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2050B1 -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2050B1
KR810002050B1 KR7902650A KR790002650A KR810002050B1 KR 810002050 B1 KR810002050 B1 KR 810002050B1 KR 7902650 A KR7902650 A KR 7902650A KR 790002650 A KR790002650 A KR 790002650A KR 810002050 B1 KR810002050 B1 KR 810002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hoke valve
temperature
val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노무라
도시마사 시시도
Original Assignee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기겐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기겐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시마 기요시
Priority to KR790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2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8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ns For Warming Up And Starting Carburetor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일부 종단 정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일부 종단 측면도.
제 3도는 제 1도의 작동 상태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쵸우크 밸브의 엔진 분위기 온도에 대한 완폭개도 특성 및 폐색토오크 특성을 표시한 선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쵸우크 밸브의 시간경과에 대한 개도 특성을 표시한 선도.
제 6도는 종래의 쵸우크 밸브의 시간경과에 대한 개도 특성을 표시한 선도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시동 및 난기운전(暖機運轉)을 원활하고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냉시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에 바이메탈을 연결시키고, 그 바이메탈의 엔진 분위기 온도에 따라 비틀리는 힘을 쵸우크 밸브에 폐색 토오크로서 작용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으며, 또한 엔진의 난기운전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그 쵸우크 밸브에 엔진의 완폭(完爆)에 응동(應動)하는, 예를들면 엔진의 흡기부압(吸氣負壓)을 동력원으로 하는 부압 작동기를 연결하여, 완폭시에는 상기한 바이메탈의 폐색 토오크에 저항하여 쵸우크 밸브를 일정 개도(開度)의 완폭개도로 개방하는 것도 이미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엔진완폭시, 기화기에서 생성되는 혼합공기는 온난시 과잉농후, 한냉시에는 과잉 희박하게 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쵸우크 밸브가 완폭 개도에 있을때에도, 바이메탈에는 시동시보다도 더 폐색토오크가 잔류하므로, 그후 엔진 온도가 충분히 증가하여 상기 폐색 토오크가 소거될때까지의 기간, 바이메탈은 쵸우크밸브를 개방할 수가 없다. 이것을 도표로서 표시하면 제6도와 같으며, h'는 상온시 l'는 저온시의 쵸우크밸브 개도 특성의 1예를 표시하며, 그들의 수평직선기간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엔진 온도가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쵸우크 밸브 개도에 변함이 없는 기간이며, 이 사이의 생성 혼합공기는 당연히 과잉 농후하게되어 엔진의 배기중의 미연소 성분의 함유량이 증가되는 불편을 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이 없이, 엔진 시동시에는 엔진분위기 온도에 따른 폐색 토오크를 쵸우크 밸브에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엔진 완폭후는 쵸우크 밸브를 그 분위기 온도에 적응한 완폭 개도로 개방함과 동시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더욱 확실히 개방할 수 있는 쵸우크 밸브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있어서, (1)은 1차 및 2차 흡기로(吸氣路)(2),(3)를 가지는 복함식 기화기로서, 이 흡기로(2),(3)의 하류(下流)(도면에서는 아래쪽)가 내연기관에 연결된다. 1차 흡기로(2)의 상류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제1도에서 왼쪽으로 편위된 위치에 지지된 밸브축(4a)에 쵸우크 밸브(4)를 편심되게 장치하고, 엔진의 흡기 부압이 쵸우크 밸브(4)에 제 1도에서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개방 토오크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1차 및 2차 흡기로(2),(3)의 하류에는 1차 및 2차 드로틀 밸브(5),(6)를 밸브축(7),(8)으로서 각각 지지한다. 그 1차 드로틀 밸브(5)는 그 밸브축(7)에 고착된 드로틀 밸브레버(9)에 연결되는 조작 와이어(10)의 조종자에 의한 견인에 의하여 개방되고, 밸브 폐색스프링(11)의 비틀리는 힘에 의하여 폐쇄되며, 그 통상적인 아이들 개도는 밸브축(7)에 고착된 주스토퍼 아암(12)과, 기화기(1)의 바깥쪽에 돌설된 아이들 스토퍼나사(13)와의 접촉에 의하여 규제된다. 또 2차 드로틀밸브(6)는 양 드로틀 밸밸(5),(6)의 상류의 부압이 일정한 값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하는 부압 작동기(14)에 의하여 개방된다.
기화기(1)의 바깥쪽에는 제1제어함(15)을 고정 설치하고, 그 내부에 스파이럴형 바이메탈(16)로서된 제 1감온기(感溫器)(17)와 니크롬선으로된 전기 히이터(18)를 수용하고, 바이메탈(16)의 기단(基端) 즉 내단을 제 1 제어함(15)의 한쪽벽에 지지시킨 회동축(19)의 내단에 고정시키고, 바이메탈(16)의 유단(遊端) 즉 외단을 그 제어함의 다른쪽 벽에 지지시킨 회동축(20)의 내단에서 돌출된 바이메탈 종동(從動)레버(21)의 선단에 연결하고, 다시 회동축(20)의 외단에는 벨 크랭크형 쵸우크 구동레버(22)를 고착시키고, 그 수평 아암(22)에 연결간(23)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밸브축(4a)에 이어지는 쵸우크레버(24)에 연결시킨다. 상기한 전기히이터(18)는 엔진 완폭시부터 작동하여 제1제어함(15)내를 가열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바이메탈(16)은 그 분위기 온도에 응동하여 쵸우크 밸브(4)에 제4도의 선A에 따라서 가장좋은 완폭 개도를 줄 수 있는 열변형 특성이 부여되고 있다.(18a)는 축전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히이터 단자이다.
기화기(1)의 바깥쪽에는 다시 제1제어함(15)에 인접하여 부압작동기(25)를 고설하고, 그 부압실(26)의 한쪽에 설치되는 작동 다이어프램(27)과 상기 회동축(19)의 외단에 연결되는 작동레버(28)를 작동간(29)에 의하여 연결하고, 부압실(26)에는 작동레버(28)를 쵸우크 밸브(4)의 폐쇄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밸브 폐색 스프링(30)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부압실을 2차 흡기로(3)의 2차 드로틀 밸브(6) 하류에 설치된 부압 인출관(31)에 부압도관(32)을 사이에 두고 연통시킨다. 그 부압인출관(31)내에는, 엔진의 흡기 부압이 부압실(26)에 진입하는 것을 적당히 늦어지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올리피스(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34)는 주연료 노즐(35)이 개구하는 벤튜리, (36)은 플로우트실이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면, 엔진의 정지상태에서는 부압작동기(25)의 부압실(26)내는 대기압으로 유지되므로 작동 다이어프램(27)은 밸브폐색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한도까지 압동되며, 그것에 의해서 바이메탈(16)의 기단은 회동축(19)과 함께 쵸우크 밸브(4)의 폐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된다. 이 때문이 쵸우크 밸브(4)의 개도는 제6도의 완폭 개도선 A상에서 일정개도 θ만큼 작은 시동개도선 B상까지 옮겨지는 것이나, 엔진 분위기 온도, 즉 제 1제어할(15)내의 온도가 T점 이하에 있을 경우에는, 쵸우크 밸브(4)는 개도 θ를 폐쇄하기전에 전폐 상태로 되므로, 그후의 밸브 폐색스프링(30)의 압압력은 바이메탈(16)에 쵸우크 밸브(4)에 대한 폐색 토오크로서 축적되며, 그 폐색 토오크는, 제4도의 폐색 토오크선 B'에 표시한 것과 같이 엔진 분위기 온도가 저하됨에 따라서 증대된다. 따라서 엔진을 시동 모우터등에 의하여 크래킹하면, 엔진분위기 온도에 적용한 높은 농도의 혼합공기가 1차 흡기로(2)에서 생성되며, 엔진은 그것을 흡입하여 재빠르게 시동한다.
시동후, 엔진의 회전이 어느정도 안정되어, 소위 완폭 상태에 이를때쯤에는, 엔진의 흡기 부압은 부압 인출관(31)내의 올리피스(33)를 통과하여 부압실(26)내를 충분히 감압하므로, 작동 다이어프램(27)은 밸브 폐색스프링(30)에 저항하여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좌측으로 움직이고, 작동레버(28)를 통하여 회동축(19) 즉 바이메탈(16)의 기단을 쵸우크 밸브(4)의 개방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동하므로, 바이메탈(16)의 상기한 폐색토오크는 소거됨과 동시에, 쵸우크 밸브(4)의 개도는 제 4도의 완폭 개도선 A상에 오른다. 그리고 이때부터 제1제어함(15)에는 전기히이터(18)에 의하여 가열되며, 그 온도상승에 따라 바이메탈(16)은 즉시 변형되고, 그 변형을 바이메탈 종동레버(21)로 부터 쵸우크 구동레버(22)를 통하여 쵸우크 레버(24)로 전달하여 쵸우크 밸브(4)를 지체없이 개방시켜 간다. 제5도는 이와 같은 쵸우크 밸브(4)의 개방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선 h가 엔진 분위기 온도의 상온시, 선 l이 저온시의 1예로서, 각각의 완폭개도 Ah, Al이 엔진분위기 온도에 따라 다르다는것, 및 완폭후에는, 어느 것이나 시간 경과, 즉 엔진의 온도 상승에 응답하여 연속적으로 쵸우크 밸브 개도를 증대 시킨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 시동후에 생성되는 혼합 공기 농도는 엔진 온도의 상승에 따라 지체없이 알맞게 엷어져서, 연소가 안정됨과 동시에, 배기중의 미연소 성분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부압작동기(25) 대신에, 엔진의 완폭시 작동하도록한 전자(電磁) 작동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기화기(1)에는, 1차 드로틀 밸브(5)의 고개도 영역(高開度領域)에서는, 폐쇄상태에 있는 쵸우크 밸브(4)를 경제적으로 개방시키는 언로우더 장치(37), 한냉시의 아이들링 운전을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엔진온도에 따라 1차 드로틀 밸브(5)이 아이들 개도를 자동 조절하는 파아스트(fast) 아이들 장치(38), 및 엔진의 고온시에 쵸우크밸브(4)를 전개위치에 유지시키는 쵸우크 밸브 유지장치(56)를 장비하는 것으로서, 이하 그것을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언로우더 장치(37)는, 1차 드로틀 밸브의 밸브축(7)과 제 1제어함(15)과의 중간에 설치된 지지축(39)에 벨크랭크형 언로우더레버(40)를 지지하고, 그 레버의 일단을 연결간(4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주 스토퍼 아암(12)과 일체로 형성된 구동레버(42)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타단을 상기한 쵸우크구동레버(22)의 수직아암(22)의 하단에 대향시켜서 된 것으로서, 그 대향간격은, 1차 드로틀 밸브(5)가 조작 와이어(10)의 견인에 의하여 소정의 고개도로 개방되었을 때 영이 되도록 미리 정하여져 있고, 따라서 1차 드로틀 밸브(5)가 거기에서 다시 개방되면, 조작 와이어(10)의 견인력은 언로우더 레버(40)를 통하여 쵸우크 구동레버(22)를 회동시켜 바이메탈(16)의 제어하에 있는 쵸우크 밸브(4)를 강제적으로 개방시키고, 따라서 한냉시에도 엔진의 출력 운전에 필요한 공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파아스트 아이들 장치(38)는, 상기 지지축(39)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설계된 별개의 지지축(43)에 밸크랭크형 파아스트 아이들 레버(44)를 지지하고, 그 일단을, 상기 주스토퍼 아암(12)과 일체로 형성된 부(副) 스토퍼아암(45)의 선단 원통부(45a)에 대향시킴과 동시에, 그 파아스트 아이들 레버(44)의 타단에 나사로 장치한 조절나사(46)를 제2감온기(47)의 작동간(48)에 접촉시켜서 되며 또 이 제2감온기(47)는 작동간(48)의 하단이 접촉 삽통되는 개구부를 가지는 밀폐통(49)과, 그 내부에 봉입된 왁스 기타의 비압축성 열팽창제(50)로서 되고 작동간(48)과 열팽창제(50)와의 경계에는 접동 패킹(51)에 끼워 장치되고, 파아스트 아이들레버(44)에는, 이것을 1차 드로틀 밸브(5)의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또한 밸브 폐색 스프링(11) 보다 강력한 밸브 개방스프링(52)이 접속되어 있다. 밀폐통(49)은, 도시하지 않은 엔진 본체에 고정되는 제2제어함(53)내에 수용하고 그 제어함은 입구(54)및 출구(55)를 가지고, 그 입구(54)에서 유입하는 엔진 냉각수, 혹은 윤활유에 의하여 밀폐통(49), 따라서 열팽창제(50)는 엔진 온도와 대략 같게 유지된다. 따라서 엔진의 저온시에는 열팽창제(50)가 수축되고, 그 수축량에 따라서 작동간(48)이 밀폐통(49) 내로 진입하면, 거기에 뒤따라서 파아스트 아이들 레버(44)가 밸브 개방스프링(52)의 비틀리는 힘에 의하여 회동하고, 그 레버의 일단이 부스토 퍼아암(45)을 구동시켜서 1차 드로틀 밸브(5)를 적당하게 개방시킨다. 또 엔진 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제(50)는 팽창하고, 그 팽창량에 따라 작동간(48)을 밸브 개방 스프링(52)에 저항하여 밀어내고, 파아스트 아이들 레버(44)를 부스토 퍼아암(45)에서 퇴거시키므로, 1차 드로틀 밸브(5)는 밸브 폐색스프링(11)에 의하여 통상의 아이들 개도까지 폐쇄된다. 이와같이 하여 1차 드로틀 밸브(5)의 아이들 개도는 엔진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또한 무단계로 조절되며, 항상 안정된 엔진의 아이들링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쵸우크 밸브 유지장치(56)는, 지지축(39)에 계지레버(57)를, 그 선단의 훅(hock)부 (57a)가 상기 쵸우크 구동레버(22)의 수평아암(221)의 회동궤적(軌跡)에 진퇴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그 레버의 기부로 부터 1체로 돌출된 돌출아암(58)을 파아스트 아이들 레버(44)의 기부의 계합홈(59)에 계합시키고 상기 제2감온 기(47)에 연결시켜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엔진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때에는, 팽창제(50)의 팽창에 의하여 계지레버(57)은 지지축(39)을 오른쪽으로 회동시켜서 그 훅부(57a)를, 제3도에 표시하는 것과같이 이미 쵸우크 밸브(4)를 전개 위치로 유지하는 쵸우크 구동레버(22)의 수평아암(221)의 앞면에 계합시킨다. 이와 같을때 엔진이 정지되면, 제 1제어함(15)내의 온도가 즉시 강하되어도, 엔진온도(제2제어함(53) 내의 온도)가 강하되지 않는 한 쵸우크 구동레버(22)는 계지레버의 훅부(57a)에 계지되어서 회동할 수 없고, 쵸우크 밸브(4)는 여전히 전개 위치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엔진의 고온 상태에서의 재차 시동에 있어서는, 혼합공기의 과잉 농후화를 피할 수 있으며, 시동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미연소 성분의 배출량의 증가가 억제된다. 이상과 같은 설명에 있어서, 부압작동기(25)는, 감온기(17)의 기단을, 엔진 정지 상태에서는, 그 감온기에 소정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면서 쵸우크 밸브(4)에 엔진온도에 반비례한 다폐색토오크를 부여할 수 있는 제 2위치에, 또 엔진 완폭 상태에서는, 감온 기의 복원력만으로서 엔진 분위기 온도에 따른 완폭 개도로 유지할 수 있는 제 1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을 구성하고, 또 전기히이터(18)는 감온기(17)를 엔진 온도의 상승에 따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수단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쵸우크 밸브에, 엔진분위기 온도를 감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감온기의 유단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그 기단이 쵸우크 밸브를 그 감온기의 복원력만으로서 엔진 분위기 온도에 따른 완폭개도로 유지할 수 있는 제1위치와, 그 감온기에 소정의 저항력을 발생 시키면서 쵸우크 밸브에 엔진 온도에 반비례한 폐색토오크를 부여할 수 있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하고, 그 기단에 엔진 정지 상태에서는 그 기단을 상기한 제 2위치에, 또 엔진 완폭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위치에 유지시키는 수단을 부설하고, 또 상기 감온기에 그것을 엔진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 수단을 부설하였으므로, 엔진 시동시에는, 엔진 분위기 온도에 적응한 폐색토오크를 쵸우크 밸브에 부여시킴과 동시에 엔진 완폭시에, 그 폐색 토오크를 해제하여 감온기의 복원력만으로서 쵸우크 밸브를 엔진 분위기 온도에 적응한 완폭 개도로 개방시킬 수가 있고, 또 가열수단에 의하여 감온기를 엔진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가열하여 쵸우크 밸브의 개도를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지체없이 확실하게 증대시킬 수가 있고, 따라서 특히 한냉시의 엔진 시동시에 항상 적절한 혼합공기를 엔진에 공급하여 엔진의 시동성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난기운전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쵸우크 밸브에, 엔진 분위기 온도를 감수(感受)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감온기의 유단을 연결시킴과 동시에, 그 기단이, 쵸우크 밸브를 그 감온기의 복원력만으로서 엔진 분위기 온도에 따른 완폭 개도로 유지할 수 있는 제 1위치와, 그 감온기에 소정의 저항력을 발생시키면서 쵸우크 밸브에 엔진 온도에 반비례한 폐색토오크를 부여할 수 있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기단에 엔진 정지 상태에서는 그 기단을 상기 제2위치에, 또 엔진완폭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위치에, 유지하는 수단을 부설하고, 또 상기 감온기에 그것을 엔진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수단을 부설하여서된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KR7902650A 1974-06-04 1979-08-03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KR810002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650A KR810002050B1 (ko) 1974-06-04 1979-08-03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40002643 1974-06-04
KR7902650A KR810002050B1 (ko) 1974-06-04 1979-08-03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40002643 Division 1974-06-04 1974-06-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2050B1 true KR810002050B1 (ko) 1981-12-21

Family

ID=2662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650A KR810002050B1 (ko) 1974-06-04 1979-08-03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205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8233A (en) Automatic choke
US2942596A (en) Automatic choke control
US4326491A (en) Fuel heater
US4094931A (en) Carburetor assembly
US4181107A (en) Carburetor choke valve controlling device
US4276238A (en) Carburetor with automatic choking and acceleration device
US4563311A (en) Carburetor valve
US4053544A (en) Fuel indu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3202673C2 (de) Vergaser mit einer temperaturabhängigen Steuervorrichtung
KR810002050B1 (ko)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US4180533A (en) Carbure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834677A (en) Automatic choke control
US3872847A (en) Temperature supplemental pulldown mechanism for carburetor automatic choke
US4245608A (en) Idl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109788B2 (ja) スロットルボディにおけるバイパス路制御装置
JPS5853671A (ja) 吸気管を備えた内燃機関に配置された燃料噴射弁の冷却装置
JPS5813743B2 (ja) 内燃機関用の気化器
US3058727A (en) Automatic choke
US4294780A (en) Temperature compensator for a carburetor choke valve
US3907944A (en) Choke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790000953B1 (ko)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US3789815A (en) Temperature responsive control device
US2093218A (en) Prim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989293A (en) Automatic choke
US4385009A (en) Automatic starter device for a double barrel carbu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