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22B1 - 원격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 Google Patents

원격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22B1
KR820001722B1 KR7900879A KR790000879A KR820001722B1 KR 820001722 B1 KR820001722 B1 KR 820001722B1 KR 7900879 A KR7900879 A KR 7900879A KR 790000879 A KR790000879 A KR 790000879A KR 820001722 B1 KR820001722 B1 KR 820001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ool
assembly
fuel assembly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0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오드 쟝-루크
레비 쟉크
Original Assignee
피에르 쇼무죠
코미싸리아트 아트에너지에 아토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르 쇼무죠, 코미싸리아트 아트에너지에 아토미크 filed Critical 피에르 쇼무죠
Priority to KR7900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정지에 있는 연료 집합체와 그 조립장치를 도시한 일면도.
제2a, 2b 및 2c도는 연료 집합체의 브레이스봉과 하판의 조립 및 나사부재의 플랜지 변형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해체 공구의 수직 단면도.
제4 및 5도는 스크류 드라이버와 파지부가 다른 위치에 있는 것을 보면 나사 해체 공구의 하단부 상세도.
제6도는 나사 해체공구의 하단부 상세도.
제7도는 하판에서 고정 너트의 해체를 보인 두개의 반분도.
제8도는 조임 공구에 사용되는 봉과플랜지를 원상복귀시키는 공구의 일면도.
제9도는 고정 스크류의 경우에 플랜지 원상 복귀용 공구의 하단부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고정 너트의 경우에 플랜지 원상 복귀용 공구의 하단부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너트 또는 스크류 두부에 공구를 조이는 플랜지의 하단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원격 조작에 의하여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강성 구조체내에 고정된 봉의 형태의 연료 요소로서 된 수형(water type)의 원자로용의 연료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가압 수형 원자로에 있어서 로심이 약간수의 근접한 연료 집합체로서 됩은 알려져 있다. 주지의 태양에서 이들 연료 집합체는 본 질적으로 핵분열성 물질에 의하여 구성된 약간 수의 연료 요소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적 구조체로서 된다.
본 발명은 연료 요소가 연료봉으로서 되는 경우, 즉 그 활성부분이 예를 들면 지르칼로이와 같은 금속의 박층으로서 만들어진 발호관내에 놓아진 가늘고 긴 원통형을 갖는 핵분열성 물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연료 요소관은 원자로 조작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장벽의 하나를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이 장벽은 원자로 용기속을 순환하는 냉각재에 관하여 중성자 반응으로부터 일어나는 가스 및 기타의 핵분열 생성물을 파묻으며 물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장벽은 냉각수가 원자로 용기를 빠져나갈 때 냉각수 속의 핵분열 생성물의 존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완전성이 유지되어야 함은 특히 중요한 사실임은 명백하다. 원자로 냉각수 속에서 이상량의 핵분연 생성물이 검출되어 연료 요소관의 중대한 손상이 나타났을 때 원자로를 폐쇄하여 연료 집합체를 바꿔 이를 세로운 것과 바꿔야 한다.
그러나 연료 집합체는 연료 요소 자체가 고가인점 및 연료 요소를 집합체 속에 있어서 적소에 유지하는 기계적 구조체가 비교적 고가의 물질로서 만들어져 있으므로 극히 고가임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집합체의 단일의 연료요소가 결합이 있을 경우 최대의 관심은 이 결합 연료 요소를 바꾸기 위한 연료 집합체를 해체하여야 할 가능성에 있음은 명백하다. 그러나 이 해체는 통상의 환경에 있어서는 행할수가 없음은 명백하다. 해체는 예를 들면 작업을 하는 사람과 연료 요소와의 사이의 절연을 확실하게 하는 폰드속에서 행할 수가 있는데 이 조작은 극히 곤란하다. 또 한가지의 해결은 원자로 용기로부터 연료 집합체를 꺼내어 이를 연료 요소 교환 조작이 행해지는 조정 폰드 속에 넣는 일이다.
이 제2의 조작방법은 한편에서는 연료 집합체의 남은 다른 연료 요소를 유지하면서 결합 연료요소 만을 바꿀 수가 있으며 다른 편에서는 비교적 용이한 발법으로 또 폰드에 의하여 구성된 비교적 간단한 설비에 의하여 작업을 행할 수가 있는 이중의 이점이 있음은 명백하다. 그러나 이 조작을 실시할 수 있기 위하여는 연료 집합체가 원격 조작에 의하여 해체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연료 집합체의 원격 조작에 의한 해체를 행하는 시스템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 해체는 본질적으로 연료 집합체의 말단판의 하나를 연료 집합체의 기계적 구조체의 잔부를 구성하고 있는 브레이스봉으로 부터 떼어내는 일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추천된 해결법에 있어서는 브레이스봉의 말단의 하나와 연료 집합체의 말단 판의 하나와의 사이의 해체 가능한 결합은 그 연료 집합체 부재의 결함의 경우 집합체 부재 성분, 특히 브레이스봉을 말단 판의 하나에 결합하고 있는 성분이 떨어져 원자로 용기 및 인접한 설비속을 순환함으로써 냉각액의 순환을 방해하며 특히 열교환 튜우브에 있어서 실질적 손상을 일으키는 결점이 있다. 이와 같은 집합체 부재가 허용되지 않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연료 집합체의 각종의 부분을 원격조작에 의하여 해체 및 재조립을 행할 수가 있으며 다른 한편에 있어서 결합 시스템의 결합의 경우에도 연료 집합체가 받는 모든 기계적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결합을 유지하면서 결합 시스템의 각요소가 결합되지 않음을 보증하는 연료 집합체의 말단 판의 하나를 그 연료 집합체의 브레이스봉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 집합체는 원자로 용기중의 냉각수의 흐름에 의하여 심한 진동을 받음은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판, 저판 및 이들 판의 사이에 신장하여 있는 다수의 브레이스봉에 의하여 구성된 기계적 구조체와 격자에 의하여 브레이스봉에 고정된 다수의 가늘고 긴 연료 요소로서 되며 각 브레이스 봉의 말단의 하나는 하판에 떼어내지 못하도록 고정되며 각 브레이스 봉의 타단은 원격 조작에 의하여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조립 시스템에 의하여 저판에 고정되며 그리하여 그 조립 시스템은 각 브레이스 봉의 말단에 형성한나사, 브레이스봉 상의 나사와 협동작용할 수 있는 나사가 있는 스크류 부재 및 플러그 구멍 및 그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각을 이룬 사면이 있는 헤드로써 되며 그 저판에 있어서 기계 가공하여 그 판의 외면중에 나와 있는 것보다 큰 직경부분을 갖는 구멍에 의하여 구성되며 보다 큰 직경의 그 부분은 그 판에 있어서의 커팅에 의하여 성형한 플랜지에 의하여 둘러싸여 환상의 요홈에 의하여 남은 부분으로 부터 분리되어 있는 원격조작에 의하여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연료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연료 집합체의 조립 및 해체에 사용하기 위한 3개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연료 집합체의 원격 조작에 의한 해체를 위한 나사 풀기 장치는 장치의 본체를 형성하여 그 하단이 회전 수단을 갖춘 조립의 환상 요홈을 관통할 수 있는 중심 쟈켓에서 끝나는 외관; 그 외관내에 있어서 그 말단이 슬리이브에서 끝나며 또 회전에 있어서 외관과 일체를 이루고 외관의 축에 따라서 병진하여 움직일 수가 있으며 병진 수단을 갖춘 제어부재, 그 제어 부재의 슬리이브내에 형성되고 그 슬리이브 내에서 하나의 관을 형성하는 파지부재, 그리고 그 내관은 회전 및 병진에 있어서 외관과 일체를 이루고 그 파지 부재는 스크류 부재를 잡기 위하여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이에 의하여 그 파지부재는 제어부재가 상방의 위치에 올라 왔을 때만 로크 되는 태양에 있어서 제어부재의 슬리이브의 하단에 있어서 내부 제어 경사부와 협력할 수 있는 제어 경사부를 외부에 갖고 있으며, 그 파지부재의 관에 대하여 병진하여 움직일 수 있는 스핀들 형상의 공구 홀더, 그리고 그 스핀들은 그 하단에 스크류 부재의 플러그 구멍과 협동작용할 수 있는 공구를 갖고 있으며 그 상단에 고정되어 축구멍에 의하여 제어부재를 가로질러 그 부재의 상단에 있어서 돌출하여 있는 봉부재가 있으며 그 공구 홀더는 공구 홀더와 제어부재의 슬리이브의 저부의 사이에 놓여진 탄성 시스템에 의하여 하발으로 잡아 당기는 공구홀더로서 이루어져 있다.
플랜지를 조인 후 조립 플랜지의 형을 복원하기 위한 장치는 핸들링폴 및 그 폴의 하단에 원추형의 맨드렐과 플랜지에 대하여 중심을 잡기 위한 부재로써 된 형상 복원 공구로서 이루어지며 그 폴은 그 높이 부분을 넘어서 안내부에 따라서 활동할 수가 있는 중추용의 병진 운동 안내를 구성하며 그 부분은 하부 받을때 중추를 올리기 위한 기구를 갖춘 안내부를 구성한다.
또 스크류 부재의 설치 후 플랜지를 조이기 위한 장치는 핸들링폴 및 그 폴의 하단에 스크류 부재의 볼라인드 구멍을 관통할 수 있는 심출 부재, 스크류 부재의 각을 이룬 사면에 적용하기 위하여 플랜지를 부분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지지면 및 그 지지면을 그 사면과 일치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이 있는 클링핑 공구로써 되며 그 폴은 그 높은 부분을 넘어서 안내부에 따라서 활동할 수 있는 중추용의 병진 운동 안내부를 구성하며 그 부분은 하부 받음대와 중추를 올리기 위한 기구를 갖춘 안내부를 구성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조정 폰드(14)에 놓인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집합체를 나타낸다. 주지의 태양에 있어서, 이 연료 집합체는 하판(2), 상판(4) 및 이들 판(2) 및 (4)에 이들 판의 말단의 각각에 고정된 브레이스봉(6)으로써 된다. 이들 부분의 조립은 연료 요소가 고정되어 있는 연료 집합체의 구조체를 구성하고 있다. 연료 요소(8)은 연료 요소(8)과 브레이스봉(6)과의 사이의 결합을 확실하게 하는 격자(10)에 의하여 집합체(A)에 고정되어 있다. 연료 집합체의 형에 따라서 격자(10)는 브레이스봉(6)에 고정되고 연료 요소(8)는 격자(10)에 클립만 되든지 아니면 격자(10)는 브레이스봉 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놓여 있든가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집합체(A)는 이들 주지의 요소의 조립으로서 되며 상세하게는 상판(4)과 브레이스봉(6)의 하단과의 사이의 결합(S)에 관한 것이다. 그 결합은 극히 신뢰할 수 있는 결합을 확보하면서 원격 조작에 의하여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결합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집합체에 있어서는 하판(2)과 브레이스 봉(6)의 상단과의 사이의 결합은 확장과 같은 주지의 비해체적 수단에 의하여 확보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 집합체의 특성의 하나에 의하면 해체할 수 있는 부재 브레이스 봉과 상판(4)과의 사이의 결합에 관한 것이다. 이리하여 하판(2)은 더우기 원자로 로실에 있어서료 접합체를 적소에 유지할 수 있는 (12) 같은 탄성편을 갖추고 있다. 이리하여 종래의 가압 수형 원자로에 있어서는 연료 집합체는 상단(4)에 의하여 로심 지지격자상에 위치하고 이 연료 집합체는 탄성편(12)과 협력하는 상부 격자에 의하여 적소에 유지된다. 이들 판의 하나의 브레이스봉 결합부재를 상판(4)에 놓음으로써 결합부재에 대한 작업에 대하여 보다 많은 공간이 얻어진다.
따라서, 연료요소(8)를 바꿀 목적으로 연료 집합체의 재조립 또는 해체를 행하기 위한 최초의 조작은 원자로 용기로부터 연료 집합체를 꺼내는 일, 이 연료 집합체를 조성폰드(14)에 넣는 일, 그 연료 집합체를 원상으로 복귀시키는 일 및 폰드(14)에 있어서 작업 위치(16)에 이를 설치하는 일로서 이루어 짐은 명백하다. 이 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공구 특히 브레이스 봉에 상판을 고정하고 있는 부재를 나사를 돌려 풀기 위한 공구(D)를 사용할 수가 있다.
제2(a)도는 집합체(A)를 보다 상세하게 또는 브이스 봉(6)의 하단과 상판(4)과의 사이의 결합(S)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을 브레이스 봉(6)의 나사를 형성한 부분(6a)과 나사 부분에 조여 있는 너트(18)와의 협동 작업에 의하여 확보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판(4)의 하면은 특별한 설비가 있다. 그것은 주로 충분히 가늘고 길어서 변형하지만 변형 과정에서 파손하는 일이 없을 정도로 충분히 강한 원통형의 플랜지(4a)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4a)는 내부 너트(18)을 받을 수 있는 구멍(4b) 및 상판(4)에 형성된 환상의 위치 결정 요홈(4c)(위치 결정은 적절한 위치에 둠을 뜻함)을 한정하고 있다. 구멍(4b)은 상판(4)에 있어서 브레이스 봉(6)이 들어 있는 소직경의 구멍(4d)에 이어져 있다. 구멍(4b), (4d)은 너트(18)가 끼워질때 이를 지지하는 면(4e)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b) 및 2(c)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너트(18)는 2개의 사면(18a)과 하나의 오목한, 예를 들면 6각형의 헤드(18b)가 있다. 또한 이 너트(18)는 위치 결정봉(18c)이 있다. 너트(18)를 브레이스봉(6)에 조인 후 너트(18)의 사면(18a)에서 계합하도록 조임으로써 플랜지(4a)의 부분을 변경함으로써 브레이스 봉(6)에 관하여 너트(18)를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가 있음은 명백하기 때문이다. 이는 제2c도에 나타나 있다. 브레이스봉이 파손한 경우 상판(4)과 일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플랜지(4a), 너트(18) 및 브레이스봉의 파손 부분은 변형한 플랜지(4a)에 의하여 적소에 유지됨은 쉽게알 수 있다. 이 너트는 스크류에 의하여 바꿀 수도 있다. 이 경우 브레이스봉의 숫나사는 이 브레이스 봉의 말단에 있어서 암나사를 형성한 구멍에 의하여 바뀌질 수 있다. 스 크류의 나사부분은 이 구멍과 협동하여 작동한다.
이상의 기재에 의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연료 집합체의 조립 및 해체의 조작은 다음과 같다.
조립에 대하여는, 너트(18)를 브레이스봉(6)에 조이는 문제이다. 그리고, 사면(18a)에 대하여 플랜지(4a)의 1부분을 적용하기 위하여 조여서 플랜지(4a)를 조일 때 이 조작은 공구(M)의 조력에 의하여 행해진다.
집합체의 해체에 대하여는 플랜지(4a)의 조임을 확보하는 너트(18)를 힘에 의하여 나사를 돌려서 뺄필요가 있으며 다른 한편 파지부에 의하여 너트(18)를 빼낼 필요가 있다. 이 두가지의 조작은 나사를 돌려서 빼내는 공구(D)에 의하여 행해진다.
후에 연료 집합체의 재조립을 위하여 새로운 너트를 끼우기 위하여 플랜지(4a)를 새로이 형을 고쳐서 새로운 너트(18)에 적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플랜지의 형을 복원하기 위한 공구(R)에 의하여 행해진다.
전기한 바와 같이 스크류 또는 너트 나사를 돌려서 빼내기 위한 공구(D)는 2중의 작용을 행한다. 그리고, 상판과 브레이스봉을 떼어내기 위하여 너트 또는 스크류의 나사를 돌려서 빼내며 다른 한평에서는 그 나사를 돌려서 빼내기 위한 조작이 끝났을 때 해체 폰드로부터 꺼내므로 너트 또는 스크류의 헤드를 파지할 수가 있다. 효홈(4c)의 존재에 의하여 이 공구는 너트 또는 스크류의 헤드에 대하여 공구(D)의 하부를 위치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맨 나중에 이 공구는 고정부재의 나사를 돌려서 빼내고 이에 의하여 그 부재를 빼낼 수가 있음을 멀리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제3도는 공구(D)의 조립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좌로부터의 절반부는 작용 부재가 있는 공구의 하부를 나타내며 우로부터의 절반부는 공구의 나머지의 부분과 그 지지 헤드를 나타내 있다. 공구(D)는 그 하단이 요홈(4)의 외측벽(4f)과 협력할 수가 있는 중심 쟈켓(52)으로 되어 있는 외관(15)이 있다.
이리하여 이 쟈켓은 제3도에 있어서 그 헤드가 요홈(56)이 있는 스크류(54)를 조립부재에 관하여 중심에 유지하고 있다. 그 타단에 있어서 외관(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구 시스템에 회전을 주는 핸들차(58)에 고정되어 있다. 외관(50) 내에는 말단이 집합체 부재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재(60a)로 되어 있는 내관(60)이 있다. 이 파지부재(60a)가 있는 내관(60)은 파지부재(60a)의 개구를 제어하기 위한 부재(62) 내에 놓여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부재(62)는 말단이 내관(60)을 둘러 싼 관상 부분(62a)으로되어 있다. 제어 부재(62)의 부분(62a)은 그 하단에 파지 부재(60a)의 절두 대형의 외부 지지면(60d)과 협력할 수 있는 원추형의 내부 경사부(62b)를 갖고 있다. 관상 부분(62a)이 하방의 위치에 있을 때는 파지부재(62a)는 넓어진다. 즉, 파지가 행해지지 않을 때 관상 부분(62a)이 상방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절두 대형의 경사부(62b)는 파지부재(60a)에 적용되어서 그 파지를 일으킨다.
파지부재(60a)를 지지하는 내관(60) 내에는 스핀들형의 부재(64)가 있다. 부재(64)의 하단(64a)은 스크류(54)의 요홈(56)과 협력할 수 있는 나사를 돌려서 빼내는 공구를 구성하고 있다. 나사를 돌려서 빼는 공구(64a)를 지지하는 스핀들(64)은 내관(60) 및 파지부재의 제어 부재(62)에 관하여 자유로히 움직일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스핀들(64)은 헤드(64b)가 있으며 이 헤드(64b)와 부재(62)의 지지면(62c)과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66)이 있다. 스프링(66)은 파지부재(60a)로부터 스핀들(64)을 떼어내는 작용을 한다. 횡 키이(68)는 스핀들(64), 내관(60), 파지부재에 제어부재(62)의 관상 부분(62a) 및 외관(50)의 순으로 결합을 확보한다. 그러나, 관상 부분(62a)은 외관(50)에 관하여 부재(62)의 병진 운동에 있어서 움직임을 한정하는 개구부(62d)가 있다. 동일하게 슬롯(64c)은 내관(60)에 관하여 스핀들(64)의 병진 운동에 있어서 상대적 변위를 가능하게 한다. 부재(62)에 결합된 (70)과 같은 회전 저지핀은 내관(50)에 형성된(72)와 같은 개구부와 협력함으로써 외관(50)과 부재(62)의 회전 결합을 더욱 개량한다.
부재(62)의 상부연장 부분(62e)은 부재(62)의 제어 핸들차(70)와 협력하는 나사 부분(62f)이 있다. 연장부(62e)는 그 상단에 있어서 지지부재(72)를 가로 질러서 이에 회전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지지체는 부재(72)와 일체의 베어링(74) 및 연장부(62e)의 말단(62g)에 조인 너트(76)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핸들차(70)는 견부(80)가 있는 쟈켓(78)에 의하여 하방으로 연장된다. 핸들차(70)의 병진 운동에 있어서의 고정은 견부(80)를 로크하는 핸들차(58)의 스크류(84)에 의하여 조인 와셔(82)에 의하여 확보된다. 슬리이브(86)가 지지부재(72)밑의 연장부(62e)의 위의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스핀들(64)은 연장부(62e)의 보어(90)의 속에 연장하여 통하여 있는 봉 부재(88)가 있다. 이 봉 부재(88)의 상단은 자유로우며 스핀들(64)의 작용말단(64a)에 대한 변위 제어를 구성한다.
공구(D)는 다음의 태양으로 이용된다. 해체될 연료 집합체 A는 제1도에 나타낸 위치에 놓이며 공구(D)는 지지부재(72)의 도움에 의하여 접합된다. 공구(D)의 위치 결정은 요홈(4c)과 그 하단이 각이 진 위치 결정 쟈켓(52)의 협동작용에 의하여 확실하게 행해진다. 공구(D)는 요홈(4c)의 베이스와 접합된다.
핸들차(58)에 의하여 조립 공구(D)를 회전시킬 때 스핀들(64)의 작용 말단(64a)은 스크류(54)의 6각형의 봉(56)과 합치하며 이 말단(64a)은 스프링(66)의 작용에 의하여 구멍(56)을 관통한다(제4도의 우로부터의 절반부). 파지부재(60a)는 떨어져 있다. 핸들차(58)를 적당한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스크류(54)의 나사를 돌려서 빼낸다. 나사를 돌려서 빼냄에 따라서 스프링(66)이 압축된다. 나사를 돌려서 빼내기는 봉부재(88)의 말단의 위치에 의하여 제어된다(제4도의 좌로 부터의 절반부).
나사를 돌려서 빼내기가 끝났을 때 고정 부재(54)는 파지부재(60a)에 의하여 파지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는 제어 핸들차(70)가 제어 부재(62)의 회전, 더욱 명확하게는 그 상승을 가져오도록 조작된다. 절두 대형의 경사부(62b)는 스크류 부재(54)의 헤드에서의 로킹을 확실하게 함으로써 파지부재(60a)에 작용한다(제5도).
한번 적당한 로킹이 얻어지면 상판의 브레이스 봉에의 조립은 정지하며 스크류 부재(54)는 공구(D)에 의하여 관리된다. 그러므로, 스크류(54)를 올리기 위하여 조립 공구를 올릴 필요가 있을 뿐으로서 실패의 위험은 없다(제6도).
공구(D)로부터 스크류 공구(54)를 빼내기 위하여는 파지부재(60a)의 열림을 가져오도록 핸들차(70)를 조작함이 필요할 따름이다. 이 상태에서 스크류(66)의 작용하에서 스크류 부재(54)는 공구로부터 압출된다. 이 압출이 실제에 일어나지 않을 경우는 봉부재(88)에 작용하여 이 압출을 유효하게 얻을 수가 있다.
공구(D)가 갖는 모든 작용 즉 요홈(4c)에 의한 스크류 부재(54)에 관한 그 위치 결정, 플랜지(4a)의 변형에 의하여 확보되는 강제적인 제동을 수반하는 나사 스크류 부재(54)를 나사를 돌려서 빼는 일, 그 나사를 돌려서 뺀 후 스크류 부재를 파지부재(60a)에 의하여 파지하는 일 및 조립 부재로부터 용기를 꺼내는 일을 실패의 위험 없이 수행함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공구(D)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집합체 A를 생물학적으로 방어하는데 필요한 폰드(14)의 물의 높이에 상당하는 거리에 있어서 이를 모두의 조작을 달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조립부재의 제동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스크류 부재(54)의 조임과 플랜지(4a)의 조임을 가져오게 하며 조립 부재를 개수할 목적으로 플랜지(4a)의 형상의 복원을 가져오게 하는 공구에 대하여 기재한다.
플랜지(4a)의 형상을 복원하기 위한 공구(R)는 하단에 실용 공구(102)를 고정한 조작봉(100)으로서 된다. 이 실용 공구(102)는 절두 대형의 맨드렐(104)로서 되며 그 하단은 상판(4)의 구멍(4d)과 공구의 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된다. 맨드렐(104)은 약 10°의 경사가 있는 원추이다.
봉(100)은 공구(102)를 원격 조작에 의하여 안내하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플랜지(4a)를 다시 만드는데 필요한 측정된 힘을 적용하는데 기여한다. 봉(100)의 상부(106)는 측정된 중추(108)에 대한 병진 운동 안내부로서 사용된다. 중추(108)는 안내부(106)와 협력하는 중심공(110)이 있다. 받음대(112)는 중추의 이동을 하방향으로 한정하는데 한편 인양부재(116)와 조합된 상부 받음대(114)는 적용되는 하중의 재현성을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플랜지가 만들어지고 있는 재료에 따라서 중추는 많은 회수 또는 적은 회수로 낙하시킨다. 핸들(118)은 스크류 부재가 스크류(54)인 경우는 이에 대응하여 조립 공구를 회전시킴을 가능하게 한다. 그 부재가 너트인 경우는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의 형상을 바꿀 필요가 있다. 이 중심 맞추기는 요홈(4c)의 외면과 협력하는 원통상의 스커트(120)에 의하여 얻을 수가 있다. 이 공구는 또 절두 대형의 부분(104)이 있는 데 그 정부에는 브레이스봉의 상단을 위한 블라인드 구멍(105)이 있다.
클린핑 공구(M)는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봉의 말단에 고정되어 있다. 실용 공구(130)는 스크류 부재에 있어서 대응하는 요홈(18c)과 협력하는 데 있어서의 착오를 방지하기 위한 중심 말단(132) 및 2개의 립(134)이 있다. 또 이 공구는 그 직경이 플랜지(4a)의 직경보다도 큰 외부 스커트(136)가 있다. 이 스커트는 너트(18) 또는 스크류(54)의 클린핑 지지면(18a)에 있어서 플랜지(4a)의 클린핑을 확보하기 위한 2개의 경사진 내부 조지면이 있다.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Claims (1)

  1. 상판과 하판 그리고 상기 판들의 사이에 있는 여러개의 브레이스봉들로 이루어진 기계적 구조체와, 브레이스봉들에 그레이팅들로 고정되어 있는 여러개의 긴 연료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브레이스봉의 한쪽 단부가 하판에 해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각 브레이스봉의 다른 쪽 단부가 원격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장치에 의하여 상판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가 각브레이스봉의 단부에 요설된 나사홈과 브레이스봉의 나사홈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과 플러그 구멍과 그 주변에 1개 이상의 모따기부를 갖는 두부로 된 나사 조임부재 및, 상판의 외면으로 돌출하는 보다 큰 직경의 부분을 갖는 상판에 가공된 보어로 구성되며, 상기 보다 큰 직경의 부분이 상기 상판에서 절삭하여 형성된 플랜지로 둘러싸이며 환형 요홈에 의해 상기 상판의 나머지 부분과 격리되는 원격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KR7900879A 1979-03-22 1979-03-22 원격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KR820001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879A KR820001722B1 (ko) 1979-03-22 1979-03-22 원격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879A KR820001722B1 (ko) 1979-03-22 1979-03-22 원격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22B1 true KR820001722B1 (ko) 1982-09-21

Family

ID=19211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879A KR820001722B1 (ko) 1979-03-22 1979-03-22 원격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2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2130A (en) Remotely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fuel assembly for nuclear reactors
US12002593B2 (en) Deforming a portion of a nut threaded on a guide tube end plug to lock the nut to a lower end fitting of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US4219386A (en) PWR Integral tie plate and locking mechanism
US3953287A (en) Assembly mechanism for nuclear fuel bundles
JPH0578797B2 (ko)
US4820479A (en) Guide pin assembly for a nuclear reactor
JP3142032B2 (ja) 燃料集合体の案内ピン交換方法及び交換用案内ピン
US5734690A (en) Reactor-internal equipment handling apparatus
JPS59137887A (ja) 原子炉燃料集合体
JPH0421160B2 (ko)
CA1260630A (en) Control cluster provided with removable control elements for a nuclear fuel reactor
KR900000690B1 (ko) 원자로용의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
EP0268807B1 (en) Nuclear fuel assembly bottom nozzle attachment system allowing reconstitution
JPS6256891A (ja) 燃料集合体のロツク管插入・取外し方法及び装置
KR820001722B1 (ko) 원격조립 및 해체 가능한 원자로용 연료 집합체
US5069861A (en) Apparatus for the remote unscrewing and extraction of an assembly screw
JPS6361635B2 (ko)
JPH0264500A (ja) 貫通穴引掛け装置
JPS61120080A (ja) 燃料集合体端部ノズルの取外し・再設置装置
US5748695A (en) Fuel assembly structure selectively using channel and coolant rod for load support and method
JPH01217298A (ja) 燃料集合体吊り上げ装置
JP2507429B2 (ja) 制御棒取扱装置
EP0212902A2 (en) Method of removing and replacing locking screws in a nuclear fuel assembly
JP2005172806A (ja) 燃料集合体ノズル交換用の工具と方法
US5079995A (en) Auxiliary remote-controlled release device for a positively acting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