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047B1 - 공구 자동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공구 자동교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20001047B1 KR820001047B1 KR7900829A KR790000829A KR820001047B1 KR 820001047 B1 KR820001047 B1 KR 820001047B1 KR 7900829 A KR7900829 A KR 7900829A KR 790000829 A KR790000829 A KR 790000829A KR 820001047 B1 KR820001047 B1 KR 8200010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arms
- geneva
- tool
- engag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공구 자동교환 장치를 가공센터에 장치한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동 측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b도는 (S)부 확대도.
제3c도는 (F)부 확대도.
제4도는 아암의 요부 확대도로서, a도는 상면도, b도는 a도의 E-E선 방향에서 본 측면도, c도는 저면도.
제5도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아아버 유지용 연결편의 1방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a도는 상면도, b도는 측면도, c도는 저면도.
제6도는 불사용 아암 연결용 회전판을 표시하는 평면도.
제7도는 제네바의 요부 확대도로서, a도는 저면도, b도는 a도의 F-F선 방향에서 본 부분 측면 단면도.
제8도는 환상 플레이트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9도는 실린더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a도는 종단면도, b도는 a도의 V-V선 방향에서 본 평면도, c도는 Z-Z선 방향에서 본 측면도.
제10도는 아암과 제네바와 서로 맞물리는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3도의 저면으로 부터본 개략도.
제11도는 주측에 대하여서 아아버를 착탈하는 구조를 표시하는 개략 종단면도.
제12도는 아암의 수평 조정용 브래킷의 1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a도는 상면도, b도는 a도의 X-X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c도는 하면도.
제13도는 수평면 조정용 브래킷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a도는 상면도, b도는 a도의 Y-Y선 방향에서 본 측면도, c도는 하면도, d도는 측면도.
제14도는 실린더의 착탈을 용이하게한 아암 구조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a도는 상면도, b도는 a도의 G-G선 방향에서 본 부분측면 단면도. c도는 돌출부에 장치하는 커어버를 표시하는 상면도, d도는 c도의 H-H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본 발명은 공구자동 교환장치가 붙은 NC 브라이스반과 같은 가공센터에 있어서의 공구자동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장치로서 주된 것으로서는, 터릿헤드방식, 혹은 공구 매거지인과 공작기계의 주축과의 사이에 아암 및 공구반송장치등의 중개장치를 사이에 두고 교환하는 아암방식이 알려져 있으며, 전자의 터릿헤드방식은 공구의 교환시간은 약간 짧으나, 공구의 보유수가 일반적으로 6-8본 정도이므로 다종의 작업을 하는 가공센터에는 사용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산출오차나 중심진동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아암방식의 경우에는 공구를 갖인 헤드를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시켜 중개장치에 의하여 공구를 교환한후 헤드를 하강시켜 가공하는 것이므로 특히 가공물이 작을때라도 헤드를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므로 시간의 낭비를 하게되고, 공구의 교환에 시간을 허비하게 되며, 더구나 구조의 대형화와 복잡화를 피할수가 없으며, 특히 근년에 가공센터의 소형화의 기획시에 아암방식의 것은 채택되지 않는 것이였다.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3-54481호에 있어서 드럼 외 주면에 환상구를 설치하여서 이것에 다수의 아아버를 회동 가능하게 개합하며, 각 아아버중 한개의 아아버를 헤드의 주축에 계지하는 동시에, 그밖의 각 아아버를 상기 계지한 아아버의 좌우방향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위치로부터 드럼의 상측의 주연에 연속되는 상태로 배설하도록한 공구자동교환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그 장치에 있어서는 공구교환을 하기 위하여 아아버의 회동은 한개분씩 그리고도 1방향으로 밖에 행할 수 없음으로 아아버를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여서 원하는 공구를 단시간에 선택할 수 없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재래식 기술의 제결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제1의 목적은 다수의 공구를 유지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유지된 공구중 임의의 1개를 최단시간에 그리고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고, 또 공구의 교환능율을 비약적으로 높이는데 있으며, 제2의 목적은 공구교환 공정환료시에 드럼을 상승시키지 않고 하강된 상태에서 원하는 공구를 최단시간의 공정으로 선택하는데 있다.
더구나, 제3의 목적은 사용전과 사용 후의 공구가 피가공물에 대한 간섭을 피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되여서 안전하게 가공작업을 행할 수가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 내지 제14도에 있어서, (1)은 컬럼(2)의 전면에 있는 안내레일(3)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 헤드, (4)는 그 헤드(1)의 상단측 선단부에 굽은 상태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받혀져 있는 절두원추형(截頭圓錐形)의 드럼, (5)는 선단중앙에 절두역 원추형부분(6)을 가지며, 외주부에 환상돌연(突緣)(7)을 형성한 드럼밑 부분(8)은 그 절두역 원추형부분(6)의 외측 앞벽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면위에 또 경사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측의 원주방향 소정위치에는 아암(9)의 중간 소정위치에서 그 앞벽방향으로 항상 돌출이 되도록 감장된 실린더(10) 상단의 활접부재(滑接部材)(11)가 계탈(係脫)이 자유롭도록 감입하는 2/3 원호형 안내홈(12)이 천설되어 있다. (13)은 밑부분 드럼(4)의 절두역 원추형부분(6)의 뒷면쪽 중앙부에 고정되고 그 밑부분에서 부터 전면을 향하여 굽으린 상태로 돌출형성된 센터축이며, 그 밑부분에 가까운 주면 소정위치에는 전면이 상기한 절두역 원추형부분(6)의 외주측 앞벽(8)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턱(14)이 형성되여 있다.
(15)는 센터축(13)의 선단에 환상 플렌지(16)를 사이에 두고 고착된 드럼 전면을 형성하는 커버(17)는 환상돌연(7) 내주연과 커버(15) 외주연과의 사이에 공구유지용 아아버 삽입용공간, (18)은 센터축(13)와 주위에 형성한 턱(14)의 하면과 환상 플렌지(16) 사이에 감장되여 밑부분에 소정길이의 소경부(18')를 갖인 센터링이다.
(9)는 턱(14) 하면과 센터링 대경부(18") 상면사이의 센터링 소경부(18') 주면이 방사형이고 또한 회전이 자유롭도록 감장된 역산형 다수(도면에는 20본)의 아암이며, 각 아암(9)은 아암 밑부분을 구성하며, 또한 상기한 센터링 소경부(18')의 길이와 동일한 두께를한 소정길이의 아암본체(19)와 그 아암본체 끝부분(20)으로부터 전면에 연장돌출된 내부에 상기한 본체 끝부분을 관통하여서 앞벽(8) 측에 개구된 실린더 감합홈(21)을 구비하고, 또한 각 내측 주벽의 소정위치에는 상기한 감합홈(21)에 연통되는 불사용 아암 연결용 회전판(22) 외주연 감삽용 절결홈(23)을 구비한 돌출부(24)와 그 아암본체 끝부분(20)으로 부터 상기한 절두역 원추형부분 외주벽(25)에 따라서 내방으로 경사형으로 연장되는 소정길이의 지지부(26)와 그 지지부(26)에 각각 장착된 공구유지용 아아버(27)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조편(爪片)(28)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아암(9)중 헤드(1) 내에 설치한 주축(29)에 맞물리는 아아버(27)를 유지한 1개의 아암(9-①)은 드럼(4)의 하측에 배치하고, 그 1개의 아암을 제외한 그밖의 아암(9-②)-(9-)은 그 하측의 아암(9-①)의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그림에서는 60°)를 유지하는 위치로 부터 상측에 연속된 상태로 배설한 것으로서, 상기한 소정각도를 피가공물과의 간섭을 피할정도로 설정되는 것이다.
(30)은 각 아암(9)의 단부측 하면을 각각 동일한 평면으로 결합 지지하는 다수의 환상플레이트(그림에서는 20매)이며 이것은 센터링(18)의 대경부 외주의 아암(9) 하면과 환상플렌지(16) 사이에서 각각 회전이 자유롭고 또한 적층꼴로 감장된 일정한 두께를 가진 20매의 환상 플레이트 본체(30')와 그 본체(30')의 각 주면 소정위치에 돌출 형성된 아암 연결용 돌출편(30")으로 이루어졌으며, 환상 플레이트(30)중 최상층에 위치하는 환상 플레이트(30)는 임의로 1개의 아암(9)(그림에서는 하측의 아암(9-①)을 돌출편(30")을 사이에 두고 직접 연결하는 동시에 그 최상층의 환상플레이트(30)를 제외한 그밖의 19매의 환상 플레이트(30)는 각 돌출편(30")을 상기한 1개의 아암을 제외한 19개의 아암(9)(그림에서는 9-②~9-)에 각각 순차적으로 높이가 상이한 19개의 수평면 조정용 브래킷(31)을 사이에 두고 연결하여서 제각기 각 아암(9)을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시키고 있다.
(32)는 각 아암(9)의 아암본체(19)의 중앙 뒷편에 천설될 제네바(33)의 구동핀(34)을 서로 맞물리데는 사용되는 긴 홈으로서 그 긴 홈(32)의 아암 단부측에는 절결홈과 각각 서로 맞물리기 시작하는 부분(35)이 형성되어 구동핀(34)이 어느것인가의 서로 맞물리기 시작하는 부분(35)으로 부터 긴 홈(32)에 대하여 서로 맞물림과 이탈이 자유롭도록 구성되여 있다.
(10)은 각 아암(9)의 실린더 감합홈(21)에 감장된 실린더이며, 그 내측주벽의 소정위치에는 불사용 아암 연결용 회전판(22) 외주연 감입용 절결홈(36)이 형성되고, 또한 상단측(뒷면측)에는 각 아암(9)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한 큰 호형의 안낸홈(12)에 계탈이 자유롭게 감합되는 활접부재(11)가 핀(11')을 사이에 두고 감장되 있으며, 더구나 하단측(전면측)에는 하단에 개구하는 스프링 감합홈(37)이 천설되었고, 이것에 1단이 그 감합홈(37)의 밑에 충합(衝合)하며, 타단이 아암돌출부(24) 내저면에 탄접(彈接)하는 스프링(38)을 감장하여서 실린더(10)를 항시 절두역 원추형부분 앞벽(8)에 밀어 붙이도록 되여 있다.
그로 인하영 각 아암(9)은 하측의 아암(9-①)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활접부재(11)는 대응하는 앞벽(8)의 프랫트면에 당접되며, 실린더(10)는 그 위치에 유지되나, 아암(9)이 하측의 위치로부터 큰 호형 안내홈(12)에 대응하는 상측의 아암(9-②)-(9-)의 위치에 회전이동 하였을 경우는 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하여 실린더(10)는 앞벽(8) 방향으로 접동하며, 그 선단의 활접부재(11)가 안내홈(12)내로 감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22)는 외주에 상기한 연속배치의 아암(9-②)-(9-)과 동일한 피치에 천설된 실린더(10) 외주면 계함용 원호형홈(39)을 갖인 불사용 아암 연결용 회전판이며, 그 회전판(22)은 각 아암 돌출부(24)에 형성된 절결홈(23)을 통하여서 각 실린더(10)의 절결홈(36)내에 감입되며, 각 아암(9)중 하측에 위치하는 아암(9-①)과는 비계합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그 하측의 아암(9-①)을 제외한 상측의 각 아암(9-②)-(9-)과는 각 실린더(10)의 앞벽 방향으로의 접동에 의하여 각 실린더 외주면이 각 원호형홈(39)내에 감합되여서 상방측에 위치하는 각 아암(9-②)-(9-)을 그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 가능하다.
(40)은 아암(9)의 지지부(26)의 내면 소정위치에 연결보울트(41)를 사이에 두고 감장된 절두역 원추형부 외주연(25)과의 당접용 활접부재, (42)는 조편(28)의 끝부분 소정위치에 연결보울트(43)를 사이에 두고 감장된 환상돌연(7)의 내주면과의 당접용 활접부재이며, 각 아암(9)의 중간부 및 선단부는 이들의 활접부재(40) 및 전기한 활접부재(42)에 의하여 동일한 수평면으로 유지되여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되여있다.
(44)는 아암(9) 밑의 끝쪽 소정위치에 있어서 뒷면쪽에 돌출형성된 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핀이며, 각 아암(9)이 하측의 아암(9-①)의 좌우로 이동하여 왔을때 그 핀(44)을 말굽형 제네바(33)의 주연에 당접시켜서 상방층 아암의 낙하방지를 한층 확실하게 하고 있다.
(45)는 밑의부분(5)의 상기한 환상홈(1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아아버 삽입공간 형성용의 세모꼴 요부이다.
(33A)(33B)는 아암(9)과 절두역 원추형부분(6)의 하측 소정위치에 고착되여 주면에 베어링(46')을 감장한 제네바 위치 결정용 지지부재(46)와의 사이이며, 또한 하측 아암(9-①)과 그 아암(9-①)의 좌우에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배치된 아암(9-②)-(9-)과의 사이에 각각 대응하여서 대칭으로 배설된 아암 구동용 제네바이며, 각 제네바(33A)(33B)를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1회전 하므로서 각 아암(9-①)-(9-)을 제4도의 배치상태로 유지하면서 우방향 또는 좌방향으로 아암 1개분씩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여 있다.
즉, 각 제네바(33)는 1단측에 튕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핀(44) 당접용 말굽형 곡면(47)을 가지며, 타단측에 반원판(48)을 형성한 기초판(49)과 그 기초판(49) 뒷면의 상기한 베어링(46') 주면에 장착된 제네바 회전용 기어(50)와 그 기초판(33)의 말굽형부분 선단부에 돌출 형성되여 대응하는 아암(9-②) 및 (9-)의 각 긴홈(32)에 서로 맞물림과 이탈이 자유롭도록 서로 맞물리며, 또한 각 제네바(33A)(33B)의 동일한 방향으로의 1회전에 의하여 궤적(51) 위를 이동 가능하게 배설된 로울러가 붙은 구동면(34)과 상기한 반원판의 전면에 그 주연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루어 졌으며 이 경우 그 초생달형 돌출부(52)의 기초부 외주면(53)과 이에 계속되는 반원판형 기초판 전면(54)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9-①)의 양 외측연에 접촉시켜서 아암 교환시에 받거나 내어주는 일과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55)는 드럼 기초부(5)의 상단측 뒷면부에 장착된 접동기어이며, 헤드(1)에 설치한 원통캠(56)의 하단기어(57) 및 회전축(58)에 각각 서로 맞물림이 가능하게 배설되여 있다.
한편 제네바(33B)는 그 우측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아암(9-②)과 서로 맞물린채 드럼의 하측의 위치 즉, 아암(9-①)의 위치까지 이동되므로 우측의 새로운 공구와 교환할 수가 있다. 이때에 다른 아암(9-③)-(9-)까지는 아암 1개분씩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며, 제네바(33A)는 아암(9-①)과 서로 맞물린 상태로 1회전이 끝나며, 제네바(33B)는 아암(9-③)과 서로 맞물린 장소에서 1회전이 끝난다.
또 제네바(33A)(33B)를 각각 좌측방향으로 1회전시켰을 경우 상기한 우측방향으로의 회전과는 반대의 동작으로 공구교환을 할 수가 있다. 즉, 제네바(33B)는 좌측방향으로의 1회전에 의하여 아암(9-②)로 부터 떨어져서 아암(9-①)과 서로 맞물려서 이것을 아암(9-②)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시에 제네바(33A)는 아암(9-)과 서로 맞물린 상태로 아암(9-①)의 위치까지 이동하므로 좌측의 새로운 공구와 교환할 수가 있다.
(59)는 접동기어(55)의 하단부에 설치된 베벨기어(60)를 1단은 그 베벨기어(59)에 서로 맞물리는 베벨기어(61)를 가지고 있으며, 타단에 평치차(62)를 구비한 구정전도 장치이며, 그 평치차(62)와 서로 맞물리는 평치차(63)를 사이에 두고 제네바(33) 회전용치차(50)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제네바(30)의 작동을 설명하자면, 지금 제10도의 정지상태로부터 그 제네바(33A)(33B)를 각각 우측방향으로 강제적으로 1회전시켰을 경우 아암(9-)의 긴홈(32)에 서로 맞물리고 있는 구동핀(34)은 각속도 0의 점으로 부터 회전이 시작되므로 원활하게 기동하여서 제네바(33A)의 회전에 의하여 아암(9-)의 긴홈(32)과의 서로 맞물려진 것이 풀어져서 맞물리지 않는 상태에서 급속하게 아암(9-①)축에 이동하며, 재차 감속되면서 아암(9-①)의 긴 홈(32)내로 감입되여 이것에 서로 맞물리며,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암(9-①)을 아암(9-)이 위치하고 있던 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원리는 제네바(33A)(33B)를 각각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여러번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도 매한가지다. 즉, 각 제네바(33A)(33B)를 예를 들자면, 우측방향으로 2회전시킬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자면, 제1회의 제네바(33A)(33B)의 회전에 의하여 아암(9-①)의 아암(9-)의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아암(9-②)이 아암(9-①)의 위치로 이동하며, 이에 계속하여 제2회째의 제네바(33A)(33B)의 우측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하측에 의치하는 아암(9-②)은 그 좌측옆의 아암(9-①)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시에 아암(9-③)이 하측에 위치하는 아암(9-②)의 위치까지 이동하며, 아암(9-①)의 공구로부터 일거에 아암(9-③)의 새로운 공구를 교환할 수가 있다.
(64)는 아아버(27)의 주면 소정위치에 형성된 드라이브 키이 홈(65)은 아암의 지지부(26) 선단측의 상기 드라이브키홈(64)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프링을 감장한 조편(66)에 의하여 장치된 위치결정 돌기물이며, 드럼(4)의 하측에 위치하는 아암의 아아버 유지용 조편(28)이 공구를 유지하지 않을때에는 헤드(1) 하단 벽면(67)이 조편(66)의 뒷면에 압접하므로서 위치 결정용 돌기물(65)을 드라이브키홈(64)으로 부터 밀어내며, 또 아아버 유지용 조편(28)이 공구를 유지하였을 때에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위치결정용 돌기물(65)이 드라이브키홈(64)으로 들어가서 아아버(27)의 계산을 정확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68)은 헤드(1) 하단의 상기한 아아버 유지용 조편(28)에 대향하여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쐐기이며, 그 쐐기(68)를 돌출시켜서 아아버 유지용 조편(28)에 감입하여 조편을 밀어제치므로서 공구의 파악상태를 해제할 수가 있다.
(69)는 헤드(1)의 하단에 설치한 드라이브키이다.
(29)는 헤드(1)의 하측 소정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주축이며, 그 하단에는 하단이 확대된 생크(Shank) 삽입부가 형성되여 있다.
(70)은 주축(29)내에 소정범위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감입된 척(Chuck) 기구이며, 이것은 상단주축 헤드(71)와 중간주축 로드(70") 및 그 로드 하단에 장착되여 상기한 생크 삽입구 내벽과의 계탈에 의하여 개폐하는 척(70')과 주측 로드(70")축 둘레에 감장되어 주축헤드를 상방으로 힘을 가하는 접시형 스프링으로 이루어 졌으며, 주축헤드(71)에 압압력을 가하지 않을때 척(70)은 작동하여서 드럼(4)의 하측에 위치하는 아아버(27)의 생크를 파지하는 것이며, 그 접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상기한 주축헤드(71)의 하방에 압압력을 가하였을때 아아버(27)는 개방되며, 왕복하였을 때에 파악하는 것이며, 그 주축(29)에는 치차등의 회전구동 전달장치(72)가 설치되여 있다.
주축(29)에 대하여 아아버(27)를 착달하는 구주는 헤드(1)내에 있어서 그 주축(29)의 상부에 설치한 회전축(73)을 관통하여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눌러내리는 지리대(74)를 설치하고, 그 눌러내리는 압압간(74)의 상단에 원판형부분(75)을 가지며, 더구나 그 상면의 1부에 요부(凹部)(76)를 형성한 캠축(77)을 스프링(78)에 의하여 상방에 가세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한편, 회전축(73)의 상단에 고착된 회전부재(79)에 상기 요부(76)에 계탈이 자유로운 로울러(80)를 배설하고, 상기한 요보(76)에 로울러(80)가 맞물렸을때 캠축(77)은 스프링(78)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승하며, 척(70)은 아아퍼를 파지 가능하며, 한편 상기한 로울러(80)가 요부(76)를 탈출 하였을때 캠축(77)은 스프링(78)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하강하여서 주축헤드(71)을 하방으로 압압하여서 아아버(27)를 해제하는 것이다.
(81)은 회전축(73)의 하단축에 설치한 치차이며, 일측은 아이들기얼(82)와 모우터축(83)을 사이에 두고 모우터(84)에 연결되고 타측은 드럼(4)에 배설된 접동기어(55)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배설되여 있다. (56)은 회전축(73)의 축둘레에서 그 치차부(81)의 상방의 소정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감착된 드럼(4) 승강용의 원통캠이며, 그 캠(56)의 경사홈(56')에 드럼(4)의 밑부분으로 부터 돌출된 회전자(85)가 맞물리어 있다.
그 캠(56)의 주면에는 최고 위로부터 최저 위까지 순차적으로 경사지며, 더구나 최저위로 부터 제자리의 최고위로 되돌아가는 경사형의 캠홈을 갖는 동시에, 그 하단 외주에는 그 경사홈의 최저위부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서 접동기어(55)에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된 치차(57)가 설치되여 있다.
이 때문에 회전축(73)을 회전시키면 제네바(33)가 회전을 개시하는 동시에 캠(56)도 회전을 개시하며, 드럼(4)을 그림으로 표시한 최상승 위치로부터 하강이 가능한 동시에 그 캠(56)의 치차(57)와 접동기어(55)와의 서로 맞물린 상태가 해제되므로 드럼(4)은 최하강 위치에 정지되며, 제네바(33)만이 회전을 계속할수가 있다. (86)은 상기한 회전축(73)의 원통캠(56)의 내측상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 전자 연등기이며, 드럼(4)이 최하강 위치에 정지하고 있을때 그 연동기(86)를 필요에 따라서 작동 시켜서 원통캠(56)을 연결하므로서 원통캠(56)을 재회전시켜서 드럼(4)을 원위치까지 상승 시킬 수가 있다. (87)는 헤드(1)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안내레일이며, 드럼(4)은 그 레일(87)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인다.
제14도는 아암의 돌출부를 본체측(24')과 이것에 탈착이 가능한 커어버(24")로 분할한 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실린더(10)부분의 착탈이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서, 공구를 교환할때에는 공구가 피가공물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까지 헤드를 상승한 후 눌러내리는 압압간을 하방으로 눌러내려서 아아버의 파악상태를 해제한다.
잇따라서 원하는 공구를 가진 아암의 위치에 따라서 그 아암이 단시간에 선택되도록 제네바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설정하여서 교환작업을 행하는 것으로서, 각 아암을 1개씩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모우터를 구동시키면 드럼은 원통캠에 의하여 하강을 개시하는 동시에, 제네바가 회전을 시작하며, 그 제네바의 1회전에 의하여 사용이 끝나는 공구와 왼쪽옆 또는 바른쪽옆의 새로운 공구를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또 아암의 2개분이상 연속적으로 빠르게 보내려고할 경우에는 드럼을 최하강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제네바를 단지 2회이상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 좋다.
더구나 사용이 끝난 공구와 새로운 공구가 교환된후에는 단지 연동기를 연결하는 것만으로서 드럼은 용이하게 원위치까지 상승하며, 새로운 공구를 주축내에 삽입한후 눌러내리는 압압간을 작동시켜서 새로운 공구를 척에 파지된 공구교환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다수의 공구를 가질 수가 있는 동시에, 가진 공구중 임의의 1개를 최단시간에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현저한 실용적 효과를 가진 위에 제네바의 작동지체 아암과의 서로 맞물리기 시점 및 위치결정 종점은 매우 저속 회동하므로 충격등도 전연 발생하는 일이 없이 원활한 교환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장치는 다수의 공구를 유지하며, 또한 좌우측방향의 임의의 공구와 교환이 가능하면서도 구조는 매우 간단하며, 더구나 소형이고 그리고 주축과 맞물리는 아아버가 달린 아암과 그의 좌우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갖는 각 아암은 회전판과 실린더 및 낙하핀과 제네바와를 각각 계합 지지시키는등 2중 3중의 낙하방지 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가공중에 다른 공구를 장치한 아아버가 미끄러져 떨어질 우려가 없이 매우 안전성이 높은 것이다.
Claims (1)
- 가동헤드(1)와 그 헤드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받혀진 드럼(4)을 설치하고 그 드럼(4)은 상기한 가동헤드(1)선단의 안내레일 수단에 의해서 안내되도록 장치된 밑부분과, 그 밑부분의 선단 중앙부로 굽은 상태로 돌출형성된 센터축(13) 및 그 축둘레의 소정위치에 방사상으로 그리고 회전이 자유롭게 배설되어 있는 공지된 가공센터의 공구자동 교환장치에 있어서, 그 선단측에 각각 아아버(27)유지용 조편(28)을 가지고 있으며, 하단 중앙부 뒷면에는 제네바(33) 구동핀(34)의 서로 맞물리기용 긴홈(32)을 요설하고, 더구나 중간 소정위치에는 그 전면에 돌출된 불사용 아암 연결용 회전판(22) 계탈용 실린더(10)를 구비한 다수의 역산형 아암(9)과 외주면에 상기한 아암의 각 실린더(10)를 아암 밀접상태에서 감입가능한 반원형홈을 구비하였으며, 또한 상기한 아암(9)중 헤드(1)내에 설치한 주축에 맞물리는 1본의 아암(9)을 제외한 그밖의 아암(9)의 각 실린더(10)를 각각 감입 유지하여서 이들을 주축에 맞물리는 1본의 아암의 좌우방향으로 소정 각도를 유지하는 위치보다 상방으로 연결상태로 배설시키는 불사용 아암 연결용 회전판(22)과 상기한 주축에 맞물리는 아암(9)과 그 좌우에 서로 인접된 아암(9)과의 사이에 대응하여서 각각 뒷면측에 대응으로 배설 되었으며, 또한 이 들 각 한쌍의 아암(9)의 긴홈(32)에 각각 서로 치합과 이탈이 가능한 아암 이동용 구동핀(34)을 가진 한쌍의 제네바(33)를 구비하였으며, 각 제네바(33)는 그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의 1회전 또는 복수 회전에 의하여 각 아암의 상기한 배치상태를 유지하면서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으로 1개분씩 또는 복수개분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여 이루어진 가공센터의 공구자동 교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0829A KR820001047B1 (ko) | 1979-03-19 | 1979-03-19 | 공구 자동교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7900829A KR820001047B1 (ko) | 1979-03-19 | 1979-03-19 | 공구 자동교환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20001047B1 true KR820001047B1 (ko) | 1982-06-12 |
Family
ID=1921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7900829A KR820001047B1 (ko) | 1979-03-19 | 1979-03-19 | 공구 자동교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20001047B1 (ko) |
-
1979
- 1979-03-19 KR KR7900829A patent/KR820001047B1/ko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33772A (en) | Automatic tool changing apparatus | |
US4237595A (en) | Automatic tool changing device for a machining center | |
US4087901A (en) | Tool change mechanism for machine tools | |
JPS60155338A (ja) | 工作機械 | |
EP0262368B1 (en) | Tool change apparatus for machining center and the like | |
GB1429049A (en) | Machine tools | |
US4135278A (en) | Automatic tool changing device for a machining center | |
US3271853A (en) | Automatic tool changing mechanism for machine tool | |
US4516311A (en) | Machining centers | |
KR820001047B1 (ko) | 공구 자동교환 장치 | |
JP2535479B2 (ja) | 自動工具交換装置 | |
US5820536A (en) | Automatic tool exchang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 | |
US3332142A (en) | Tool holders | |
JPH032617B2 (ko) | ||
US4050837A (en) | Drilling machine with automatic tool changer | |
IL33810A (en) | Tool selector with magazine | |
JPH0134745B2 (ko) | ||
KR810000032B1 (ko) | 가공센터에 착설하는 공구 자동교환 장치 | |
JP2551292B2 (ja) | 切削加工装置 | |
US2890468A (en) | Continuously rotating workpiece carrier with plural workholders and a tool carrier which oscillates synchronously with the workpiece carrier during the tool operation | |
US3691855A (en) | Cone cam assembly | |
JPS63318234A (ja) | 工作機械 | |
SU772800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мены инструментов | |
JPH0632260Y2 (ja) | パンチプレス機 | |
JPS603543B2 (ja) | ホブ盤の自動工具交換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