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14B1 -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14B1
KR820001714B1 KR8203552A KR820003552A KR820001714B1 KR 820001714 B1 KR820001714 B1 KR 820001714B1 KR 8203552 A KR8203552 A KR 8203552A KR 820003552 A KR820003552 A KR 820003552A KR 820001714 B1 KR820001714 B1 KR 820001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bromo
phenylimino
chloro
imidazoli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태레 헬무트
쾨페 헤르베르트
콤멜 베르너
회프케 볼프강
가이다 볼프람
피크러 루드비히
Original Assignee
옷토핀케
시. 에이치. 베링거존
기젤라 벨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7900422A external-priority patent/KR820001715B1/ko
Application filed by 옷토핀케, 시. 에이치. 베링거존, 기젤라 벨만 filed Critical 옷토핀케
Priority to KR8203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44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07D233/50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with carb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said nitro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유효한 치료적 특성을 나타내는 일반식(Ⅰ)인 신규의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및 그의 산부가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에서
R은 2-브로모-4, 5-디하이드록시페닐, 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 4-브로모-2, 5-디하이드록시페닐, 3, 5-디하이드록시페닐, 5-클로로-2, 4-디하이드록시페닐, 3-하이드록시-4-메틸페닐, 2, 6-디브로모-4-하이드록시메틸페닐, 3, 4, 5-트리하이드록시페닐이다.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은 그들의 우수한 약리학적 및 치료적 특성때문에 이미 오랜동안 큰 관심을 끌어왔으며, 이런종류의 화합물은 여러 문헌에 기술되었으며, 예를들어 벨기에 특허 제623,305호, 653,933호, 687,656호, 687,657호 및 705,944호에 발표되었다. 이들 참조 문헌에는 2-페닐-아미노-이미다졸리딘 제조의 필수적인 과정도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페닐핵이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치환된 일반식(Ⅰ)의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은 일반식(Ⅱ) 화합물을 강산에 의해 에테르 분해하여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에서
R²는 2-브로모-4, 5-디메톡시페닐, 3-클로로-4-메톡시페닐, 4-브로모-2, 5-디메톡시페닐, 3,5-디메톡시페닐, 5-클로로-2, 4-디메톡시페닐, 3-메톡시-4-메틸페닐 또는 3,4,5-트리메톡시페닐기이다. 에테르분해는, 상승된 온도에서 농 브롬화 수소산중에서 가장 원활히 수행된다.
또한 이 반응은 문헌에 알려진대로, 다른 조건하에서 루이스-산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일반식(Ⅱ)의 이소티오우레아 또는 그 산부가염을 에틸렌디아민 또는 그 산부가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3
(상기 일반식에서 R1과 R2는 상기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Ⅰ)의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은 통상의 방법으로 그의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산부가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염 형성을 위해 적당한 산으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불화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아세트산, 푸로피온산, 부티르산, 카프로산, 발레르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락트산, 타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벤조산, p-하이드록시벤조산, p-아미노벤조산, 프탈산, 신남산, 살리실산, 아스코르브산, 메탄설폰산, 8-클로로테오필린 등을 들수 있다.
신규의 일반식(Ⅰ)화합물인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및 그 산부가염은 유효한 치료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강력한 서맥작용을 나타내므로, 관상동맥 질환의 치료제로 적절하다.
척추를 마비시킨 고양이에서 뿐 아니라 토끼에 있어서의, 심박동수에 미치는 본 화합물의 효과가 시험되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투여할 수 있으며, 용량 단위는 약 0.1 내지 89mg이며, 0.5 내지 30mg이 바람직하다.
일반식(Ⅰ)의 화합물 및 그 산부가염은 다른 형태의 활성물진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제형에는, 정제, 캅셀제, 좌제, 액제 또는 산제가 포함되며, 그 제조를 위해서 통상 사용되는 부형제, 담체붕해제 또는 활탁제 또는 방출지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나 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2-(2-브로모-4,5-디하이드록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하이드로브로마이드
Figure kpo00004
2-(2-브로모-4,5-디메톡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염기(0.012몰) 3.60g을 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오일 욕내에서 48% HBr 100ml와 함께 환류시킨다.
다음, HBr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CH3OH에 녹인다. 활성탄으로 정제하고 여과한 후 에테르로 침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백색 결정이 석출된다. 분리하고 건조하여 이론치의 90.35%에 해당하는 2.95g을 얻는다. 융점 203 내지 205℃, Rf치 0.4; 유동상 : 2급 부탄올 75, 포름산 15, 물 10. 담체 : 실리카겔 : 요도플라티네이트로 발색시킨다. 출발화합물은 2-(3,4-디메톡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을 브롬화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2]
2-(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하이드로브마이드
Figure kpo00005
2-(3-클로로-4-메톡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하이드로브로마이드(0.026몰) 8g을 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오일 욕에서 48% HBr 125ml와 함께 환류시킨다.
이후 HBr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메탄올에 녹인다. 활성탄으로 정제하고, 여과한 후, 에테르로 침전시킨다. 이렇게하면 무정형의 생성물이 석출된다. 분리하고 건조한 후, 이론치의 73.6%에 해당하는 5.60g을 얻는다. 융점 224 내지 225℃, Rf치 0.4; 유동상 : 2급 부탄올 75, 포름산 15, 물 10.
담체 : 실리카겔, 자외선 또는 칼륨-요도플라티네이트로 발색시킨다.
출발화합물은, 3-클로로-4-메톡시아닐린을 이소티우로니움염과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에틸렌디아민과 반응시켜 수득한다.
[실시예 3]
2-(4-브로모-2,5-디하이드록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하이드로브로마이드
Figure kpo00006
2-(4-브로모-2,5-디메톡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하이드로브로마이드 (0.0157몰) 6g을 6시간 동안 오일욕내에서 48% HBr 100ml와 함께 환류시킨다.
이후 투명하고 균일한 반응 혼합물을 냉장고에서 철야 방치하고, 분리된 결정을 흡인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한다. 건조후, 이론량의 17.15%에 해당하는 0.95g을 얻는다.
융점 219 내지 220℃, Rf치 0.5
유동상 : 2급 부탄올 75, 포름산 15, 물 10.
담체 : 실리카겔, 칼륨-요도 플라티네이트로 발색시킨다.
출발화합물은 2-(3,5-디메톡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을 브롬화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4]
2-(3, 5-디하이드록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하이드로브로 마이드
Figure kpo00007
2-(3,5-디메톡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하이드로브로마이드 (0.02몰) 6.05g을 2
Figure kpo00008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48% HBr 100ml와 함께 환류시킨다. 이후 HBr을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고체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에테르와 함께 교반하고, 흡인 여과하고 다시 세척 후 에테르로 건조한다. 수율은 이론치의 89.37%에 해당하는 4.9g이다.
융점 127 내지 128℃, Rf-치 0.5; 유동상 : 2급 부탄올 75, 포름산 15, 물 10. 담체 : 발색색소 ZS를 함한 실리카겔 자외선과 칼륨-요도플라티네이트로 발색시킨다.
출발화합물은 3,5-디메톡시-아닐린을 암모니움-티오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고, 메틸화하여 S-메틸이소티우로니움 염으로 하고 후자를 에틸렌디아민과 함께 축합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5]
2-(5-클로로-2,4-디하이드록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하이드로브로마이드
Figure kpo00009
2-(5-클로로-2,4-디메톡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0.03몰) 10g을 6시간 동안 48% HBr 150ml내에서 환류시킨다. 균일한 투명 반응 혼합물을 냉장고에서 철야 방치하고, 석출된 결정성 물질을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한다. 건조 후 이론치의 60.5%에 해당하는 5.6g이다.
Rf치 0.5; 유동상 : 2급 부탄올 75, 포름산 15, 물 10. 담체 : 실리카겔, 칼륨 요도플라티네이트로 발색시킨다.
출발 화합물은 N-(5-클로로-2,4-디메톡시페닐)-S-메틸-이소티우로니움요다이드를 에틸렌디아민과 반응시켜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6]
2-(3-하이드록시-4-메틸-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하이드로브로마이드
Figure kpo00010
2-(3-메톡시-4-메틸-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염기 (0.032몰) 6.61g을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48% HBr 100ml내에서 환류시킨다. 이후 HBr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메탄올에 녹인다. 여과 후 에테르로 침전시킨다. 결정을 흡인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한다. 수량은 이론치의 55.65%에 해당하는 4.85g이다.
융점 : 164 내지 165℃, Rf치 0.4; 유동상 : 2급 부탄올 75, 포름산 15, 물 10. 담체 : 발광성 색소 ZS를 합유한 실리카겔 자외선 및 칼륨 요도플라티네이트로 발색시킨다.
[실시예 7]
2-(3,4,5-트리하이드록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하이드로브로마이드
Figure kpo00011
2-(3,4,5-트리메톡시-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 염기 (0.032몰) 8g을 5시간 동안 오일욕에서 48% HBr 150ml와 함께 환류시킨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그 용량을 반으로 한다. 냉장고에서 철야 방치하면 무정형 물질이 분리된다. 이를 분리하고 건조하여, 이론량의 78.6%에 해당하는 수량 7.3g을 얻는다. 융점 : 204 내지 206℃, Rf치 0.3; 유동상 : 2급 부탄올 75, 포름산 15, 물 10. 담체 : 실리카 겔G; 칼륨-요도플라티네이트로 발색시킨다.
출발화합물은 N-(3,4,5-트리메톡시페닐)-S-메틸-이소티오우레아를 에틸렌디아민-모노-p-톨루엔설포네이트와 반응시켜 수득한다.
제형의 예
실시예 A : 정제
본 발명에 의한 활성성분 5mg
락토수 65mg
옥수수전분 130mg
2급 칼륨포스페이트 40mg
용성 전분 3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3mg
콜로이드성 실리스산 4mg
계 250mg
제 조
활성 성분을 첨가제 일부와 혼합하고, 용성전분 수용액과 충분히 반죽하고 체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다. 과립을 나머지 첨가제와 혼합하여 압축시켜 중량 250mg인 제피정의 핵정을 제조하다.
이를 통상의 방법으로, 슈크로스, 탈크 및 아라비아 고무를 사용하여 제피를 시행한다.
실시예 B : 앰풀제
본 발명에 의한 활성성분 1.0mg
염화나트륨 18.0mg
증류수를 가해 2.0ml로 한다.
제 조
활성성분과 염화나트륨을 물에 녹이고, 질소하에 유리 앰풀에 충진시킨다.
실시예 C, 점적제
본 발명에 의한 활성성분 0.02g
메틸-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07g
프로필-p-하이드록벤조에이트 0.03g
탈염수를 가해 100ml로 한다.

Claims (1)

  1. 일반식(Ⅱ)의 화합물을 강산에 의해 에테르 분해시켜, 페닐핵이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치환된 일반식(Ⅰ)의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2
    상기 일반식에서
    R은 2-브로모-4,5-디하이드록시페닐, 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 4-브로모-2,5-디하이드록시페닐, 3,5-디하이드록시페닐, 5-클로로-2,4-디하이드록시페닐, 3-하이드록시-4-메틸페닐, 2,6-디브로모-4-하이드록시메틸페닐, 3,4,5-트리하이드록시페닐기이고,
    R²는 2-브로모-4,5-디메톡시페닐, 3-클로로-4-메톡시페닐, 4-브로모-2,5-디메톡시페닐, 3,5-디메톡시페닐, 5-클로로-2,4-디메톡시페닐, 3-메톡시-4-메틸페닐 또는 3,4,5-트리메톡시페닐기이다.
KR8203552A 1979-02-12 1982-08-06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KR820001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552A KR820001714B1 (ko) 1979-02-12 1982-08-06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0422A KR820001715B1 (ko) 1979-02-12 1979-02-12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KR8203552A KR820001714B1 (ko) 1979-02-12 1982-08-06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0422A Division KR820001715B1 (ko) 1979-02-12 1979-02-12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14B1 true KR820001714B1 (ko) 1982-09-21

Family

ID=2662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552A KR820001714B1 (ko) 1979-02-12 1982-08-06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1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5620A (en) 2-[(2',6'-Disubstituted-phenyl)-imino]-imidazolidines and salts thereof
KR20050040837A (ko) 아세트산아닐리드 유도체의 α형 또는 β형 결정
EP0579681B1 (en) Crystalline tiagabine hydrochloride monohydrate, its preparation and use
US4145427A (en) N- 1-(3-Benzoyl-propyl)-4-piperidyl!-sulfonic acid amides and salts thereof
CS207774B2 (en) Method of making the new substituted 2-phenyliminoimidazolines
CA1056836A (en) 2,6-disubstituted 2-phenylimino-imidazolidines their acid addition salts, pharmaceuticals containing same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4166859A (en) 2-Bromo-6-fluoro-N-(2-imidazolidinylidene)-benzamine and salts thereof and the use to treat hypertension
US4213995A (en) 2-Phenylimino-imidazolidines and salts thereof
KR820001714B1 (ko)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JPS6026112B2 (ja) 2−フエニルアミノ−イミダゾリン−(2)化合物
CA2433190C (en) Amlodipine hemimaleate
KR880002289B1 (ko) 2-아미노-3-(할로벤조일)-메틸페닐아세트산 및 그 유도체의 제조방법
MXPA02000033A (es) Polimorfos de un diclorhidrato cristalino de azobiciclo (2, 2, 2)oct-3-ilamina y su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KR820001715B1 (ko) 치환된 2-페닐이미노-이미다졸리딘의 제조방법
CS195746B2 (en) Process for preparing crystalline methanolate of natrium salt of cephamandole
US4277487A (en) Substituted 2-phenylamino-2-imidazolines as bradycardiacs
US4215133A (en) 2-[N-(2'-Chloro-4'-methyl-thienyl-3')-N-(cyclopropyl-methyl)-amino]-2-imidazoline and salts thereof
JPH0127073B2 (ko)
CA1143738A (en) Substituted 2-phenylamino-imidazolines-(2), the acid addition salts thereof, pharmaceuticals containing same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thereof
GB2023588A (en) Production of sodium cefamandole
EP0070477A1 (en) Novel ester of 6-((hexahydro-1H-azepin-1-yl)methyleneamino)penicillanic acid,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as antibacterial agent
KR810000690B1 (ko) N-[1-(3-벤조일프로필)-4-피페리딜]-설폰산 아미드의 제조방법
EP0367944A2 (en) Ether derivative of 4-[3H] -quinazolinon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830001441B1 (ko) 치환된 2-페닐아미노-이미다졸린-(2)의 제조방법
KR910002686B1 (ko) 2-디에틸아미노-1-메틸에틸 시스-1-히드록시-(비시클로헥실)-2-카르복실산염 유도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