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790000953B1 -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0953B1
KR790000953B1 KR740002644A KR740002644A KR790000953B1 KR 790000953 B1 KR790000953 B1 KR 790000953B1 KR 740002644 A KR740002644 A KR 740002644A KR 740002644 A KR740002644 A KR 740002644A KR 790000953 B1 KR790000953 B1 KR 79000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valve
choke valve
chok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4000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노무라
도시마사 시시도
Original Assignee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 기겐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시마 기요시, 혼다 기겐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시마 기요시
Priority to KR74000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0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095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ans For Warming Up And Starting Carburetor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일부종단 정면도,
제2도는 그 일부 종단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쵸우크 밸브의 엔진분위기 온도에 대한 완폭개도(完爆開度) 특성 및 폐쇄토오크 특성을 표시한 선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쵸우크 밸브의 시간경과에 의한 개도특성을 표시하는 선도.
제5도는 종래 쵸우크밸브의 시간경과에 대한 특성을 표시하는 선도이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시동 및 난기(暖機)운전을 원활하고도 걱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냉시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에 바이메탈을 연결하고 그 바이메탈의 엔진분위기 온도에 따른 스트레인력을 쵸우크밸브에 폐쇄토오크로서 작용시키는 것이 있었고, 또 엔진의 난기운전의 안정화를 도모 하기 위하여, 그 쵸우크밸브에 엔진의 완폭에 응동하는, 예를 들면 엔진의 흡기부압을 동력원으로 하는, 부압작동기를 연결하고, 완폭시, 상기 바이메탈의 폐쇄토오크에 반항하여 쵸우크밸브를 일정개도의 완폭개도로 여는것도 이미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하면기관완폭시, 기화기에서 생기는 혼합기는 온난시에는 과잉농후, 한 냉시에는 과잉희박이될 경향이 있을뿐만 아니라, 쵸우크밸브가 완폭개도에 있을 때에도, 바이메탈에는 시동시에도 증가하여 폐쇄토오크가 잔류하는 것으로, 그후, 엔진온도가 충분히 증가하여 상기한 폐쇄토오크가 제거될 때까지, 바이메탈은 쵸우크밸브를 개방할 수 없었다. 이것을 도표로 표시하면 제5도와 같고 h'는 상온시 ℓ'는 저온시의 쵸우크밸브 개도특성의 일예를 표시하고, 그들의 수평직선기간이, 시간경과와 함께 엔진온도가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쵸우크밸브개도가 불변인 기간이고, 이 사이의 생성혼합기는 당연히 과잉농후로 되고, 엔진의 배기중의 미연소 성분의 함유량이 증가하는 불량한 경과를 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점이 없고, 엔진시동시에는 엔진분위기 온도에 따른 폐쇄토오크를 쵸우크밸브에 작용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엔진완폭후는 쵸우크 밸브를 같은 분위기 온도에 적응한 완폭개도로 개방함과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라 더욱 확실하게 개방할 수가 있는 유효적절한 기화기의 쵸우크밸브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1 및 제2도에 있어서 1은 1차 및 2차 흡기로 2,3을 갖는 복합식 기화기이고, 이들 흡기로의 하류(下流)(그림에서는 하방)가 내연기관에 연결 된다. 1차 흡기로 2의 상류에는 그중심으로 부터 제1도에서 좌측으로 편재한 위치에 축지된 밸브축 4a에 쵸우크밸브 4를 편심으로 부착하고, 엔진의 흡기부압이 쵸우크밸브 4에 같은 도면에서 우회전의 개방토오크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다시 1차 및 2차 흡기로 2,3의 하류에는 1차 및 2차 스로틀밸브 5,6을 밸브축 7, 8로서 각각 축지한다. 그 1차 스로틀 밸브 5는 그 밸브축 7에 고착한 스로틀 밸브레버 9에 연결되는 조작와이어 10의 조종자에 의한 견인(牽引)에 의하여 개방되고 밸브폐쇄스프링 11의 비틀리는 힘에 의하여 페쇄되고, 그 통상의 아이들 개도는 밸브축 7에 고착된 주 스톱퍼아암 12와, 기화기 1의 외측에 돌설된 아이들 스톱퍼나사 13과의 접촉에 의하여 규제 된다. 또 2차 스로틀 밸브 6은 2개의 스로틀배브 5,6의 상류에 부압이 일정치 이상으로 달했을 때 작동하는 부압 작동기 14에 의하여 개방된다.
기화기 1의 외측에는 제1제어함 15를 고설하고 그 내부에 스파이럴형바이메탈 16으로된 제 1감온기 17과 니크롬선으로 된 전기히이터 18과를 수용하고, 바이메탈 16의 기단즉 내단을 제 1제어함 15의 일측벽에 고착한 고정축 19에 고정하고, 바이메탈 16의 유단(遊端) 즉 외단을 갖은 제어함의 다른 측벽에 지승(支承)한 회동축 20의 내단에서 돌출된 바이메탈 총동레버 21의 선단에 연결하고, 다시 회동축 20의 외단에는 벨크랭크쵸우크 구동레버 22를 고착하고, 그 수평 아암 221에 연결로드 23을 개재하여, 상기 밸브축 4a에 연결되는 쵸우크레버 24에 연결한다. 상기 전기 히이터 18을 엔진완폭시에서 작동하여 제 1제어함 15내부를 가열하는 것이고, 상기 바이메탈 16은 그 분위기온도에 응동(應動)하여 쵸우크밸브 4에 제 3도의 선 A에 따라 최량(最良)의 완폭개도를 줄수 있는 열형특성이 부여되어 있다. 18a는 배터리(도시치 않음)에 접속되는 히이터 단자이다.
기화기 1의 외측에는 다시 제1제어함 15에 인접하여서 부압작동기 25를 고설하고, 그 부압실 26의 한쪽에 장설(張設)되는 작동 다이어프램 27에 작동로드 29를 고착하고, 그 선단을 쵸우크레버 24에 일연체로 형성한 접촉아암 24a에 접촉시키고, 부압실 26에는 쵸우크레버 24를 쵸우크밸브 4의 폐쇄방향으로 가압하는 밸브폐쇄스프링 30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부압실을 2차흡기로 3의 2차 스로틀밸브 6하류에 만든 부압취출관(負壓取出管) 31에 부압도관 32를 개재하여 연통한다.
그 부압취출관 31내에는 엔진의 흡기부압의 부압실 26에의 진입을 적당하게 지연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올리피스 33이 만들어져 있다.
또, 도면중 34는 주연료 노즐 35가 개구된 벤튜리, 36을 플로우트실이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면, 엔진의 정지상태에서는 전기히이터 18이 소세(消勢)하여, 제1제어함 15내부가 엔진분위기온도로 되어 있으므로 만약 밸브폐쇄스프링 30의 탄발력이 없다고 하면, 바이메탈 16은 그유단을 상기한 온도에 따르는 위치로 옮기고, 바이메탈 종동레버 21, 쵸우크구동레버 22 및 쵸우크레버 24를 개재하여 쵸우크밸크 4를 제3도의 완폭개 도선 A 상의 개도에 유지한다. 그러나, 실지의 상태에서는, 이때 부압작동기 25의 부압실 26내는 대기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밸브폐쇄스프링 30이 제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작동로드 29를 개재로 쵸우크밸브 4를 폐쇄방향으로 탄압하고, 동시에 바이메탈 16에 스트레인을 준다.
그리고 엔진분위기 온도가 T점 이상에 있는 경우에는 쵸우크밸브 4가 전폐되기 전에 밸브폐쇄스프링 30에 의한 폐쇄토오크와 바이메탈 16의 반발 로오크가 평형하고, 이 때문에 쵸우크밸브 4의 개도는 제3도의 완폭개도선 A상에서 일정개도 θ만큼 작은 시동개도선 B까지 이동되고 또 엔진분위기온도가 T점을 하회(下回)할 경우에는, 쵸우크밸브 4는 개도 θ만큼 작은 회동되기 전에 전폐상태로되고, 그 후에는 밸브폐쇄스프링 30의 폐쇄토오크와 바이메탈 16의 반발토오크 와의 차가 실지의 폐쇄토오크로서 쵸우크밸브 4에 가해진다. 그리고 밸브폐쇄 스프링 30의 폐쇄토오크는 항상 대략일정한데 대하여 바이메탈 16의 반발토오크는 그 스트레인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으로서 쵸우크밸브 4의 실지의 폐쇄토오크는 제3도의 폐쇄토오크 선 B'에 표시된 것처럼, 엔진분위기 온도의 강하에 따라 증대한다.
따라서, 엔진을 시동 모터 등에 의하여 크랭킹하면, 분위기 온도에 따른 높은 농도의 혼합기가 1차 흡기로 2에서 생성되고, 엔진은 그것을 흡입하여 신속히 시동한다.
시동후, 엔진의 회전이 어느정도 안정하여, 소위 완폭상태로 될 무렵에는, 엔진의 흡기부압은 부압취출관 31 내의 올리피스 33을 통과하여 부압실 26 내를 충분히 감압하는 것으로, 작동 다이어프램 27은 밸브폐쇄스프링 30에 반항하여 후퇴시키므로 쵸우크 밸브 4는 바이메탈 16만의 제어하에 놓이고, 그 완폭개도가 제6도의 완폭개도선 A상에 놓이게 되는 것은 상술한 것으로 부터 명백하다.
그리고 이때부터 제1제어함 15내부는 전기히이터 18에 의하여 가열되며, 그 온도상승에 따라 바이메탈 16은 즉시 변형하고, 그 변형을 바이메탈 종동레버 21에서 쵸우크 구동레버 22를 개재로 쵸우크레버 24에 전달하여 쵸우크밸브 4를 지체없이 개방하여간다. 제4도는 이와 같은 쵸우크밸브 4의 개방측성을 표시하는 것이고, 선 h가 엔진분위기온도의 상온시, 선 ℓ이 저온시의 일예이고 각각 완폭개도 Ah, Al이 엔진분위기온도에 의하여 다르다는 것, 및 완폭후는, 어느것이나 시간경과, 즉 엔진의 온도상승에 응답하여 연속적으로 쵸우크밸브 개도를 증대하는 것을 명백히 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 시동후에 생성되는 혼합기체농도는 엔진온도의 상승에 따라지체없이 적당하게 희박해지고, 연소는 안정됨과 동시에, 배기중의 미연소성분의 증가가 억제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부압작동기 25에 대신하여, 엔진의 완폭시 작동하도록한 전자작동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기화기 1에는 1차 스로틀밸브 5의 고개도영역(高開度領域)에서는, 폐쇄상태에 있는 쵸우크밸브 4를 강제적으로 개방하는 언로우더장치 37, 한냉시의 아이들링운전을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엔진온도에 따라 1차 스로틀밸브 5의 아이들 개도를 자동 조절하는 패스트라이들장치 38, 및 엔진의 고온시 쵸우크밸브 4를 전개위치에 확보하는 쵸우크밸브 확보장치 56을 장비하는 것이고, 이하 이들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언로우더 장치 37은, 1차스로틀밸브의 밸브축 7과 제1 제어함 15와의 중간에 입설된 지축 39에 벨크랭크형 언로우더레버 40을 지승 하고, 그 레버의 일단을 연결로드 41을 개재로하여, 상기 주스톱퍼아암 12와 일연체로 형성된 구동레버 42에 연결함과 아울러, 타단을 상기 쵸우크구동레버 22의 수직 아암 222의 하단에 대향시켜서 되는 것으로 상기 대향간격은, 1차 스로틀밸브 5가 조작와이어 10의 견인에 의하여 소정의 고개도로 개방된 때 0이 되도록 미리정해져 있고, 따라서 1차 스로틀밸브 5가 그곳에서 다시 개방되면, 조작와이어 10의 견인력은 언로우더레버 40을 개재하여 쵸우크구동레버 22를 회동하여 바이메탈 16의 제어하에 있는 쵸우크밸브 4를 강제적으로 개방하고, 따라서 한냉시에서도 엔진의 출력운전에 필요한 공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패스트아이들장치 38은, 전기 지축 39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입설된 다른 지축 43에 벨크랭크형 패스트 아이들레버 44를 지승하고, 그 일단을 상기 주스톱퍼아암 12와 일연체로 형성시킨 부스톱퍼아암 45의 선단원통부 45a에 대량시킴과 동시에, 그 패스트아이들레버 44의 타탄에 나설한 조정나사 46을 제2감온기47의 작동로드 48에 접촉하게 되며, 또 이제 그감온기 47은, 작동간 48의 하단이 접합(摺合)하는 개구부를 갖는 밀폐통 49와, 그 내부에 봉입된 왁스기타의 비압축성열팽창 제50으로 되고 작동로드 48과 열 팽창제 50으로 되고 작동로드 48과 열 팽창제 50과의 경계에는 접동패킹 51이 개재되고 패스트아이들레버 44에는 이것을 1차 스로틀밸브 5의 개방방향으로 가압되고, 또 밸브폐쇄스프링 11보다 강력한 밸브개방스프링 52가 접속되어 있다. 밀폐통 49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 본체에 고정되는 제2제어함 53내에 수용하고, 그 제어함은 입구 54 및 출구 55를 가지며, 그 입구 54에서 유입하는 엔진냉각수, 혹은 윤활유에 의하여 밀폐통 49와, 열 팽창제 50은 엔진온도와 대략같이 유지된다. 따라서 엔진의 저온시에는 열 팽창제 50이 수축하고, 그 수축량에 따라 작동로드 48이 밀폐통 49 내에 진입하면, 그에 추종하도록 패스트아이들레버 44는 밸브개방스프링 52의 스트레인력에 의하여 회동하고 그 레버의 1단이 부스톱퍼아암 45를 구동하여 1차 스로틀밸브 5를 적당히 연다. 또 엔진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제 50은 팽창하고 그 팽창량에 응하여 작동밸브개방스프링 52에 대항하여 압출하고, 패스트아이들레버 44를 부스톱퍼아암 45에서 퇴거시키는 것으로 로드 48을 1차 스로틀밸브 5는 밸브폐쇄스프링 11에 의하여 통상의 아이들 개도까지 폐쇄된다. 이와 같이 하여서 1차 스로틀 밸브 5의 아이들개도는 엔진온도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이고도 무단계(無段階)로 조절되고 항상 안정한 엔진의 아이들링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쵸우크 밸브확보장치 56은, 지축 39에 계지(係止) 레버 57을, 그 선단의 고리부 57a가 상기 쵸우크 구동레버 22의 수평아암 221의 회동궤적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지승함과 동시에, 그 레버의 기부로부터 일연체로 돌출된 돌출아암 58을 패스트아이들레버 44의 기부의 계합구 59에 계합하여 상기 제2감온기 47에 연결하여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엔진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때에는, 팽창제 50의 팽창에 의하여 계지레버 57은 지축 39를 우측으로 회동하고 그 고리부 57a를, 미리쵸우크 밸브 4를 전개위치에 확보하는 쵸우크 구동레버 22의 수평아암 22의 전면에 계합한다.
이와 같은때 엔진이 정지되면, 제1제어함 15내의 온도가 즉시 강하하여도, 엔진온도(제2제어함 53 내의 온도)가 강하하지 않는한 쵸우크 구동레버 22는 계지레버의 고리부 57a에 계지되어 회동할 수 없고, 쵸우크밸브 4는 변함없이 전개위치로 확보된다. 이때문에 엔진의 고온상태에서의 제시동을 할때에는 혼합기의 과농화(過濃化)를 피할 수 있으며, 시동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미연소성분의 배출량의 증가가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시동시에는 엔진분위기 온도에 적응한 폐쇄토오크를 쵸우크밸브에 주고, 또 엔진 완폭후에는 쵸우크밸브를 같은 분위기온도에 적응한 완폭개도로 개방하고, 다시 시간경과에 따라 지체없이 그 개도를 증대시킬 수가 있으므로 엔진분위기온도의 고저에 불구하고 항상 적정한 혼합기체를 엔진에 공급하여 엔진의 시동성을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난기운전을 안정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배기중의 미연소성분의 함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쵸우크밸브에, 엔진분위기온도를 감수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감온기의 유단을 연결함과 동시에 그 기단을 고정구조체에 고정하고, 그 쵸우크밸브에 엔진정지상태에서는 그 쵸우크밸브를 항상 대략 일정한 압력으로 폐쇄방향으로 가압하고, 또 엔진 완폭상태에서는 상기압력을 제거하는 수단을 부설하고, 상기 감온기는 상기 압력이 제거된 때, 상기 쵸우크밸브를 엔진분위기 온도에 비례한 완폭개도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KR740002644A 1974-06-04 1974-06-04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KR79000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2644A KR790000953B1 (ko) 1974-06-04 1974-06-04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2644A KR790000953B1 (ko) 1974-06-04 1974-06-04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0953B1 true KR790000953B1 (ko) 1979-07-31

Family

ID=1920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2644A KR790000953B1 (ko) 1974-06-04 1974-06-04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095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9180A (en) Automatic choke apparatus and method
US3646924A (en) Fuel system for gaseous fueled engines
US4662333A (en) Carburetor with automatic starting device
US4094931A (en) Carburetor assembly
US4181107A (en) Carburetor choke valve controlling device
US4153653A (en) Fuel indu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B1453095A (en) Carburettor cold enrichment device
US3956434A (en) Carburetor cold enrichment fuel metering signal and air flow modulator
KR790000953B1 (ko)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US4180533A (en) Carbure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834677A (en) Automatic choke control
US4752420A (en) Diaphragm carbure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890001730B1 (ko) 차량용 엔진의 난기 시스템
US4450806A (en) Intake air throttle device of a diesel engine
US2705484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and oper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897765A (en) Carburetor cranking fuel flow rate control
US2563645A (en) Engine starting device
US2093961A (en) Automatic carburetor
JP3708164B2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JPS5911739B2 (ja) 内燃機関の気化器
KR810002050B1 (ko) 기화기의 쵸우크 밸브 제어장치
US1304888A (en) Automatic control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3278119A (en) Automatic choke auxiliary thermostat
GB2054049A (en) Carburettor choke valve actuation
US3347216A (en) Choke control device