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0139B1 -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139B1
KR820000139B1 KR7901960A KR790001960A KR820000139B1 KR 820000139 B1 KR820000139 B1 KR 820000139B1 KR 7901960 A KR7901960 A KR 7901960A KR 790001960 A KR790001960 A KR 790001960A KR 820000139 B1 KR820000139 B1 KR 82000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ionic acid
propionate
dihydro
formula
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오 후지모토
시게루 야마베
Original Assignee
야마구치 아키라
닛봉 케미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구치 아키라, 닛봉 케미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구치 아키라
Priority to KR790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44Ortho-condensed systems with only one oxygen atom as ring hetero atom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신규한 프로피온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여러가지 화합물을 연구하고 그 결과 다음 구조식(I)의 프로피온산 유도체가 우수한 소염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X는 산소 혹은 2개의 수소원자, Y는 CH 혹은 N, A는 산소 혹은 유황원자 그리고 R은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혹은 C1-C5의 저급알콕시기이다.
그러므로 구조식(I)로 표시된 신규한 프로피온산 유도체를 제공하는게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강력한 소염작용을 갖는 구조식(I)의 프로피온산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한가지 목적은 구조식(I)의 프로피온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조식(I)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II)와 (III)으로 나눈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A, X 및 R은 상기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다.
화합물(II)와 (III)에서 -CH(CH3) COR기는 구조식(II)의 2-, 3- 혹은 4- 위치 중 어느 것에서도, 그리고 구조식(III)의 8-, 9- 혹은 10- 위치 중 어느 것에서도 치환이 가능하다.
구조식(II)와 (III)의 화합물은 다시 하기의 구조식(IV)와 (V); 그리고 (VI)와 (VII)로 각각 나누어진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X 및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조식(IV)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VIII)와 (IX)로 나눈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조식(V)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X)와 (XI)로 나눈다.
Figure kpo00005
여기서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조식(VI)의 화합물은 다시 하기 구조식(XII)와 (XIII)로 나눈다.
Figure kpo00006
여기서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조식(VII)은 하기 구조식(XIV)와 (XV)로 다시 나눈다.
Figure kpo00007
여기서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조식(VIII)-(XV)는 치환분 -CH(CH3) COR의 위치를 기초하여 다시 나눈다.
바람직한 구조식(I)의 화합물은 구조식(VIII), (X), (XIII) 및 (XV)의 화합물이다.
상기 화합물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구조식(XVI)-(XIX)의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8
여기서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따르면 구조식(I)의 본 화합물은 하기에서 보는 바와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Figure kpo00009
여기서 Y, A 및 R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공정에 따라 구조식(XXXII)의 화합물은 구조식(XXXI)의 화합물을 환원시켜 바람직하게는 클레멘젠환원을 실시하여 제조한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소량의 농염산과 물을 함유하는 불활성 용매내에서 1-4시간 아연이나 아연-아말감의 존재하의 환류조건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및 비경구 활성을 나타내고 경구, 비경구, 직장 혹은 국소투여를 위한 제형으로 제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체 제형으로는 캡슐, 정제, 환제, 분말 및 과립이 포함된다. 그러한 고체제형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은 적어도 한개의 불활성 희석제, 즉, 슈크로즈, 락토즈 혹은 전분과 혼합된다. 그러한 제형은 또한 보통 실시예에서와 같이, 불활성 희석제 외의 부가적인 물질, 예컨데 스테아린산 마르네슘과 같은 윤활제를 포함한다. 캡슐, 정제 및 환제의 경우, 제형은 완충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정제 및 환제는 또한 장용성 코팅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제형은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하고 정제수 및 알코올 같은 기술에 흔히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를 함유하는 유제,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실이 포함된다. 비활성 희석제 외에도 그러한 조성물은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제 그리고 감미제, 향미제 및 방향제 같은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투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는 멸균수성 혹은 비수성 용액, 현탁액이나 유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매나 부형제의 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유 같은 식물유 및 에틸 올레이트 같은 주사용 유기 에스테르가 있다.
직장투여용 조성물은 활성 물질외에 코코아버터 같은 부형제나 좌약용 왁스를 함유할 수 있는 좌약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내의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적당한 제형을 얻을 수 있는 활성성분의 양이 필요하다. 선택된 투여량은 치료 기간 동안 투여를 통한 원하는 치료효과를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염중의 효과적인 경감을 얻기 위해 포유류에 체중 1kg당 0.4-20mg의 투여량을 복용시킨다.
구조식(I)로 표시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우수한 소염효과를 갖는다.
즉, 체중 약 100g의 위스터(wister) 숫쥐 5-7마리로 구성된 1군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경구투여하고 시험화합물 투여 1시간 후에 1% 카라게닌 0.1ml 피하 주사에 의해 뒷발에 부종을 유발시키고 뒷발의 부피를 시차용적계로 측정했다. 얻은 결과는 표 I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화합물 1 :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티에핀-2-일)-프로피온아미드
2 :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티에핀-2-일)-프로피온산
3 : 에틸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티에핀-2-일)-프로피오네이트
4 :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티에핀-2-일)-프로피온산
5 : 에틸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티에핀-2-일)-프로피오네이트
6 :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티에핀-3-일)-프로피온산
7 : 에틸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티에핀-3-일)-프로피오네이트
8 : 에틸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티에핀-3-일)-프로피오네이트
9 :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티에핀-3-일)-프로피온산
10 :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옥세핀-2-일)-프로피온아미드
11 : 에틸-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옥세핀-2-일)-프로피오네이트
12 :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옥세핀-2-일)-프로피온산
13 :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옥세핀-2-일)-프로피온산
14 : 에틸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옥세핀-2-일)-프로피오네이트
15 :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옥세핀-2-일)-프로피온아미드
16 :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옥세핀-3-일)-프로피온산
17 :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옥세핀-4-일)-프로피온아미드
18 :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옥세핀-4-일)-프로피온산
19 :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옥세핀-4-일)-프로피온산
20 : 2-(5, 6-하이드로-6-옥소벤조[b]피리도[3, 2-f]티에핀-8-일)-프로피온산
21 : 2-(5, 6-디하이드로벤조[b]피리도[3, 2-f]-티에핀-8-일)-프로피온산
22 : 에틸 2-(5, 6-디하이드로벤조[b]피리도[3, 2-f]-티에핀-8-일)-프로피오네이트
23 : 2-(5, 6-디하이드로벤조[b]피리도[3, 2-f]-티에핀-8-일)-프로피온아미드
24 : 2-(5, 6-디하이드로벤조[b]피리도[3, 2-f]-티에핀-9-일)-프로피온산
25 : 에틸 2-(5, 6-디하이드로벤조[b]피리도[3, 2-f]티에핀-9-일)-프로피오네이트
26 : 2-(5, 6-디하이드로-6-옥소벤조[b]피리도[3, 2-f]-옥세핀-8-일)-프로피온산
27 : 2-(5, 6-디하이드로벤조[b]피리도[3, 2-f]-옥세핀-8-일)-프로피온산
28 : 에틸 2-(5, 6-디하이드로벤조[b]피리도[3, 2-f]-옥세핀-8-일)-프로피오네이트
29 : 2-(5, 6-디하이드로벤조[b]피리도[3, 2-f]-옥세핀-8-일)-프로피온아미드
30 :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티에핀-2-일)-프로피온아미드
표 1의 결과로부터 볼수 있듯이, 본 화합물은 상당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구조식(XVI), (XVII), (XVIII) 및 (XIV)로 표시된 화합물은 소염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페닐부타존, 플루페나민산 및 인도메타신과 비교하여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더욱 더 자세히 하기에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 2-(10, 11-디하이드로디벤조[b, f]티에핀-3-일)프로피오네이트 :
172mg의 에틸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b, f]티에핀-3-일)프로피오네이트를 1ml의 톨루엔에 녹은 것에 소량의 아연-아말감, 0.5ml의 농염산 및 0.4ml의 물을 가하고 혼합물을 4시간 환류했다.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벤젠으로 추출했다. 추출물을 포화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했다. 용매를 증류해 버리고 황산오일을 얻어 박층크로마토그라피를 행하여 연황색오일의 타이틀 화합물 26mg을 얻었다.
NMR(CDCl3)δ : 1.16(3H, t, J=7Hz, -CH2CH3)
1.40(3H, d, J=7Hz, =CHCH3)
3.20(4H, S, -CH2CH2-)
3.50(1H, q, J=7Hz, =CHCH3)
3.98(2H, q, J=7Hz, -CH2CH3)
6.80-7.36(7H, m, 방향성 양자)
[실시예 2]
메틸 2-(10, 11-디하이드로 디벤조[b, f] 옥세핀-3-일)프로피오네이트 :
95mg의 메틸 2-(10, 11-디하이드로-11-옥소디벤조 [b, f] 옥세핀-3-일) 프로피오네이트를 1ml의 톨루엔에 녹은 것에 소량의 아연-아말감, 0.3ml의 농염산 및 0.2ml의 물을 가하고 혼합물을 1시간 교반하며 환류했다.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벤젠으로 추출했다. 추출물을 포화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무수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했다. 용매를 증류해 버리고 연황색 오일을 얻어 박층크로마토그라피를 행하여 연황색 오일의 타이틀 화합물 30mg을 얻었다.
NMR(CDCl3)δ : 1.44(3H, d, J=7Hz, =CHCH3)
3.14(4H, S, -CH2CH2-)
3.56(3H, S, -COOCH3)
3.60(1H, q, J,=7Hz, =CHCH3)
6.72-7.14(7H, m, 방향성 양자)

Claims (1)

  1. 구조식(XXXI)의 화합물을 환원시켜서 구조식(XXX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2
    여기서 Y는 CH 혹은 N이고, A는 산소 혹은 유황원자이며, R은 하이드록시기, 아미노기 혹은 C1-C5의 저급알콕시기이다.
KR7901960A 1979-06-15 1979-06-15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20000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960A KR820000139B1 (ko) 1979-06-15 1979-06-15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1960A KR820000139B1 (ko) 1979-06-15 1979-06-15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3057A Division KR810000611B1 (ko) 1977-12-27 1977-12-27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139B1 true KR820000139B1 (ko) 1982-02-20

Family

ID=1921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1960A KR820000139B1 (ko) 1979-06-15 1979-06-15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13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0951A (en) Novel naphthalene derivative
US4585788A (en) 6,11-dihydrodibenz[b,e]oxepin-acetic acids and derivatives
JPH10504836A (ja) オルト置換芳香族エーテル化合物及び鎮痛のための薬剤組成物中へのこれらの使用
AU618595B2 (en) Derivative of caffeic aci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4377702A (en) Acetic acid derivatives
WO1996020936A1 (en) Novel thiazolidin-4-one derivatives
EP0496238A1 (de) Substituierte Benzoxazepine und Benzthiazep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Arzneimitteln
US4247706A (en) Dibenzothiepin derivative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850000627B1 (ko) 시클로헥센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026717A (en) 2-imino-6-polyfluoroalkoxybenzothiazol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EP0149419B1 (en) Acylindol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820000139B1 (ko)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560696A (en)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imidazole compounds
US4659728A (en) Hydroxy substituted 4,5-diphenyl-2-oxazole propanoic acid
US4289707A (en) Nitrogen heterocycles
US4515946A (en) 6,11-Dihydro-11-oxo-dibenz-[b,e]oxepin derivatives
KR820000140B1 (ko)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20000141B1 (ko)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403837A (en) 1,2,4-thiadiazino[3,4-b]benzothiazole derivatives, and medicinal products containing them
US4775691A (en) 4H-benzo[4,5]cyclohepta[1,2-b]thiophene derivatives
EP0184809B1 (en) Imidazolylalkoxyindanic derivatives,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m
KR820000138B1 (ko)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WO2000063159A1 (en) (-)-verbenone derivatives
KR820000137B1 (ko) 프로피온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CA1135704A (en) Antiinflammatory 2-substituted-1h- phenanthro[9,10-d]-imidazo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