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16Y1 -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 Google Patents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16Y1
KR820001716Y1 KR7803633U KR780003633U KR820001716Y1 KR 820001716 Y1 KR820001716 Y1 KR 820001716Y1 KR 7803633 U KR7803633 U KR 7803633U KR 780003633 U KR780003633 U KR 780003633U KR 820001716 Y1 KR820001716 Y1 KR 820001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pport plate
switch
variable resis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미 다나까
유끼히꼬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다오까 가쓰다로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다오까 가쓰다로, 알프스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다오까 가쓰다로
Priority to KR7803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8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01C10/4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screw operated
    • H01C10/4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screw operated the contact bridging and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and parallel conducting bar or col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50Adjustable resis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switching arrangemen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제1도는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스위치부의 요부 설명도,
제3도 이하는 본 고안에 관한 도면으로써,
제3도 (a)는 단자지지판(20)의 정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그 배면도,
제4도는 가동편(23)의 정면도와 측면도,
제5도는 (a)는 본체(24)의 정면도,
(b)는 그 측면도,
(c)는 배면도,
제6도는 요부 조립 설명용의 측면도,
제7도는 요부 사시도,
제8도는 요부 측면도,
제9도는 단자판(20)의 형성공정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텔리비젼 수신기의 동조(同調)에 사용하면 가장 알맞은 밴드 절환 스위치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가변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가변저항기는 예를들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변저항기(A), 인디케이터부(indicator部)(B), 밴드 절환 스위치부(C)와 이들을 작동하는 작동부(D)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변저항기(A)에는 절연케이스(1)가 취부판(4)의 취부이편(取付耳片)(4a)에 의해 절연기판(3)에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스(1)내에는 손잡이(18)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축이 지승(支承)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축에는 절연기판(3)상에 형성된 저항체상을 접접(摺接)하는 접동자(摺動子)가 계합되어 있으며 나사측의 회전에 의해 접동자가 저항체상을 이동하여 단자(6), (7)를 거쳐 저항값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인디케이터부(B)는 접동자에 관련된 지침(8)과 투공(9a)을 가진 필름(9)과 그 필름을 지승하는 본체(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침(8)은 접동자가 이동하면 동일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위치를 필름(9)의 투공(9a)을 본체(10)의 창(10a)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예의 스위치부(c)를 제2도에 의해 설명하면 14는 스위치부(c)의 하우징으로써 이 하우징의 저면 중앙부에는 가변저항기의 나사축을 관통시키는 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14c는 하우징의 양 측면판으로써, 이 측면판의 선단상하에는 스냅모양의 4개의 계지편(係止片)(14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계지편이 단자 지지판(11)의 측면 상하의 대응견부(對應肩部)(11d), (11d)에 계합시켜 계지편(14d), (14d)으로 포지(抱持)하여 지지판(11)에 하우징(14)을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14) 내에는 가동체(15)가 원통체(15c)를 하우징(14)의 중심공(14b)에 삽통하는 것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하우징(14)에 장착되고, 또 다른 원통체(15b)는 지지판(11)의 중심공(11a)에 회전 가능하게 유감(遊嵌)된다. 상기한 원통체(15b), (15c)는 모두 속이 비어 있으며 이 중공부(中空部)를 가변저항기(A)의 나사측이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체(15)에는 금속선으로 된 가동편(1b)을 감아돌린 거의 방형상의 가동편 지승체(15a)가 있으며, 이 지승체(15a)의 중앙에는 나사축을 받아들이는 중공의 원통체(15b), (15c)가 상대적으로 전후로 돌설되어 있다. 15d는 가동체(15)의 지표(指標)로써, 이 지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1)과 하우징(14)간에 회동 가능하게 협지되어 지지판(11)과 하우징(14)의 만곡 정면부(頂面部)를 따라 그 상방을 호상(弧狀)으로 이동한다.
하우징(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체(15)에 취부된 선상(線狀)의 가동편(16)은 상방에 산(山) 형상의 절곡정부(折曲頂部)(16a)가 있으며, 하방에는 2단으로 감아 돌려진 곡면돌기(16b)를 가지고 있다.
이 16a를 제1의 접점, 16b를 제2의 접점이라 한다면 제1의 접점(16a)은 후술하는 공통단자(13)의 평탄면(13a)상을 손잡이(17)의 회동에 의해 호상(弧狀)으로 접접하고, 제2의 접접(16b)은 절환단자(12)의 상방의 평탄면(12b)상을 순차 좌우로 접접하여 소망하는 전기적 절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공통단자(13)의 평탄형(13a)에 설치한 투공(13b)은 제1도의 접점의 정부(16a)와 당접하여 절환단자(12)와 관련한 크기크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의 절환단자(12)와 공통단자(13)가 단자 지지판(11)에 지지되는 기구를 설명하면, 단자 지지판(11)에는 중앙에 나사축을 관통시키는 중심공(11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멍(11a)의 하방에는 3개의 절환단자(12)를 매설할 수 있도록 한 각 단자와 같은 형상과 단자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부에는 각 단자(12)가 이부에 형성된 지지판과 일체로 된 돌기(11b)에 감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심공(11a)의 상방에는 3개의 각형(角形)의 투공(13b)을 가진 공통단자(13)가 지지판(11)에 공통단자(13)와 동일형상으로 형성된부에 돌기(11b)에 의해 장착 고정되고, 또 공통단자(13)의 일단에 연장된 절곡부(折曲部)(13d)는 단자 지지판(11)의 일측면에 형성된 2개의 돌기(11e)의 중간에 설치한 절결(11f)에 의해 지지판(11)의 안측으로 신장되어 외방단자부(13c)에로 신장되어 있다.
종래의 스위치부(c)는 이상의 구성과 작동에 의하고 있지만, 그러나, 이 종래예에서는 절환단자(12)와 공통단자(13)를 지지판(11)에 지지하는 데는 별도의 수작업을 해야 하며 또한 하우징(14)에 가동체(15)를 따로 설치하여 선상의 가동편(16)을 취부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부품점수도 많고 이들의 취부가 극히 번잡하여 작업성이 좋지 않았으며 가동편(16)도 선상이고 탄성도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크리크 감축이 잘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그 스위치부의 구성을 제3도∼제9도의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의 각 도면에 있어서 20은 단자 지지판, 21은 절환단자, 22는 공통단자, 23은 가동편, 24는 본체이다. 이하 이들의 형상과 취부 구조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단자 지지판(20)의 일면측에는 상, 하로 서로 대향하여 거의 반달모양의 돌제(突堤)(20a), (20b)가 지지판(20)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내방에는 호상(弧狀)의부(20c)가 설치되어 있다.
부(20c)의 중앙에는 상기한 종래예에서 기술한 가변저항기의 나사측(도시하지 않음)을 삽통하는 중공의 구멍(20k)과 하방에 프랜지(20l)를 가진 축지승부(20j)가 돌설되어 있으며 이 축지승부(20j)에 끼워져 상기의부(20c)에 3개의 절환단자(21)는 하방의 돌제(20b)에 매설 지지되어 있으며 공통단자(22)는 상방의 돌제(20a)에 매설 지지되어 단자 지지판920)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것은 연속적으로 합성수지판에 단자팜을 인사이드 성형한 후 타발하여 각 단자판을 독립시키는 공정에 의해 형성하지만 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공통단자(22)에는 절환단자(21)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투공(20h)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단자(22)의 일방측에는 절곡부(22a)가 있기 때문에 이것이 대향돌기(20d), (20d)간의 절결부(20e)로부터 외방으로 신장되어 선단부(22b)에 접속되어 있다. 이 대향돌기(20d)의 반대측에는 연속한 1개의 돌기(20c)가부(20c)와 동일 평면의 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3도(b)는 제3도(a)르 좌측방에서 본 도면이고, 제3도(c)는 단자 지지판(20)의 이면측을 나타낸 도면인데, 20k는 측의 구멍으로써, 이 하방에는 단자 지지판(20)을 가변저항기(A)의 케이스에 취부하기 위한 돌제(20m)와 복수의 취부공(20n)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4도는 1매의 탄성금속판을 성형한 가동편(23)으로써, 이 가동편(23)의 중앙에는 상기의 단자 지지판(20)의 축지승부(20j)가 삽입되는 구멍(23a)이 있으며, 이 구멍(23a)에 접속하여 각각 내방 아암(23b), 외방 아방(23v)이 있다. 이 외방 아암(23c)은 하방으로 만곡하여 그 정면에 돌자(23d)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23e는 돌자(23d)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소공으로써, 이 소공(23e)에는 후술하는 작동부(26)의 대향돌기(26f)가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것은 절연재로 된 본체(24)로써, 이 본체의 평판부(24a)의 중심에는 상기한 단자 지지판(20)의 축지승부(20j)가 삽입되는 구멍(24b)과, 이 구멍의 외방으로 서로 대향하여 부채 형상의 구멍(24c)이 형성되어 본체(24)의 4귀퉁이에는 선단에 스냅인 모양의 조편(爪片)(24d')을 가진 4개의 계지각(24d)이 설치되어 있다. 24e는 계지각(24d)의 근원의 내방 측방에 접속한 단부로써, 이 단부는 계지각(24d)의 높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제6도 참조).
제5도(b)는 제5도(a)를 우방으로 본 단면도이고, 제5도(c)는 제5도(a)의 반대측의 배면도로써, 그 평면부(24a)에는 중심공(24b)과 부채 형상의 구멍(24c)을 개재시켜 대향방향으로 한쌍의 돌제(24f)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스위치의 주요부는 상기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부품의 조립을 제6도에 의해 설명하면, 단자(21), (22)를 일체화하여서 된 단자 지지판(20)의 축지승부(20j)에 가동편(23)을 그 중심공(23a)에 의해 삽입한 후, 본체(24)를 그 중심공( 24a)에 의해 삽입한 후, 본체(24)를 그 중심공(24b)에 의해 단자 지지판(20)의 축지승부(20j)에 삽입하여 본체의 계지각(24d)의 선단의 조편(爪片)(24d')을 단자 지지판의 대향돌기(20d)와 다른 돌기(20f)와 이것에 접속하는 측벽(20i),(20i)에 의해 규정되는 직각 모양의 단부간에 압입하면 조편(24d')은 외측으로 넓어지면서 단자 지지판(20)의 측벽(20i),(20i)을 따라 눌러 내려져 단자 지지판(20)의 배면에 도달되는 순간에 스냅모양으로 단자 지지판(20)을 포지하여 재차 뽑혀져 나오지 않고 계지되어 계지각(24d)의 근원의 단부(24e)는 돌기(20d),(20f)에 당접하여 스톱퍼가 된다. 이렇게 하여 가동편(23)은 본체(24)와 단자 지지판(20)간에 접촉돌자(23d)의 일방이 절환단자(21)의 궤도상에 있도록, 또 타방의 접촉돌자(23d)는 공통단자(22)의 궤도상에 탄접된 상태와 적당한 접동 압이 부여된 상태로 협지되어 있다.
이 상태를 외관 사시도에 의해 나타낸 것이 제7도(a) 있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24)는 계지각의 조편(24d')에 의해 단자 지지판(20)에 스냅 모양으로 취부되어 있으며 본체(24)의 외측에는 단자 지지판(20)과 일체의 축지승부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의 부채 형상의 한쌍의 대향 구멍(24c)에서는 가동편(23)이 본체(24)와 단자 지지판(20)에 의해 샌드위치 모양으로 협지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 경우 가동편(23)의 한쌍의 구멍(23e)이 부채 형상의 구멍(24c)과 외축 아암(23c)의 일부가 외부로 나타내져 있다.
제7도(나)에 나타낸 것은 본 고안의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의 작동부로써, 23은 가변저항기의 나사축이 삽통되어 가변저항기가 작동되는 작동부이고, 26은 상술한 본 고안의 스위치의 작동부이다. 이 스냅작동부(26)의 선단에는 지지판(20)의 축지승부(20j)가 삽입되는 구멍(26e)과 이 구멍(26e)의 외축 주면(26c)상에 한쌍의 서로 대향하는 원주상의 돌기(26f)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한 쌍의 돌기(26f)는 단자 지지판(20)의 축지승부(20j)가 작동부(26)의 중심공(26e)에 삽입하여 끈겨진 상태에서는 부채 형상의 구멍(24c)으로부터 외측으로 나타내져 있는 가동편(23)의 한쌍의 구멍(23e)에 삽입되어 작동부(26)의 회전에 의해 부채 형상의 구멍(24c)의 범위내에서 가동편(23)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가동편의 구멍(23e)과 직각모양으로 배설된 한쌍의 대향 접촉돌자(23d)의 일방은 제3도(a)에 나타낸 절환단자(22)상을 접동시키며 또 타방의 접촉돌자(23d)는 공통단자(22)상을 접동시킨다. 이 경우 공통단자(22)상을 접동하는 접촉돌자(23d)는 투공(20h)과 순차적으로 계탈하는 것에 의해 절도 감촉을 내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작동부(2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부채 형상의 돌기(26b)는 본체(24)의 돌체(24f)의 상방에 설치한 한쌍의 경사진 견부(24f')에 당접하여 가동편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톱퍼가 된다. 그리고 26a는 이 스톱퍼(26b)의 보강부이다.
제8도는 상기의 스위치부와 작동부를 최종적으로 짜 놓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최후로 본 고안의 단자 지지판(20)의 제조공정을 제9도에 의해 설명하면, 1매의 도전성 금속판에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를 인서어트 성형에 의해 피착하여, 이것을 도시와 같이 복수개의 연속한 단자 지지판(a), (b), (c) ………에 타발한 후 금속판(27)으로부터 단자(21), (22)와 다른 접합부(22c)를 절단하여 공통단자(22)의 목이 파여진 경부(頸部)(22d)로부터 단자(22)를 후방으로 절곡하여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상의 단자판(20)을 형성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21), (22)는 단자 지지판(20)과 일체 성형되어 종래와 같이 단자 지지판(11)에 단자(12), (13)를 지지하기 위한부나 돌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단자 취부의 번잡한 수작업이 생략될 뿐만 아니라 가동편(23)을 취부하는 가동체(15)가 필요치 않고 가동편(23) 자체도 선상이 아니라 스프링상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조립도 단지 본체(24)에 의해 단자 지지판(20)에 협지하는 것만으로 좋다. 또 전체적인 스위치부의 구성 및 취부가 종래예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편해지고 부품점수의 삭감과 작업성의 개량에 의해 양산성이 우수하며 가격이 싼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를 제공할 수 있어 그 실용적 효과는 대단히 크다.

Claims (1)

  1. 일축에는 가변저항기를, 타측에는 가변저항기에 관련된 밴드 절환스위치를 작동하는 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위치 절환단자(21)와, 1개의 공통단자판(22)을 절연재로 만들어 축지승부(20j)를 일체로 가진 단자 지지판(20)에 성형 가공에 의해 일체화시켜 공통단자판(22)에는 절환단자(21)에 대응하는 수의 투공(20h)을 설치하고, 단자 지지판(20)의 축지승부(20j)에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2개의 접촉자(23d)와 2개의 소공(23e)을 가진 가동편(23)을 삽입하여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스냅인 모양의 계지각(24d)과 축공을 가진 본체(24)를 단자 지지판(20)에 취부하고, 계지각(24d)의 높이보다 짧은 단부를 설치하여 단자 지지판(20)과 본체로 가동편(23)을 협지시켜 가동편(23)의 소공(23e)에 계합하는 돌체를 가진 작동축의 회동에 의해 가동편(23)의 일방의 접촉자는 절환단자(21)상을, 또 타방의 접촉자(23d)는 공통단자판(22)의 투공(20h)에 순차적으로 계탈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치 기구 및 크리크 기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KR7803633U 1978-07-07 1978-07-07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KR820001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633U KR820001716Y1 (ko) 1978-07-07 1978-07-07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633U KR820001716Y1 (ko) 1978-07-07 1978-07-07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16Y1 true KR820001716Y1 (ko) 1982-08-12

Family

ID=1920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633U KR820001716Y1 (ko) 1978-07-07 1978-07-07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2359A (en) Coordinated control for variable resistors
US3924090A (en) Switch assembly with reciprocating cams
JP2003132765A (ja) レバースイッチ
US5051552A (en) Slide selector switch mechanism
US5120922A (en) Momentary pushbutton slide switch
KR820001716Y1 (ko) 스위치가 달린 가변저항기
US4684775A (en) Miniature push button switch with coil spring movable contact
JP3174908B2 (ja)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US4016377A (en) Slide switch assembly having improved fixed knife blade type contact structure
US3399369A (en) Potentiometer having housing formed of electrically non-conductive material inculding integral hinge se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588877A (en) Push-button switch
US3671915A (en) Sliding type variable resistor
US4399336A (en) Miniature rotary sip switch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4563555A (en) Construction of control switch
US6100480A (en) Rotatively-operated electric component and coordinate input device using the rotatively-operated electric component
US4605830A (en) Cammed wire snap switch
US4201969A (en) Variable resistor and switch assembly
KR920003203B1 (ko) 푸시버튼스위치
JP3196375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4426559A (en) Push button switch having two resilient contacts operated at different times
JP3174900B2 (ja) 押釦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EP0018728A1 (en) Electrical switch with pivoting operating lever
JPH0159687B2 (ko)
JPS593540Y2 (ja) スイツチ付き可変抵抗器
US4398070A (en) Two-motion push-button swi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