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224Y1 - 타 자 기 - Google Patents

타 자 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224Y1
KR810002224Y1 KR7907036U KR790007036U KR810002224Y1 KR 810002224 Y1 KR810002224 Y1 KR 810002224Y1 KR 7907036 U KR7907036 U KR 7907036U KR 790007036 U KR790007036 U KR 790007036U KR 810002224 Y1 KR810002224 Y1 KR 810002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key
control panel
sec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7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규
정승황
Original Assignee
최현규
정승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규, 정승황 filed Critical 최현규
Priority to KR7907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5/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haracter selection
    • B41J5/08Character or syllable selected by means of keys or keyboards of the typewriter type
    • B41J5/14Construction of key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4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with means for effecting line or character spacing in either direction

Landscapes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 자 기
제1a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1b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사시도.
제2도, 제3도, 제4도는 프라덴 횡 이송장치의 측면도.
제5도는 프라덴 횡 이송장치의 작용상태 측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프라덴 횡 이송부동장치의 작용상태 예시도.
제8도는 프라덴 횡 이송부동장치의 부동해제 작용상태 예시도.
제9a, b, c도는 프라덴 횡 이송제어장치의 요부 평면도상의 작용상태도.
제10도 및 제11도는 합자실시 예시도.
제12도는 활자키의 배열도.
본 고안은 프라덴의 횡 이송을 한글의 합자 특성에 맞게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타자기는 대개 프라덴의 횡 이송간격이 균일하고, 균일한 프라덴의 횡 이송을 기초로 하여 글자를 완성하고 한글의 첫 자음과 끝자음 또는 끝모음의 활자키에만 프라덴의 횡 이송장치와 접속되게한 관계로 첫 자음과 끝자음의 중간에 필요한 모음은 부동키로 한 것이어서 첫 자음이 쌍자음인 ㄲ, ㅆ, ㄸ등인 경우에 이 쌍자음의 활자키를 별도로 가져야 하고, 또, 쌍받침인 경우에도 같은 이유로 활자키를 독립시켜야 하며, ㅏ, ㅓ, ㅣ 등 받침이 있는 글자의 세로모음은 ㅏ, ㅓ, ㅣ등 받침이 쓰이지 않은 세로모음과 구별하여 부동키로 하여야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타자기들은 영문타자기와는 달리 한키에 다른 두 글자를 사용하는 복합자판을 갖으며 활자키가 많이 소요되어서 타자에 번거러울 뿐 아니라 필요한 부호를 구비할 수 없고 타자된 글자의 첫 자음 끼리의 간격은 일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우측에 세로모음이 붙거나 밑에 가로모음이 붙게 되어 세로모음이 붙는 글자인가 가로모음이 붙는 글자인가에 따라 글자간의 간격이 일정치 못하게 되고 받침이 가로모음의 위치에 맞게 되어 세로모음 밑에 붙는 받침은 위치가 바르지 못한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폐단을 일체 해소하여 쌍자음이나, 쌍받침을 합자에 의하여 완벽하게 완성하고, 세로모음을 받침이 있고 없는 것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기본적인 활자키의 숫자를 줄이므로 타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뿐 아니라 그 습득을 용이하게 한 것이고, 또 필요한 부호를 더 구비할 수 있게 하며 글쇠의 아래위의 활자를 같은 글자로 사용하는 단순키로 하며 한글의 합자특성에 맞게 프라덴의 횡 이송을 달리하여 글자간의 간격이 고르게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타자기는 모든 활자바의 캄과 접속되는 활꼴의 종동바(1)가 일련의 연동장치(2)를 통하여 이송제어판(6)을 당기게 하고 프라덴 횡이송차(3)의 회전을 이송제어판(6)에 장치된 고정괘조(4)와 이동괘조(5)가 제어하게 되며 1의 독립된 한글자를 횡이송치차(3')를 하나씩 두 번 이송하여 완성하고 이를 위하여 이동괘조(5)를 당겨주는 종간(5')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후진하여 이송차(3)의 치차(3') 하나씩만을 받아 주게끔 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안 연동장치(2)가 이송제어판(6)을 당기면 이동괘조(5)를 당겨주는 종간(5')이 이송치차의 한개 3개 4개 치차를 선택적으로 받아주도록 종간(5')의 꾸미에 필요한 종간(5')후진구간을 부여하는 보조 이성제어판을 별도의 연동장치로 작동케 한 것인데 이를 위하여 프라덴 횡 이송차(3)의 차치(3')를 1글자에 소요되는 횡 이송폭을 5등분한 이송폭에 맞는 작은 차치(3')로 하고 횡 이송제어판(6)과 동측적으로 장치된 보조 이송제어판(12)의 상부의 돌편(10)이 이동괘조를 당겨주는 종간(5')의 후진구간을 제약하며 이 후진구간은 보조 이송제어판(12)의 상부 계단형 턱(7)(8)(9)이 횡이송차치(3')의 1.3.4개 차치(3')를 각각 받아낼 수 있는 구간(7')(8')(9')으로 형성하고 이 구간(7')(8')(9')이 보조 이송제어판(12)을 당겨주는 운동량(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종간(5')의 후진구간을 제약하도록 보조 이송제어판(12)의 저부에 종동롤라(11)를 만들고 연동장치(2)와는 다른 별도의 연동치인 보조연동바(16)(16')를 모든 활자키레바(13)와 접속 작동되는 리본연동바의 측(14)에 장치하여 상기 종동롤라(11)와 그 뒤끝(15)(15')이 각각 필요한 간격을 유지하며 접속되게 하고 그 앞머리(17)(17')들은 필요한 활자키레바(13)의 저면들과 각각 접속된다.
즉, 원시적 부동키(23)(24)를 제외한 모든 키는 공지의 연동장치와 접속된다.
그리고 자음활자키(19) 레바(13)는 공지한 연동장치(2)를 통하여 횡 이송제어판(6) 저부를 당기게 하고 보조연동바(16)(16')는 접속되지 아니하므로 보조이송제어판은 작동되지 아니하여 종간(5')의 후진구간은 공지한 연동장치(2)만 접속된 경우와 같아서 턱(7)의 이송차치(3') 1개 구간(7')으로 제약된다.
세로모음 활자키(20) 레바(13)는 보조연동바(16)의 앞머리(17)와 접속되고 그 뒤끝(15)은 롤라(11)와 접속되어 세로모음 활자키(20)를 통하여 보조연동바(16)를 작동시키면 상기의 설명과 같이 공지의 연동장치를 통하여 고정괘조(4)를 이송차치(3')로부터 해탈시킴과 동시에 돌편(10)의 계단형 턱중 이송차치(3') 4개의 구간(9')에 해당하는 턱(9)이 종간(5')의 후진구간을 제약하게 보조 이송제어판(12)의 종동롤라(11)를 필요한 만큼 당기게 한다.
가로모음키(21) 레바(13)는 그 앞머리(7')가 보조연동바(16')의 앞머리와 접속되고 그 뒤끝(15')이 롤라(11)와 접속되어 작동시에 돌편(10)의 계단형턱중 이송차치(3') 3개의 구간(8')에 해당하는 턱(8)이 종간(5')의 후진구간을 제약하게 된다.
사이뛰개나 부호 또는 숫자키(22)는 이 가로모음키(21)와 같은 보조연동바(16')와 접속되어 프라덴이횡 이송차치 3개의 구간이송되게 한다.
쌍받침 자음의 첫 자음(23)이나 세로모음 중모음(24)의 키는 주지의 연동장치(2)(16)와 접속이 전혀 없는 원시적인 단순부동키로 하고, 상기와는 또 다른 경우로서 세로모음(20)이나 가로모음(21)의 키를 절환키를 누른 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라덴의 횡 이송이 부동으로 되게 하기 위하여 활꼴 종동바(1)의 연동장치(2) 접속부 상부(25)에 절취부(26)를 둔다.
이 절취부(26)를 보전하는 가동편(27)이 받침쇠(30)와 고임쇠(32)에 의하여 절취부(26)를 여닫게 활자키레바축(29)에 지지되고 가동편(27)의 밑에까지 봉체가 돌출된 받침쇠(30)의 턱(31)이, 기체에 저단이 유설된 고임쇠(32)의 턱(33)과 접속되고, 받침쇠(30)에서 옆으로 돌출된 봉체(34)가 가로모음과 세로모음키(20)(21) 레바에 닿아 연동되는 보조연동바(16)(16')의 상부에 있게 되며, 고임쇠(32)의 상단측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봉체(35)를 해제레바(36) 끝의 경사부(37)에 접속시키는데 이 해지레바(36)는 자음키(19)의 레바(13)와 앞머리가 접속되며 보조연동바(16)와 같은 축(14)에 지지되고 끝의 경사부(37)는 상기와 같이 봉체(35)에 닿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이상과 같으나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글쇠의 활자 위치는 프라덴의 횡 이송 간격에 각각 맞추어 설계되며, 본원의 작용 효과를 이해하기 위하여 본원의 타자기에서 필요로 하는 하기와 같은 글쇠의 활자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도 주지의 타자기와 같이 프라덴이 선타후진한다).
그 예로서, 첫 자음의 활자는 글쇠 하부에(절활키를 누르지 않고 사용하는 부분) 위치하고, 자음인 받침은 같은 글쇠의 상부에(절환키를 누르고 사용하는 부분) 배치하되, 프라덴이 전기 첫 자음을 인자한 후 횡이송차치(3') 3개의 구간을 또 이송한(이 출원에서의 이송은 모두 프라덴의 횡 이송을 뜻한다.) 위치에서 첫 자음과 수직선상에 맞게 하여 배치하고, 세로모음은 받침이 있는 경우나 받침이 없는 경우에 공히 같이 사용하되 첫 자음이 이송차치(3') 1개의 구간을 이송한 위치에 맞게 맞게 배치하고 세로모음 글쇄 상부는 비어있게 되므로 필요한 부호를 추가할 수 있다.
가로모음은 상기 첫자음이 이송차치 1개의 구간 이송한 위치에 배치하되, 글쇠의 하부에 받침이 있는 경우의 가로모음을 배치하고 글쇠의 상부에는 받침이 없는 경우의 가로모음을 배치한다.
받침는 첫 자음과 가로모음이 이송한 전기 4구간을 고려하여 첫 자음 글쇠 상부에 배치한다.
쌍받침의 경우는 쌍받침의 첫 자음에 해당하는 자음만을 원시적 부동키(23)에 전기받침의 앞자리에 위치하도록 글쇠의 상하부에 각각 필요한 대로 배치한다(이 쌍받침의 앞자음은 뒷자음 보다 글자를 작게 하므로 더 잘 어울릴 것이다.) 또 가로모음 중 모음(24)의 경우에도 쌍받침의 첫 자음키(23)와 같이 원시적 단순부동키로 바른 위치에 배치한다.
또 첫 자음인 쌍자음은 쌍자음이 아닌 첫 자음을 연속 두 번 타자하여 (이 첫 자음은 프라덴 이송차치(3') 1개의 구간만 이송되므로 어느 자음이나 잘 맞는 쌍자음이 된다) 합자하므로 완성하며, 부호키는 숫자키와 더불어 배치하고 또 세로모음 글쇠의 상부가 비어있으므로 여기에도 배치한다.
도면상 미설명부호는 28은 턱, S는 스프링으로 밀거나 당기는 방향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자음의 키(19)를 누르면 첫 자음의 키레바(13) 밑변에 닿아 연동되는 활꼴 종동바(1)가 주지의 연동장치(2)를 밀어주게 되고 연동장치(2)가 이송제어판(6)의 아래부분을 당기게 되면 이송제어판(6)의 횡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은 주지의 타자기에 있어서와 같이, 고정괘조(4)를 이송차(3)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고정괘조(4)가 이송차(3)의 차치(3')로부터 분리되면서 보조 이송제어판(12)의 작동전상태인 들편(10)의 이송차치 1의 구간(7') 턱(7)내에서만 종간(5')의 후진이 제약되므로 종간(5')이 스프링의 당김으로 후진한 턱(7)내의 위치에서 이동괘조(5)가 차치(3')와 결합되고 차치(3')가 이동괘조(5)를 물고 차치(3') 하나의 구간(7')만을 전진 회동한다.
이 횡이송차(3)의 회동력은 주지와 같은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키(19)를 놓으면 주지의 타자기와 같이 스프링의 탄동으로 복귀되어 고정괘조(4)는 다시 차순위 차치(3')와 결합되고 이동괘조(5)는 키를 작동하면 키와 연동된 계단형 턱(7)(8)(9)의 차치 1,3,4에 각각 해당하는 구간(7')(8')(9') 중키와 연동되어 종간(5')의 후진을 제약했던 구간을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첫 자음이 ㄲ, ㄸ, ㅉ 등 쌍자음인 경우에는 쌍자음을 구성하는 첫 자음키(19)를 연속 두 번 타자하게 되는데 키를 누를때마다 차치 1개에 해당하는 구간씩 프라덴이 횡 이송되면서 글자가 인자되어 한번 타자하면 첫 자음 한자가 인자되고 다시 한번 타자하면 또다시 프라덴이 차치(3') 1개의 구간이 횡 이송되면서 쌍자음이 완성되므로(A) 어떠한 경우의 첫 자음도 균형있는 쌍자음으로 구성할 수 있고 쌍자음이 아닌 경우에는 첫 자음을 1회 타자함으로 첫 자음 타자를 완성한다.
첫 자음을 타자하고 다음으로 타자되는 모음은 세로모음인 경우에는 세로모음키(20)를 누르면 주지의 연동장치(2)에 의하여 이송제어판(6)의 아래부분을 당기므로 그 윗부분의 고정괘조(4)를 이송차(3)의 차치로부터 분리시킴과 함께 키레바(13)와 앞머리가 접속 연동되는 보조연동바(16)의 뒤끝이 보조 이송제어판(12)의 롤라(11)를 적당히 당기므로 돌편(10)의 이송차치(3') 4개 구간 계단형 턱(9)이 종간의 후진을 계약하게 되어 종간(5')의 형성구간은 이송차(3) 치(3')4개에 해당하는 구간으로 확대되고 이동괘조(5)가 차치(3') 4개의 구간후방차치(3')와 결합되어 이송차는 차치 4개의 구간을 회동하여 프라덴과 함깨 전진한다.
키(13)를 놓은 후 스프링에 의한 복귀작동은 위와 같다.
따라서 첫 자음과 세로모음으로 완성되는 하나의 글자(B)는 첫 자음을 타자하면 프라덴이 이송차치 1개의 구간만 이송되고 받침이 있는 경우나 없는 경우나 다 같은 세로모음을 타자하게 된다.
세로모음을 타자하고 나면 프라덴이 이송차치 4개의 구간이 이송된다.
이 경우 글자 합자에 소요된 이송구간은 이송차치 5개의 구간이다.
첫 자음을 타자한 후 가로모음을 타자하는 경우에는 가로모음키(21)를 누르면세로모음키(20)의 경우와 같이 고정괘조(4)가 이송차치로부터 분리되면서 보조연동바(16')가 보조 이송제어판(12)을 당겨 돌편(10)의 이송차치 3개의 구간(8') 계단형 턱으로 종간(5')의 후진을 제약하게 되고 이동괘조(5)가 이송차치(3') 3개의 구간후방 차치(3')에 위치에 있다가 이송차(3)를 차치(3') 3개의 구간만을 회동시키므로 글자는 첫 자음 이송차치 1개의 구간(7')과 가로모음 3개의 구간만을 회동시키므로 글자는 첫 자음 이송차치 1개의 구간(7')과 가로모음 3개의 구간(8')을 이송한다.
이 경우 합자에 소요된 이송구간의 합은 이송차치 4개의 구간이다(C).
가로모음의 경우에는 받침이 있는 경우(D)와 받침이 없는 경우(E)에 각각 맞게 글쇠상하에 배치된 활자를 절환키를 사용하여 구분하여 타자하면 프라덴의 이송구간(8')은 받침이 있거나 없거나 가로모음을 타자한후 전기 3의 구간이송되며 키레바 및 이송제어판(6)의 복귀작용은 다음과 같다.
받침자(F)를 찍으려면 절환키를 누르고 첫자음키(19)를 눌러 첫자음 글쇄 상부에 배치된 활자를 타자하게 되는데 절환키를 누르면 활꼴 종동바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활꼴종동바(1) 접속부(25)의 절취부(26)가 연동장치(2) 접속부의 위치로 내려오게 되므로 활꼴종동바(1) 접속부(25)는 연동장치(2)와 접속되지 못하여 고정괘조(4)가 횡 이송차치(3')와 분리될 수 없어 받침자는 가로모음이나 세로모음을 타자한후에 프라덴의 부동상태에서 찍게 되며 절환키를 복귀시키면 절취부(26)가 올라가게 되어 활꼴 종동바(1) 접속부(25)는 작동전과 같이 연동장치(2)와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 절취부(26)를 가동편(27)이 보전하고 있으므로 이 경우 세로모음키(20) 또는 가로모음키(21)를 누를때에 보조연동바(16)(16')가 축(14)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올라가 받침쇠(30)의 턱(31)은 고임쇠 옆에서 돌출된 봉체(34)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어 받침쇠(30)의 턱(31)은, 고임쇠(32)의 턱(33)에 고여 있게 되고, 받침쇠(30)는 활꼴종동바(1) 접속부(25)의 절취부(26)을 보전하고 있는 가동편(27)을 위로 떠받치고 있어, 절취부(26)가 열리므로 이때 자음키(19)를 누르면 활꼴 종동바(1)의 선단 연동장치(2)와의 접속부는 확실하게 절취부(26)의 공허한 부분이 되어 연동장치(2)를 밀어주지 못하므로 이송제어판(6)을 당길 수 없고 고정괘조(4)는 이송차치(3')에 몰린 상태에 있으므로 프라덴은 부동으로 된다.
즉, 첫 자음을 타자할 때 연동장치(2)가 이송제어판(6)을 당겨 이송차치(3') 1개의 구간(7')내에서 이송차(3)가 이동괘조(5)를 물고 돌때와는 달리 이송제어판(6)의 고정괘조(4)는 이송차(3) 치(3')와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이송차(3)는 회전되지 않고 프라덴은 이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프라덴이 전기 3의 구간이송되는 가로모음밑에 첫 자음과 수직선상 위치에서 받침자음이 찍히게되고(J) 프라덴이 전기 4의 구간이송되는 세로모음의 이송시에는 전기 가로모음 밑에 받침자를 찍을때보다 1글자에 소요되는 구간의 5분지 1의 구간이 더 진행되어 세로음모 밑에 세로음모에 잘 어룰리는 받침자가 합자된다(K).
받침자음이 쌍자음인 경우에는 전기와 같이 쌍자음의 받침중 뒷자음이 받침(G)을 타자한후 단순부동키로 받침자음앞에 오도록 글쇠에 위치한 쌍자음의 첫 자음키(23)을 한번 더 눌러 보통의 받침(G)의 키(19)로 타자한 앞에 쌍받침의 앞자음(H)을 찍어 쌍받침을 완성한다.
이 경우 쌍받침의 앞뒤자음은 어느 것을 먼저 타자해도 다른 변화는 없다.
가로모음 중모음(I)의 경우도 이 쌍받침의 앞자음과 같이 단순부동키로 한다.
이와 같이 2타 내지 5타로 1의 글자를 완성한 후 다음자의 첫 자음을 찍기 위하여 첫 자음키(19)를 누르면 레바(13)와 닿아 있는 해지레바(36)의 선단경사부(37)가 축(29)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올라가면 이 경사부(37)와 닿아있는 고임쇠(32) 상단측부에서 돌출된 봉체(35)가 고임쇠(32) 저단 유착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받침쇠(30)이 턱(31)이 고임쇠(32)의 턱(33)에서 벗어나며 받침쇠(30)와 고임쇠(32)는 스프링의 당김으로 원상태로 복귀되고 활꼴종동바(1) 선단접속부(25)의 절취부(26)도 스프링의 당김으로 원위치로 환원되어 접속부(25)의 절취부(26)을 보전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자의 첫 자음을 찍을 때에는 이 부동장치는 작동전 상태와 같이 되어 연동장치(2)가 이송제어판(6)을 당겨준다.
또 사이띄개나 숫자 또는 부호키(22)는 가로모음키와 같은 계열의 보조 연동장치를 통하여 프라덴을 이송차치 3개의 구간을 이송되게 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되어 있어서 모든 글자를 합자에 의하여 완벽한 모양으로 완성할 수 잇고, 세로모음의 받침이 있고 없는 것에 관계없이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활자키가 같은 자음으로 통일되어 자판을 외우기 쉽고 타자하기 쉬우며 더 많은 부호를 수용할 수 있고 특히 첫 자음과 가로모음으로 완성되는 글자는 합자를 완성하는데 소요되는 이송차치의 이송구간이 4개이고 첫 자음과 세로모음이 쓰이는 경우의 글자는 받침이 있고 없는 것에 관계없이 이송차치 5개의 이송으로 합자가 완성되며, 첫 자음이 쌍자음인 경우에는 전기의 경우에 이송차치 1개의 구간을 더 이송하게 되어 글자에 따라 프라덴의 횡이송을 적절히 달리하고 있으므로 완성된 글자간의 간격이 균일하게 되며 세로모음과 가로모음에 각각 맞는 위치에 받침자를 찍게 되어 종래 세로모음이 쓰이는 경우와 가로모음에 쓰이는 경우 일정한 간격으로 타자되는 척자음의 옆에나 밑에 모음을 타자하므로 글자간의 간격이 각각 상이하여 글자간의 간격이 고르지 못하던 점과 가로모음과 세로모음밑에 일률적으로 같은 위치에 받침을 찍게 되어 받침의 위치가 어울리지 못하던 폐단을 일체 해소하여 글자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하고 모음위치에 잘 어울리는 받침을 찍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제어판(6)의 고정괘조와 이동괘조에 의하여 이송차를 간헐회전하게 공지의 타자기에 있어서 이송제어판(6)과 동축적으로 장치된 보조이송제어판(12) 상부돌편(10)의 계단형 턱(7)(8)(9)이 이동괘조의 행정구간을 각각 제약하고 이송제어판 하부의 롤라(11)가 키레바에 따라 움직이는 보조 연동바(16)(16')와 접속되며 활꼴중동바(1) 선단접속부(25)에 절취부(26)를 두며 이 절취부를 보전하는 가동편(27)을 보조 연동바(16)(17')에 닿아 움직이는 받침쇠(30)와 해지레바(36)를 통하여 자음키를 따라 움직이는 고임쇠(32)로 여닫게 한 타자기.
KR7907036U 1979-11-23 1979-11-23 타 자 기 KR810002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7036U KR810002224Y1 (ko) 1979-11-23 1979-11-23 타 자 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7036U KR810002224Y1 (ko) 1979-11-23 1979-11-23 타 자 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224Y1 true KR810002224Y1 (ko) 1981-12-02

Family

ID=19214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7036U KR810002224Y1 (ko) 1979-11-23 1979-11-23 타 자 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2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119481B (ko)
KR810002224Y1 (ko) 타 자 기
DE1280888B (de) Typendruckwerk fuer Schreib-, Schreib-Rechen- und aehnliche Maschinen mit Typenhebeln
CN201130450Y (zh) 幼儿数学器
DE1611447B2 (de) Von einem Speicher gesteuerte Schreibmaschine mit Proportional-Schrittschaltung
DE318736C (ko)
KR850001346B1 (ko) 한, 영 겸용 전동 볼타자기
US1686627A (en) Typewriter
US3399618A (en) Identity card and key-controlled shiftable date printer
DE918609C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Herstellung des Satzes fuer die Reproduktion beliebiger typographischer Arbeiten in Form kopierfaehiger Vorlagen
DE274275C (ko)
JPS559809A (en) Printer
SU30696A1 (ru) Пишуща машина
DE616726C (de) Maschine zum Schreiben von Stenographie und Klarschrift fuer alle Sprachen
DE434847C (de) Schreibmaschine mit Typenhebeln und einer von Nasen der Typenhebel bewegten Universalschiene
DE821638C (de) Schreibmaschine
DE91309C (ko)
DE87600C (ko)
DE308333C (ko)
KR900000954Y1 (ko) 윗글자쇠의 자동 해제장치
DE307330C (ko)
DE923253C (de) Schreibmaschine, insbesondere Buchungsmaschine
DE34986C (de) Vereinfachte Tasten-Schreibmaschine
DE215667C (ko)
DE102220C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