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558B1 -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 Google Patents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558B1
KR820000558B1 KR7702812A KR770002812A KR820000558B1 KR 820000558 B1 KR820000558 B1 KR 820000558B1 KR 7702812 A KR7702812 A KR 7702812A KR 770002812 A KR770002812 A KR 770002812A KR 820000558 B1 KR820000558 B1 KR 82000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rims
housing
shaft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 마틴 죠셉
Original Assignee
거스타프 이. 이삭슨
엔 알 엠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스타프 이. 이삭슨, 엔 알 엠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거스타프 이. 이삭슨
Priority to KR7702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55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제1도는 팽창기의 서로 맞물린 한쌍의 림(rim) 및 외측 또는 저부의 림과 연동하는 엘리베이터를 보여주는 부분적으로 절단된 수직 단면도.
제2도는 록 샤프트(lock shaft) 잔동기를 보여주는, 제1도의 2-2선으로 자른 횡단면도.
제3도는 엘리베이터 척(chuck)를 설명하는, 제1도의 3-3선으로 자른 횡단면도.
제4도는 키호울 하우징(key hole housing)내 및 점선을 따라 록의 위치로 회전된 록 샤프트 조립체를 설명하는, 제1도의 4-4선을 따라 자른 칩단면도.
제5도는 보다 구체적인 록 샤프트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6-6선을 따라 자른 횡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7-7선을 따라 자른 횡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저부 8-8선으로 취해진, 록 샤프트의 단부를 보여주는 도면.
제9도는 제1도와 유산한 본 발명의 수정된 수직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10-10선을 따라 자른, 록된 상태에서의 록 샤프트 및 하우징의 횡단면도.
제11도는 안록(unlck)상태에서의 록 샤프트 및 하우징은 보여주는 제10도와 유사한 도면.
본 발명은 림조립체를 연결하기 위한 확실한 록장치를 갖는 구조가 단순화된 가류 후의 타이어 팽창기의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립 오버(flip over)형의 가류후의 타이어 팽창기는, 림조립체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엘리베이터프레임 또는 요우크(yoke)위에 외측림이 지지되며 장치가 회전 또는 회동될 때에 엘리베이터 프레임 전체가 움직인다.
상기 메카니즘의 일례는 미국특허 제3,483,596호에 나타나 있다. 그에 따르면, 외측 림은 프레임 또는 요우크에 장치됨으로 해서 내측림과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시키고 있다. 따라서, 림을 서로 록하는 통상의 베이어니트(bayonet)가 사용된다.
그러나, 가류 후의 다이어 팽창기를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는 외측 림이 프레임 또는 요우크상에 장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 또는 요우크를 생략하기 위해, 사이클의 록부분과 로드부분에서 외측의 림은 엘리베이터상의 척에 의해서 결합되고 타이어 컨베이어의 하부위치에서 록위치로 또는 그의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베이어니트를 사용하여 이러한 구조를 이용한 경우에는 중심맞추기와 안전성을 위해서 외측의 림에 쓸데없이 회전하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을 제외하고는 내측 림 또는 록샤프트에 대하여 외측 림이 쓸데없이 회전하여 타이어가 팽창될때 림을 분리하게 된다. 더우기, 외측 림이 회전하면 엘리베이터척은 록사이클 및 로드 사이클사이에 외측림과 적절하게 계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쌍을 이룬 타이어 계합 림을 취부한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한 프레임을 가지는 플립오버(flip over)형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에 관한 것이고, 각쌍의 내측의 림은 대향하는 측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축방향에 돌출하는 동시에 축의 회전으로 회전 가능한 록 샤프트을 가지고 각쌍의 외측의 림은 록 샤프트를 위해서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림은 팽창을 위해서 적절하게 타이어 착좌(着座)하도록 서로 근접하는 비이드 시이트(bead seat)를 포함한다. 타이어가 팽창될때 림은 제한된 범위로 분리된다. 록 및 록사이클 또는 안록(unlock) 및 안록사이클중에 적당한 위치에 있을때에 프레임 하방의 엘리베이터가 외측림과 계합하여 외측의 림을 내측의 림에 접근하여 이동하고 림을 안록시킨 다음 외측의 림을 하강시켜 타이어를 배출 컨베이어상에 놓이도록하고 다음의 타이어를 받는다.
록 샤프트와 하우징은 중심 맞추기 및 안전을 위해서 외측림이 내측림에 대해 회전할 수 없게하며, 록 샤프트는 타이어가 팽창되지 않고 2개의 림이 서로 근접한 때에 한하여 외측림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외측 림의 회전은 2개의 림이 서로 근점하고 있을때는 양자간의 간섭으로 방지되는 동시에 떨어진 채로 2개의 림을 록하는 때는 샤프트와 하우징 사이의 간섭에 의해 방지된다. 이것들의 간섭이 적을지라도 어느 한쪽은 사이클의 록, 팽창 및 안록부분으로 평상시에 움직인다. 사이클의 로드 및 안로드 부분의 사이에 외측의 림은 회전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척으로 록시킨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팽창기의 회전 및 회동시 외측림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필요하지 않는 단순화 플립-오버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주요목적은 간단하고도 확실한 록기구를 사용한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주요목적은 록, 팽창, 안록, 안로드 및 로드시에 외측림 조립체가 불필요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심맞추기 및 안정성을 위해서 외측의 림의 내측의 림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또한 2개의 림이 근접하여 타이어가 팽창되지 않을 때만 록샤프트가 외측의 림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내측의 림에 록 샤프트를 가지며 외측의 림에 하우징을 가진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의 제공에 있다.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2개의 림이 서로 근접한는 때는 2개의 림 사이에 간섭과, 림이 분리되었을 때 샤프트와 하우징간의 간섭으로 인해 외측림이 회전되지 않는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의 제공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이것들의 간섭이 적을지라도 어느 한쪽방향은 사이클의 록, 팽창 및 안록부분으로 평상시에 움직이도록 한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로드 및 안로드중에 외측의 림을 상승 및 강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이 엘리베이터는 외측의 링에 취부되며 림의 회전을 방지하는 척을 가지는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한쪽의 림으로부터 돌출한 키와 다른쪽의 림에 설치한 키 슬롯을 가진 록수단과, 림이 서로 근접할때를 제외하고는 키와 슬롯의 사이에 상대회전을 일어나지 않기 위한 기계적 수단이 용이한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것들의 목적과 장점은 이하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이하 서술한 또한 특히 특허청구 범위에 표시한 특징을 가지며, 이하의 설명과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원리를 사용하는 많은 방법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다.
제1도를 참조하면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는 상기 도면에 평면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축에 대해 회전 또는 회동 가능한 트러리언(trunion) 프레임 10을 포함한다. 프레임 10은 서술한 축회전에 대칭적으로 설치하고, 회전 또는 회동하도록 각단부에 지지시킨 2개의 수평한 프레임부재 11 및 12를 가지고 있다.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는 일반적으로 듀얼 캐비티(dual cavity) 타이어 가황 프레스의 후방으로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황 후의 타이어 팽창기는 이 프레임의 각측에 2쌍씩 통상 4쌍의 팽창림을 가지고 있고, 프레스의 2사이클 사이에 팽창한 타이어를 후 경화처리하기 위해 1개의 캐비티에서 타이어를 받는다. 제1도에서 4쌍의 림중 하나만이 완전히 표시되고 이것에 대향하는 1쌍의 1부분이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쌍의 림은 내측림 14 및 외측림 15를 가지며, 내측림은 고정 보울트 16으로써 지지부 17에 취부하고, 지지부 17은 고정 보울트 18에 의해서 프레임 10에 취부시키고 있다.
지지부 17을 관통하여 림 14의 축방향으로 축의 회전 가능한 록 샤프트 20이 돌출하여 있다. 샤프트 20은 자지부 17의 견부에 장치된 견부 21을 형성하는 확대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확대부는 시일(Seal) 23을 위한 홈 22를 가지고 있다. 록 샤프트 20의 내측단부에는 축 25가 돌출하여 있는 소경의 견부 24가 설계되어 있다. 축 25는 프레임 10의 부분인 허브 27내의 부싱 26내에 설치되어 있다.
견부 24와 허브 27사이에는 31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축 25이 키로 고정하여 연결한 크랭크 암 30이 설치하여 있다. 트러스트 베어링 32는 크랭크 암 30과 허브 27사이에 위치한다. 크랭크 암 30의 횡형상은 제2도에서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외측 비이드 림 15는 고정보울트 36에 의해서 지지부 35에 취부되며, 상기 지지부 35는 축향으로 확장된 내측에 나사를 낸 원통형 슬리이브 37을 가지며, 내측에 나사를 낸 슬리이브는 외측으로 나사를 낸 두부분의 원통형 하우징 40을 나사결합으로 지지한다. 하우징 40의 상부 또는 외측으로 나사를 낸 부분 41은 제4도에 상세하게 표시하고 있는 형상을 가지는 상단 개구부 42를 포함한다.
하우징 40의 하부 컵모양의 부분 43은 고정보울트 44에 의해서 상부 41이 취부된다. 에어 시일 45와 46은 하우징 40의 저부 43과 상부 41사이에, 상부 41과 지지부 35사이에 각각 설치된다. 하우징 40과 지지부 33의 사이에 나사결합은 도시된 실설 위치에서 48의 가상선 위치까지 연직방향으로 조정을 허용한다. 일단 필요한 수직적 조정이 되며 선단이 연직한 슬롯 50내에 유지시키는 핀 90에 의해서 지지구 35와 하우징 40의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조절의 설명에서, 비이드와 물리는 림 14 및 15는 최소 6″(152.4mm)또는 10″(254mm)최대 림 넓이를 갖는다. 승용차 타이어 촌법에 의해서 이 림의 넓이는 5″(127mm)에서 8″(203.2mm)의 범위이다. 저부 림 15는 비이드 견부 53과 54의 사이에서 타이어 비이드를 약간 압축하는 가상선 위치 52까지 이동된다. 상기 위치에서 각자의 림 14 및 15상의 경사진 안내겸용 센터표면 55와 56는 맞물린다.
저부 또는 외측림 15의 수직적 운동은 60으로 표시한 엘리베이터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엘리베이터 60은 도시되지 않은 수직으로 향한 피스톤식 실린더 조합체의 로드 62가 취부된 프레임 61을 포함한다. 프리임 61에는 수직으로 확장된 가이드 로드 63 및 64가 설치된다.
환형의 척링 67은 고정볼트 66에 의해서 프레임 61의 상단판 65에 설치된다. 척링 67의 중앙 호울 68은 하우징 40의 하부 43의 바닥에 있는 돌출부 69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돌출부 69의 저부 외측 가장자리와 호울 68의 상부 내측 가장자리에는 적당한 안내하는 면이 설치된다. 직영방향의 키 70은 링67이 취부되고 호울 68을 가로질러 확장되며, 키 70의 상부 가장자리는 면이 다듬어져 있다. 키 70은 하우징부 43의 돌출부 69의 바닥면에 있는 같은 모양으로 경사한 또는 각을 다듬어진 직경방향의 슬롯 71에 장치된다. 키 70과 슬롯 71은 링 67 또는 엘리베이터 60과 하우징 40의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저지하여 축방향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하우징 40을 엘리베이터 60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취부하기 위해서 바(bar)74에 취부한 2개의 평행한 록핀 72와 73이 사용되고 바 74의 단부는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 77과 78의 로드 76에 75로서 취부하고 있다. 피스톤-실린더 조합체 77,78의 각단부는 엘리베이터판 65에 취부된 브라켓 80에 79로서 설치되어 있다.
록핀 72,73은 링 67내에서 각각 평행한 보어 82 및 83에 접동 가능하게 취부되며, 상기 보어 82,83은 중심 호울 68과 각각 교차한다. 하우징 40의 돌출부 69에는 84 및 85로 표시한 외측이 평행 환형홈이 설치되며, 하우징 40의 돌출부 69가 호울 68내에 들어 있을때 상기 홈은 보어 82,83과 각각 동축이다.
피스톤-실린더 조합체 77.78이 확정되어 바 74를 86으로 표시된 가상선의 위치로, 이동시킬 때, 핀 72, 73의 단부는 하우징 돌출홈 84,85를 지난 위치인 87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 40 및 엘리베이터는 수직으로 분리된다. 피스톤식 실린더 조합체 77 및 78이 후진할 때 핀 72,73의 단부는 홈 84,85와 접촉하는 88의 위치로 되고, 하우징 40이 상대적으로 수직방향의 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하지 않게 엘리베이터에 록시킨다.
트러니언 이송체가 제1도의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돌출부 69와 엘리베이터 60의 소켓은 동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어서 림 14와 15에 의해 유지되는 타이어가 수축되고 엘리베이터 60이 도시한 바와같이 상승하여 하우징 40과 계합한다. 엘리베이터가 상승을 계속하면은 외측의 림 15는 하우징 40의 상면 90이 내측의 림지지부 17의 91로 접촉하는 근접부까지 상승한다. 상기한 점 91에서, 20은 회전되어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림 14,15의 제동을 푼다. 이어서 엘리베이터가 도시되지 않은 배출 컨베이어상에 후경화 처리한 타이어를 놓기 위해 후경화 처리한 타이어와 함께 강하한다. 프레스에서 나온 타이어는 베어어상에 이송하여 적당한 정지장치에 타이어를 저부림에 대하여 센타링시킨다. 엘리베이터는 새로운 타이어와 같이 다시 상승하여 림을 완전히 밀페한 위치로 움직인다. 샤프트 20은 또 다시 록위치로 회전하여 타이어가 팽창되며 그것에 의해서 림은 록에 허용한 범위로 간격이 떨어지며 엘리베이터가 이완되고 컨베이어 바로 밑의 위치로 하강한다.
엘리베이터 60에 의해 맞물려져 있는 동안, 바닥 림 15는 회전이 안된다. 상단 림 14의 지지부 17에 완전히 밀착되어 있을 때, 각을 죽인 핀 93이 하우징 40의 상단부의 각을 죽인 호울 96에 각각 계합함으로 하부의 림15는 상단의 림 1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샤프트 20과 하우징 40의 개구 42의 구조에 있어서는 림 14,15가 완전 착탈한 또는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만 샤프트 20은 림 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4,5,6,7 및 8도를 참조하면, 록 샤프트 또는 키와 하우징의 개구부 또는 키 슬롯이 보다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지지부 17로부터 돌출한 샤프트부분은 각각이 상이한 수평방향 단면형상을 가지는 3개의 수직방향에 상이한 부분을 가진다. 100으로 표시한 상단부분은 완전한 원형이다. 중간의 부분 101은 상단부분 100보다도 연직방향으로 약간 긴 정육각형의 형태이다. 샤프트 20의 말단부분 102는 부정형 6각형 형태로 선단을 제거하여 다소 원형으로된 등변 삼각형에 가깝다. 말단부분 102의 형태는 하우징 40의 개구부 42와 같다. 단면 102의 저부 가장자리에는 103으로 표시한 내측에 경사한 안내가이드 면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 42에는 제1도의 104로 나타난 외측으로 경사된 안내 가이드면이 설치되어 있다.
말단부분 102의 삼각형은 제6도 및 제7도로 106,107,10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육각형의 부분 101의 하나씩 건너 면의 바로 아래에서 돌출한 등거리의 상향 견부가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의 단부 102의 형은 하우징 40의 개구부 42와 적합하도록 설계하고 돌출부 106에서 108로 개구부의 긴 삼각형의 측면에 형성한 구속 플랜지 110,111,112의 자부와 일치시킨다. 위와 같은 록위치에서는 돌출부는 제4도의 점선위치로 이동한다.
제5,6,7 및 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의 부분 100은 정육각형의 부분 101에 축방향으로 내접되어 있으며 양자는 부분 102의 삼각형의 측면내에 내접되어 있다.
원형부분 100의 높이는 제1도에서 111에 나타난 바와 갈이 하우징의 상단에서 구속 플랜지의 하면까지 거리보다 수직 방향으로 약간 길다. 이것에 의해서 하우징 40이 전술한 것과 같이 정지면 91에 접해 있을때 샤프트 20의 회전을 허용한다. 하우징 40이 정지면 91에 있는 핀 93에 호울 96을 통과하면 육각형부분 101이 개구부 42의 삼각형 긴측면과 계합하여 하우징과 샤프트의 사이에 상대회전을 방지한다.
핀 93은 두 림간에 직접적인 간섭을 주어 상대적 회전을 지지하며 육각형 부분 101은 샤프트 20과 하우징 40간에 간섭을 주어 핀 93이 호울 96을 통과하기 전에 림 15의 회전을 저지한다.
키 샤프트와 키 호울 슬롯의 형태는 돌출부 106에서 108로 록위치와 안록위치의 사이를 움직이도록 샤프트가 60°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록 또는 안록상태에서 샤프트 20의 정육각형 부분 101은 개구부 42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 20의 회전은 제2도에 나타난 피스톤식 실더린 조합체 120에 의해 이루어진다. 피스톤식 실린더조합체 120와 로드는 크랭크 암 30에 121로서 핀의 연결이고, 상기 크랭크 암 30은 제1도에 나타난 샤프트 25에 삽입된다. 크랭크 암 30은 2개의 돌출부 122 및 123을 가지고 있다. 돌출부 122에는 각각 프레임 정지장치 126 및 127에 연동하는 조절 및 록 가능한 정지버튼 124 및 125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 123은 크랭크 아암 30이 회전되어 정지장치 126에 접하고 록 샤프트 20을 록 위치에 회전시켜서 팽창밸브와 계합한다.
안록(unlock)상태에서, 림은 엘리베이터 60에 의해 서로 근접된다. 상기 상태에서 핀 93은 호울 96과 계합하여 외측의 림 15를 내측의 림 14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한다. 상기 위치에서 하우징 40의 호울 42는 록 샤프트의 원형부분 100과 수평방향으로 일치한다. 샤프트는 하우징에 의해서 외측의 림 15에 대해, 이상태로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케비티내에 압력이 주어지면, 엘리베이터 60은 림을 움직일 수 없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실린더는 타이어에 남을 수 있는 작은 잔류 압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다.
타이어가 수축되고 하방의 하우징 40이 엘리베이터에 의해서 상방향위치로 올리면 샤프트 20은, 안록위치로 회전되고, 엘리베이터 60은 후팽창한 타이어와 같이 하강한다. 샤프트 20이 록위치에 회전하면 밸브 128은 록행정의 완료와 동시에 움직여 팽창을 허용한다. 이어서 림 15는 림 14에서 떨어지고 그 정육각형의 부분 101은 하우징 40의 돌출부 42와 접하고 슬롯 95와 96에 핀 93과 94를 통과하면 하우징 40의 회전을 방지한다. 엘리베이터 척이 이완되고 엘리베이터 60은 컨베이어의 하방향의 위치로 하강한다. 다음에 트러니언 프레임은 회동하게 된다.
제9,10 및 11 또는, 약간 수정한 록 샤프트와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다. 내측의 림 140은 지지부 141에 취부하고 지지부 141은 트러니언 프레임 요소 142와 143에 취부되어 있다.
외측의 림 145는 하우징 147에 조절 가능으로 나사 결합한 지지부 146에 취부되어 있다. 하우징 147의 하단부는 제1도와 같은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록 샤프트 150은 기지부 141을 통해서 돌출한다. 샤프트 150에는 상단부로 허브 152가 취부되고, 이 허브 152는 제2도와 같은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에 연결되고, 록 및 안록에 의해서 어느쪽 방향으로든지 샤프트 150을 60° 회전하게 되어 있다.
록 샤프트 150은 상부 원형부분 153, 중간의 링을 취부한 부분 154, 저부의 록부 155를 가지고 있다.
하방향의 록부분 155는 제10도에 나타난 돌출부 156,157,158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 156,157 및 158은 동간격을 유지하며 수평으로 뻗은 상향의 견부 159,160 및 161이 놓여져 있다.
하우징 147의 상단에 있는 개구부 163은 제10도에 잘 나타나 있다. 개구부(163)은 록 샤프트 150의 중앙 원형부와 밀접하게 작용하는 중앙 원형부분과 샤프트 150이 안록위치에 있을때 돌출부 156,157 및 158을 조절하는 동간격을 유지하는 슬롯 164,165 및 16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슬롯 164,165,166사이에 비교적 두꺼운 플랜지는 제9도에서 167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방으로 정지견부를 형성한다.
2개의 림 169 및 170은 샤프트 150의 돌출부 156상의 전지상면 159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림 169,170은 록 샤프트 150의 리브를 붙인 중간부분 154의 높이까지 확장된다. 리브 169,170은 60°의 간격으로 유지되며 샤프트 150이 록된 상태에서는 각각 슬롯 164, 166의 원주방향에 대향하는 측 171, 172에 근접하고 있다. 상기 리브 169, 170은 상기 슬롯 164, 166의 사이에서 하우징의 상단에 있는 돌출부에 걸려있다. 이것에 의해서 하우징 174과 샤프트 150간의 상대적 회전은 방지된다.
림 140, 145를 안록하기 위해서는, 하방향의 견부 167이 제9도에서 174에 나타낸 것처럼 리브 169,170이 넘을때까지 엘리베이터는 하우징 147 또는 외측 림 145를 이동시킨다. 림 169,170이 견부 167에서 넘자마자, 샤프트 150은 하우징 147에 따라서 외측의 림 145에 대해서 회전한다. 그러나, 견부 167이 허브 169,170을 넘기전에 지지부 146의 상단의 돌출부 175는 지지부 141의 2개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고정시킨 돌출부 176의 사이로 이동한다. 샤프트 150이 림 145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하기 전에 외측림 145는 돌출부 175와 176에 의해 내측림 140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림이 서로 근접해 있고 174에 표시한 것 같이 되면, 샤프트 150은 제11도에 표시한 위치로 리브 169,170에 위치하도록 60° 회전된다. 상기 위치에서, 엘리베이터는 하강하여 외측리브 145를 내측의 리브 140에서 이탈된다. 물론 이것은 사이클의 록 또는 안록(unlock) 및 로드 또는 안로드(unload)부분만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이상 설명에 의해서 중심맞추기와 안전을 위해서 외측의 힘이 내측 의림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고, 2개의 리이 서로 근접하고, 타이어가 팽창되지 않을 때만 외측의 림에 대하여 록 샤프트가 회전하도록 구성된 축의 회전 가능한 키 록 샤프트와 키 호울 하우징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의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가 제공된다. 외측 림의 회전은 2개의 림이 서로 근접할 때의 림사이의 간섭과 림이 떨어질 때의 샤프트와 하우징 사이의 간섭에 의해서 방지된다. 이것들은 간섭이 적더라도 한쪽은 작용하고 있다.

Claims (1)

  1. 타이어 비드에 결합되는 한쌍의 분리 가능한 림과,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해서 상기 림들의 사이에 타이어를 착좌시키도록 상기 림들을 서로 근접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에 있어서, 한쪽의 림에서 돌출한 키와 다른쪽 림에 설치한 키 슬롯을 가지며, 팽창시에 상기 림을 제한된 거리까지 떨어지게 하고 그 떨어진 위치에 유지하는 록 수단과, 상기 림이 서로 근접하여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록샤프트와 하우징의 사이에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는 기계적 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KR7702812A 1977-12-03 1977-12-03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KR820000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812A KR820000558B1 (ko) 1977-12-03 1977-12-03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812A KR820000558B1 (ko) 1977-12-03 1977-12-03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558B1 true KR820000558B1 (ko) 1982-04-14

Family

ID=1920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812A KR820000558B1 (ko) 1977-12-03 1977-12-03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55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822A (en) Tire curing press mechanism
JP3325580B2 (ja) 空気圧タイヤを硬化させるための中央で分割され且つ弓形部分に分けられた型
US3464090A (en) Tire curing press
US4124337A (en) Post cure inflator
US6250901B1 (en) Segmented mold for pneumatic tires
US4169698A (en) Post cure inflator
US4025250A (en) Segmented matrix with guide means and retaining pins
KR820000558B1 (ko) 가황후의 타이어 팽창기
US5352104A (en) Post-cure inflator
US3471895A (en) Tire curing press with loader
US3890073A (en) Center mechanism for a press to shape and cure tires
US3605182A (en) Lock means for post-cure inflator
US3621520A (en) Post cure inflator
CN209775292U (zh) 后充气装置
US6702977B2 (en) Expandable bead molding ring for a tire mold
US2443955A (en) Device for use in retreading and vulcanizing pneumatic tires
US2942295A (en) Device to automatically center a tire in a retreading mold
US3483596A (en) Tire post cure inflator
JPS6348698B2 (ko)
JP2966178B2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におけるリム間隙設定装置
US3128807A (en) Fail safe valve for tire chuck on post-inflation machine
US3219078A (en) Heavy duty chuck
US2367828A (en) Tire bead lock
US3219077A (en) Tire chuck
US5341861A (en) Vehicle safety suppor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