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502Y1 -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 Google Patents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502Y1
KR820000502Y1 KR2019810001853U KR810001853U KR820000502Y1 KR 820000502 Y1 KR820000502 Y1 KR 820000502Y1 KR 2019810001853 U KR2019810001853 U KR 2019810001853U KR 810001853 U KR810001853 U KR 810001853U KR 820000502 Y1 KR820000502 Y1 KR 820000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heat
industrial
air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1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웅
Original Assignee
김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웅 filed Critical 김삼웅
Priority to KR2019810001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전체 사시도.
본 고안은 각종 공장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산업폐기물을 소각 처리할시에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열을 회수하여 이를 다시 고열공기로서 연소실에 전환시켜 비교적 내열성이 강한 유기물까지도 매연이나 악취의 발생 없이 완전 소각처리할 수 있게 한 폐기물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산업폐기물 소각장치는 대개가 1차 연소실과 2차 연소실 등으로 구분하여 이들 연소실 내부로 오일버어너 등으로 고열의 화염을 분출시켜 이 화염을 열기로서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였던 것이나. 이와같은 소각장치의 구조에 있어서는 화염과 동시에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어지는 공기가 외부의 상온(常溫)온도 그대로 유입된 것이므로 이 상온의 공기는 그 온도가 피소각물의 발화온도에 비하여 상당히 낮기 때문에 피소각물질과 결합(연소)할려는 산소의 활성화가 저조하여 발화시간이 늦추어지는 결과를 야기시켰으므로 결과적으로 소각량에 비하여 소각시간이 자연히 길어져서 많은 인력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등의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기물 소각시에 발생하는 연소열을 회수하여 외부의 가압공기를 고열로 가열시킬 수 있는 특수 내화물로 축조된 수개의 가열관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단으로 적층하고 가열관의 외부 사방에는 고열공기를 수집 회류시킬 수 있는 사각통형의 외통관을 입설하되 이의 하변에는 분출공이 천공된 분출관을 현가시키며, 그 직상방에는 연소실을 형성한 것으로 먼저 보조버어너로서 가열관을 48시간 정도 충분히 가열시켜 약 1000℃ 정도의 적열상태로 만든 다음 공기를 불어넣게 되면 공기는 가열관과 외통관을 거치면서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고열 칼로리를 흡수하여 900-1000℃정도 고열로 가열되어진 후 연소실로 분출되면서 피소각물질과 결합 연소되기 때문에 메라민 등과 같은 비교적 내열성이 강한 유기폐기물까지도 매연이나 악취의 발생없이 완전히 소각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열은 다시 이들 가열관에 흡수되게 하므로서 별도의 에너지의 공급 없이도 도시쓰레기나 산업폐기물 등을 효율적으로 소각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각통형의 외통관(1) 내부에 3중으로 중첩된 다수의 가열관(2)(3)(4)을 다단으로 적층하고 이들 가열관(2)(3)(4)의 다층 사이에 도관(7)(7′)(7˝)을 교호하게 연접하여 각각 독립된 상태에서 상하방측으로만 연관되게 하였으며 상단 가열관(2′)(3′)(4′)을 연결관(8)(9)(10)으로 외통관(1) 내부와 연통되게 연접하고 하단 가열관(2″)(3″)(4″)에는 송풍기(9)가 연접된 급기관(8)을 각각 분할 연접하였으며, 외통관(1) 하변에는 분출공(5′)이 천공된 다수의 분출관(5)을 대향하는 내측벽과 석쇠상으로 소밀하게 연통시켜 하단가열관(2′)(3′)(4′)의 직하방에 연소실(6)을 형성한 구조로서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은 연소통(11′)이 입설된 연소축소이고 6′는 투입구이며 12는 보조오일 버어너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외부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하여 먼저 가열판(2)(3)(4)부터 고온으로 가열시켜야 하므로 송풍기(9)의 가동을 중지시켜 가열관(2)(3)(4)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한 다음 보조오일버어너(12)를 가동하여 가열관(2)(3)(4)을 48시간 정도 가열하게 되면 가열관(2)(3)(4)은 적열상태로 되면서 약 1000℃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된다.
이때는 오일 버어너(12)의 가동을 중지하고 스크류 등으로 소각코자 하는 유기 폐기물 등을 투입구(6′)를 통하여 연소실(6) 내부로 투입시킨 다음 송풍기(9)를 가동시켜 약 800mm/Ag의 송풍 압력으로 급기관(8)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며는 하측 가열관(2)(3)(4)에 유입되어진 공기는 교호하게 연접된도관(7)(7′)(7″)을 따라 우회 및 선회를 반복하면서 상측 가열관(2)(3)(4)에 도달하는 동안 약 1000℃ 가까이 가열되어 있는 가열관(2)(3)(4)의 고 칼로리를 충분히 흡수하여 약 900℃정도의 고열공기로 데워져서 연결관(8)(9)(10)을 통하여 외통관(1)에 진입하게 된다.
외통관(1) 내부에서 다시 하방으로 회류되는 공기는 인접하는 연소실의 고열기에 의해 재차 가열되어 약 1000℃에 가까운 높은 온도로 되어진 후 분출관(5)의 분출공(5')을 통하여 연소실 내부로 분출되면서 피소각물질과 결합 연소하게 되는데 이때 고열공기중의 산소는 그 양이 약 100배 정도(PV=NRT 공식)증가되기 때문에 결합면적이 커서 별도의 공기 공급 없이도 충분히 소각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되면서 강력한 활성화로 되기 때문에 피연소물(유기물)과 접촉되는 순간 급격한 결합반응 인 소규모 연속폭발 현상을 일으키면서 연소하므로 비교적 내열성이 강한 유기물질로 이 가열공기만으로 매연이나 악취의 발생없이 완전히 소각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연소실(6) 상방에는 가열관(2)(3)(4)이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어서 소각시에 발생하는 연소열이 이를 가열관(2)(3)(4)에 부딪치면서 상승하므로 가열관(2)(3)(4)을 연속적으로 재가열시킬 수 있으며, 이때의 가열관(2)(3)(4)은 이에 충돌되는 고온의 연소열을 효과적으로 충분히 흡수하기 때문에 별도의 오일버어너를 가동하지 않더라도 1000℃의 고온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산업폐기물을 소각 처리할시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열을 회수하여 연소를 조성하는 고열공기로 가열시키는데 재사용을 하므로서 별도의 연료공급 없이도 유기물로 된 도시 쓰레기나 산업폐기물 등을 완전하게 소각 처리할 수 있으며, 소각 효율이 높아 단위 시간에 많은 양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급기관(8)이 연결된 통상의 가열관(2)(3)(4)의 외부 사방에 외통관(1)을 입설하여 이들 상부를 연결관(8)(9)(10)으로 연접하고 외통관(1)과 하변 내측에 분출관(5)을 석쇠상으로 연관하여서 된 폐열 재순환식 폐기물 소각장치.
KR2019810001853U 1981-03-13 1981-03-13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KR820000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853U KR820000502Y1 (ko) 1981-03-13 1981-03-13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1853U KR820000502Y1 (ko) 1981-03-13 1981-03-13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502Y1 true KR820000502Y1 (ko) 1982-03-31

Family

ID=1922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1853U KR820000502Y1 (ko) 1981-03-13 1981-03-13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5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2532C (zh) 一种垃圾组合焚烧处理方法及专用立式富氧连续焚烧风火炉
US4429645A (en) Burning system and method
KR820000502Y1 (ko) 폐열 재순환식 패기물 소각장치
JP4415087B2 (ja) 焼却炉
US3797413A (en) Incinerator
CN202182475U (zh) 热回收焚烧炉
JP4608636B2 (ja) 焼却炉
CN2323269Y (zh) 立式焚烧热水多用炉
KR100704176B1 (ko) 재연소 소각보일러
US6244195B1 (en) Safety incinerator for rubbish in volume and flammable waste
KR100247294B1 (ko) 폐기물 소각로용 폐타이어 연소장치
RU2133409C1 (ru) Печь для сжигания древесных отходов
KR0114474Y1 (ko) 조립식 소각로
CN2458516Y (zh) 一火二燃式焚烧炉
CN202938363U (zh) 组合式煤转气燃烧供暖炉
KR200390958Y1 (ko) 고형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CN211600704U (zh) 一种生活垃圾与煤混合燃烧综合发电的系统
KR930004668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완전 소각장치
KR200161843Y1 (ko) 쓰레기 소각겸용 난방보일러
KR100532632B1 (ko) 벽난로 겸용 온수, 온풍 발생 가정용 용융병행 소각로
KR820001094Y1 (ko)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산업용 보일러
KR100477097B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810001520Y1 (ko) 폐재의 연소용 보일러
KR200328305Y1 (ko) 폐기물 소각로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생성장치
KR970002535B1 (ko) 폐기물 완전연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6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