 사이에 있어서 소정의 스프로킷 바퀴(34)가 동심적으로 고정되고 이 스프로킷바퀴(34)와 상기 스프로킷바퀴(30)와의 사이에는 무단의 체인(35)이 걸려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륜(24,27)이 붙은 수장고는, 실내의 바닥위에 차륜(24) 및 차륜(27)에 대응하여 부설된 레일상에 주행자재로 재치되어 있다.
지금, 수장고(1)의 측방에서 핸들(33)을 수동적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로킷바퀴(34)와 체인(35)과 스프로킷바퀴(30)와 중간축(29)과 스프로킷바퀴(34)와 체인(32)과 스프로킷바퀴(25)로 이루어진 감속전동기구를 통하고, 또 연결파이프(23)를 통하여 각 차륜측(22)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각 차륜(24)를 회전구동하여 무거운 수장고일지라도 이것을 레일(37)에 연하여 용이하게 주행시킬 수가 있다. 이것으로도 할수 있는바와 같이, 각 차륜(24)은 구동륜으로 되어 있고, 각 차륜(27)은 종동륜으로 되어 있다. 각 구동륜(24)은 연결파이프(23)에 의하여 동축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핸들(33)의 회전에 의한 구동력은 각 구동륜에 균등하게 배분되고, 수장고가 비틀어지는 일도 없이 원활한 주행을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가동 수장고는 한조의 레일(37)상에 동일 규격의 것이 다수 재치되어, 필요에 따라 수장고를 주행시켜 소망의 수장고상호간에 만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라 함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수동에 의한 핸들의 회전을 감속하여 구동륜에 전달함으로써 수장고를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수장고의 구동수단으로 전통력에 의한 것이어도 좋고, 수장고가 비교적 소규모의 것이면 수장고를 직접 손으로 밀도록 하여도 좋다.

Claims (1)

  1. 저부에 축장(軸裝)된 차륜에 의하여, 상상(床上)에 부설된 레일상에 주행자재로 놓여지는 수장고(收藏庫)에 있어서 역 U자의 채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채널의 내방에 있어 차륜을 포지하여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차륜의 축공과 붕지주(棚支柱)의 고정용 구멍을 지니고 또한, 수장고의 앞쪽에서 뒤쪽방향으로 배설된 복수개의 새들(saddle)과, 이들 새들의 전단면상호 및 후단면 상호에 걸쳐 붕지주의 고정용구멍을 지니고 이루어진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와 새들의 전후단면을 결합하는 볼트로 이루어지며, 새들을 통하여 연결부재를 이어 나가는 것에 의해 적당한 정면폭 칫수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수장고.
KR7803070U 1978-06-08 1978-06-08 가동 수장고 KR820001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070U KR820001790Y1 (ko) 1978-06-08 1978-06-08 가동 수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070U KR820001790Y1 (ko) 1978-06-08 1978-06-08 가동 수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90Y1 true KR820001790Y1 (ko) 1982-08-30

Family

ID=19208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070U KR820001790Y1 (ko) 1978-06-08 1978-06-08 가동 수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1365A (en) Movable storage cabinet
US3743078A (en) Chain conveyors with standardized elements
US5421451A (en) Conveyor construction
JPH0132896Y2 (ko)
US4399908A (en) Structural element
US3890755A (en) Construction set
DE3689528T2 (de) Kompaktes Lagersystem.
KR20050066432A (ko) 모빌 랙
KR820001790Y1 (ko) 가동 수장고
US3385238A (en) Mobile elevating table
US3374877A (en) Sectionalized power driven conveyor
KR200187220Y1 (ko) 모빌 랙
US3037603A (en) Conveyor rail and roller assembly
JPS6211851Y2 (ko)
EP0323293B1 (fr) Dispositif pour le pesage de véhicules
JPH07408Y2 (ja) 移動棚の台枠構造
JPH06115624A (ja) 輪体支持構造および自動倉庫用出し入れ装置
JP3003341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US5992730A (en) Method for assembling a trolley for an overhead traveling crane
GB2067146A (en) Movable storage cabinet
JPH05254617A (ja) 移動棚設備
DE3910571C2 (ko)
JPH0421976Y2 (ko)
DE927825C (de) Fahrwerk fuer Kranportale, Verladebruecken, Kranunterwagen od. dgl.
JPH0166391U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