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210B1 - 잠재왜곡성(潛在歪曲性)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芯地)용 베(布)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잠재왜곡성(潛在歪曲性)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芯地)용 베(布)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210B1
KR820001210B1 KR7800468A KR780000468A KR820001210B1 KR 820001210 B1 KR820001210 B1 KR 820001210B1 KR 7800468 A KR7800468 A KR 7800468A KR 780000468 A KR780000468 A KR 780000468A KR 820001210 B1 KR820001210 B1 KR 82000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haped
shrinkage
adhesive
la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로 미찌마에
류우조 미찌마에
Original Assignee
노부히로 미찌마에
류우조 미찌마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부히로 미찌마에, 류우조 미찌마에 filed Critical 노부히로 미찌마에
Priority to KR780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잠재왜곡성(潛在歪曲性)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芯地)용 베(布)의 제조법
제1도는 본 발명 제조법의 공정을 간략하게 도면으로 표시한 개요도.
제2도는 본 발명방법에 사용되는 혁대모양의 베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제조법의 제2의 공정을 개략하여 도시적으로 표시한 개요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벨트모양 심지(芯地)용 베의 사용모양도.
제5도는 제4도의 X-X선 사시방향의 단면도.
본 발명은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리, 옷안의 심지(芯地)로 사용하는 벨트모양 베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리, 옷안의 심지로는 종래 직포(織布) 편포(編布)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허리 부분의 형태에 합치하도록 하는 사용상태에 따라서 부채꼴의 모양으로 전개하여 또한 입체적으로 반곡(反曲)하는 팽창을 보유하고 있을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포의 한쪽 모서리를 강하게 당기면서 프레스 처리를 실시하여 기포를 부채꼴 모양으로 변형시킨다거나, 벨트모양 제작에 있어서 주름집기나 주름으로 프레스(press)를 하던가 하여서 부채꼴 모양을 얻은 일이 종래부터 행하여져 왔다.
그러나 이들의 방법은 기포(基布) 자체에 무리를 일으켜 재단의 로스부분이 생겨서, 작업적으로 번잡한 손실을 필요로 하여 비능율적임과 동시에 이상적인 만곡을 얻는 것이 어려운 외에 모처럼의 부채꼴 모양도 곧바로 애초상태로 복원하는 결점이 있었다.
근래, 이것을 개량하는 것으로서 수축율이 각각 다른 실을 써서 벨트모양 베의 귀 부분(耳部分)에 있어서의 수축율을 다르게 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벨트모양의 베는 종래의 심지에 비교하여 기포자체의 무리가 없고 또 간단하게 바라는 만곡형상이 얻어지는 점에서 뛰어난 것이나 실뽑기가 어렵고 수축 정도의 조절이 곤란함을 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정리가공, 방축가공 및 접착수지 부여의 경우의 가열에 의해 벨트포 자체가 만곡을 일으켜 중합하는 벨트표포(表布)를 만곡 재단하지 아니하면 아니되는 복잡한 가공공정을 필요로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수축정도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허리부분의 형태에 간단히 합치시킬 수 있는 벨트모양 베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을 검토하여 폭 방향으로 한쪽에서 차츰 큰 수축율을 가진 부분에서 적은 수축율을 가진 부분으로 이행 분포하는 벨트모양의 베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축율의 이행분포를 가지는 벨트모양의 베의 제조상의 곤란함은 그 제작도중에 있어서 열처리에 의해 수축이 발현되는 것이며 이같은 발현에 의해 부채꼴 모양을 띄워서는 모처럼의 벨트모양의 베의 벨트심지로서의 성능이 상실됨과 아울러, 연속하여 제조하는 경우에 벨트모양의 베에 편향(偏向)이 생겨 감을 때나 그외 경우에 지장을 일으키게 된다.
벨트모양의 심지용 베는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허리부분 표포에 접착되어서 사용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상태로서는 표포에 접착하여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리부에 부착될 때까지는 그 조작이 용이할 것, 그리고 표포와 함께 프레스(press) 처리가 베풀어질 때는 요부(腰部)의 형상에 합치한 부채꼴 만곡형상이 얻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축율의 이행분포를 가지는 벨트모양의 베에 있어서 그 처리도중에 있어서나, 이후에 있어서 잠재수축에 의한 왜곡성을 보존하면서, 더욱이 통상의 벨트모양 베와 같이 똑바른 상태를 유지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이같은 요망에 대응하여 수축율의 이행분포를 가지는 벨트모양의 베일지라도 똑바른 상태를 유지하여 그 이후의 처리가 원활하게 행하여지는 취급에 있어서 하등의 지장을 일으키지 않는 벨트모양 심지용 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벨트모양 심지용 베를 얻기 위한 일련의 가장 적합한 공정을 제공하여 이것에 의해 사용시에 있어서 허리부분의 형태를 양호하게 하는 잠재적 부채모양 반곡형상을 가지는 벨트모양의 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차적인 목적은 벨트모양 심지용 베를 표포에 접착시켜 열처리를 하여 잠재적 수축을 발현시켜 바지, 스커트 등의 벨트부분에 좋은 만곡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상기한 제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방법의 특징은 폭방향으로 한쪽에서 차츰 수축율의 이행분포를 가지는 연속벨트모양의 베를 풀로 침부한 후 가열로울에 적어도 1회 이상 감아서 건조를 하여 이어서 가열장치내를 입구부 공급속도에 비교하여 출구부 인출속도를 적게 하여서 벨트모양의 베의 최소 수축율을 가지는 부분의 수축율에 맞추어서 열처리를 베풀어 이 수축율의 최소부분을 열 안정시킨 후 벨트모양의 베의 일면에 접착제분말을 부착시켜, 이후 전술한 출구부 인출속도를 유지한 채로 똑바른 상태를 유지하여 접착제분말의 용융, 수냉로울에 의한 압착 및 냉각을 하여 감아주므로서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에 있어서 접착제분말의 용융 후에 외측면에 접착제가 부여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지지포를 중합하여 양베를 함께 이후의 수냉로울에 의한 가압, 냉각시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벨트모양 심지용 베의 제조공정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벨트모양 심지용 베를 이루는 폭방향으로 한쪽에서 차츰 수축율의 이행분포를 가지는 벨트모양 베(A)를 연속 장척상태(連續長尺狀態)를 이루어 가이드로울(3)를 통해서 풀 붙이는 통(2) 내의 풀붙이는 로울(1) 및 제2의 가이드로울(4)을 거쳐서 가열로울(5), (6), (7), (8)로 이루어지는 건조로울에 의해 건조를 하여 이어서 가열부 공급로울(9)에 의해 가열장치(10) 내로 이송시켜 인출로울(11)을 거쳐 접착제분말용기(12)로부터 접착제분말을 산포 부여시켜 그후 다시 제2의 가열장치(10')에 있어서 접착제분말을 용융시킨 후 수냉로울(13)에 의해 용융 접착제를 벨트모양 베(A)에 압착시켜 그후 냉각로울(14)을 통하여 로울(15)위에 감아주는 공정이 표시되어져 있다.
벨트모양 심지용 베의 기포를 이루는 폭(巾) 방향으로 한쪽에서 차츰 수축율의 이행분포를 가지는 벨트모양의 베(A)는 한 예로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요의 가는 직물의 편폭(篇巾)에 가득차게 펼쳐 놓은 합섬 모노 필라멘트사(21)의 층 한면 또는 양면에 다른 합섬 필라멘트실(22)의 다수로 형성되는 병열의 실올의 각 열의 실을 각각 편성시 인접침(隣接針) 간격간 또는 1침 걸러(뛰운) 이상의 간격으로 각 실열에서 같은 방향으로 옆으로 펼쳐서 형성한 펼친 층을 배층(配層)하여 그들의 양 실층에 또 다시 필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합성 필라멘트(24)를 삽입하여 각 게이지마다 연속되는 세로 편목(編目) 스티치(23)로 짜는 것을 멈추고 일체화시킨 긴 연속 세폭 편포(細巾編布)로서 스티치(23) 혹은 삽입 필라멘트(24)에 한쪽에서 폭 방향으로 여럿으로 구분하여 큰 열수축율을 가지는 실과 적은 열수축율을 가지는 실을 차례로 사용하여 혹은 수축성 실올(系條) 을 밀실로 하는 재봉틀질을 하여 그 재봉틀질을 한 올수 또는 수축성 실올의 굵기를 귀부분 중앙부 등에 있어서 바꾸므로서 폭방향(巾方向)으로 한쪽에서 차츰 수축율의 이행분포를 갖는 것과 같이 형성한 벨트모양의 베이다. 또한 편목 스티치사와 삽입 필라멘트의 쌍방을 열수축율의 다른 실의 병용으로서도 좋고 또 삽입사의 굵기를 바꾸어도 좋고 이것들에 의해 수축율의 이행분포를 갖는 것과 같이 형성할 수가 있다.
세폭 편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21), (22), (24)로서는 나이론, 포리에스텔섬유 등의 합성섬유가 소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특히 합섬 필라멘트(22)(24)는 합섬 모모 필라멘트사(21)보다도 열수축율이 큰 나이론, 포리에스텔섬유 등의 합성섬유가 바람직하고 더욱이 한쪽면을 접착용으로 할 때는 나이론(12), 또는 포리에틸렌과 염화비닐계의 중합체 등의 저온 용융사를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접착제로 되는 별도의 접착제분말을 부여하는 경우는 사용할 필요가 없다.
한편 스티치(23)에 의해 수축성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스티치 형성사로서 나이론(12), 염화비닐계 섬유등을 사용한다. 또 삽입사(24)의 경우에도 꼭같은 실의 사용이 적용되나 통상은 120℃정도까지 고수축을 일으키는 염화비닐계 합성 섬유를 주로 하여 사용한다. 또한 이 경우의 염화비닐계 섬유는 염화비닐 중합체 섬유외에 염화비닐과 염화비닐리덴과의 공중합체섬유 및 그들 섬유와 다른 섬유와의 혼방으로 이루어지는 혼방사 등의 모든 섬유사를 포함한다.
또한 열수축율을 달리하는 필라멘트는 실의 종류를 바꾸어도 좋고 또는 동일 종류의 실의 경우에는 연신(延伸)시에 있어서 연신배율을 바꾸어 수축율을 달리한 것으로도 좋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벨트 제작시에 있어서 벨트 위 모서리와 아래 모서리와의 수축차는 4㎝ 폭(巾)에서 5% 내외가 가장 적합하며 인체의 허리부에 가장 잘 적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벨트모양 베(A)의 풀 붙임은 벨트모양 베(A)에 대해 정형 가공을 용이(容異)하게 함과 함께 베 자체의 강도, 허리를 증가하는 것이며 공지의 수지수용액이 적용된다.
풀 붙임을 한 벨트모양 베의 건조는 계속 가열로울 (5), (6), (7), (8)에 의해 행하여지나 로울(5), (6) 및 로울(7), (8)을 각 1조로 하여 적어도 1회 이상 각조로울 (5), (6) 및 (7), (8)에 말아주므로서 행해진다.
이 경우 가열로울의 로울온도는 벨트모양 베의 구성섬유소재의 종류에 의해 약간 다르나 나이론 또는 포리에스텔섬유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160-170℃정도다. 또한, 도면에서는 2조의 가열로울을 통해서 건조하고 있으나 소재에 따라 1조 또는 3조 이상으로 하는 것도 지장이 없다.
또한 복수조의 경우 각조에 있어서 가열온도는 동일온도라도 좋고 차츰 다른 온도라도 좋고 더욱이 로울을 배치한 가열실로 하여도 좋다.
건조된 벨트모양 베는 다음의 가열장치(10)에 의한 열처리공정으로 보내지나 이 공정은 본 발명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벨트모양 심지용 베의 성능을 결정하는 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즉 이 공정에 있어서 벨트모양 베(A)를 구성하는 섬유소재의 열안정화, 잠재수축의 잔류 등이 결정지어진다. 가열장치(10)는 입구에 송급되는 벨트모양 베의 급포속도(給希速度)와 출구부에 있어서 인출속도(引出速度)와의 사이에 차가 설정되어져 있으며 전자가 후자보다 크며 벨트모양 베는 가열장치(10) 내에 있어서 이완상태(弛緩狀態) 또는 무긴장 아래에서 열처리가 이루어진다. 이 이완의 비율은 입구부 공급로울(9)과 인출로울(11)에 의해 결정지어져 바람직한 비율로서는 벨트모양 베에 있어서 가장 적은 열수축율 부분의 수축율에 맞추어서 이것에 접착하도록 선정된다.
따라서 열처리가 베풀어진 벨트모양 베에 있어서는 그 가장 적은 열수축율 부분은 최대한으로 수축되어 열에 의한 안정화가 진행된 이후의 열처리 예컨대, 프레스처리에 있어서도 그 이상의 수축을 일으키는 일이 없으나 큰 열수축율 부분은 어느 정도 수축이 일어난다 하여도 열안정화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고 이후의 열처리에 의해 단지 수축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벨트모양 베 자체의 외관에 있어서는 합섬모노필라멘트사층(21)과 합섬필라멘트사층(22)의 수축율에 차가 있으면 이 수축차에 의해 폭방향으로 구부러지나, 길이방향에 있어서는 수축도의 상이에 의한 비틀리거나, 엎쳐지는 등의 변형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위와 같은 열처리는 그 성격상 열안정화가 가능한 온도일 것이 필요하며 통상 150℃정도로 유지된다. 이후의 열처리는 120-140℃이며 열안정화한 부분은 수축하는 일은 없다.
지금, 나이론 및 포리에스텔섬유사를 사용하여 열수축율이 다른 각 부분의 스티치를 행한 경우에는 포리에스텔섬유사는 섬유성능에서 열안정화가 진행 이후의 프레스 처리에 의해 수축을 일으키지 아니하나 나이론은 열안정화가 진행되지 않고 다만 잔류 수축을 보유한 상태이기 때문에 프레스 처리에 있어서 수축을 일으키게 된다. 이같은 일은 벨트모양 베(A)의 구성 필라멘트가 포리에스텔섬유로 이루어진 경우, 혹은 나이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스티치의 실을 적합한 나이론 또는 포리에스텔섬유사를 하였을 때에 있어서도 같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거쳐서 더욱 잠재수축은 보유하는 벨트모양의 베는 연속로울 모양으로 감아서 보관 또는 운반하여 사용지로 향하여지나 그전에 일찍이 접착제분말 예컨대 열감응성수지분말(熱感應性樹脂粉末)을 부여하는 일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전술한 가열처리를 거친 벨트모양 베에 대해 인출로울(11) 통과 후에 있어서 적당히 배치된 접착제 용기에 의해 수지분말이 벨트모양의 일면위에 부여된다.
부여하는 수단은 공지의 각 수단이 임의로 사용이 가능하나 가장 보통의 부여로서는 산포수단이 적용된다.
이렇게 하여 접착제가 부여된 벨트모양 베는 다음에 배치된 제2의 가열장치(10')를 통과하므로서 그 일면에 부여된 접착제분말을 용융하여 수냉로울(13)에 의해 용융된 수지분말 벨트모양 베의 면에 압착시킨다. 이 경우 로울(13)은 수냉이며 로울면에 접착제가 부착하는 일은 없다.
수냉로울(13)을 통과한 벨트모양 베(A)는 로울(13)에서 수냉로울(14) 사이에서 냉각된 후 감은 로울이 형성된다. 또한 역시 냉각이 필요하면 수냉로울(13)과 냉각로울(14)의 사이로 송풍하여 냉각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로울(13), (14)은 통상 인출로울(11)과 동일 속도로 유지되어 동조적으로 벨트모양 베(A)를 이행시키도록 한다. 그리하여 이 사이에 벨트모양 베가 그 열수축이 큰 부분에 있어서 잔류 수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또 바른 상태로 이행하는 일은 중요한 일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로울모양으로 감겨진 벨트모양 베(15)는 봉제에 의한 바지, 스커트 등의 제작에 제공되어 표포에 접착하여 프레스 열처리를 실시하여 잠재된 수축이 발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벨트모양 베에 있어서 수축율의 이행 분포를 만드는 구성에 대해서 예시하면 벨트모양 베의 조직적 수축저항과 벨트모양 베의 수축저항을 가미하면 상당히 강력한 수축력이 필요하며 생산관리상에서도 또한 열관리상에서도 가장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들 수 있는 것은 편목(便目) 스티치사에 포리에스텔 필라멘트, 삽입 필라멘트사에 수축율이 큰 염화비닐계 섬유와 포리에스텔계 섬유 등의 혼방사, 예컨대 빈덴(상표등록)을 사용한 벨트모양 베다. 이것을 더욱 상술하면 천을 3구분하여 삽입사를 한쪽으로부터 포리에스텔사, 다음의 중앙부에는 빈덴(등록상표)을 편성할 때, 사열(斜列)의 침간격 뛰움 또는 그 이상으로, 또 다시 반대측 부분에는 빈덴(상표등록)을 각 열에 삽입하여 포리에스텔사로 형성된 편목스티치로 함께 편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래서 3구분의 폭의 비율을 바꾸므로서 또 다시 자유로히 수축차를 간단하게 얻을 수가 있다.
빈덴(등록상표)의 사용이 바람직한 이유로서는 염화비닐계 100%의 포화염화비닐계 섬유는 수축력이 크고 더욱 열세트성이 약하고 또한 60-80℃정도에서 수축이 시작되어 이상적인 섬유이나 고온에 약하고 120℃이상에서는 용단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며 온도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전술한 빈덴(등록상표)은 이접 내열성 섬유를 혼반하여 내열성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공정의 가열에 견디어 온도관리가 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縱) 편목 스티치사의 포리에스텔 필라멘트사는 열세트성이 있으며 건조단계에서도 세트되어 건조시 온도가 150℃이상이면 이후의 접착제 부여의 가열온도 및 사용시의 열접착 및 프레스 온도가 120℃-150℃이기 때문에 수축치 아니하고 가열장치에 의한 특별한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고 능률적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에 관한 방법을 예시한 것이며 벨트모양 베(A)를 긴 연속상태에서 가이드로울(3) 풀칠하는 통(2) 제2의 가이드로울(4) 가열로울(5), (6), (7), (8)로 구성되는 건조로울을 거쳐서 공급로울(9)에서 가열장치에 보내어 인출로울(11)을 통해서 접착제 분말용기(12)에서 접착제 분말이 산포되어 또 다시 제2의 가열장치에 있어서 이 접착제분말이 용융되기까지는 전술한 제1의 방법과 같으나 제2의 가열장치(10')와 수냉로울(13)과의 사이에 있어서 별도 외측면에 접착제(17)가 부착되었다. 예컨대 부직포로 형성되는 지지포(16)가 공급되어 벨트모양 베(A)와 중합되어서 함께 수냉로울(13)에 의한 가압 작용을 받아 벨트모양 베(A)의 용융된 접착제에 의해 양 베(A)와 (16)의 접합이 행하여짐과 함께 외측 접착제면이 압착되어 그 상태에서 이후의 냉각감기를 행하는 일이 표시되어져 있다. 이 경우에 공급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지지포와 벨트모양 베와의 중합위치에 있어서는 각각 나팔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위치세트를 행하는 일이 특별한 기술을 요하는 일이 없고 정확하게 연속하여 중합접착하는 일이 가능하며 가장 적합하다.
제4도, 제5도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전술한 잠재왜곡성을 가지고 벨트모양 심지용 베(A)의 봉제의 모양을 표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벨트모양 심지용의 베(A)가 소요길이로 절단되어 바지 또는 스커트의 본체(27)의 허리부에 당접되어 프레스 열처리에 의해 부채꼴 반곡상으로 변형된 상태가 도시 되어져 있다.
벨트모양 심지용 (A)의 부착은 제5도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제의 면에 있어서 표포(25) 내면에 접착하여 안베(26)를 거쳐서 함께 본체(27)에 봉착하여 프레스 열처리에 의해 접착제의 용융에 의한 접착과 함께 벨트모양 심지용 베의 잔류수축이 발현하여 부채꼴 반곡모양을 띠운다.
이와 같이 하여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리에 내장하여 부착된 벨트모양 심지용의 베는 한번의 프레스 열처리에 있어서 용이하게 바지, 스커트 등의 허리형상을 사용자의 허리형상에 적합시킬 수가 있다.
또 역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봉착완성 후 접착수축벨트의 선형화 마무리 프레스의 가열처리와 동시에 행하는 경우를 기술하였으나 미리 벨트모양 베(A)와 벨트 표포(25)를 가열접착시켜서 가열수축율 일으켜 만곡한 벨트부를 만들어, 그후 본체(27)의 위 모서리에 안베(26)와 함께 부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제조법은 벨트모양 심지용 베로서 가장 알맞는 선형반곡상을 바지, 스커트 등의 벨트부에 용이하게 부여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더욱 이 폭방향에 있어서 열수축성을 달리하는데 불구하고 최소의 열수축율 부분의 수축율에 합치하여 수축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열수축율의 큰 부분에 있어서 잔류하는 수축능이 보유되어져 있다고는 하여도 전체로서 벨트모양 베의 형상은 특히 변형되는 일없이 똑바른 상태에서 처리가공이 행해져 잠재왜곡성을 갖춘 벨트모양 심지용 베의 가공시에 있어서 취급 및 처리의 원활함은 물론 연속장척의 벨트모양 심지용 베를 봉제업자가 운반하는 위에 있어서 자못 유용하며 봉제시에 있어서 프레스 가열처리에 의한 접착제의 용융작용과 동시에 일거에 변형작용이 가능함과 서로 이불려서 바지, 스커트 등의 벨트부 구성의 합리적 방법으로서 극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연속적인 벨트모양 심지용 베의 처리가 가능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애초보다 그 품질의 면에 있어서도 균일한 벨트모양 심지용 베를 얻을 수가 있어 자못 실제적인 방법이다.

Claims (1)

  1. 폭(巾) 방향으로 한쪽에서 차츰 큰 열수축율을 가지는 부분과 적은 열수축율을 가지는 부분 또는 대, 중, 소의 각 열수축율을 가지는 부분이 분포된 연속 벨트모양 베(A)를 풀칠하여 건조한 후 가열장치로 유도하며 이 장치내를 입구부 공급속도에 비교하여 출구부의 인출속도를 느리게 한 이송하에서 전술한 벨트모양 배의 적은 열수축율을 가지는 부분의 수축율에 적합하게 열수축처리하고 이어서 전술한 출구부의 인출속도로 이송시켜서 벨트모양 베의 일면에 수지분말 등의 접착제분말을 부여하게 재차 가열 장치를 통해서 이 접착제 분말을 용융한 후 가압 냉각을 시켜 벨트모양 베에 접착제를 압착하여 그후 냉각과정을 거쳐서 권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재왜곡성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용 베의 제조법.
KR7800468A 1978-02-24 1978-02-24 잠재왜곡성(潛在歪曲性)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芯地)용 베(布)의 제조법 KR82000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468A KR820001210B1 (ko) 1978-02-24 1978-02-24 잠재왜곡성(潛在歪曲性)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芯地)용 베(布)의 제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0468A KR820001210B1 (ko) 1978-02-24 1978-02-24 잠재왜곡성(潛在歪曲性)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芯地)용 베(布)의 제조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029U Division KR820001834Y1 (ko) 1978-02-27 1981-11-27 커피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210B1 true KR820001210B1 (ko) 1982-07-02

Family

ID=1920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0468A KR820001210B1 (ko) 1978-02-24 1978-02-24 잠재왜곡성(潛在歪曲性)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芯地)용 베(布)의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21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3330B2 (ja) 経緯伸縮性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570030C (zh) 具有多层结构的弹性针织物及生产该针织物的方法
US4992124A (en) Method of making cross-laminated stretched non-woven fabric
US3115745A (en) Method of drawing, covering and stabilizing synthetic elastomeric yarn
JPS5915577A (ja) 熱セツトしたよこ糸插入織物および製法
JPS6051586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28564A (ko) 부직 루프 재료 및 그와 관련한 방법 및 제품
US2373194A (en) Fabric
US3695064A (en) Imparting stretch characteristics to woven fabrics
US2937380A (en) Non-puckerable seam
US416819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dding cloth for belts having a latent differential shrinkability property
KR820001210B1 (ko) 잠재왜곡성(潛在歪曲性)을 가지는 벨트모양을 하는 심지(芯地)용 베(布)의 제조법
US3401516A (en) High bulk continuous filament low stretch yarn
US5014404A (en) Air entangled yarn
US34472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ng a novel high bulk continuous filament low stretch yarn
US3832256A (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3098368A (en) Knit fabric for a welt or the like
US2529541A (en) Knitted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aid structure
JPS63303164A (ja) 接着芯地用基布と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4068320A (en) Method of producing knitted slacks
KR800001644B1 (ko) 부직포의 제법
JP3014846U (ja) 成型靴
JPS6119728B2 (ko)
US3333039A (en) Synthetic material tape or strip
KR810001356B1 (ko) 부직배트의 용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