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708B1 - 절 삭 공 구 - Google Patents

절 삭 공 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708B1
KR820001708B1 KR7903268A KR790003268A KR820001708B1 KR 820001708 B1 KR820001708 B1 KR 820001708B1 KR 7903268 A KR7903268 A KR 7903268A KR 790003268 A KR790003268 A KR 790003268A KR 820001708 B1 KR820001708 B1 KR 82000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ool body
request
cutting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테 에스킬 앤더슨 켄
Original Assignee
칼-올오프 헨릭슨
산트레이드 리밋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AT82200175T priority Critical patent/ATE9657T1/de
Priority to AT79850084T priority patent/ATE7765T1/de
Priority claimed from EP79850084A external-priority patent/EP0010074B1/en
Application filed by 칼-올오프 헨릭슨, 산트레이드 리밋티드 filed Critical 칼-올오프 헨릭슨
Priority to KR7903268A priority patent/KR820001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 삭 공 구
제1도는 절삭공구를 우측절삭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형태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절삭공구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절삭공구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제3도의 절삭공구의 저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측면도와 평면도.
제8도는 공구본체가 분리된 본 발명에 따른 홀더 동체(holder body)의 선단부 평면도와 B-B선 단면도.
제9도는 공구본체가 취부된 제8도의 홀더동체의 평면도와 C-C선 단면도.
본 발명은 공구본체(tool element)가 절삭수단으로 제공되고 인장막대가 공구본체를 고정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세장된 홀더동체(hold body)로 구성되는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선반에서 공작물을 기계 가공할때에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장방형이거나 원형인 세장된 축으로 구성된 공구 홀더가 사용되는 바, 이경우 절삭인은 공구홀더의 일측단에 착설되고 축은 통상 두개 또는 세개의 나사에 의하여 선반에 고정된다. 이러한 공지의 형태의 공구 홀더(tool holder)를 이용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는, 공구홀더는 절삭인의 형태를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홀더로 대치하여야 하므로 조작경비가 많이 들게되었다. 이외에도 세장된 축은 작업실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공작기계 설계자에 문제점을 안겨 주었다.
더우기 이러한 기술은 공구의 기계식 교환에 응용하기에 곤란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웨덴 특허공보 제401,469호에는 인장막대에 의하여 공구홀더의 주요동체에 고정될 수 있는 분리된 공구본체에 절삭인을 장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공구본체의 축이 인장막대의 선단에 형성된 요구(recess)내로 돌출되게 되어있다. 이 축의 일측에는 요구내의 보상 캠 표면(cam surface)과 결합되도록 캠표면이 형성된다. 공구본체를 고정시키는 동안 캠표면에서의 상대운동은 축이 요구내에서 캠표면에 대향된 요구의 지지면에 접면(接面)할 때까지 축을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작업중 공구본체에 작용하는 절삭작용력이 크기 때문에 공구 본체와 홀더동체 사이의 이러한 연결은 매우 견실하지 못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족할 만한 견실도를 얻기 위하여 스웨덴 특허공보 제401,469호에서 보인 형태의 절삭공구를 개량함에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절삭인의 위치설정의 정확성을 개량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 홀더동체에 공구본체를 우측절삭용으로 또는 좌측절삭용으로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공구본체의 완전한 자동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호한 기계화 가능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제1도-제5도에 도시한 절삭공구는 절삭인(11)의 형태인 절삭수단이 설치된 공구본체(10)로 구성된다.
절삭인(11)의 외측평면은 공구본체(10)의 상측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놓여있다. 공구본체(10)는 그의 외측단에서 세장된 축(12)에 취부되어 있으며, 축(12)은 공구홀더의 주요동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12)은 장방형의 단면형태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선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홀더동체(12)의 선단의 고정위치에서 공구본체(10)는 홀더동체상에서 지지면(13)과 이에 수직인 지지단부면(14)에 대하여 압압된다. 지지단부면(14)은 요구(15)에 의하여 단절되어 있고, 요구는 축방향 내측으로 축(12)에 연장되어 있다. 이와같이 공구본체(10)의 축방향 지지면은 동일 횡방향 평면내에 놓이는 두 표면(14a, 14b)에 의하여 형성된다.
요구(15)는 대향된 평면상의 접경면(16, 17)에 의하여 축부가 결합되며, 접경면(16,17)은 상호 평행하게 홀더 동체(12)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요구(15)는 공구본체(10)의 대응하는 형상의 축부(軸部)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구본체(1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홀더동체(12)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인장막대(19)가 제공된다. 인장막대(19)의 선단부(21)는 공구본체(10)에 형성된 대용하는 형상의 요구(20)내에 삽입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단부(21)는 원주형의 둥근 확장부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것은 협소한 원주형의 경부(頸部)(22)를 지나 축(12)의 주요동체에 연결되어 있다. 인장막대(19)와 상호결합될 수 있게 된 요구(20)는 대응하는 원주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선단부(21)보다 단면적이 다소 넓게 형성되어 있다. 요구(20)의 개구부는 그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23,24)에 의하여 협소하게 되어 있다. 이 돌출부(23,24)는 공구본체(10)의 축방향 내측의 종단부를 형성하며, 평면상으로 상호 평행한 측면(25,26)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본체(10)의 고정위치에서 측면(25, 26)은 요구(15)내의 접경면(16, 17)에 대하여 착설된다. 요구(20)는 공구본체(10)의 하측부에서 끝나고 있으나 그 상측부는 공구본체(10)의 상측평면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계로 인하여 연결부에서 칩(chips)의 축적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축적은 연결부의 수명을 줄이며 공구본체의 교환시 그를 용이하게 분해하지 못하게 한다.
공구본체(10)를 홀더동체(12)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공구본체를 그 저면이 지지면(13)에 대하여 착설되고 그 후측단부면이 지지단부면(14a,14b)에 대하여 착설되도록 민다.
그다음 인장막대(19)의 선단부(21)를 요구(20)내에 삽입하고, 공구본체(10)의 축부(18)를 요구(15)내에 삽입한다. 인장막대에 회동 가능하게 나착된 부재(27)와 같은 적당한 조종수단에 의하여 인장막대(19)를 조이는 동안 공구본체(10)는 단부면(14a,14b)에 대향하여 압압된다.
인장막대(19)가 더욱 조여지면 돌출부(23,24)는 홀더동체(12)의 횡방향에서 반대방향으로 팽창된다.
이러한 돌출부(23,24)의 팽창은 경부(22)에 인접한 선단부(21)의 보상 캠표면에 의하여 일어난다(제4도 참조). 돌출부(23,24)의 팽창이 가볍게 일어나면 돌출부가 접경면(16, 17)에 대하여 압압된다. 따라서 축부(18)의 양측면(25,26)에는 높은 압축력이 가하여 지므로서 연결부재가 이들 사이에서 유동되지 아니한다. 공구본체를 자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구본체(10)를 위한 요구(15)는 홀더동체(12)의 축방향 중심선을 지나는 수직평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공구본체(10)는 동일 홀더동체(12)의 좌우측에 취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장막대(19)의 확장 선단부(21)는 원주형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선단부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바, 예를들면 선단부를 도브 테일(dove tail)형으로 형성하고 요구(20)를 이에 상응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6도와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공구본체(10)의 축부(18)와 홀더동체(12)의 선단부가 도브테일형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축부(18)가 삽입되는 요구(15)의 개구부는 축부(18)의 보상지지면과 결합되는 상호 대향된 쐐기면(28,29)에 의하여 협소하게 되어 있다. 인장막대(19)의 확장된 선단부(21)가 삽입되는 요구(20) 및 인장막대(19)의 구조는 제1도-제5도에서 보인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인장막대(19)와 요구(20)는 도브테일형 연결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홀더동체(12)와 공구본체(10)사이의 변형된 연결형태를 보이고 있다. 제1도-제5도에 따른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공구본체의 축부(18)의 측면은 평면으로 요구(15)에 있는 접경면(16, 17)가 평행하다. 그러나 인장막대의 선단부(21)는 두개의 대향된 평행평면(30, 31)을 가진 평탄한 원주상 확장부의 형태로 되어있다. 평면(30, 31) 사이의 거리는 인장막대에 형성된 경부(22)의 직경과 동일하고 경부는 확장된 선단부(21)와, 인장막대(19)의 주요동체를 연결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장막대(19)는 공구본체(10)가 제위치에 놓여질 때까지 조여지지 않으며 그다음 인장막대는 제8도에서 보인 분리위치로 부터 제9도에서 보인 쇄경위치 까지 90되 회동된다. 이러한 구조는 홀더동체(12)의 요구(15)에 공구본체(10)가 직접 상부로 또는 직접 전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전면부로 삽입하는 기술은 공구본체의 기계화 교환에서 요구되는 것이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본체(10)는 절삭인(11)의 삽입대, 홀더동체(12)의 해당표면(14)과 인접하는 접경면, 홀더동체(12)에 대하여 공구 본체가 회동하지 않게 하는 수단 및 공구본체에 연결된 확장가능한 축부(18)를 갖고 있고, 상기 축부는 홀더 동체(12)의 요구(15)에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 공지의 절삭공구에 있어서, 공구본체(10)는 왕복이동 가능한 선단부(21)를 수용하도록 형성시키고, 확장가능한 축부(18) 및 이동가능한 선단부(21)는 축부(18)를 확장시키기 위한 협동 캠 표면으로 구성시켜 선단부(21)가 축부(18)의 캠표면을 향하여 이동시 홀더동체(12)의 요구(15)에서 축부(18)를 고정시키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공구.
KR7903268A 1978-09-26 1979-09-21 절 삭 공 구 KR82000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82200175T ATE9657T1 (de) 1979-09-18 1979-09-18 Werkzeugelement.
AT79850084T ATE7765T1 (de) 1978-09-26 1979-09-18 Schneidwerkzeug.
KR7903268A KR820001708B1 (ko) 1979-09-18 1979-09-21 절 삭 공 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79850084A EP0010074B1 (en) 1978-09-26 1979-09-18 Cutting tool
KR7903268A KR820001708B1 (ko) 1979-09-18 1979-09-21 절 삭 공 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708B1 true KR820001708B1 (ko) 1982-09-21

Family

ID=2607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3268A KR820001708B1 (ko) 1978-09-26 1979-09-21 절 삭 공 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70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10074B1 (en) Cutting tool
RU2149080C1 (ru) Пластина отрезная или канавочная
US6186704B1 (en) Toolholder with detachable blade
CN100548571C (zh) 用于夹持工件的装置
US4462725A (en) Metal cutting tools with replacement insert
JPS62264808A (ja) 突切り又は溝切り工具及びそれに使用する切削用植刃
KR950008006A (ko) 절삭 공구
KR20000048383A (ko) 절삭 공구 조립체
US3902232A (en) Cutting tool bit
JP4327367B2 (ja) 突切り及び類似作業用の切削工具
KR20010102286A (ko) 절삭기 조립체 및 그 절삭 삽입부
KR820001708B1 (ko) 절 삭 공 구
KR100661933B1 (ko) 절삭 공구 조립체
US4087194A (en) Cutting tool
EP0107481B1 (en) Quick-change tool
JP2601622B2 (ja) 彫刻機械用工具
KR20020074383A (ko) 내경 가공용 공구
EP0055998B1 (en) Tool element
JPH0474123B2 (ko)
RU2098235C1 (ru) Резец
SU867285A3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S588401Y2 (ja) クランプ式バイト
KR100201683B1 (ko) 붕재의 위치설정 시스템
SU1181780A1 (ru) Режуща вставка
RU1828787C (ru) Торцова фре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90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